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슘 통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슘 통로는 세포막을 가로질러 칼슘 이온의 이동을 조절하는 막 단백질이다. 칼슘 통로는 전압 개폐 칼슘 통로, 리간드 개폐 칼슘 통로, 비선택적 양이온 통로로 분류된다. 전압 개폐 칼슘 통로는 L형, N형, P/Q형, R형, T형이 있으며, 세포막 전압 변화에 의해 활성화된다. 리간드 개폐 칼슘 통로는 IP3 수용체, 리아노딘 수용체, 두 개의 기공 채널, 저장소 작동 채널, P2X 수용체 등이 있으며, 특정 리간드에 의해 개폐된다. 비선택적 양이온 통로에는 P2X 수용체, TRP 채널, CNG 채널, 산 감지 이온 채널, SOC 채널 등이 있다. 칼슘 통로 차단제는 고혈압, 협심증 치료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슘 통로 - 전압 개폐 칼슘 통로
전압 개폐 칼슘 통로(VGCC)는 세포막 전압 변화에 반응하여 칼슘 이온 투과성을 조절하는 막 단백질 복합체로, 다양한 서브유닛으로 구성되어 여러 종류가 존재하며, 신경 전달, 근육 수축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관여하고 기능 이상은 여러 질병과 관련된다. - 이온 통로 -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아세틸콜린에 의해 활성화되어 이온을 통과시키는 리간드 개폐 이온 채널 막단백질로, 척추동물에서 근육형과 신경형으로 나뉘어 신경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활성화는 뉴런 탈분극을 유발하고 니코틴 의존증과 같은 질병 위험과도 연관된다. - 이온 통로 -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 개폐 이온 통로
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 개폐 이온 통로는 cAMP 또는 cGMP에 의해 활성화되는 이온 채널로, 다양한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생체 신호 전달, 시각, 후각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며, 구조는 4개의 단백질 소단위체로 구성된다. - 전기생리학 - 바이오피드백
바이오피드백은 정밀 기기로 생리적 활동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 사고, 감정, 행동 변화를 유도하여 생리적 변화를 지원하며, 치료 및 성적 향상에 활용되는 과정이다. - 전기생리학 - 근전도 검사
근전도 검사는 근육과 신경의 기능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검사로, 신경근 질환 진단, 운동 연구, 보툴리눔 독소 주입 보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인터페이스 제어 기술로도 연구된다.
칼슘 통로 | |
---|---|
칼슘 통로 | |
종류 | 이온 통로, 전압 의존성 칼슘 통로, 리간드 의존성 칼슘 통로 |
기능 | 세포 신호 전달, 근육 수축, 신경 전달 |
위치 | 세포막 |
관련 질병 | 고혈압, 부정맥, 간질 |
관련 유전자 | CACNA1A, CACNA1B, CACNA1C, CACNA1D, CACNA1E, CACNA1F, CACNA1G, CACNA1H, CACNA1I, CACNA1S |
2. 칼슘 통로의 종류
칼슘 통로는 크게 전압 개폐 칼슘 통로와 리간드 개폐 칼슘 통로로 나눌 수 있다. 전압 개폐 칼슘 통로는 세포막의 전압 변화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반면, 리간드 개폐 칼슘 통로는 특정 화학 물질(리간드)과의 결합을 통해 작동한다.
칼슘 통로 차단제는 고혈압이나 급성 신부전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14]
하위 섹션에서 이미 상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각 통로에 대한 간략한 정보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전압 개폐 칼슘 통로 (VGCC): L형, P/Q형, N형, R형, T형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각 유형은 활성화 전압, 발현 부위, 기능 등이 다르다.
- 리간드 개폐 칼슘 통로: IP3 수용체, 리아노딘 수용체, 두 개의 기공 채널, 저장소 작동 채널 등이 있으며, 소포체(ER)/근소포체(SR), 세포막 등 다양한 위치에 존재한다.
- 기타: P2X 수용체[13], 일과성 수용체 전위(TRP) 채널, 고리형 뉴클레오티드-개폐(CNG) 채널, 산 감지 이온 채널, SOC 채널 등은 양이온을 통과시키는 비선택적 양이온 통로 계열이다.[8] 포유류 정자에서 발견되는 Cat-Sper 채널은 전압 개폐형이자 리간드 조절형이다.[9]
2. 1. 전압 개폐 칼슘 통로 (Voltage-gated calcium channel, VGCC)
역치 전위서브유닛
서브유닛
(Long-Lasting, DHP Receptor)
Cav1.2
Cav1.3
Cav1.4
CACNA1C
CACNA1D
CACNA1F
(Purkinje)
(Neural / Non-L)
(Residual)
(Transient)
Cav3.2
Cav3.3
CACNA1H
CACNA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