맨위로가기

카올라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올라크는 세네갈에 위치한 도시로, 살룸 왕국의 수도였던 카혼의 후계 도시이다. 주요 산업은 땅콩 유통 및 가공이며, 티자니야 수피교의 중요한 중심지이자 이슬람 교육의 중심지이다. 카올라크는 열대 반건조 기후를 보이며, 레우나, 메디나 바예 등 여러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탈리아의 아오스타, 프랑스의 메리냑, 미국의 멤피스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네갈의 도시 - 생루이 (세네갈)
    세네갈 북부 세네갈 강 어귀에 위치한 생루이는 프랑스에 의해 건설되어 프랑스령 세네갈과 서아프리카의 수도였던 역사적인 항구 도시로, 노예 및 고무 무역 중심지이자 프랑코-아프리카 크리올 문화와 식민지 시대 건축물로 유명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현재는 관광 및 어업 도시로서 해수면 상승과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세네갈의 도시 - 콜다
    콜다는 세네갈 남부 콜다 데파트망과 콜다 지역의 중심 도시로, 카사망스 강 유역의 비옥한 토지에서 농업과 축산업이 발달했으며, 풀라족이 주로 거주하고 콜리 다도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카올라크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메디나 바이 모스크, 카올라크
공식 명칭카올라크
로마자 표기Kaolack
다른 이름كاولاك
지리
위치세네갈
좌표북위 14° 1' 서경 16° 15'
행정 구역
국가세네갈
레지옹 (주)카올라크 주
데파르트망 (군)카올라크 데파르트망
인구 통계
총 인구 (2023년 센서스)298904명
기타 정보
시간대GMT
UTC 오프셋+0

2. 역사

카올라크는 살룸 왕국의 역사적인 수도였던 카혼 인근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19세기 프랑스의 식민 통치 하에서 땅콩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주요 항구 도시이자 상업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특히 1911년 다카르-니제르 철도 지선 건설은 카올라크를 땅콩 가공 및 수출의 핵심 거점으로 만들었다. 이와 함께 카올라크는 티자니야 수피교의 중요한 중심지로 자리 잡았으며, 관련 공동체가 형성되고 발전하였다.[3][4] 오늘날에도 땅콩 관련 산업과 살룸 강변의 염전이 주요 산업 활동을 이루고 있다.

2. 1. 카올라크의 기원과 전설

카올라크는 살룸 왕국의 역사적인 수도였던 카혼의 후계 도시이다. 원래 카혼은 쿠용 섬을 마주보는 살룸 강 오른쪽 제방에 위치했으며, 신성한 나무로 표시된 곳이었다. 카혼은 개방된 들판으로 분리된 여러 개의 별개의 지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지역은 다른 고위 관리나 공무원의 관할하에 있었다. 카올라크는 카혼에서 강 하류로 약 8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들 지역 중 하나였다.

한 전설에 따르면, 카올라크는 오늘날의 말리에 위치했던 마시나 제국 출신의 풀라니족 형제 세가와 마사르에 의해 건국되었다고 한다. 세가의 아들 알리운 음부투 소는 나중에 카올라크의 촌장을 지냈으며, 음부투 가문의 집은 지금도 시내 중심부에 남아 있다. 음부투 소의 딸 라마툴라예는 아마두 밤바의 아들과 결혼했는데, 이는 "카올라크 워로우 음부투"(카올라크는 음부투의 영지)라는 속담의 유래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또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바올의 공주가 마드 살룸 음베간 누르의 보호 아래 이곳으로 피신하여 나중에 그와 결혼했다고 한다. 공주는 볼로프어로 mbossé|음보세wo라고 불리는 서아프리카나일왕도마뱀에 대한 전통적인 숭배를 시작했으며, 이는 도시의 토템이 되었다. 이후 음부투 소가 이곳에 도착하여 그의 박식함 덕분에 족장이 되었다고 한다.[2]

19세기 초, 프랑스노예 무역을 대체할 합법적인 교역품을 찾으면서 살룸 강 지역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세기가 지나면서 땅콩 생산이 살룸 왕국에 도입되었고, 프랑스는 살룸 왕의 허가를 받아 카혼보다 운송에 더 유리한 카올라크 강변에 요새화된 공장을 설립했다. 1860년에는 첫 번째 토지 구획이 이루어졌는데, 이 지역은 후에 도시 중심부 또는 "에스칼" 지역이 되었다. 1911년, 항구에서 다카르-니제르 철도로 이어지는 철도 지선이 건설되면서 카올라크는 땅콩 가공 및 수출 중심지로 크게 성장했다. 이 시기 도시 인구는 1925년 5,600명에서 1934년 44,000명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이 무렵 카올라크는 수피파의 한 갈래인 티자니야 교단의 중요한 중심지로 부상했다. Abdoulaye Niasse|압둘라예 니아스프랑스어는 1910년 레오나 지역에 첫 번째 주요 자위야(종교적 교육 및 집회 장소)를 열었다.[3] 그의 아들인 이브라힘 니아스는 1930년대 초, '자마아트 알-파이다'(신성한 홍수의 공동체)로 알려진 공동체를 카올라크의 새로운 교외 지역인 마디나 바예로 옮겼으며, 이곳은 현재 도시의 일부가 되었다.[4]

2. 2. 프랑스 식민지 시대와 땅콩 무역

프랑스는 19세기 초 노예 무역을 대체할 합법적인 무역 품목을 찾으면서 살룸 강 지역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세기가 흐르면서 땅콩 생산이 살룸 왕국에 도입되었고, 땅콩 운송에 더 유리한 위치에 있던 카올라크에 살룸 왕의 허가를 받아 프랑스의 요새화된 공장이 세워졌다. 이는 역사적 수도였던 카혼보다 운송에 유리했기 때문인데, 카혼은 카올라크에서 강 상류로 8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다. 프랑스는 1860년 카올라크에 첫 토지 구획을 설정했으며, 이 구역은 도시의 중심부인 '에스칼' 지역이 되었다.

1911년에는 항구에서 다카르-니제르 철도까지 이어지는 철도 지선이 건설되면서 카올라크는 땅콩 가공 및 수출의 중심지로 급격히 성장했다. 이러한 발전은 인구 증가로 이어져, 1925년 5,600명이었던 인구는 1934년에 44,000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2. 3. 티자니야 이슬람교의 중심지

카올라크는 티자니야 수피교의 중요한 중심지로 발전했다. 알라지 압둘라에 냐스(Alhaji Abdoulaye Niasse)는 1910년 레오나 지역에 첫 번째 주요 자위야(zawiyah, 종교적 공동체 또는 학교)를 열었다.[3] 그의 아들인 이브라힘 니아스는 1930년대 초, '자마아트 알-파이다'(Jama'at al-Fayda, 신성한 홍수의 공동체)라는 공동체를 카올라크의 새로운 교외 지역인 메디나 바이로 옮겼다. 이 지역은 현재 도시의 일부가 되었다.[4]

오늘날 카올라크는 이브라힘 니아스가 창시한 냐센파(세네갈 티자니야의 한 분파)의 중심지이며, 이슬람 교육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카올라크의 메디나 바이 모스크세네갈에서 가장 큰 모스크 중 하나로 꼽힌다.

카올라크의 메디나 바이 모스크

3. 지리

(내용 없음)

3. 1. 기후

카올라크는 짧은 우기와 긴 건기를 특징으로 하는 열대 반건조 기후 (쾨펜 기후 구분: BSh)를 가지고 있다.

카올라크의 기후 (1991년~2020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역대 최고 기온(°C)
평균 최고 기온(°C)35.137.339.740.840.237.434.833.533.736.337.535.636.8
평균 최저 기온(°C)18.319.921.021.823.024.725.224.924.524.721.619.122.4
역대 최저 기온(°C)11.512.515.015.815.016.521.020.017.519.715.812.411.5
평균 강수량(mm)0.90.60.00.01.736.0117.9238.5190.543.60.90.0630.6
평균 강수일수(≥ 1.0 mm)0.10.10.00.00.22.88.713.812.14.00.20.042.0
월평균 일조 시간(시간)260257295297298258248233228260255233
평균 일일 일조 시간(시간)8.49.19.59.99.68.68.07.57.68.48.57.5
출처 1: 미국 해양대기청(NOAA)[5]
출처 2: 독일 기상청(Deutscher Wetterdienst) (일조 시간)[6]


4. 경제

카올라크는 지역의 중요한 교역 도시이며, 세네갈의 주요 산업인 땅콩유통가공 중심지 역할을 한다. 또한, 염분 농도가 높은 살룸강을 활용한 제염업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5. 종교

이브라이마 니아스 Ibrahim Niass프랑스어가 창시한 냐센파(세네갈 이슬람교 티자니아파의 분파)의 중심지이자 이슬람 교육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카올라크의 메디나 바이 모스크는 세네갈 국내에서 가장 큰 모스크 중 하나이다.

6. 행정 구역

카올라크는 여러 지역으로 나뉘며, 주요 지역과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레우나 (Léonafra): 도시 중심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이곳에는 1910년 알라지 압둘라이 냐스(Allaaji Abdulaay Ñasfra)가 감비아에서 망명 생활을 마치고 돌아와 설립한 티자니 이슬람 교단의 지부 본부인 레우나 냐세엔 (Léona Niassènefra)이 있다. 현재 이 교단 지부는 알라지 압둘라이 냐스의 장남인 마메 칼리파(Mame Khalifa)의 장남이 관리하고 있다.
  • 잘레ñ (Dialègnefra): 레우나 냐세엔과 메디나 엠바바 사이에 위치한다.
  • 메디나 엠바바 (Médina Mbabafra): '메디나 I'이라고도 불린다. 이 지역의 이름은 카올라크 시에 편입될 당시 마을의 세레르족 추장이었던 바바카르 냐이(Babacar Ndiaye), 별명 '엠바바 냐이'(Mbaba Ndiayefra)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 메디나 바아이 (Médina Bayefra): '메디나 II'라고도 불리며, 도시 북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이곳은 알라지 압둘라이 냐스의 아들인 이브라히마 냐스(Ibrayima Ñas)가 1930년에 설립한 티자니 교단의 이브라히미야 분파의 중심지이다. 이브라히마 냐스는 추종자들에게 '바아이'(Bayewol, 월로프어로 '아버지'라는 뜻)로 알려져 있으며, 지역 이름은 아랍어로 '바아이의 도시'를 의미한다.
  • (Samfra): 카올라크 북부, 메디나 바아이의 서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브라히마 냐스에 의해 설립되었다. 삼 지역은 본래 이브라히마 냐스의 제자들이 경작하는 밭과 과수원으로 지정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나무 대신 집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 느도롱 (Ndorongfra): 삼의 서쪽에 위치하며, 바시루 음바케(Bashiru Mbàkke)와 그의 무릿 교단 제자들이 설립했다.
  • 코오포그 (Thiofokefra): 삼의 북쪽에 위치한다. 카올라크가 도시로 발전하기 이전부터 존재했던 세레르족 마을로, 당시에는 겔로와르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

7. 국제 관계

(내용 없음)

7. 1. 자매 도시

카올라크는 다음의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8. 유명 인물


  • 아지 부소 디엥, 컴퓨터 과학자이자 통계학자
  • 자말 티아레, 축구 선수
  • 파피 지로보지, 축구 선수
  • 파파클리 디오프, 축구 선수
  • 무아마두 디아우, 축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major cities in Senegal https://www.citypopu[...]
[2] 서적 Histoire d'Afrique : les enjeux de mémoire https://archive.org/[...] Karthala 1999
[3] 서적 African Urban Spaces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Rochester Press 2005
[4] 서적 Living Knowledge in West African Islam: The Sufi Community of Ibrāhīm Niasse https://books.google[...] BRILL 2015-02-04
[5]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Kaolack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09
[6] 웹사이트 Climate Averages for Kaolack https://www.dwd.de/D[...] DWD 2022-09-07
[7] 웹사이트 National Commission for Decentralised cooperation http://www.cncd.fr/f[...] 2013-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