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통은 제품이 소비자에게 효율적으로 도달하도록 보장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물류, 운송, 채널 관리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다. 기업은 제품 유형, 시장 특성 등을 고려하여 대량, 선택적, 독점 유통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며, 푸시 전략과 풀 전략을 통해 제품을 유통한다. 유통 채널은 생산자에서 소비자에게 상품 소유권을 이전하는 데 필요한 사람, 조직, 활동을 의미하며, 도매업자, 소매업자, 에이전트 등이 참여한다. 유통 채널 관리는 채널 구성원 간의 협력을 증진하고, 채널 갈등을 관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채널 전환, 고객 가치 창출, 탈중개화 등의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대규모 소매업체의 등장과 온라인 판매의 확산으로 유통 경로가 변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역 - 구매력 평가
    구매력 평가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기반하여 국가 간 물가 수준을 비교하고 환율을 계산하는 경제 이론으로, GDP 비교나 환율 예측 등에 활용되지만 여러 한계점도 존재한다.
  • 무역 - 세계 거버넌스
    세계 거버넌스는 세계 정부 없이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식·비공식 제도, 메커니즘, 관계, 과정의 복합체로서, 다양한 행위자들이 상호작용하여 집단적 이익을 추구하고 권리와 의무를 확립하며 갈등을 조정하는 체계이다.
  • 서비스 산업 - 고객 서비스
    고객 서비스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효율적 사용을 지원하는 활동으로, 대면, 온라인, 자동화 시스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며, 고객 충성도 향상과 경쟁 우위 확보에 기여하고 지표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되며 국제 표준을 활용하여 품질을 관리한다.
  • 서비스 산업 - 전용 호스팅 서비스
    전용 호스팅 서비스는 특정 사용자에게 서버 자원을 단독 할당하여 안정적인 성능, 높은 보안 수준, 자유로운 서버 환경 구성 및 관리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초기 설정 및 유지 비용이 높고 서버 운영에 대한 관리 책임과 기술적 요구 사항이 따른다.
  • 유통 - 신격호
    신격호는 롯데그룹의 창업주로서, 일본에서 롯데를 10대 재벌로 성장시킨 후 한국에 롯데제과를 설립하여 그룹을 확장했으나, 경영권 분쟁과 여러 논란에 휘말린 기업인이다.
  • 유통 - 도매
    도매는 소매상, 산업 및 상업 기관, 관공서 등에 상품을 판매하는 상업 활동으로, 보관, 금융, 위험 부담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유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통
마케팅 유통
정의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과정
주요 활동
물류제품의 이동 및 보관
채널 관리유통 경로의 효율적 운영
재고 관리적정 재고 수준 유지
유통 전략
직접 유통제조업체가 직접 고객에게 판매
간접 유통중간 상인을 통해 고객에게 판매
복수 채널 유통여러 유통 채널을 동시에 활용
유통 채널 종류
소매최종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채널
도매소매업자나 다른 도매업자에게 판매하는 채널
온라인 쇼핑몰인터넷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채널
자동 판매기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여 제품을 판매하는 기계
유통 고려 사항
목표 시장제품을 판매할 대상 고객층
제품 특성제품의 종류, 크기, 무게, 보관 조건 등
경쟁 환경경쟁사의 유통 전략 및 시장 점유율
비용유통 채널 운영 비용 및 물류 비용
유통 관련 용어
물류 창고제품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시설
유통 센터여러 제조업체의 제품을 모아 배송하는 시설
콜드 체인신선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온 유통 시스템
참고
관련 항목물류
마케팅 믹스
소매

2. 정의

유통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나 기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이며, 유통업체는 가치 사슬의 유통 단계에 관여하는 기업이다.[2] 유통은 제품이 목표 고객에게 가장 직접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도달하도록 보장하는 데 기본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서비스의 경우 유통은 주로 접근성과 관련이 있다.[2] 유통이라는 개념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실제로 유통 관리는 물류, 운송, 창고 보관, 저장, 재고 관리, 유통 채널 구성원 선정 및 유통업체 보상 등 채널 관리와 같은 다양한 활동과 분야를 포함할 수 있다.[3]

3. 유통 전략

기업은 제품 유형, 시장 특성, 기업의 전략적 목표 등을 고려하여 유통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유통에 대한 결정은 회사의 전반적인 전략적 비전과 사명에 맞춰 이루어져야 하며, 일관된 유통 계획을 개발하는 것은 전략 계획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전략적 수준에서는 직접 배포할지, 유통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할지를 결정하는 것 외에도 대량 배포, 선택적 배포, 독점 배포라는 세 가지 광범위한 배포 접근 방식이 있다.

유통 경로는 다음과 같다.

생산자 (제조업체, 농부, 어부 등) → 1차 도매업자·중개인 (대도매상이라고도 함) → 2차 도매업자 → 소매업자 → 소비자


  • 도매업자는 1차만 있는 경우도 있다.
  • 수입 상품의 경우, 외국의 생산자가 있는 국가에서 정식 독점 판매권을 부여하여 편의를 도모하는 경우가 많으며, 판매권을 부여받은 판매업자를 "(총)대리점"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 1980년대 이후, 체인 스토어처럼 대규모화·전국화되는 소매업자가 늘어나면서, 제조업체로부터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많다.
  • 제조 소매업 (SPA) 소매업자가 주체가 되어 상품 기획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탁 생산한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도 등장하고 있다 (예: 유니클로, GAP 등).
  •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금까지는 채소 등 극히 소규모에 한정되었던 생산자에 의한 소비자에게의 직접 판매도, 품목에 따라서는 대규모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예: PC 등).

3. 1. 유통 방식

집중 유통 방식에서 마케터는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광범위한 시장에 접근하기 위해 체인점에 의존한다.


전략적으로 유통에는 세 가지 방식이 있다.[4]

  • '''대량 유통''' ('''집중 유통'''이라고도 함): 제품이 대량 시장을 대상으로 할 때, 마케터는 광범위한 시장 기반에 어필하는 중개인을 찾는다. 예를 들어 스낵 식품과 음료는 슈퍼마켓, 편의점, 자동판매기, 카페테리아 등을 포함한 다양한 판매점을 통해 판매된다. 유통 판매점 선택은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대량 시장에 전달할 수 있는 곳으로 기울어진다.
  • '''선택적 유통''': 제조업체는 제품을 취급하는 판매점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급 전기 제품 제조업체는 제품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부가 가치 서비스 수준을 제공할 수 있는 백화점 및 독립 판매점을 선택할 수 있다. Dr. Scholl's의 정형 샌들은 약국을 통해서만 판매되는데, 이는 이러한 유형의 중개인이 제품의 원하는 ''치료''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에스티 로더, Jurlique, Clinique와 같은 일부 명품 화장품 및 스킨케어 브랜드는 판매 직원들이 제품을 사용하는 방법을 훈련받도록 요구한다. 제조업체는 훈련된 임상의만 제품을 판매하도록 허용한다.
  • '''독점 유통''': 독점 유통 방식에서 제조업체는 하나의 중개인 또는 하나의 유형의 중개인과 거래하기로 선택한다. 독점 방식의 장점은 제조업체가 유통 프로세스를 더 잘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독점 계약에서 유통업체는 제조업체와 긴밀히 협력하고 서비스 수준, 애프터 서비스 또는 고객 지원 서비스를 통해 제품에 가치를 더할 것으로 예상된다. 독점 계약의 또 다른 정의는 공급업체와 소매업체 간의 계약으로, 특정 지리적 지역 내에서 공급업체의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소매업체에 부여한다.[5]


'''유통에 대한 전략적 접근 방식 요약'''

접근 방식정의
집중 유통생산자의 제품은 대부분의 판매점에 비치된다.[6] 이 전략은 기본 공급품, 스낵 식품, 잡지, 청량 음료와 같은 대량 생산 제품에 일반적이다.[7]
선택적 유통생산자는 제품을 운반하기 위해 소수의 중개인에게 의존한다.[6] 이 전략은 전문 딜러를 통해 운반되는 보다 전문화된 상품(예: 공예 도구 브랜드 또는 대형 가전 제품)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된다.
독점 유통생산자는 매우 소수의 중개인만 선택한다.[6] 독점 유통은 판매자가 단일 소매업체에 제조업체의 제품을 판매할 권리를 허용하는 데 동의하는 경우 발생한다. 이 전략은 구찌와 같은 명품 소매업체에서 전형적이다.


3. 2. 푸시 전략과 풀 전략

소비자 시장에서 또 다른 핵심 전략적 결정은 푸시 전략을 사용할지 풀 전략을 사용할지 여부이다. ''푸시 전략''은 마케터가 유통업자, 특히 소매업자와 도매업자를 대상으로 집중적인 광고와 인센티브를 사용하여 제품이나 브랜드를 비축하게 하고, 소비자들이 매장에서 제품을 보면 구매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하는 전략이다.[8] 반대로, ''풀 전략''은 마케터가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홍보하여 소비자들이 소매업체에 해당 제품이나 브랜드를 비축하도록 압력을 가하게 하고, 이를 통해 유통 채널을 통해 제품을 끌어당기는 전략이다.[8] 푸시 전략 또는 풀 전략의 선택은 광고 및 판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푸시 전략에서 판촉 믹스는 거래 광고 및 영업 호출로 구성되며, 광고 매체는 일반적으로 무역 잡지, 전시회 및 무역 박람회에 비중을 두는 반면, 풀 전략은 소비자 광고 및 판매 판촉을 더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미디어 믹스는 신문, 잡지, 텔레비전 및 라디오와 같은 대중 시장 매체에 비중을 둔다.[9]

4. 유통 채널

유통 채널은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상품 소유권을 이전하는 데 필요한 사람, 조직, 활동을 의미한다.[2] 이는 상품이 최종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방식이며, 주로 상인, 소매업자, 도매업자, 또는 국제적인 맥락에서 수입업자를 통해 수행된다. 특정 시장에서는 에이전트나 중개인이 참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럽 연합보험 부문에서는 보험 및 재보험 중개인이 상품 유통의 중심 역할을 한다.[10][11]

유통은 제품이 가장 직접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대상 고객에게 도달하도록 보장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서비스의 경우 유통은 주로 접근성과 관련된다.[3] 유통이라는 개념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실제로 유통 관리는 물류, 운송, 창고 보관, 저장, 재고 관리뿐만 아니라 유통 채널 구성원 선정 및 유통업체 보상 등 채널 관리와 같은 다양한 활동과 분야를 포함할 수 있다.

마케팅 채널은 상품의 소유권을 생산 지점에서 소비 지점으로 이전하는 데 필요한 사람, 조직 및 활동이다.

4. 1. 유통 채널 구성원

유통 채널은 생산된 상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거치는 경로를 의미하며, 다양한 중개인이 참여한다. 주요 중개인은 다음과 같다.

  • '''도매업자''': 주로 소매업자나 다른 사업체에게 상품을 대량으로 판매하는 중개인이다. 이들은 일반 소비자와 직접 거래하지 않으며, 기업 간 거래(B2B)를 한다.[12] 예를 들어, 하이커우 신항의 도매 생선 시장과 같은 곳에서 도매업자를 볼 수 있다.

중국 하이커우 신항의 도매 생선 시장

  • '''소매업자''': 일반 대중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중개인으로, 대형 마트부터 작은 독립 상점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이들의 거래는 기업과 고객 간 거래(B2C)이다.
  • '''에이전트''': 상품의 소유권을 가지지 않고,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중개인이다. 이들은 주로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얻는다. 예를 들어, 여행사는 항공권이나 호텔 예약 시 일정 수수료를 받는다.[13]
  • '''잡보(Jobber)''': 소규모로 운영되며, 주로 소매업자나 기관에 상품을 공급하는 특별한 형태의 도매업자이다. 예를 들어, 랙 잡보는 트럭을 이용하여 편의점에 간식과 음료를 공급한다.[13]


상품이 생산자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일반적인 경로는 다음과 같다.

생산자(제조업체, 농부, 어부 등) → 1차 도매업자·중개인(대도매상) → 2차 도매업자 → 소매업자 → 소비자

  • 도매업자는 1차만 있는 경우도 있다.
  • 1980년대 이후, 체인 스토어와 같이 대규모 소매업자들이 늘어나면서, 제조업체로부터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 제조 소매업(SPA) 소매업자가 직접 상품을 기획하고 위탁 생산하여 판매하는 방식도 등장했다. (예: 유니클로, GAP).
  • 정보기술의 발달로, PC와 같이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4. 2. 채널 설계

기업은 고객에게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채널을 설계할 수 있다. 채널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중개인 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6] 중개인이 없는 경우, 이를 ''0단계'' 유통 시스템 또는 직접 마케팅이라고 한다. ''1단계'' (또는 ''1티어'') 채널은 단일 중개인을 갖는다. ''2단계'' (또는 ''2티어'') 채널은 두 명의 중개인을 가지며, 그 외에도 더 많은 중개인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에서 소매업체, 소비자 순으로 유통되지만, 다른 유형의 중개인이 포함될 수도 있다. 부패하기 쉬운 상품의 유통 시스템은 제품이 운송 또는 보관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야 하기 때문에 직접 또는 단일 중개인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4. 3. 채널 혼합 (Channel Mix)

많은 기업이 다양한 채널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직접 판매 인력은 대규모 고객에게 연락하고, 다른 대리인은 소규모 고객과 잠재 고객을 담당한다. 단일 조직이 여러 채널을 통해 시장에 도달하는 것을 ''멀티 채널'' 유통 네트워크라고 한다. 온라인 소매 또는 전자 상거래는 탈중개화, 즉 공급망에서 중개인을 제거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한 소매도 성장하는 분야이다.

5. 유통 채널 관리

기업은 유통 채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채널 구성원 간의 협력을 증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의 마케팅 부서는 제품에 가장 적합한 유통 채널을 설계하고, 적절한 중개인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중개인 직원을 교육하고, 이들이 회사의 제품을 잘 판매하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기업은 채널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필요에 따라 채널을 수정하여 성과를 향상시켜야 한다.[6]

5. 1. 채널 구성원 동기 부여

기업은 중개인에게 더 높은 마진을 제공하거나, 특별 거래, 광고 또는 전시를 위한 프리미엄 및 할인을 제공하는 등 긍정적인 조치를 사용하여 중개인을 동기 부여할 수 있다.[6] 반면에 마진 삭감 위협이나 제품 배송 보류와 같은 부정적인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조치는 규정에 위반될 수 있고, 대중의 반발과 홍보 재앙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제조업체의 안일함은 유통업체가 사업을 다른 공급 라인으로 옮기게 하는 위험으로 강조되었다.[14]

5. 2. 채널 갈등

채널 갈등은 한 중개인의 행동이 다른 중개인의 목표 달성을 방해할 때 발생한다.[6] 채널 갈등에는 수직적 채널 갈등과 수평적 채널 갈등이 있는데, 수직적 채널 갈등은 채널 내의 단계 사이에서 발생하며, 수평적 채널 갈등은 채널 내 동일 단계의 중개업체 사이에서 발생한다. 채널 갈등은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강력한 채널 구성원이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채널의 이익을 조정할 위험이 있다.[15] 유통 구역은 종종 갈등의 원인으로 여겨지는데, 때로는 경계가 느슨하게 정의되어 있기 때문이다.[14]

6. 유통의 발전과 트렌드

유통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나 기업에게 제공하는 과정이며, 유통업체는 가치 사슬의 유통 단계에 관여하는 기업이다. 유통은 생산자나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할 수도 있고, 유통업자나 중개인을 통한 간접적인 채널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유통(또는 장소)은 마케팅 믹스의 네 가지 요소 중 하나이며, 나머지 세 가지 요소는 제품, 가격 책정 및 판촉이다.

유통에 대한 결정은 회사의 전반적인 전략적 비전과 사명에 맞춰 이루어져야 한다. 일관된 유통 계획을 개발하는 것은 전략 계획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전략적 수준에서 직접 배포할지 아니면 유통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할지를 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량 배포, 선택적 배포, 독점 배포라는 세 가지 광범위한 배포 접근 방식이 있다. 선택되는 중개자의 수와 유형은 주로 전략적 접근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전체 유통 채널은 소비자에게 가치를 더해야 한다.

일반적인 유통 경로는 다음과 같다.

생산자(제조업체, 농부, 어부 등) → 1차 도매업자·중개인 (대도매상이라고도 함) → 2차 도매업자 → 소매업자 → 소비자


  • 도매업자는 1차만 있는 경우도 있다.
  • 수입 상품의 경우, 외국의 생산자가 있는 국가에서 정식 독점 판매권을 부여하여 편의를 도모하는 경우가 많으며, 판매권을 부여받은 판매업자를 "(총)대리점"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 1980년대 이후, 체인 스토어처럼 대규모화·전국화되는 소매업자가 늘어나면서, 제조업체로부터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많아졌다.
  • 제조 소매업(SPA) 소매업자가 주체가 되어 상품 기획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탁 생산한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도 등장하고 있다. (예: 유니클로, GAP 등).
  •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금까지는 채소 등 극히 소규모에 한정되었던 생산자에 의한 소비자에게의 직접 판매도, 품목에 따라서는 대규모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예: PC 등).

6. 1. 유통업체 개발

존스 맨빌은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전 몇 년 동안, 유통업체가 주택 개발업체와 성공적으로 관계를 맺으려면 다양한 실무 분야에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를 위해 자재 공급업체인 유통업체, 설계 서비스, 하청업체, 지역 부동산 중개인 및 주택 금융업체를 한데 모으는 "주택 길드"를 설립했다.[16] 로렌스 C. 하트는 이 길드의 광범위한 개발과 이들이 운영하는 "훈련 학교"에 대해 언급하며, 1942년부터 이를 라디오 기반 프로그램으로 전환했다고 한다. 공급업체에서 근무했던 하트는 이 경험을 미국 마케팅 협회에 "산업 전반에 걸친 제조업체-유통업체 협력의 뛰어난 예시"로 제시했다.[16]

6. 2. 채널 전환 (Channel Switching)

소비자가 구매를 위해 한 유형의 채널에서 다른 유형의 채널로 전환하는 행위를 채널 전환이라고 한다. (TV에서 채널 변경과는 다르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 쇼핑으로, 식료품점에서 편의점으로, 또는 백화점에서 할인 매장으로 전환하는 것이다.[18]

채널 전환 행동이 증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슈퍼마켓에서 의약품 판매를 금지하는 법률이 완화되면서, 소비자들이 약국에서 슈퍼마켓으로 점차 전환하여 가벼운 진통제, 감기약, 비타민 등을 구매하게 되었다.[19]

호주의 오피스워크스(Officeworks)와 같은 "카테고리 킬러"의 등장은 채널 전환 행동 증가에 기여했다.


채널 전환은 소비자에게 더 다양한 쇼핑 경험을 제공하지만, 일부 판매자에게는 시장 점유율 감소의 우려를 야기한다. 채널 전환의 증가는 소비자 행동의 근본적인 변화를 시사한다. 소비자는 더 저렴한 가격, 더 우수한 모델, 더 넓은 상품 범위, 또는 더 편리한 쇼핑 방식(예: 온라인 또는 원스톱 쇼핑)을 찾아 채널을 전환한다.[20]

이러한 채널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소매업체는 여러 채널을 동시에 활용하는 멀티 채널 소매 전략을 사용한다.[21]

6. 3. 고객 가치 (Customer Value)

서비스 지배 논리 관점이 부상하면서, 유통 네트워크가 어떻게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지, 그리고 고객 자신을 포함한 유통망 내 모든 주체가 어떻게 가치를 공동 창출하는지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22] 이처럼 가치 창출을 강조하면서 유통 과정과 관련된 용어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유통 네트워크"는 종종 ''가치 사슬''로 불리고, "유통 센터"는 종종 ''고객 만족 센터''로 불린다. 예를 들어, 온라인 직접 유통과 오프라인 매장을 모두 활용하는 소매 거대 기업 아마존은 이제 자사의 유통 센터를 "고객 만족 센터"라고 부른다.[23] "고객 만족 센터"라는 용어는 신조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마케팅 입문 교과서에 서서히 등장하면서 그 사용이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24]

6. 4. 탈중개화 (Disintermediation)

생산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중간 유통업체를 제거하고 소비자와 직접 거래하는 현상을 탈중개화(Disintermediation)라고 한다. 이는 유통망에서 중간 유통업체를 없애고 구매자와 직접 거래하는 것을 의미한다.[25] 탈중개화는 근본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채널 중개인이 전통적인 유통업체를 대체하는 산업에서 주로 나타난다. 특히 온라인 쇼핑의 확산은 일부 산업에서 탈중개화의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 특정 유형의 전통적인 중개인이 사라지고 있다.[25]

전통적인 유통 경로는 다음과 같다.

생산자(제조업체, 농부, 어부 등) → 1차 도매업자·중개인 (대도매상이라고도 함) → 2차 도매업자 → 소매업자 → 소비자

  • 도매업자는 1차만 있는 경우도 있다.
  • 1980년대 이후, 체인 스토어처럼 대규모화·전국화되는 소매업자가 늘어나면서, 제조업체로부터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많아졌다.
  • 제조 소매업(SPA) 소매업자가 주체가 되어 상품 기획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탁 생산한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도 등장하고 있다. (예: 유니클로, GAP 등).
  •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금까지는 채소 등 극히 소규모에 한정되었던 생산자에 의한 소비자에게의 직접 판매도, 품목에 따라서는 대규모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예: PC 등).

7. 한국의 유통 경로

일반적인 상품 유통 경로는 다음과 같다.[1]

생산자(제조업체, 농부, 어부 등) → 1차 도매업자·중개인 (대도매상이라고도 함) → 2차 도매업자 → 소매업자 → 소비자


  • 도매업자는 1차만 있는 경우도 있다.
  • 1980년대 이후, 체인 스토어처럼 대규모화·전국화되는 소매업자가 늘어나면서, 제조업체로부터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많다.[1]
  • 제조 소매업(SPA) 소매업자가 주체가 되어 상품 기획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탁 생산한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도 등장하고 있다. (예: 유니클로, GAP 등)[1]
  •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금까지는 채소 등 극히 소규모에 한정되었던 생산자에 의한 소비자에게의 직접 판매도, 품목에 따라서는 대규모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예: PC 등)[1]


더불어민주당은 전통 시장과 골목 상권을 보호하고 대기업과 중소 유통업체 간의 상생을 강조하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진보 진영은 온라인 플랫폼의 독과점 문제와 플랫폼 노동자의 권익 보호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고 있다.

8. 관련 학술 단체

일본의 학술 단체로는, 일본상업학회가 1951년 4월 21일 게이오기주쿠 대학 교수 무카이 시카마츠를 초대 회장으로 설립되었다.[26]

참조

[1] 웹사이트 Report details surge in a warehouse construction as residents fight sprawl https://www.njspotli[...] NJ Spotlight News 2021-05-13
[2] 서적 Distribution Channels: Understanding and Managing Channels to Market Kogan Page 2011
[3]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Pearson 2014
[4] 서적 Marketing: Origins, Concepts, Environment Thomson Learning 1999
[5] 웹사이트 exclusive-distribution http://www.businessd[...] Business Dictionary
[6] 서적 Marketing Management Pearson Education Australia 2009
[7] 뉴스 Intensive Distribution: Definition, Strategy & Examples http://inevitableste[...] Inevitable Steps 2015-06-26
[8] 서적 The Practice of Supply Chain Management Springer 2003
[9] 서적 Marketing Communication: A Critical Introduction Routledge 2002
[10] 웹사이트 Insurance Distribution Directive https://www.fca.org.[...] Financial Conduct Authority 2018-12-04
[11] 웹사이트 Directive (EU) 2016/97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0 January 2016 on insurance distribution (recast) https://eur-lex.euro[...] EUR-Lex
[12] 웹사이트 wholesaler, noun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Dictionary
[13] 웹사이트 jobber, noun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Dictionary
[14] 웹사이트 Managing Distributors in B2B Marketing https://www.b2binter[...] B2B International
[15] 웹사이트 Marketing Ethics http://ndpr.nd.edu/n[...] University of Notre Dame Philosophical Reviews 2009-05-24
[16] 간행물 Essentials of Successful Marketing: A Case History in Manufacturer-Distributor Collaboration https://www.jstor.or[...] Journal of Marketing 1948-10-01
[17] 웹사이트 Opportunities in South East Asia - an overview https://www.investni[...] Invest Northern Ireland 2017-11-21
[18] 웹사이트 Explaining Consumers' Channel-Switching Behavior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ttps://mospace.umsy[...]
[19] 웹사이트 How Vital are Vitamins: Research Finding No. 5503, Media Release http://roymorgan.com[...] Roy Morgan Research 2014-03-14
[20] 간행물 A Consumer Model for Channel Switching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and Distribution Management
[21] 간행물 Multichannel retailing: A case study of early experience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2009-03-01
[22] 간행물 Striving for Integrated Value Chain Management Given a Service-dominant Logic for Marketing; Supply Chain Networks and Service-dominant Logic: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Co-creating Logistics Value: A Service-Dominant Logic Perspective ME Sharpe;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 Logistics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2006; 2010
[23] 뉴스 Amazon is Coming to Australia, and if these Projections are Correct, it's Arrival is Going to be Massive; Amaz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its Plans for Australia News.com; Huffington Post 2017-04-29; 2017-08-22
[24]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Pearson 2014
[25]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Pearson 2014
[26] 웹사이트 学会HP http://jsmd.jp/ 日本商業学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