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 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 누는 미얀마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 투쟁, 의회 민주주의, 군부 통치, 민주화 운동 등 격동의 시대를 거치며 미얀마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29년 양곤 대학교를 졸업하고 타킨당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버마가 독립한 후 초대 총리를 역임했다. 1962년 군사 쿠데타로 실각한 후 망명 생활을 하다가 8888 민주화 운동을 계기로 정치 활동을 재개했으나, 1995년 사망했다. 그는 불교 신자로서 불교를 정치에 반영하려 노력했으며, 소설가, 극작가로 활동하며 문학에도 기여했다.

2. 정치 경력

우 누의 정치 경력은 독립 투쟁, 의회 민주주의 시대, 군부 통치 시대, 8888 민주화 운동 시기로 구분된다.

양곤 대학교 학생회장으로 정치 활동을 시작한 우 누는 아웅산과 함께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1947년 아웅산 암살 이후 반파시스트인민자유동맹(AFPFL)을 이끌며 영국과의 독립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1948년 미얀마 독립 후 초대 총리를 역임하며 민주주의 발전과 국가 건설에 힘썼으나, 1962년 네 윈의 쿠데타로 실각했다. 이후 망명, 귀국, 8888 민주화 운동 참여 등 굴곡진 정치 역정을 겪었다.

2. 1. 독립 투쟁 (1930년대 ~ 1948년)

우 누는 1930년대 양곤 대학교 학생회장으로 정치에 입문했다. 아웅산과 함께 학생회 활동을 하던 중, 학생회 잡지에 실린 "Hell Hound At Large"라는 기사 때문에 학교에서 퇴학당했다. 이 사건은 1936년 2월 두 번째 대학생 파업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1]

우 누는 1930년 결성된 민족주의 단체인 도바마 아시아요네(우리 버마 협회)에 가입하여 '타킨'(Thakin, 주인)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했다.[1] '타킨'은 스스로 자신의 땅의 진정한 주인임을 선언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1937년, 타킨 탄 툰과 함께 나가니(붉은 용) 서클을 공동 설립하여 마르크스주의 고전을 버마어로 번역, 보급하는 데 힘썼다.[1]

1940년대, 우 누는 인민혁명당(PRP)의 지도자이자 반파시스트인민자유동맹(AFPFL)의 핵심 인물로서 일본영국의 식민 지배에 맞서 싸웠다.[1] 1940년에는 식민 정부에 의해 구금되기도 했다.[2] 1943년 일본이 바 마가 이끄는 정권 하에 버마의 명목상 독립을 선포했을 때, 우 누는 외무장관으로 임명되었다.[3] 1944년에는 정보장관을 역임했다.[3]

1945년 3월, AFPFL이 일본군에 대한 공개 반란을 일으켰을 때, 우 누는 지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저항 세력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3]

마하트마 간디와 버마 총리 타킨 누, 1947년 12월 4일 델리 비르라 하우스


1947년 7월 19일, 아웅산 장군과 그의 내각 장관들이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6] 이후, 우 누는 AFPFL을 이끌며 영국과의 독립 협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1947년 10월, 영국 총리 클레멘트 애틀리와 독립 협정(누-애틀리 조약)에 서명하여,[6] 1948년 미얀마의 독립을 이끌어냈다.

2. 2. 의회 민주주의 시대 (1948년 ~ 1962년)

우 누는 1948년 독립 미얀마의 초대 총리로 취임하여 1962년 군사 쿠데타 이전까지 세 차례 총리직을 역임했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그는 다양한 무장 반란 세력과 망명 중인 중국 국민당(KMT) 세력에 맞서 국가 안정을 도모하고 민주주의 체제를 구축하고자 노력했다. 피다우타 계획(Pyidawtha Plan)을 통해 산업 복지 국가 건설을 위한 국가 경제 개발을 추진했다.[7] 1956년 자발적으로 총리직을 사임했지만, 1957년에 다시 총리직에 복귀했다. 1958년에는 육군 참모총장 네 윈(Ne Win)에게 임시 정부를 맡기기도 했다. 1960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다시 총리직에 복귀하였다.

우 누, 중국 방문, 1950년대


1950년대 우 누 정부는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에 물자를 지원하며 대한민국의 안보에 기여했다. 1961년, 벨그라드(Belgrade)에서 열린 제1차 비동맹 운동 정상회의(1st Summit of the Non-Aligned Movement)에 참가하여 미얀마를 비동맹 운동(Non-Aligned Movement)의 창립 회원국으로 만들었다.

우 누와 모세 다얀(Moshe Dayan), 1955년 이스라엘 방문


우 누와 소련 지도자들(니키타 흐루쇼프(왼쪽, 꽃목걸이 착용), 니콜라이 불가닌(오른쪽, 꽃목걸이 착용)), 1955년 12월, 양곤


1961년 우 누는 불교를 잠시 국교로 만들어 기독교 카친 민족주의자들 사이에 불만을 야기했고, 이는 카친 분쟁(Kachin conflict)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8]

2. 3. 군부 통치 시대와 망명 (1962년 ~ 1980년)

쿠데타로 실각한 우 누는 1962년 3월 2일부터 1966년 10월 27일까지 4년 이상 수감되었다.[9] 1968년 12월 2일, 네 윈은 내부 통합 자문 위원회에 우 누를 임명하여 정치 변화에 대한 자문을 구했다. 1969년 2월, 우 누는 네 윈에게 권력을 자신에게 돌려주고 1962년 3월에 폐지된 의회를 소집할 것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제출했다.[10] 보고서 제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우 누는 인도 순례를 명분으로 미얀마를 떠나 인도로 갔고, 네 윈이 그의 보고서에 반응을 보이지 않자 런던으로 떠났다.

1969년 8월 27일, 우 누는 런던 기자 회견에서 자신이 미얀마의 합법적인 총리임을 주장하며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후 전 중앙정보국(CIA) 요원 빌 영의 도움을 받아 연합국가해방전선(UNLF) 설립을 위한 국제 자금을 모금하여, 1970년 말까지 200만달러 이상을 모았다.[11]

우 누는 태국-미얀마 국경 지대에서 의회민주당(PDP)을 결성하고 무장 투쟁을 시도했으나, 병력은 최고 수준일 때에도 수백 명 또는 기껏해야 수천 명에 불과하여 실패했다. 결국 1980년 7월 29일 네 윈의 사면 제안을 받아들여 미얀마로 귀국했다.[12]

2. 4. 8888 민주화 운동과 가택 연금 (1988년 ~ 1992년)

1988년 8888 민주화 운동 당시 우 누는 민주평화연맹(LDP)을 결성하여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다.[13] 그는 1969년 8월 런던에서 자신이 '합법적인 총리'라고 주장했던 것을 되풀이하며, 1988년 9월 9일 양곤에서 자신이 여전히 '합법적인 총리'라고 재차 강조했다.

우 누는 임시 정부를 구성하고 야당 지도자들을 초청했다. 인도의 라지브 간디 총리는 임시 정부를 승인할 준비가 되었음을 시사했고, 버마군 일부가 야당에 가담하기 시작했으며, 버마 해군은 거의 전적으로 야당 편에 섰다. 그러나 아웅산 수치는 "야당의 미래는 대중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말하며 우 누의 계획을 단호히 거부했다.[13] 8888 민주화 운동 당시 또 다른 야당 정치인이었던 전 준장 아웅기도 수치의 거부 후 계획을 거부했다. 정치 분석가 수잔 프래거-나인(Susanne Prager-Nyein)은 아웅산 수치의 거절을 "중대한 전략적 실수"라고 묘사했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 누는 1962년 쿠데타로 실각했던 마웅 윈 마웅을 '대통령'으로 재임명하며 자신의 '정부'를 구성했다. 1988년 9월 18일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SLORC)가 권력을 장악한 후, SLORC는 우 누에게 그의 '임시 정부'를 공식적으로 '폐지'할 것을 여러 차례 요구했지만, 우 누는 거부했다. 결과적으로 우 누는 1989년 12월 29일 가택 연금되었다. 당시 SLORC 대변인들은 우 누가 '반역죄'로 기소될 수도 있었지만, 고령과 독립 투쟁에 대한 기여를 고려하여 그 혐의로 기소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1992년 4월 23일, SLORC 의장 소 무 장군이 권력을 넘겨주고 군사 정부(공식 명칭: 국가평화발전위원회) 수장 탄 슈웨 장군에게 자리를 물려준 날 석방되었다.

3. 종교 활동

1961년, 웨삭절 행사에서 부처에게 경배하는 우 누


독실한 상좌부 불교 신자였던 우 누는 국가 내 불교 다수 민중에게 인기가 있었다. 1954년부터 1956년까지 수상으로 재임하면서 제6차 불교 결의회를 소집하고 주최하였으며, 이를 위해 1952년 까바에 파고다와 마하 파사나 구하(대석굴)를 건립했다.[15] 그는 1957년 미국 뉴스 방송 ''See It Now''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15]

그는 또한 자신이 불교도로 태어났지만,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대신 신념과 견해에 대해 적극적으로 질문하도록 신자들에게 도전하는 불교 교리인 칼라마 숫타에 특히 매료되었다고 말했다.[15]

1961년 8월 29일, 의회는 우 누 자신이 시작한 1961년 국가 종교 증진 법을 통과시켰다.[16] 이 법은 불교를 국가의 공식 종교로 만들었는데, 이는 그의 선거 유세 공약 중 하나였으며, 기독교 안식일인 일요일 대신 소위 불교 안식일인 우포사타를 공식적으로 준수함으로써 불교 음력을 제정했다. 우포사타 날에는 국가 방송 라디오가 방송 시간을 종교 프로그램에 할애해야 했고, 공립학교와 정부 기관은 문을 닫았으며, 공공 장소에서는 주류를 제공할 수 없었다.[16] 또한 이 법은 정부 학교가 불교 학생들에게 불교 경전을 가르치도록 요구했고, 소 도축을 금지했으며 (소고기는 ''todo tha'' (미얀마어:တိုးတိုးသားmy; 즉, 속삭이는 고기로 알려지게 됨), 가석방자의 사형 선고를 감형했다.[17]

국가적 행동 외에도, 우 누는 국가의 죄를 속죄하고 종교적 헌신을 통해 통치의 안정을 가져오기 위해 개인적인 공덕 쌓기와 점점 강해지는 독신 서원에 참여함으로써 차크라바르틴의 불교적 이상을 실현하려고 했다.[18]

1962년 네 윈 장군이 권력을 장악했을 때, 그의 첫 번째 조치 중 하나는 소 도축 금지와 불교를 국교로 선포하는 것을 포함하여 우 누 정부 하에서 통과된 불교 관련 법률을 폐지하는 것이었다. 이는 카친족과 카렌족과 같은 주로 기독교를 믿는 소수 민족을 소외시켰고, 어쩌면 우 누와 네 윈 사이의 성격적 충돌을 상징하는 것이었을 수도 있다.

4. 문학 활동

우 누는 정치 활동 외에도 소설가, 극작가로서 활발한 문학 활동을 펼쳤다. 식민 시대의 현실을 비판한 소설 ''Yesset pabeikwe'' (''Man, the Wolf of Man'')를 비롯하여, ''The People Win Through'', ''Burma under the Japanese'', ''An Asian Speaks'' 등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그의 희곡 ''The Sound of the People Victorious'' (''Ludu Aungthan'')는 공산주의 이념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작품으로, 냉전 시기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1930년대 후반 우 누는 데일 카네기의 저서 「인간관계론」(How to Win Friends and Influence People)을 버마어로 번역했다. 처음에는 "사람을 이용하여 이익을 얻는 방법"으로 번역될 수 있는 "루파우 루자우 루니"(Lupaw Luzaw Louknee)라는 제목으로 번역했으나, 후에 "우호적 사회 계약에 관한 논문"으로 번역될 수 있는 "메이크타 발라 히티카"(Meikta Bala Htika)로 제목을 변경했다. 이 번역서는 1950년대 학교 교과서로 채택되기도 했다.

그는 버마 번역 협회를 조직하고, 1954년 버마 백과사전의 첫 번째 권을 발간하는 데 기여했다.

총리 시절 집필한 희곡 ''The Sound of the People Victorious'' (''Ludu Aungthan'')은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에서 초연되었고, 버마에서 만화책으로도 인기를 얻었으며, 영어로 번역되어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1962년 쿠데타 직전 출판된 희곡 ''Thaka Ala''는 당시 정치인과 공산주의 지도자들의 부패상을 비판적으로 다루었으며, 테인 페 민의 ''The Modern Monk'' (''Tet Hpongyi'')와 유사하게 전통적인 버마인의 행동 방식과는 거리가 먼 성적 관계를 다루었다.

킨 미오 칫은 ''The 13-Carat Diamond'' (1955)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된 작품을 쓴 작가였고, 언론인 루두 우 흘라는 소수 민족 민속 이야기, 우 누 시대 감옥 수감자에 대한 소설, 다양한 직업 종사자들의 전기를 집필했다. 우 누 자신도 여러 편의 정치적 성향을 띤 희곡과 소설을 썼다.

5. 사망

우 누는 1995년 2월 14일 87세의 나이로 양곤 바한 타운십 자택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 그의 부인 묘이(Mya Yi)는 1993년에 사망했다.[19] 슬하에 산산(San San, 딸), 타웅 타이크(Thaung Htaik, 아들), 마웅 아웅(Maung Aung, 아들), 탄 탄(Than Than, 딸), 초 초(Cho Cho, 딸) 다섯 자녀를 두었다.

6. 유산

우 누는 미얀마의 독립과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미얀마의 초대 수상을 역임하며 미얀마의 초기 국가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 1947년 7월 19일 아웅산 암살 사건 이후 그의 뒤를 이어 AFPFL 총재를 맡았고, 1948년 1월 미얀마 독립과 함께 초대 수상에 취임했다.[1]

그의 정치적 유산은 복잡하고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미얀마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는 1962년 네 윈의 군사 쿠데타로 실각할 때까지 세 차례에 걸쳐 미얀마 수상을 역임했다.[1] 쿠데타 이후 인도와 영국 등지에서 망명 생활을 하기도 했으며, 1980년 사면을 받고 귀국했다.[1] 8888 민주화 운동을 계기로 정치 활동을 재개했지만, 1989년 반역죄로 가택 연금되기도 했다.[1]

우 누의 불교적 가치관과 비동맹 중립 외교 정책은 미얀마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그의 문학 작품은 미얀마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그는 1995년 양곤 자택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1]

참조

[1] 백과사전 U Nu https://www.britanni[...] 2023-01-10
[2] 서적 Burma Under the Japanese
[3] 서적 U Nu of Burma
[4] 서적 Burma Under the Japanese
[5] 서적 U Nu of Burma
[6] 웹사이트 UNB http://peoplewinthro[...] 2023-01-08
[7] 웹사이트 University of Belgrade: Honorary Doctors http://www.bg.ac.rs/[...] 2012-06-11
[8] 서적 Burma: Insurgency and the Politics of Ethnicit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999-06-01
[9] 뉴스 U Nu's release from custody Rangoon Guardian and The Working People's Daily 1966-10-28
[10] 뉴스 English translation of U Nu's 'interim report' Rangoon Guardian and the Working People's Daily 1969-06-03
[11] 서적 The Politics of Heroin: CIA Complicity in the Global Drug Trade Lawrence Hill Books
[12] 뉴스 former Prime Minister U Nu and wife Mya Yi arrving back at Rangoon airport Rangoon Guardian and the Working People's Daily 1980-07-30
[13] 학술지 Aung San Suu Kyi: Between Biographical Myth and Hard Realities 2013-02
[14] 서적 The Relic and the Rule of Righteousness: Reflections on U Nu's Dhammavijaya Palgrave Macmillan
[15] Youtube Burma, Buddhism, and Neutralism https://www.youtube.[...] Youtube 1957-02-03
[16] 서적 Religious resurgence and politics in the contemporary world SUNY Press
[17] 서적 In the hope of Nibbana: the ethics of Theravada Buddhism Pariyatti
[18] 서적 Religion and Politics in Burm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뉴스 U Nu Dies http://www.burmalibr[...] Reuters 1995-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