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친 독립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친 독립군은 미얀마의 카친족이 결성한 무장 단체로, 1960년 카친 독립 기구(KIO)를 시작으로 독립적인 카친 공화국 수립을 목표로 활동해왔다. 1949년 버마군에 반기를 든 노센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정부와 갈등을 겪었으며, 1961년 카친 독립군(KIA)이 결성되었다. 네 윈 정권 시기에는 평화 회담이 결렬된 후 무력 투쟁을 지속했고, 1988년 SLORC 정권 시기에는 휴전을 맺었으나 2011년 미치손 댐 건설 문제로 휴전이 깨졌다. 2021년 미얀마 쿠데타 이후 활동을 강화하여 군부와 대립하고 있으며, 현재 12개 여단과 51개 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반군 - 아라칸군
아라칸군은 라카인족을 기반으로 2009년 창설되어 라카인주의 자치권 획득을 목표로 미얀마군과 충돌하는 미얀마의 무장 단체이며, 2024년 "아라카군"으로 명칭을 변경했지만 로힝야족 인권 문제로 논란이 있다. - 미얀마의 반군 - 삼형제 동맹
2019년 아라칸군 주도로 결성된 삼형제 동맹은 아라칸군, 미얀마 민족 민주 동맹군, 타앙 민족 해방군으로 구성된 미얀마 민족 무장 단체 연합으로, 미얀마 군부에 대항하며 2023년 1027 작전을 통해 주목받았다. - 미얀마의 준군사조직 - 아라칸군
아라칸군은 라카인족을 기반으로 2009년 창설되어 라카인주의 자치권 획득을 목표로 미얀마군과 충돌하는 미얀마의 무장 단체이며, 2024년 "아라카군"으로 명칭을 변경했지만 로힝야족 인권 문제로 논란이 있다. - 미얀마의 준군사조직 - 미얀마 민족민주동맹군
미얀마 민족민주동맹군은 1989년 펑자성이 결성한 샨주 제1특별구를 기반으로 하는 미얀마의 무장 단체로, 정부와의 갈등, 북부 동맹 활동, 쿠데타 이후 군사 활동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나 인권 침해 문제와 NUG와 거리두기 행보를 보이기도 한다.
카친 독립군 | |
---|---|
개요 | |
![]() | |
활동 시작 | 1961년 2월 5일 |
이념 | 카친족 민족주의 연방주의 |
지도자 | 엔반 라 장군 탕 감 숀 중장 |
본부 | 라이자 (2005년부터) 파자우 (이전) |
활동 지역 | 미얀마 카친주, 만달레이구, 사The_Diplomat-mcdonald_20170912-29.jpg가잉구, 샨주 중국 윈난성 인도 북동부 중국-미얀마 국경 인도-미얀마 국경 |
병력 규모 | 20,000명 |
소속 | 카친 독립 기구 |
연합 세력 | |
동맹 | 북부 동맹 아라칸군 미얀마 민족 민주 동맹군 타앙 민족 해방군 |
기타 동맹 | 전 버마 학생 민주 전선 친 민족군 버마 공산당 카렌 민족 해방군 쿠키 민족군 국민 해방군 국민방위군 |
적대 세력 | |
국가 적대 세력 | 미얀마 미얀마군 |
비국가 적대 세력 | 카친 신민주군 샨니 민족군 |
분쟁 | |
관련 분쟁 | 미얀마 내전 카친 분쟁 미얀마 내전 (2021년~현재) 1027 작전 0307 작전 |
2. 역사
1949년, 독립한 지 얼마 안 된 미얀마 연방에서 제1 카친 라이플 대대(1st Kachin Rifles)의 지휘관 노센(Naw Seng)은 같은 기독교도인 Karen National Defence Organisation|카렌 민족 방위 기구영어의 전투원에게 총을 겨누는 것을 옳지 않게 여겨 버마군에 반기를 들었다. 하지만 수장층을 중심으로 많은 카친족은 이를 지지하지 않았고, 노센 등이 이끄는 퐁용 민족 방위군(Pawngyawng National Defense Force: PNDF)은 1950년 4월 중국 윈난성으로 망명해야 했다. 노센의 지시를 받던 병사로, 훗날 카친 독립군을 조직하게 되는 조센(Zaw Seng)은 버마에 남아 KNDO에 가입했다.
노센의 반란 이후 카친족의 반란 기운은 잠시 잦아들었지만, 중앙 정부가 변방 지역을 경시하면서 1950년대 후반에 다시 갈등이 표면화되기 시작했다. 1957년, 조센의 동생 조투(Zaw Tu)를 비롯한 University of Yangon|양곤 대학교|label=양곤 대학교영어 학생 7명은 사니트 마잔(Sanit Majan|징포어|징포어kac로 '7개의 별')이라는 집단을 결성했다. 이들은 카친족의 민족 자결을 위해서는 정부와의 무력 투쟁도 피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그 준비를 위해 조센에게 의지했다.
1960년 중국-미얀마 국경이 확정되어 카친족 마을 일부가 중국 영토가 된 것과 같은 해 4월 우 누 총리가 불교 국교화를 공약으로 내건 것 등은 카친 민중의 분노를 샀다. 그리하여 1960년 10월 25일 카친 독립 기구(KIO)[38], 1961년 2월 5일 카친 독립군(KIA)이 설립되었다. 2월 7일, 조투 등은 라쇼의 정부 은행을 습격하여 90,000 차트를 탈취, KIA의 무력 투쟁이 시작되었다.
1962년 미얀마 쿠데타로 네 윈 정권이 들어서면서, KIA를 포함한 여러 반정부 세력의 활동이 활발해졌다.[10] 1963년 8월, 네 윈 정권은 KIA와 정전 협상을 시도했지만, KIA가 카친 독립 국가 인정을 요구하면서 협상은 결렬되었다.[26]
1965년, 조 센은 태국 국경의 타무고프에서 중국 국민당(태국-미얀마 고립군) 리원환과 연락하여 아편과 옥을 거래하고, 국민당 장교들이 KIA 전투원을 훈련하도록 했다.[10] 1966년까지 KIA는 미치나, 후콩 계곡, 나가 언덕, 옥 생산지 카마잉 등을 장악했고, 군부는 '사단 전술(four cuts)'이라는 초토화 작전으로 대응했다.[10]
미얀마 공산당(CPB)을 통해 정권을 잡으려는 중국은[10] KIA를 비롯한 비공산주의 반정부 세력에게도 지원을 제안했다.[10] 1967년 미얀마 반중 폭동으로 중국-미얀마 관계가 악화되자, 이 지원은 공개적으로 이루어졌다.[10] 1967년 11월, KIA는 무기와 탄약 공급을 대가로 중국과 협력하기로 합의했다.[10] 그러나 1968년 초, KIA 대표가 아직 중국에 있는 동안, 노 센이 이끄는 CPB는 중국 지원을 받아 몽코를 침공했다. KIA와 CPB는 격렬한 전투를 벌였고,[10] 같은 해 4월 칸파이티(치프위-로콘)의 KIA 사령관 팅잉과 젤름이 CPB 측으로 넘어갔다.(→카친 신민주군)[10] 그곳 KIA 전투원 대부분은 라치 또는 롱워였고, 징포족이 주류인 KIO 간부들과는 달랐다. 미얀마 군은 푸타오에 라완 병사를 배치하여 카친족을 분열시키려 했다.[10] 1971년 3월, 노 센은 몽마오에서 의문사했는데, 많은 카친족은 KIA와의 전투를 거부했기 때문에 살해당했다고 믿는다.[10] KIO는 1972년 공식적으로 세계 반공 연맹에 가입했고,[10] 같은 해 6월 국군과 3개월간 정전하기도 했다.[26]
국군과 CPB 양쪽을 상대하는 것은 KIA에게 큰 부담이었다. 전선 병사들이 피폐해지는 동안, 조 센 등은 국민당과의 교역에 더 관심을 가졌다. 1975년 8월, 조 센 의장, 조 투 부의장, 푼슈위 조 센 서기장 3명은 타무고프 근처에서 센 투 중위 등에게 살해당했다. 이들은 조직 자금을 횡령하여 방콕 은행 계좌에 예금해 둔 것이 이유였다.[10] 센 투는 즉시 처형되었다.[10] KIA는 이 사실을 숨기려 했으나 실패했고, 1976년 1월 파자우에서 새 집행부를 결정하기 위한 회의가 열렸다. 한 달 후, 마란 브랑 센 의장을 중심으로 한 새 집행부가 선출되어 KIA의 활동은 계속되었다.[10] 회의 중이던 1월 23일, 카친 주를 방문한 일본 유골 수집단을 KIA 전투원이 총격하여 호위병과 전투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호위병 7명, 일본인 2명, 통역 1명이 부상당했다.[27]
1976년 5월, CPB의 미얀마 정권 장악을 우려한 태국 정부의 도움으로 카렌 민족 연합(KNU)을 중심으로 10개 세력이 민족 민주 전선(NDF)으로 연대했다.[10] 그러나 같은 해 7월, 중국 중재로 KIA와 CPB는 동맹 관계가 되었다.[10] 중국으로부터 무기 공급도 받아 KIA는 4000km2에 달하는 영역을 지배하게 되었다.[10] 공산당과의 관계가 가까워지면서 KIA는 NDF와 멀어졌고, 타무고프 연락소도 폐쇄했다.[10] 1980년 8월 다시 정권과의 정전 협상이 있었지만, KIA가 요구한 카친 자치권 승인을 정부가 거부하여 결렬되었다.[10] KIA와 CPB는 1981년 정전 실패 원인이 네 윈 정권의 강경 자세에 있다고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로이렘 산에 합동 정치·사관 학교를 설립했다.[10] 1982년 KIA는 NDF에 복귀했고, 1986년 CPB와 NDF 합동 작전이 이루어졌다.[10] KNU 보 미야가 이를 비난하면서 NDF는 분열이 심화되었다.[10] 1987년, 브랑 센이 마나프로우 회의에 참석한 틈을 타 군부는 KIO·KIA 당시 본거지인 파자우 및 나포(미얀마)를 함락시켰다.[10]
8888 항쟁 탄압 이후 등장한 국가 질서 회복 평의회(SLORC) 정권은 경제 제재 등으로 재정난을 겪자 천연자원 채취권을 판매하여 이를 해결하려 했다. SLORC 정책은 어느 정도 성공했지만, 미얀마 공산당(CPB)은 중국 원조 감소와 개혁개방 정책으로 무역 독점권을 상실하며 경제 위기를 맞았다. CPB는 아편에 의존하게 되었고, 조직 내 부패도 심각해졌다. 1989년, 중국 정부가 CPB 고위 간부들에게 은퇴와 망명을 권고하자, 미얀마계 간부 지휘를 받던 코칸족, 와족 등 소수 민족 하사관들이 봉기하면서 CPB는 붕괴되었다.
이 사건은 CPB와 긴밀한 관계였던 KIA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1990년, KIA 제4여단 마투 노(Mahtu Naw)가 카친 방위군(KDA)으로 분리되어 군부와 평화 협정을 맺었다. 비록 마투 노 군대는 소규모였지만, 자체 세력 분열은 KIA에게 큰 충격이었다. 1992년 6월 5일, KIA는 인도 경유 보급로 확보를 위해 India–Myanmar border영어의 ပန်ဆောင်မြို့my와 Nanyun영어을 기습 공격했으나, 다음 날 공습으로 양측 진지 모두 군부에게 빼앗겼다. 1993년 4월, KIA 대표는 미치나에서 휴전 협상에 응했고, 1994년 2월 24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휴전 이후 KIA와 국군은 표면적으로 우호 관계를 유지했다. 민주파 세력 국민민주연맹(NLD)이 도중에 이탈한 2008년 헌법 제정 회의에도 KIA는 끝까지 참여했다. Thant Myint-U영어에 따르면, KIA 의장은 사이클론 나르기스 발생 다음 날 열린 2008 Myanmar constitutional referendum영어에서 라이자(Laiza)에서 가장 먼저 찬성표를 던졌다고 한다. 헌법 개정 이후, 정부는 헌법 338조("연방의 모든 군대는 국군의 지휘를 받는다")에 근거, KIA를 포함한 반정부 세력을 군 산하 국경 경비대(BGF)로 편입시키려 했다.[28] 2010년 9월, KIO는 이를 거부하면서 양측 관계는 악화되었다. 군부는 여러 무장 세력과의 과거 휴전 협정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선언하고, 카친 주에 설치했던 KIA 연락 사무소를 폐쇄했다.[28][29]
군사 정권이 카친 주에 추진한 미솟 댐 건설은 양측 관계에 또 다른 갈등을 야기했다. 에야와디강 수원지 미쏜(Mali River영어과 N'Mai River영어 합류점)에 대규모 댐을 건설하는 이 중·미얀마 합작 사업에 대해, KIA는 미쏜 지역의 민족적 상징성, 지역 주민과의 불충분한 소통, 중국 정부 지원을 받는 미얀마 정부의 카친 주 지배력 강화 등을 이유로 반대했다.[30][31] 이런 상황에서 2010년 미얀마 총선거에서는 카친족 정당 및 독립 후보들의 입후보가 금지되었다.[32]
KIA는 무장 해제나 항복을 하지 않고 병력을 계속 모집, 훈련, 동원했다.[11] 휴전 이전 KIA는 주로 게릴라 부대였지만, 평화는 사관학교 설립과 장교 훈련 프로그램 설계 기회를 제공했다.[11] 미얀마군(Tatmadaw)은 KIA와 협력하여 KIO 통제 하 자원 부국을 활용, 옥, 티크, 고무 등 자원 접근 및 보안 대가로 제한적 인정을 제공했다.[12]
휴전이 유지되었지만, 2009년 많은 카친족은 2010년 예정된 선거와 함께 분쟁이 재발할 것으로 예상했다. 군사 정부는 미얀마에 하나의 군대만 있어야 한다는 헌법에 따라 모든 민족 군대 무장을 해제할 것을 요구했다. KIA 참모총장 Gam Shawng Gunhtang 장군에 따르면, 무장 해제 요구는 "수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13] 2010년 2월, Shawng은 "전쟁이 확실히 일어날지 말할 수는 없지만, 정부는 이번 달 말까지 우리가 그들을 위한 국경 경비대가 되기를 원합니다... 우리는 연방 연합에 우리 자리를 마련하고 1947년 팡롱 협정에서 합의된 민족 권리를 부여할 때까지 그렇게 하거나 무장 해제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1]
2011년, 쑨루 굼 모 장군은 전투 재개를 확인했다.[13][14] 휴전 파기 이유 중 하나는 미치손 댐 건설로 카친 주 내 수십 개 마을이 물에 잠기게 되었기 때문이다.[15] 카친 분쟁으로 휴전이 깨진 후 약 10만 명이 삶의 터전을 잃었고[16] 수백 명이 사망했다.[17]
국경경비대(BGF) 편입을 둘러싼 문제로 양측 관계는 이미 매우 험악했지만,[31] 양측 충돌의 직접적 계기는 밋손 댐 문제였다. 2011년 6월 9일, 미얀마군은 Dapein River|다파인 강영어 유역 댐 건설 예정지(밋손 댐과는 다름)에 포진한 KIA를 공격, 17년간 지속된 휴전이 붕괴되었다.[32][33] 테인 세인 신임 대통령은 9월 30일 밋손 댐 계획 동결을 발표했지만, 카친에서의 양 세력 분쟁은 계속되었다.
테인 세인 정권은 KIA를 포함한 여러 세력과 포괄적 휴전 협정을 맺기 위해 노력했다. 이에 대한 협상 상대는 2012년 2월 설립되었으며, KIO/KIA도 가맹한 통일민족연방평의회(UNFC)였다. 정부는 2013년 1월 KIA에 대해 일방적 휴전 선언을 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34] 2013년 10월 30일부터 11월 2일까지 KIA 본거지 라이자에서 UNFC 참가 조직을 포함한 16개 조직이 평화를 위한 회의를 개최했다. 정부도 이를 환영하며, 참가자들의 라이자까지 이동 안전을 확보했다.
2013년 12월 20일, 수천 명 시위대가 미치나에 모여 KIA가 소수 민족 샨족을 강제 징집하는 것에 항의했다. 보도에 따르면 KIA는 2013년 말 만시 타운십에서 약 100명 따이렝 반군을 징집했다.[18][19]
2015년 10월 15일 전국휴전합의(NCA)가 서명되었지만, KIO는 이에 서명하지 않아 UNFC 행보는 일치되지 않았다. 2016년 11월 20일, 일부 여단이 타앙 민족 해방군, 미얀마 민족 민주 동맹군, 아라칸군과 함께 북부 동맹을 결성했다.
2021년 미얀마 쿠데타 이후, 카친 독립군은 활동을 강화하여 10개 미얀마 군사 기지를 점령했다.[20][21] KIA는 처음에는 2021년 미얀마 쿠데타를 관망하고, 평화적 항의에 대한 군 폭력 행사에 우려를 표명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정도였다. 그러나 몇 달 후, KIA는 민주화 세력과 가장 적극적 연대를 맺는 무장 조직 중 하나가 되었으며,[34][35] 2019년 13회, 2020년 7회였던 군부와의 충돌 횟수는 2021년 138회까지 증가했다.[36] 2022년 10월 23일, 미얀마군이 KIO 창립 62주년 행사 회장을 폭격한 파칸 공습이 발생했다.[37]
2. 1. 기원 (1948-1961)
1949년, 카친족 출신 나 센은 카친 대대 1의 대위였다. 그는 카렌-바마 폭동 당시 지하로 숨어 카렌 민족 방위 기구(KNDO)에 합류했다.[38] 1950년에는 샨 주 북부에서 KNDO 요원으로 활동했다. 당시 자우 센은 라쇼에 있는 정부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었는데, 나 센과 연락하여 그를 따라 지하로 들어갔다. 나 센은 1951년 중국으로 피신했고, 자우 센은 탄-다웅과 바우-가-리에서 KNDO에 남았다.[38]1959년, 고문으로 임명된 기 러브랜드(카친 이름 자우 바우크)는 샨 주 북부에서 주민들을 조직하여 지하 작전을 수행하도록 파견되었다. 자우 센과 기 러브랜드는 후 고웅 지역 남 움 마을(기 러브랜드의 어머니가 교사로 있던 곳)에서 은신하며 임무를 시작했다. 자우 센의 남동생이자 대학생이었던 자우 투는 학교를 그만두고 자우 센과 함께 지하로 들어갔다.[38]
카친 대대 4에서 해고된 후 테이니에서 공부하던 람웅 투 자이 일병과 대학을 자퇴하고 쿠트카이로 돌아온 라마 라 링은 자우 센과 연락하여 1960년 카친 독립 기구(KIO)를 결성했다.[38]
자우 센은 부대장이 되었고, 자우 투는 부대장, 라마 라 링은 서기가 되었다. 그들은 KIO에 27명의 병력으로 사병을 조직할 탄약을 제공했다.[38] 1960년 2월 5일, KIO는 은행을 습격했다. 무장 공격이 시작되자, 카친 청년들(Zau Seng과 Zau Tu가 조직)은 지하로 숨어 들어갔다.[38] 1961년 2월 5일, 100명의 병력으로 KIA와 카친 독립 평의회(KIC)가 신 리(테이니)의 로이 토크에서 결성되었다. Zau Seng은 총사령관이 되었고, Zau Bawk 대위(러브랜드)는 소장이 되었다. 제1 기지는 북부 샨 주의 쿠트카이 인근, 신 리 마을에서 동쪽으로 약 16.09km 떨어진 곳에 세워졌으며, 1961년 3월 16일에 기본적인 군사 훈련 과정이 시작되었다.[38]
제1 대대는 맘마우의 냅파에, 제2 대대는 라마 라 링에 의해 300명의 병력으로 만 시와 몬 탄에 설립되었다. 불발식 화기로 무장한 마을 방위군은 Tatmadaw 군대를 교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38]
1961년 8월 26일, 불교가 국교가 되었고, 1962년 법 17조(헌법, 3차 개정)에 의해 다른 종교를 실천할 권리가 보호되었지만, 비불교 신자들은 자신들이 이 권리를 잃었다고 믿고 항의했다. KIO는 원래 27명의 구성원을 넘어 확장되었다. 시위는 미얀마-중국 국경 조약에서 피마, 가울란 및 칸판 지역을 중국에 포함시킨다는 발표에 항의했다. 이러한 변화와 샨 군주의 연방 정책은 KIO에게 독립적인 카친 공화국을 수립하겠다는 목표를 선언하고 공격할 기회를 제공했다.[38]
1949년, 독립한 지 얼마 안 된 미얀마 연방에서 제1 카친 라이플 대대(1st Kachin Rifles)의 지휘관을 맡고 있던 노센(Naw Seng)은 같은 기독교도인 Karen National Defence Organisation|카렌 민족 방위 기구영어의 전투원에게 총을 겨누는 것을 옳게 여기지 않고, 버마군에 반기를 들었다. 하지만 수장층을 중심으로 많은 카친족은 이를 지지하지 않았고, 노센 등이 이끄는 퐁용 민족 방위군(Pawngyawng National Defense Force: PNDF)은 1950년 4월 중국 윈난성으로 망명해야 했다. 그의 지시를 받던 한 병사로, 후에 카친 독립군을 조직하게 되는 조센(Zaw Seng)은 버마에 남아 KNDO에 가입했다.
노센의 반란 이후 카친족의 반란 기운은 잠시 끊겼지만, 중앙 정부의 변방 지역 경시를 이유로 1950년대 후반에 다시 갈등이 표면화되기 시작한다. 1957년에는 조센의 동생인 조투(Zaw Tu)를 비롯한 University of Yangon|양곤 대학교|label=양곤 대학교영어의 학생 7명이 모여 사니트 마잔(Sanit Majan|징포어|징포어kac로 '7개의 별')이라는 집단을 결성했다. 그들은 카친족의 민족 자결을 위해서는 정부와의 무력 투쟁도 피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에 도달했고, 그 준비를 위해 조센에게 의지했다.
1960년에 중국-미얀마 국경이 확정되어 카친족 마을의 일부가 중국 영토가 된 것, 같은 해 4월 우 누 총리가 불교의 국교화를 공약으로 내건 것 등도 카친 민중의 분노를 촉발했다. 그리하여 1960년 10월 25일에 카친 독립 기구(KIO)[38], 1961년 2월 5일에 카친 독립군(KIA)이 설립되었다. 7일에는 조투 등이 라쇼의 정부 은행에 침입하여 현금 90,000 차트를 빼앗아 KIA의 무력 투쟁이 시작되었다.
2. 2. 네 윈 정권 시기 (1962-1988)
1962년 미얀마 쿠데타로 네 윈 정권이 들어서면서, 카친 독립군(KIA)을 포함한 여러 반정부 세력의 활동이 활발해졌다.[10] 1963년 8월, 네 윈 정권은 KIA와 정전 협상을 시도했지만, KIA가 카친 독립 국가 인정을 요구하면서 협상은 결렬되었다.[26]1965년, 조 센은 태국 국경의 타무고프에서 중국 국민당(태국-미얀마 고립군)의 리원환과 연락하여 아편과 옥을 거래하고, 국민당 장교들이 KIA 전투원을 훈련시키는 것을 성사시켰다.[10] 1966년까지 KIA는 미치나, 후콩 계곡, 나가 언덕, 옥 생산지인 카마잉 등을 장악했고, 군부는 "사단 전술(four cuts)"이라는 초토화 작전으로 대응했다.[10]
미얀마 공산당(CPB)을 통해 정권을 잡으려는 중국은[10] KIA를 비롯한 비공산주의 반정부 세력에게도 지원을 제안하기 시작했다.[10] 1967년 미얀마 반중 폭동으로 중국-미얀마 관계가 악화된 후, 이러한 지원은 공개적으로 이루어졌다.[10] 1967년 11월, KIA는 무기와 탄약 공급을 대가로 중국과 협력하기로 합의했다.[10] 그러나 1968년 초, KIA 대표가 아직 중국에 있는 동안, 노 센이 이끄는 CPB는 중국의 지원을 받아 몽코를 침공했다. KIA와 CPB는 격렬한 전투를 벌였고,[10] 1968년 4월에는 칸파이티(치프위-로콘)의 KIA 사령관 팅잉과 젤름이 CPB 측으로 넘어갔다. (→카친 신민주군)[10] 그곳의 KIA 전투원 대부분은 라치 또는 롱워로, 징포족이 주류인 KIO 간부들과는 다른 민족이었다. 또한 미얀마 군은 푸타오에 라완 병사를 배치하여 카친족을 분열시키려 했다.[10] 1971년 3월, 노 센은 몽마오에서 의문사했는데, 많은 카친족은 그가 KIA와의 전투를 거부했기 때문에 살해당했다고 믿고 있다.[10] KIO는 1972년 공식적으로 세계 반공 연맹에 가입했다.[10] 같은 해 6월에는 국군과 3개월간 정전하기도 했다.[26]
국군과 CPB 양쪽을 상대하는 것은 KIA에게 큰 부담이었다. 전선의 병사들이 피폐해지는 동안, 조 센 등은 국민당과의 교역에 더 관심을 가졌다. 1975년 8월, 조 센 의장, 조 투 부의장, 푼슈위 조 센 서기장 3명은 타무고프 근처에서 센 투 중위 등에게 살해당했다. 이들은 조직 자금을 횡령하여 방콕 은행 계좌에 예금해 둔 것이 이유였다.[10] 센 투는 즉시 처형되었다.[10] KIA는 이 사실을 숨기려 했으나 실패했고, 1976년 1월, 파자우에서 새 집행부를 결정하기 위한 회의가 열렸다. 한 달 후, 마란 브랑 센 의장을 중심으로 한 새 집행부가 선출되어 KIA의 활동은 계속되었다.[10] 회의 중이던 1976년 1월 23일, 카친 주를 방문한 일본의 유골 수집단을 KIA 전투원이 총격하여 호위병과 전투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호위병 7명, 일본인 2명, 통역 1명이 부상당했다.[27]
1976년 5월, CPB의 미얀마 정권 장악을 우려한 태국 정부의 도움으로 카렌 민족 연합(KNU)을 중심으로 한 10개 세력이 민족 민주 전선(NDF)으로 연대했다.[10] 그러나 같은 해 7월, 중국의 중재로 KIA와 CPB는 동맹 관계가 되었다.[10] 중국으로부터 무기 공급도 받아 KIA는 4000km2에 달하는 영역을 지배하게 되었다.[10] 공산당과의 관계가 가까워지면서 KIA는 NDF와 멀어졌고, 타무고프의 연락소도 폐쇄했다.[10] 1980년 8월에는 다시 정권과의 정전 협상이 있었지만, KIA가 요구한 카친 자치권 승인을 정부가 거부하여 결렬되었다.[10] KIA와 CPB는 1981년, 정전 실패의 원인이 네 윈 정권의 강경 자세에 있다고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로이렘 산에 합동 정치·사관 학교를 설립했다.[10] 1982년에는 KIA가 NDF에 복귀했다. 1986년에는 CPB와 NDF의 합동 작전이 이루어졌다.[10] KNU의 보 미야가 이를 비난하면서 NDF는 분열이 심화되었다.[10] 1987년, 브랑 센이 마나프로우 회의에 참석한 틈을 타 군부는 KIO·KIA의 당시 본거지인 파자우 및 나포(미얀마)를 함락시켰다.[10]
2. 3. SLORC/SPDC 정권 시기 (1988-2011)
8888 항쟁 탄압 이후 등장한 국가 질서 회복 평의회(SLORC) 정권은 경제 제재 등으로 재정난을 겪자 천연자원 채취권을 판매하여 이를 해결하려 했다. SLORC의 정책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으나, 미얀마 공산당(CPB)은 중국의 원조 감소와 개혁개방 정책으로 무역 독점권을 상실하며 경제 위기를 맞았다. CPB는 아편에 의존하게 되었고, 조직 내 부패도 심각해졌다. 1989년, 중국 정부가 CPB 고위 간부들에게 은퇴와 망명을 권고하자, 미얀마계 간부의 지휘를 받던 코칸족, 와족 등 소수 민족 하사관들이 봉기하면서 CPB는 붕괴되었다.이 사건은 CPB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던 카친 독립군(KIA)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1990년, KIA 제4여단의 마투 노(Mahtu Naw)가 카친 방위군(KDA)으로 분리되어 군부와 평화 협정을 맺었다. 비록 마투 노의 군대는 소규모였지만, 자체 세력의 분열은 KIA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1992년 6월 5일, KIA는 인도 경유 보급로를 확보하고자 India–Myanmar border영어의 ပန်ဆောင်မြို့my와 Nanyun영어을 기습 공격했으나, 다음 날 공습으로 인해 양측 진지 모두 군부에게 빼앗겼다. 1993년 4월, KIA 대표는 미치나에서 휴전 협상에 응했고, 1994년 2월 24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휴전 이후 KIA와 국군은 표면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민주파 세력인 국민민주연맹(NLD)이 도중에 이탈한 2008년 헌법 제정 회의에도 KIA는 끝까지 참여했다. Thant Myint-U영어에 따르면, KIA 의장은 사이클론 나르기스가 발생한 다음 날 열린 2008 Myanmar constitutional referendum영어에서 라이자(Laiza)에서 가장 먼저 찬성표를 던졌다고 한다. 헌법 개정 이후, 정부는 헌법 338조("연방의 모든 군대는 국군의 지휘를 받는다")에 근거하여 KIA를 포함한 반정부 세력을 군 산하 국경 경비대(BGF)로 편입시키려 했다.[28] 2010년 9월, KIO는 이를 거부하면서 양측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군부는 여러 무장 세력과의 과거 휴전 협정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선언하고, 카친 주에 설치했던 KIA 연락 사무소를 폐쇄했다.[28][29]
또한, 군사 정권이 카친 주에 추진한 미솟 댐 건설은 양측 관계에 또 다른 갈등을 야기했다. 에야와디강 수원지의 미쏜(Mali River영어과 N'Mai River영어의 합류점)에 대규모 댐을 건설하는 이 중·미얀마 합작 사업에 대해, KIA는 미쏜 지역의 민족적 상징성, 지역 주민과의 불충분한 소통,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미얀마 정부의 카친 주 지배력 강화 등을 이유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30][31] 이러한 상황 속에서, 2010년 미얀마 총선거에서는 카친족 정당 및 독립 후보들의 입후보가 금지되었다.[32]
2. 4. 민정 이양과 쿠데타 이후 (2011-현재)
KIA는 무장 해제나 항복을 하지 않고 계속해서 병력을 모집하고 훈련하며 동원했다.[11] 휴전 이전 KIA는 주로 게릴라 부대였지만, 평화는 사관학교를 설립하고 장교 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할 기회를 제공했다.[11] 미얀마군(Tatmadaw)은 KIA와 협력하여 KIO의 통제를 받는 자원 부국을 활용하여 옥, 티크, 고무와 같은 자원에 대한 접근 및 보안을 대가로 제한적인 인정을 제공했다.[12]휴전이 유지되고 있었지만, 2009년 많은 카친족은 2010년에 예정된 선거와 함께 분쟁이 재발할 것으로 예상했다. 군사 정부는 미얀마에는 하나의 군대만 있어야 한다는 헌법에 따라 모든 민족 군대의 무장을 해제할 것을 요구했다. KIA 참모총장 Gam Shawng Gunhtang 장군에 따르면, 무장 해제 요구는 "수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13] 2010년 2월, Shawng은 "전쟁이 확실히 일어날지 말할 수는 없지만, 정부는 이번 달 말까지 우리가 그들을 위한 국경 경비대가 되기를 원합니다... 우리는 연방 연합에 우리 자리를 마련하고 1947년 팡롱 협정에서 합의된 민족 권리를 부여할 때까지 그렇게 하거나 무장 해제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1]
2011년, 쑨루 굼 모 장군은 전투가 재개되었음을 확인했다.[13][14] 휴전이 깨진 이유 중 하나는 미치손 댐 건설로 인해 카친 주 내 수십 개의 마을이 물에 잠기게 되었기 때문이다.[15] 카친 분쟁으로 휴전이 깨진 이후 약 10만 명의 사람들이 삶의 터전을 잃었고[16] 수백 명이 사망했다.[17]
국경경비대(BGF) 편입을 둘러싼 문제로 양측의 관계는 이미 매우 험악해졌지만[31], 양측의 충돌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은 밋손 댐 문제였다. 2011년 6월 9일, 미얀마군은 Dapein River|다파인 강영어 유역의 댐 건설 예정지(밋손 댐과는 다름)에 포진한 KIA를 공격했고, 17년간 지속된 휴전은 여기에서 붕괴되었다.[32][33] 테인 세인 신임 대통령은 9월 30일에 밋손 댐 계획의 동결을 발표했지만, 카친에서의 양 세력의 분쟁은 계속되었다.
테인 세인 정권은 KIA를 포함한 여러 세력과 포괄적인 휴전 협정을 맺기 위해 노력했다. 이에 대한 협상 상대가 된 것은 2012년 2월 설립되었으며, KIO/KIA도 가맹하는 통일민족연방평의회(UNFC)였다. 정부는 2013년 1월에 KIA에 대해 일방적인 휴전 선언을 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34] 2013년 10월 30일부터 11월 2일에 걸쳐, KIA의 본거지인 라이자에서 UNFC 참가 조직을 포함한 16개 조직이 평화를 위한 회의를 개최했다. 정부도 이를 환영하며, 참가자들의 라이자까지의 이동의 안전을 확보했다.
2013년 12월 20일, 수천 명의 시위대가 미치나에 모여 KIA가 소수 민족인 샨족을 강제 징집하는 것에 항의했다. 보도에 따르면 KIA는 2013년 말 만시 타운십에서 약 100명의 따이렝 반군을 징집했다.[18][19]
2015년 10월 15일에는 전국휴전합의(NCA)가 서명되었지만, KIO는 이에 서명하지 않아 UNFC의 발걸음은 일치되지 않았다. 2016년 11월 20일에는 일부 여단이 타앙 민족 해방군, 미얀마 민족 민주 동맹군, 아라칸군과 함께 북부 동맹을 결성했다.
2021년 미얀마 쿠데타 이후, 카친 독립군은 활동을 강화하여 10개의 미얀마 군사 기지를 점령했다.[20][21] KIA는 처음에는 2021년 미얀마 쿠데타를 관망하고, 평화적 항의에 대한 군의 폭력 행사에 우려를 표명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정도였다. 그러나 몇 달이 지나자, KIA는 민주화 세력과 가장 적극적인 연대를 맺는 무장 조직 중 하나가 되었으며,[34][35] 2019년에 13회, 2020년에 7회였던 군부와의 충돌 횟수는 2021년에 138회까지 증가했다.[36] 2022년 10월 23일에는 미얀마군이 KIO의 창립 62주년 행사 회장을 폭격한 파칸 공습이 발생했다.[37]
3. 조직
카친 독립군(KIA)은 1961년 2월 5일에 창설된 카친 독립 기구(KIO)의 무장 조직이다.
카친 독립군은 12개 여단과 51개 보병대대로 구성되어 있다.[41] 군 총사령부와 본부 직할 여단, 대대, 부대는 에야와디강 동쪽 기슭의 라이자를 거점으로 한다.
구분 | 내용 |
---|---|
군 총사령부 | Dailawn Rung |
군사 전략 연구 부문 | Zai Ninggawn Rung |
기동 여단 | 제251, 252, 253, 254, 255, 256 대대 |
중앙 경비 여단 | 제23, 28, 40, 42 대대 |
포병 부대 | 제611, 612, 613, 614 대대 |
기타 부대 | 코만도 대대, 구르카 대대, 사격 부대, 훈련 대대 |
각 여단은 특정 지역을 담당한다.
여단 | 담당 지역 및 대대 |
---|---|
제1여단 | 푸타오 지역 및 쉼프라붕 지역 - 제4, 7, 10, 22 대대 |
제7여단 | 치프웨 지역 및 파레 지역 - 제32, 33, 46 대대 |
제2여단 | 레도 로 남북 - 제11, 14, 20, 45대대 |
제9여단 | 파칸 지역 - 제6, 26, 44대대 |
제8여단 | 모닝 지역 및 난시온 지역 - 제5, 35, 41대대 |
제3여단 | 바모 지역 - 제1, 12, 15, 16, 21, 27 대대 |
제5여단 | 사둔 지역 - 제3, 18, 19, 24, 25, 30 대대 |
제4여단 | 라샤 - 무세 도로 북쪽 - 제8, 29, 34, 37대대 |
제6여단 | 쿡카이 - 무세 도로 북쪽 - 제9, 36, 38대대 |
제10여단 | 센위 - 쿤롱 도로 남북 - 제2, 17, 39대대 |
뭉샤와 프옌 퓽(MHH, 뭉샤와 프옌 퓽kjg)은 카친 독립 평의회(KIC)의 지휘를 받는 민병대 조직으로, 마을 방어를 목적으로 한다.
카친 국민방위군(KPDF)은 국민통합정부(NUG)의 직접 관할이 아닌, KIA가 관할하는 국민방위군이다. 총 병력은 1,700명이다. 모닝, 호핀, 인도지, 모가웅, 남티, 푸타오, 미치나, 소로, 파칸 지역에는 13개 KPDF 부대가 있으며, 호마린 PDF의 2개 대대도 KIA 관할이다. 샨 주 북부에서 KIA는 PDF 제509, 510, 511, 512, 513, 514, 515 대대를 훈련시키고 함께 활동한다.
KPDF는 NUG와 KIA를 포함한 여러 주체로 구성된 중앙 지휘 조정 위원회(C3C)의 지휘를 받는다.
3. 1. 지도부
3. 2. 군사 조직
카친 독립군(KIA)은 12개 여단과 51개 보병대대로 구성되어 있다.[41] 군 총사령부와 본부 직할 여단, 대대, 부대는 에야와디강 동쪽 기슭의 라이자를 거점으로 한다.구분 | 내용 |
---|---|
군 총사령부 | Dailawn Rung |
군사 전략 연구 부문 | Zai Ninggawn Rung |
기동 여단 | 제251, 252, 253, 254, 255, 256 대대 |
중앙 경비 여단 | 제23, 28, 40, 42 대대 |
포병 부대 | 제611, 612, 613, 614 대대 |
기타 부대 | 코만도 대대, 구르카 대대, 사격 부대, 훈련 대대 |
각 여단은 특정 지역을 담당한다.
여단 | 담당 지역 및 대대 |
---|---|
제1여단 | 푸타오 지역 및 쉼프라붕 지역 - 제4, 7, 10, 22 대대 |
제7여단 | 치프웨 지역 및 파레 지역 - 제32, 33, 46 대대 |
제2여단 | 레도 로 남북 - 제11, 14, 20, 45대대 |
제9여단 | 파칸 지역 - 제6, 26, 44대대 |
제8여단 | 모닝 지역 및 난시온 지역 - 제5, 35, 41대대 |
제3여단 | 바모 지역 - 제1, 12, 15, 16, 21, 27 대대 |
제5여단 | 사둔 지역 - 제3, 18, 19, 24, 25, 30 대대 |
제4여단 | 라샤 - 무세 도로 북쪽 - 제8, 29, 34, 37대대 |
제6여단 | 쿡카이 - 무세 도로 북쪽 - 제9, 36, 38대대 |
제10여단 | 센위 - 쿤롱 도로 남북 - 제2, 17, 39대대 |
뭉샤와 프옌 퓽(MHH, 뭉샤와 프옌 퓽kjg)은 카친 독립 평의회(KIC)의 지휘를 받는 민병대 조직으로, 마을 방어를 목적으로 한다.
카친 국민방위군(KPDF)은 국민통합정부(NUG)의 직접 관할이 아닌, KIA가 관할하는 국민방위군이다. 총 병력은 1,700명이다. 모닝, 호핀, 인도지, 모가웅, 남티, 푸타오, 미치나, 소로, 파칸 지역에는 13개 KPDF 부대가 있으며, 호마린 PDF의 2개 대대도 KIA 관할이다. 샨 주 북부에서 KIA는 PDF 제509, 510, 511, 512, 513, 514, 515 대대를 훈련시키고 함께 활동한다.
KPDF는 NUG와 KIA를 포함한 여러 주체로 구성된 중앙 지휘 조정 위원회(C3C)의 지휘를 받는다.
4. 분파
1969년 5월, 자쿵 팅잉과 라요크 젤룸은 400명의 병사를 이끌고 카친 독립 기구(KIO)에서 탈퇴하여 미얀마 공산당에 가입, 미얀마 공산당 101군구가 되었다[43]。 1989년, 101군구는 미얀마 공산당 붕괴 후 카친 신민주군으로 독립하여 미얀마군과 정전 협정을 체결했다. 2009년, 카친 신민주군은 미얀마군 산하 국경 경비대 제1001-1003대대로 재편되었다[43]。
1990년부터 1991년에 걸쳐 KIA 제4여단 사령관 마투 노는 카친 방위군으로 분파를 형성하여 미얀마군과 정전 조약을 체결했다[44]。 2009년 카친 방위군은 미얀마군 산하의 콩카 민병대로 재편되었다[44]。
2004년 1월 4일, KIO 정보국 국장 라상 엉와 대령은 KIO 내부 쿠데타를 시도했으나 미수에 그쳤고, 300명의 병사와 함께 분파를 형성했다. 라상 엉와 대령은 수개월 동안 카친 신민주군에 몸을 의탁한 후, 2005년 말 미얀마 육군 북부군관구 사령관 온민 소장으로부터 구이투파 기지를 받았다. 2009년 10월 16일, 라와양 민병대로 재편성되어 공식적으로 미얀마군 산하 민병대가 되었다[45]。
참조
[1]
뉴스
Analysis: KIO Kicks Off New Year with New Leadership
https://www.irrawadd[...]
2018-03-14
[2]
뉴스
Kachin Militia Appoints New Leaders Amid Ongoing Hostilities With Myanmar Forces
https://www.rfa.org/[...]
2018-05-03
[3]
웹사이트
Kachin Independence Organization (KIO) {{!}} Myanmar Peace Monitor
http://mmpeacemonito[...]
Myanmar Peace Monitor
2018-03-12
[4]
뉴스
Curfew imposed after clashes near Myanmar-China border
http://aa.com.tr/en/[...]
2016-11-21
[5]
뉴스
Dozens of regime soldiers reportedly killed in clashes with PDFs in eastern Sagaing
https://www.myanmar-[...]
2021-07-07
[6]
뉴스
Junta forces torch Hpakant Township village after forcing KIA withdrawal, locals say
https://myanmar-now.[...]
2022-08-12
[7]
뉴스
KIA: Nine Myanmar Junta Strongholds Seized in Two Days
https://www.irrawadd[...]
2024-03-23
[8]
뉴스
Myanmar state media report battles between government troops, Kachin rebels killed 31
AP
2012-05-04
[9]
뉴스
The Christian Vigilantes Fighting Myanmar's Heroin Epidemic
https://thediplomat.[...]
2018-04-28
[10]
웹사이트
The Irrawaddy Magazine | ARCHIVES | 10202
http://www.irrawaddy[...]
Irrawaddy.org
2013-12-29
[11]
뉴스
On the Front Lines with the Kachin Independence Army
http://lightbox.time[...]
Time
2012-04-19
[12]
간행물
Ceasefire capitalism: military–private partnerships, resource concessions and military–state building in the Burma–China borderlands
https://www.tandfonl[...]
2022-09-14
[13]
웹사이트
Operation Victory Journey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Renewed fighting in Kachin state
http://ryanlibre.pho[...]
2011-11-22
[15]
웹사이트
Myitsonedam
http://ngm.nationalg[...]
2011-11-22
[16]
웹사이트
Kachin State Operation Brief
https://cdn.wfp.org/[...]
2021-04-02
[17]
웹사이트
Security Risks for Kachin IDPS and Refugees
http://www.freeburma[...]
Free Burma Rangers
2013-05-31
[18]
웹사이트
Shan civilians accuse Kachin rebels of human rights abuses {{!}} DVB Multimedia Group
http://www.dvb.no/ne[...]
2013-12-29
[19]
뉴스
Kachin Rebels Accused of Forced Recruitment in Myanmar
http://www.irrawaddy[...]
The Irrawaddy Magazine
[20]
웹사이트
Fighting Continues Between KIA, Tatmadaw in Northern Myanmar
https://www.irrawadd[...]
2021-05-03
[21]
웹사이트
KIA has seized 10 Myanmar military bases since coup, locals estimate
https://www.myanmar-[...]
2021-05-03
[22]
웹사이트
Kachin Independence Army (KIO/KIA) » Myanmar Peace Monitor
https://mmpeacemonit[...]
2024-08-21
[23]
뉴스
Curfew imposed after clashes near Myanmar-China border
http://aa.com.tr/en/[...]
2016-11-21
[24]
뉴스
Dozens of regime soldiers reportedly killed in clashes with PDFs in eastern Sagaing
https://www.myanmar-[...]
2021-07-07
[25]
뉴스
Junta forces torch Hpakant Township village after forcing KIA withdrawal, locals say
https://myanmar-now.[...]
2022-08-12
[26]
웹사이트
Memoirs of Kachin Peace Efforts (1963-1981)
https://www.kachinla[...]
2024-08-23
[27]
뉴스
遺骨収集団をゲリラ銃撃 団員ら10人が負傷
1976-04-10
[28]
웹사이트
ミャンマー全土停戦と国内和平の行方~少数民族問題の解決に向けた現状と課題~
https://www.spf.org/[...]
笹川平和財団
2024-08-13
[29]
뉴스
A Chronology of the Kachin Conflict
https://www.irrawadd[...]
2024-08-23
[30]
뉴스
Lies, Dam Lies
https://www.irrawadd[...]
2024-08-13
[31]
웹사이트
The Kachin Conflict: Are Chinese Dams to Blame? • Stimson Center
https://www.stimson.[...]
2024-08-22
[32]
웹사이트
Burma: Army Committing Abuses in Kachin State {{!}} Human Rights Watch
https://www.hrw.org/[...]
2024-08-22
[33]
웹사이트
War and business: Kachin’s ‘frontline’ hydropower dam
https://www.frontier[...]
2024-08-22
[34]
간행물
Update on the Armed Resistance in Myanmar’s Kachin State
https://www.csis.org[...]
2024-07-17
[35]
뉴스
Ethnic Armed Groups Unite With Anti-Coup Protesters Against Myanmar Junta
https://www.irrawadd[...]
2024-08-23
[36]
웹사이트
Kachin Independence Army (KIO/KIA) » Myanmar Peace Monitor
https://mmpeacemonit[...]
2024-08-23
[37]
뉴스
Air strike during Myanmar concert kills at least 50 - media, opposition
https://www.reuters.[...]
2024-08-23
[38]
웹사이트
Maran Brang Seng and KIO's Peace Efforts I
https://www.kachinla[...]
2024-08-23
[39]
웹사이트
Kachin Militia Appoints New Leaders Amid Ongoing Hostilities With Myanmar Forces
https://www.rfa.org/[...]
radio free asia
2024-08-23
[40]
뉴스
Kachin Independence Leader Steps Down
https://www.irrawadd[...]
2024-08-23
[41]
뉴스
မြန်မာပြည်ရှိ လက်နက်ကိုင်တော်လှန်ရေး အင်အားစုများ (အပိုင်း ၄)
https://burma.irrawa[...]
2023-10-29
[42]
뉴스
Understanding the People’s Defense Forces in Myanmar
https://www.usip.org[...]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2022-11-03
[43]
뉴스
NDA-K changes to Burma junta's BGF
https://www.bnionlin[...]
Burma News International
2009-11-10
[44]
뉴스
Discrimination over transformation to BGF and militia
https://www.bnionlin[...]
Burma News International
2024-03-07
[45]
뉴스
Split KIO/KIA faction officially transforms to militia group
https://www.bnionlin[...]
Burma News International
2024-08-23
[46]
웹사이트
ミャンマー少数民族武装勢力、安倍首相を表敬訪問
https://www.nippon.c[...]
2024-08-23
[47]
웹사이트
林外務大臣会見記録 (令和4年10月25日(火曜日)12時26分 於:本省会見室)
https://www.mofa.go.[...]
外務省
2024-08-23
[48]
뉴스
Japanese minister meets Myanmar ethnic representatives
https://eng.mizzima.[...]
2024-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