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네스 아이버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네스 아이버슨은 캐나다 출신의 컴퓨터 과학자로, 배열 조작을 위한 수학적 표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APL 프로그래밍 언어를 설계했다. 그는 1960년 IBM에 입사하여 APL 개발에 참여했으며, 1979년 튜링상을 수상했다. 이후 I. P. 샤프 어소시에이츠에서 근무하며 APL을 발전시켰고, 로저 후이와 함께 APL의 후속 언어인 J 언어를 개발했다. 아이버슨은 J 언어 개발 및 교육에 힘썼으며, 200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컴퓨터 과학자 - 요슈아 벤지오
    프랑스 태생 캐나다 컴퓨터 과학자 요슈아 벤지오는 딥 러닝 분야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튜링상을 수상하고 몬트리올 학습 알고리즘 연구소 책임자로 활동하며 인공 신경망, 기계 번역, AI 안전 및 윤리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 캐나다의 컴퓨터 과학자 - 제프리 힌턴
    제프리 힌턴은 심층 신경망 연구의 선구자로서, 역전파 알고리즘 개선 및 효과적인 학습 방법 개발에 기여하여 튜링상을 수상하고 볼츠만 머신 공동 발명, t-SNE 시각화 기법 개발 등 다양한 신경망 연구에 기여했으며, AI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구글을 퇴사하고 존 호프필드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인지 심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이다.
  • 퀸스 대학교 (캐나다) 동문 - 시어 앤드루스
    캐나다 출신 배우이자 스포츠 방송인, 리얼리티 쇼 진행자인 시어 앤드루스는 퀸스 대학교 시절 방송을 시작해 연극, 영화, TV 드라마 출연과 ESPN 등 스포츠 방송 활동, 연예 뉴스 쇼 리포터, 리얼리티 쇼 진행 등을 맡았다.
  • 퀸스 대학교 (캐나다) 동문 - 웬디 크루슨
    웬디 크루슨은 캐나다의 배우로서 영화 《전쟁 신부》로 데뷔하여 《에어 포스 원》, 《산타클로스》 시리즈 등 흥행작과 여러 TV 시리즈에서 활약하며 캐나다 스크린 어워드와 제미니상을 수상하고 캐나다 명예의 거리에 헌액되었다.
  • 노르웨이계 캐나다인 - 조니 미첼
    캐나다 출신 싱어송라이터이자 화가인 조니 미첼은 포크를 시작으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실험적인 음악과 심오한 가사, 독특한 보컬, 다채로운 기타 연주로 많은 아티스트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히트곡들로 시대적 반향을 일으키고 그래미상을 수상하며 여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노르웨이계 캐나다인 - 조던 피터슨
    조던 피터슨은 캐나다 출신의 심리학자, 작가, 유튜버로, 토론토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를 역임하며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대중 강연과 저서를 통해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다.
케네스 아이버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케네스 E. 아이버슨
케네스 E. 아이버슨
출생일1920년 12월 17일
출생지앨버타주 캠로즈 , 캐나다
사망일2004년 10월 19일
사망지토론토, 캐나다
국적캐나다
학력
모교퀸스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제목선형 미분 방정식의 기계 해법 - 동적 경제 모델에의 응용
박사 학위 취득 년도1954년
박사 학위 논문 URLhttp://id.lib.harvard.edu/alma/990038550170203941/catalog
지도 교수하워드 에이컨
바실리 레온티예프
경력
직장하버드 대학교
IBM
I. P. Sharp Associates
Jsoftware Inc.
분야수학
컴퓨터 과학
업적
알려진 업적프로그래밍 언어: APL, J
수상
수상 내역IBM 펠로우
해리 H. 구드 기념상
튜링상
컴퓨터 파이오니어 상

2. 생애

케네스 아이버슨은 1920년 12월 17일 캐나다 앨버타 주 캠로즈 근처에서 태어났다.[1] 그의 부모는 노스다코타 주에서 앨버타로 이주한 농부였으며, 조상은 노르웨이 트론헤임 출신이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캐나다 육군캐나다 왕립 공군에서 복무했다.[15][3] 퀸스 대학교에서 학사, 하버드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하버드 대학교, IBM, I. P. 샤프 어소시에이츠, J소프트웨어 주식회사(구 아이버슨 소프트웨어 주식회사)에서 근무했다.

2004년 10월 16일, 새로운 J 랩에서 컴퓨터 작업을 하던 중 뇌졸중으로 쓰러졌고,[2] 10월 19일 토론토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20-1954)

케네스 아이버슨은 1920년 12월 17일 캐나다 앨버타 주 중부에 있는 캠로즈 근처에서 태어났다.[1] 그의 부모는 노스다코타 주에서 앨버타로 이주한 농부였으며, 조상은 노르웨이 트론헤임 출신이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캐나다 육군캐나다 왕립 공군에서 복무했다.[15][3] 1926년 4월 1일 단칸 학교에[3] 입학하여 3개월 만에 2학년으로, 1927년 6월 말에는 4학년으로 진급했다.

대공황으로 인해 9학년을 마치고 학교를 그만두었으나, 17세 때 시카고 드브리 대학교(DeVry University)의 드 포레스트 훈련(De Forest Training) 라디오 통신 강좌를 수강하며 교재로 미적분학을 독학했다.[3][4]

제2차 세계 대전캐나다 왕립 공군 복무 중 고등학교 졸업장을 위한 통신 강좌를 수강했다. 전쟁 후, 킹스턴의 퀸스 대학교(Queen's University)에 입학하여 참전 군인 지원을 받았다. 공군 동료의 격려도 있었다.[3] 1950년 수학물리학 학사 학위를 수석으로 졸업했다.[15]

하버드 대학교에서 1951년 수학 석사 학위를 받고, 이후 공학 및 응용물리학과로 전과하여 하워드 에이킨(Howard Aiken) 및 바실리 레온티예프(Wassily Leontief)와 함께 연구했다.

하버드 마크 I(Harvard Mark I)을 개발한 하워드 에이킨과 투입-산출 모형으로 노벨상을 받은 바실리 레온티예프의 연구에 참여했다. 레온티예프 모형의 큰 행렬을 하버드 마크 IV(Harvard Mark IV)에서 평가하는 프로그램을 연구하여 1954년 응용수학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7][8]

하버드에서 2회 퍼트넘 펠로우이자 앨버타 출신 동료 대학원생인 에오인 휘트니를 만났다.[9][77]

2. 2. 하버드 대학교 조교수 시절 (1955-1960)

아이버슨은 하버드 대학교 조교수로 재직하며 세계 최초의 "자동 데이터 처리" 대학원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1][130][12] 이 기간 동안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표기법을 개발하고, 수업을 가르치고, 프레데릭 브룩스와 함께 『자동 데이터 처리』를 집필했다.[18]

기존 수학 표기법의 한계를 느껴 더 적합한 표기법 확장에 착수했다. 특히, 논문에 사용된 행렬 대수, 텐서 분석에서 행렬과 고차원 배열의 체계적인 사용, 맥스웰 방정식 처리에서 헤비사이드의 연산자, 함수 인수에 대한 고차 함수를 채택했다.[3]

이 표기법은 1957년 맥킨지 & 컴퍼니(McKinsey & Company)에서 6개월간 안식년을 보내며 비즈니스 세계에서 현장 테스트를 거쳤다.[3][13]

아이버슨은 하버드 대학교에 5년간 머물렀지만, "그 작은 책 한 권 외에는 아무것도 출판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종신 재직권을 얻지 못했다.[15]

2. 3. IBM 시절 (1960-1980)

1960년, 케네스 아이버슨은 IBM 연구소(IBM Research)에 입사했다.[3] IBM에 합류하기 전 프레드 브룩스(Fred Brooks)는 아이버슨에게 "정말 하고 싶은 일을 고수하라. 경영진은 아이디어가 매우 부족해서 미친 짓이 아닌 이상 무엇이든 지원할 것이다."라고 조언했다.[3] 아이버슨은 자신의 수학적 표기법을 설명하는 저서 『프로그래밍 언어』[16][17]를 완성하고 출판했다.

IBM에서 아이버슨은 아딘 팔코프(Adin Falkoff)를 만나 20년 동안 함께 일했다. 1963년 초, 팔코프는 아이버슨과 에드 서센거스(Ed Sussenguth)의 도움을 받아 당시 설계 중이던 IBM System/360 컴퓨터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을 아이버슨의 표기법으로 만들었다.[19] 그 결과는 1964년 IBM Systems Journal의 특별 호에 게재되었으며,[20] 이후 "그레이 북" 또는 "그레이 매뉴얼"로 알려졌다.[20]

팔코프와 아이버슨은 표기법의 구현에도 힘썼다. 1965년 래리 브리드(Lawrence M. Breed)와 필 에이브럼스(Philip S. Abrams)가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1965년 가을까지 7090에서 FORTRAN 기반 구현인 IVSYS(Iverson system)를 배치 모드로, 1966년 초에는 시분할 대화형 모드로 제작했다.[39][25][26] 그 후, 브리드, 딕 래스웰(Richard H. Lathwell), 로저 무어(Roger Moore)는 System/360 구현을 제작했다.[27] 이들은 1973년 그레이스 머레이 호퍼상을 수상했다.[28] 360 구현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아이버슨 표기법"[26][29]은 팔코프에 의해 "APL"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0] APL\360 서비스는 1966년 IBM 내부에서 시작되었고,[31] 1968년에는 IBM 외부에도 공개되었다.[25]

1969년 아이버슨과 APL 그룹은 IBM 필라델피아 과학 센터를 개관했다.[25][34] 1970년 그는 IBM 펠로우로 임명되었다.[136] 1974년 과학 센터가 폐쇄되면서,[25][30] 아이버슨은 IBM 연구소로 다시 이전했다. 그는 1979년 튜링상을 수상했다.[138]

다음은 아이버슨이 IBM에 재직하는 동안 저술하거나 공동 저술한 출판물이다.

교육언어 설계 및 구현


2. 4. I. P. 샤프 어소시에이츠 시절 (1980-1987)

1980년, 아이버슨은 IBM을 떠나 APL 시분할 회사인 I. P. 샤프 어소시에이츠(I. P. Sharp Associates)로 이직했다.[74][75] I. P. 샤프 어소시에이츠에서 아이버슨은 APL 개발 및 확장에 힘썼다. 그는 ''연산자와 함수''(Operators and Functions)에서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APL을 발전시켰다.[69][76]

1981년, 아서 휘트니와 함께 OAG 데이터베이스를 APL로 모델링하면서 언어 작업에 진전을 이루었다.[98][100][15][77][78] 이 과정에서 휘트니는 랭크 연산자를 발명했다.[79]

아이버슨은 1983년 1월 ''합리화된 APL''(Rationalized APL)[99], 1984년과 1987년 사이에 여러 판으로 발행된 ''APL 언어 사전''(A Dictionary of the APL Language), 그리고 1987년 9월에 발행된 ''APL 사전''(A Dictionary of APL)[104]을 통해 APL을 더욱 단순화하고 확장했다. ''APL 사전''에서 APL 구문은 9x6 테이블로 제어되며, 파싱 프로세스는 표 2에 명확하게 설명되어 있다.

I. P. 샤프는 새로운 APL 아이디어를 단계적으로 구현했다. 1981년에는 복소수,[86] 묶인(상자형) 배열, 매치, 합성 연산자를 도입했고,[95] 1982년에는 행렬식 연산자를,[97] 1983년에는 랭크 연산자, 링크, 왼쪽 및 오른쪽 항등 함수를 도입했다.[101]

다음은 아이버슨이 I. P. 샤프 어소시에이츠에 재직하는 동안 저술하거나 공동 저술한 출판물이다.

분야출판물
교육
언어 설계 및 구현


2. 5. Jsoftware 시절 (1987-2004)

아이버슨은 1987년 I. P. 샤프 어소시에이츠에서 은퇴했다.[130] 그는 로저 후이, 아서 휘트니 등과 함께 APL의 후속 언어인 J 언어 개발에 착수했다.[109] J 언어는 APL의 장점을 계승하면서, ASCII 문자만을 사용하여 표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130]

1990년, 아이버슨은 Iverson Software Inc. (후에 Jsoftware Inc.)를 설립하여 J 언어 개발 및 보급에 주력했다.[79] 1990년대 이후, J 언어를 활용한 수학 및 프로그래밍 교육 자료 개발에 힘썼다.[117][118][119][120][121][122][123][124][125]

2004년 10월 19일, 온타리오 주 토론토에서 심장 발작으로 사망했다.[1]

아이버슨이 Iverson Software Inc. 및 Jsoftware Inc.에 재직하는 동안 저술 또는 공동 저술한 출판물은 다음과 같다.

분야제목
교육
언어 설계 및 구현


3. APL과 J

아이버슨은 IBM에서 아딘 팔코프와 20년간 함께 일하며, 1962년 저서 ''A Programming Language''[142]에서 설명한 아이버슨 표기법을 기반으로 APL을 개발했다. 이 표기법은 IBM 7090 컴퓨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고,[16][17] 1963년에는 IBM System/360 컴퓨터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으로 만들어졌다.[19] 이 공식 설명은 "그레이 북" 또는 "그레이 매뉴얼"로 알려졌으며, IBM 시스템 연구소에서 컴퓨터 시스템 설계 과정에 사용되었다.[20]

1965년 래리 브리드와 필 에이브럼스가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APL 구현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1965년 가을까지 7090에서 FORTRAN 기반 구현인 IVSYS(Iverson system)를 배치 모드로, 1966년 초에는 시분할 대화형 모드로 제작했다.[39][25][26] 이후 브리드, 딕 래스웰, 로저 무어는 System/360 구현을 제작했다.[27] 이들은 1973년 그레이스 머레이 호퍼상을 수상했다.[28] "아이버슨 표기법"[26][29]은 360 구현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팔코프에 의해 "APL"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0]

(왼쪽부터) 딕 래스웰, 켄 아이버슨, 로저 무어, 아딘 팔코프, 필 에이브럼스, 래리 브리드. 배경 왼쪽 가장자리: 존 맥그루. 1978년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서 열린 APL 사용자 회의에서 I.P. 샤프 어소시에이츠 환대 스위트에서 촬영.


APL은 간결하고 강력한 배열 처리 기능을 제공하여 복잡한 수학적 연산을 쉽게 표현할 수 있지만, 특수 기호를 사용하여 가독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0-70년대 과학 기술 및 금융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아이버슨은 1980년 I. P. 샤프 어소시에이츠로 옮겨 APL을 계속 발전시켰다.[74][75] 그는 ''연산자와 함수''에서 제시된 내용에 따라 APL을 확장했다.[69][76] 1987년에는 ''APL 사전''을 발행하여 APL을 더욱 단순화하고 확장했다.[104]

1989년, 로저 후이와 함께 APL풍 언어인 J를 개발하여 이듬해 APL90 회의에서 처음 공개했다.[144] J는 APL의 문제점(일반적인 문자 세트로는 기술할 수 없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 문자 세트로 기술 가능하도록 했으며, 함수형 프로그래밍, 변수 배열, MIMD형 병렬 조작 등의 개선을 더했다. J 언어는 기존 APL을 개선한 언어를 의도하고 있으며, J 인터프리터와 언어는 현재도 계속 발전하고 있다. J Software에서 GPLv3 라이선스로 제공된다.[145]

3. 1. APL (A Programming Language)

아이버슨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며 세계 최초의 "자동 데이터 처리" 대학원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1][130][12] 이 기간 동안 그는 데이터 처리의 다양한 주제를 설명하고 분석하기 위한 표기법을 개발했는데, 기존의 수학적 표기법이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경악"했기 때문이다.[18][3] 그는 행렬 대수, 텐서 분석, 헤비사이드의 연산자 등을 채택하여 더 적합한 표기법을 만들었다.[3]



이 표기법은 1957년 맥킨지 & 컴퍼니(McKinsey & Company)에서 6개월간의 안식년 동안 비즈니스 세계에서 현장 테스트를 거쳤다.[3][13] 1960년 IBM 연구소(IBM Research)에 입사한 후, 프레드 브룩스(Fred Brooks)의 조언에 따라 이 표기법을 발전시켜 『프로그래밍 언어』[16][17]와 (브룩스와 함께) 『자동 데이터 처리』[18]를 출판했다.

IBM에서 아이버슨은 아딘 팔코프(Adin Falkoff)를 만나 20년 동안 함께 일했다. 이들은 아이버슨의 표기법을 사용하여 IBM 7090 컴퓨터를 설명하고,[16][17] 1963년에는 IBM System/360 컴퓨터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을 만들었다.[19] 이 설명은 "그레이 북" 또는 "그레이 매뉴얼"로 알려졌으며, IBM 시스템 연구소에서 컴퓨터 시스템 설계 과정에 사용되었다.[20]



1965년 래리 브리드와 필 에이브럼스가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APL 구현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1965년 가을까지 7090에서 FORTRAN 기반 구현인 IVSYS(Iverson system)를 배치 모드로, 1966년 초에는 시분할 대화형 모드로 제작했다.[39][25][26] 이후 브리드, 딕 래스웰, 로저 무어는 System/360 구현을 제작했다.[27] 이들은 1973년 그레이스 머레이 호퍼상을 수상했다.[28] 360 구현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아이버슨 표기법"[26][29]은 팔코프에 의해 "APL"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0]

APL은 간결하고 강력한 배열 처리 기능을 제공하며, 복잡한 수학적 연산을 쉽게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특수 기호를 사용하여 가독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0-70년대 과학 기술 및 금융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아이버슨은 1980년 I. P. 샤프 어소시에이츠로 옮겨 APL을 계속 발전시켰다.[74][75] 그는 ''연산자와 함수''에서 제시된 내용에 따라 APL을 확장했다.[69][76] 1987년에는 ''APL 사전''을 발행하여 APL을 더욱 단순화하고 확장했다.[104]

3. 2. J

로저 후이(Roger Hui)와 함께 APL을 개선한 J를 개발했다.[144] J는 APL이 일반적인 문자 세트로 기술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SCII 문자만으로 기술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함수형 프로그래밍 요소를 도입했다.[145] J 인터프리터와 언어는 현재도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J Software에서 GPLv3 라이선스로 제공된다.[145]



아이버슨은 1987년 I. P. Sharp Associates에서 은퇴했지만, "실직 기간" 동안에도 1988년 "fork"를 발명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지속했다.[127] 그는 1978년 "스칼라 연산자",[69] 1982년 "틸" 연산자,[98][99] 1984년 연결 및 형태 변환 연산자,[102] 1987년 합집합 및 교집합 연산자,[104] 1988년 "yoke"를 거쳐,[126] 1988년 fork를 고안하기까지 f+g를 미적분학에서처럼 표현하는 방법을 꾸준히 연구했다. Fork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 g h) y←→(f y) g (h y)
x (f g h) y←→(x f y) g (x h y)



또한 (f g p q r) ←→ (f g (p q r))이다. 아이버슨과 유진 맥도넬(Eugene McDonnell)은 시드니에서 열린 APL88 컨퍼런스에서 이 아이디어를 구체화했다.[79][108][76]

아이버슨은 1987년 이후 자신의 작업에 대해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했다.[130]

로저 후이(Roger Hui)는 "J의 구현" 부록 A에서 J 개발의 최종적인 계기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109]

후이는 앨버타 대학교(University of Alberta)에서 휘트니의 동창이었고, 아이버슨이 ''APL 언어 사전''을 연구할 때 함께 했으며,[3] 구문 분석 프로세스를 모델링하고,[79] 사전 APL의 사용법을 연구했다.[110] 그는 1987년부터 1989년까지 SAX를 사용했다.[87][79]

J는 ''APL 사전''[104]을 명세서로 삼아 개발되었으며, J 인터프리터는 사전의 표 2를 중심으로 구축되었다. C 데이터 및 프로그램 구조는 C의 구문 분석 표가 사전의 구문 분석 표에 대응하도록 설계되었다.[79] 아이버슨의 APL87 논문 ''APL87''[103]은 APL 인터프리터 작성 단계를 제시했다. 아서 휘트니(Arthur Whitney (computer scientist)|아서 휘트니]]는 기본 요소 정렬, 협정, 전체 배열 정렬을 제안하여 J 개발에 기여했다.[111][112]

fork 구현은 구문 분석 표에 한 행을 추가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이루어졌다. fork는 암묵적 표현식을 완성하는 역할을 한다.[129][113] 인수가 피연산자로 사용되지 않는 문장은 fork, compose, 좌/우 항등 함수, 상수 함수를 사용하여 암묵적으로 작성 가능하다.

J와 APL의 차이점은 (a) 자연어 용어 사용 (''APL 사전''에서 시작), (b) ASCII 문자 사용이다. 자세한 내용은 ''J for the APL Programmer''[114] 및 ''APL and J''[115]에 설명되어 있다.

J 소스 코드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NU General Public License) 버전 3 (GPL3) 또는 상업적 대안에 따라 Jsoftware에서 제공된다.[116]

4. 수상 및 영예

연도수상 및 영예기관
1970IBM 펠로우(IBM Fellow)IBM[138][136]
1975해리 H. 굿 기념상(Harry H. Goode Memorial Award)IEEE 컴퓨터 소사이어티[136]
1979미국 공학 한림원(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회원미국 공학 한림원(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137]
1979튜링상(Turing Award)계산기 학회(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138]
1982컴퓨터 개척자상(Computer Pioneer Award) (창립 수혜자)IEEE 컴퓨터 소사이어티[139]
1998명예 박사 학위요크 대학교(York University)[140]
2015Agdistis iversoni 명명(새로운 나방 종)[141]


5. 주요 저서


  • ''A Programming Language'' (1962년)
  • ''Automatic Data Processing'' (프레데릭 브룩스와 공저) (1963년)
  • ''A Formal Description of SYSTEM/360'' (A. D. Falkoff 및 E. H. Sussenguth와 공저), IBM Systems Journal, vol. 3. no. 3, 1964, pp. 198–262.
  • ''Elementary Functions: an algorithmic treatment'' (Science Research Associates, Inc.) (1966년)
  • ''APL\360:User's Manual'' (A. D. Falkoff와 공저), IBM, 1968
  • ''APL in Exposition,'' IBM Philadelphia Scientific Center Tech. Report No. 320-3010, IBM, 1972.
  • ''The Design of APL,'' (A. D. Falkoff와 공저) IBM J.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17, no. 4, 1973, pp. 324–334.
  • ''Notation as a Tool of Thought,'' Comm. ACM, vol. 23, no. 8, 1980, pp. 444–465.
  • ''A Source Book In APL'' (Adin D. Falkoff와 공저) (APL Press) (1981년)
  • ''Tangible Math'' (Iverson Software Inc.) (1990년)
  • ''A Personal View of APL,'' IBM System Journal, vol. 30, no. 4, 1991, pp. 582–593.
  • ''The ISI Dictionary of J'' (Iverson Software Inc.) (1991년)

6. 한국과의 관계

아이버슨의 APL과 J 언어는 1980년대부터 한국에서도 학계와 산업계 일부에서 사용되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과 등 일부 대학에서 APL을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기도 했다. 아이버슨의 업적은 한국의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도 영감을 주었으며, 그의 프로그래밍 방식은 한국 IT 산업 발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웹사이트 Kenneth Iverson https://www.independ[...] 2004-11-16
[2] 간행물 Dr. Kenneth E. Iverson (J Forum message) https://jsoftware.co[...] 2004-10-21
[3] 간행물 Kenneth E. Iverson (Autobiography) https://www.jsoftwar[...] 2008
[4] 서적 Calculus https://archive.org/[...] McGraw-Hill
[5] 서적 Howard Aiken: Portrait of a Computer Pioneer MIT Press 1999
[6] 서적 Makin' Numbers MIT Press 1999
[7] 논문 Machine Solutions of Linear Differential Equations – Applications to a Dynamic Economic Model https://www.jsoftwar[...] 1954
[8] 간행물 MSLDE https://code.jsoftwa[...] 2012-08
[9] 간행물 Memories of Ken https://archive.vect[...] 2006-08
[10] 간행물 A Personal History of APL https://ed-thelen.or[...] 1982-10
[11] 간행물 Graduate Instruction and Research https://www.jsoftwar[...] Wayne State University 1954-06
[12] 간행물 The Language, the Mind and the Man https://archive.vect[...] 2006-08
[13] 간행물 The Evolution of APL https://www.jsoftwar[...] 1978-08
[14] 간행물 The Description of Finite Sequential Processes https://www.jsoftwar[...] Royal Institution, London 1960-08
[15] 간행물 Ken Iverson Quotations and Anecdotes https://www.jsoftwar[...] 2005-09-30
[16] 간행물 Letter to J.K. Tuttle https://www.jsoftwar[...] 1983-12-14
[17] 서적 A Programming Language https://www.jsoftwar[...] John Wiley & Sons 1962
[18] 서적 Automatic Data Processing Wiley 1963
[19] 간행물 The Design of APL https://www.jsoftwar[...] 1973-07
[20] 간행물 A Formal Description of System/360 https://www.research[...] 1964
[21] 간행물 APL Quotations and Anecdotes https://www.jsoftwar[...] 2010-09
[22] 간행물 The Solution of Linear Systems of Equations and Linear Least Squares Problems in APL IBM Corp. 1970-06
[23] 간행물 Domino – An APL Primitive Function for Matrix Inverse – Its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s 1972-02-10
[24] 간행물 A Tribute to Ken Iverson https://archive.vect[...] 2006-08
[25] 간행물 The IBM Family of APL Systems 1991-12
[26] 간행물 An Interpreter for "Iverson Notation" https://i.stanford.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Stanford University 1966-08-17
[27] 간행물 The APL\360 Terminal System https://www.jsoftwar[...] IBM 1967-10-16
[28] 웹사이트 Breed https://awards.acm.o[...]
[29] 서적 Introduction to Iverson Notation IBM Systems Development Division, Poughkeepsie, NY 1966-08
[30] 간행물 A Source Book in APL, Introduction https://code.jsoftwa[...] APL Press 1981
[31] 간행물 The First APL Terminal Session 1991-09
[32] 간행물 Sixteen APL Amuse-Bouches https://www.jsoftwar[...] 2014-10-11
[33] 간행물 Almost Perfect Artifacts Improve only in Small Ways: APL is more French than English https://www.jsoftwar[...] 1978-03-29
[34] 간행물 APL\360 History https://www.jsoftwar[...] 1969-07
[35] 간행물 Conventions Governing Order of Evaluation (Appendix A of Elementary Functions: An Algorithmic Treatment) https://www.jsoftwar[...] Science Research Associates 1966
[36] 서적 Algebra as a Language (Appendix A of Algebra: An Algorithmic Treatment) https://www.jsoftwar[...] Addison-Wesley 1972
[37] 서적 Elementary Functions: An Algorithmic Treatment Science Research Associates 1966-03
[38] 간행물 The Socio-Technical Beginnings of APL https://www.jsoftwar[...] 1979-12
[39] 학술지 How We Got to APL\1130 https://archive.vect[...] 2006-08
[40] 간행물 APL Quotations and Anecdotes https://www.jsoftwar[...]
[41] 학술지 Recreational APL, Pyramigram https://www.jsoftwar[...] 1980-09
[42] 간행물 APL in the Atlanta Public Schools 1969-10
[43] 간행물 APL IV: Fourth International APL Conference https://eric.ed.gov/[...] 1972-06
[44] 서적 Masterminds of Programming https://www.jsoftwar[...] O'Reilly Media 2009-03
[45] 간행물 Expository Programming https://archive.vect[...] 2006-08
[46] 학술지 APL and Insight IBM Corp. 1973-03
[47] 서적 Resistive Circuit Theory IBM 1973-03
[48] 서적 Calculus in a New Key APL Press 1976
[49] 학술지 Starmap IBM Corp. 1973
[50] 간행물 The Use of APL in Teaching https://www.software[...] IBM Pub. No. G320-0996 1969
[51] 학술지 Using the Computer to Compute: A Direct but Neglected Approach to Teaching Mathematics 1970-08-24
[52] 간행물 Algebra: An Algorithmic Treatment Addison-Wesley 1972
[53] 간행물 APL in Exposition https://www.software[...] IBM Philadelphia Scientific Center 1972-01
[54] 간행물 An Introduction to APL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https://www.software[...] IBM Philadelphia Scientific Center 1973-03
[55] 간행물 Introducing APL to Teachers https://www.software[...] IBM Philadelphia Scientific Center 1972-07
[56] 간행물 Elementary Analysis APL Press 1976
[57] 학술지 Programming Style in APL https://www.jsoftwar[...] I. P. Sharp Associates 1978-09
[58] 학술지 A Programming Language https://www.jsoftwar[...] 1962-05
[59] 학술지 A Common Language for Hardware, Software, and Applications https://www.jsoftwar[...] 1962-12
[60] 학술지 Programming Notation in System Design https://www.jsoftwar[...] 1963-06
[61] 학술지 Formalism in Programming Languages https://www.jsoftwar[...] 1964-02
[62] 학술지 A Method of Syntax Specification 1964-10
[63] 서적 APL\360 User's Manual https://bitsavers.tr[...] IBM 1968
[64] 학술지 Communication in APL Systems IBM Philadelphia Scientific Center 1973-05
[65] 서적 APL as an Analytic Notation IBM Philadelphia Scientific Center 1973
[66] 서적 APLSV User's Manual https://www.software[...] IBM Philadelphia Scientific Center 1973
[67] 서적 APL Language (Form No. GC26-3847) https://www.bitsaver[...] IBM 1975-03
[68]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L - APL '76 1976-09
[69] 간행물 Operators and Functions https://www.jsoftwar[...] IBM 1978-04-26
[70]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L: Part 1 - APL '79 https://www.jsoftwar[...] 1979-06
[71]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L: Part 1 - APL '79 1979-06
[72] 논문 Operators 1979-10
[73] 논문 On Average https://archive.vect[...] 2016-04-12
[74] 논문 Dr. Kenneth E. Iverson https://www.snakeisl[...] 2019-08-08
[75] 간행물 Eugene McDonnell Quotations and Anecdotes https://www.jsoftwar[...] 2016-04-05
[76] 논문 APL Since 1978 2020-06
[77] 논문 A Conversation with Arthur Whitney https://queue.acm.or[...] 2016-04-07
[78] 간행물 A Celebration of Kenneth Iverson https://keiapl.org/r[...] Computer History Museum 2016-04-17
[79] 간행물 Remembering Ken Iverson https://keiapl.org/r[...] 2016-04-10
[80] 논문 A Generalization of APL Department of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s, Syracuse University 1971
[81] 간행물 The Principles of APL2 IBM Santa Teresa Laboratory 1984
[82] 간행물 APL2 Programming: Language Reference IBM Corporation 1988
[83]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L - APL '81 1981
[84] 간행물 APL*PLUS Nested Array System https://www.sudleypl[...] Scientific Time Sharing Corporation 2016-04-19
[85] 논문 A Comparison of the IPSA and STSC Implementations of Operators and General Arrays https://www.jsoftwar[...] 2016-04-13
[86] 논문 Complex Numbers https://www.jsoftwar[...] 2016-04-11
[87] 서적 SAX Reference I. P. Sharp Associates
[88] 간행물 What's Wrong with My Programming? https://archive.vect[...] 2016-04-25
[89] 간행물 The Inductive Method of Introducing APL https://www.jsoftwar[...] 2016-04-10
[90] 서적 A SHARP APL Minicourse I. P. Sharp Associates 1981-01
[91] 서적 Applied Mathematics for Programmers I. P. Sharp Associates 1984
[92] 서적 Mathematics and Programming I. P. Sharp Associates 1986-07
[93] 간행물 Operators and Enclosed Arrays https://www.jsoftwar[...] 2016-04-10
[94] 논문 Direct Definition 1980-10
[95] 논문 Composition and Enclosure https://www.jsoftwar[...] 2016-04-11
[96] 간행물 A function definition operator 1981-09
[97] 논문 Determinant-Like Functions Produced by the Dot-Operator https://www.jsoftwar[...] 2016-04-11
[98] 간행물 Practical Uses of a Model of APL https://www.jsoftwar[...] 2016-04-10
[99] 간행물 Rationalized APL https://www.jsoftwar[...] I. P. Sharp Associates 2016-04-10
[100] 간행물 APL Syntax and Semantics https://www.jsoftwar[...] 2016-04-10
[101] 논문 Language Extensions of May 1983 https://www.jsoftwar[...] 2016-04-11
[102] 간행물 An Operator Calculus https://www.jsoftwar[...] 2016-04-10
[103] 간행물 APL87 https://www.jsoftwar[...] 2016-04-10
[104] 간행물 A Dictionary of APL https://www.jsoftwar[...] 2016-04-10
[105] 논문 Processing natural language syntactic and semantic mechanisms 1989-08
[106] 간행물 Ken Iverson's Favorite APL Expression? https://www.dyalog.c[...] 2014-12-03
[107] 간행물 Dyalog APL Language Reference (version 14.0 or later) https://docs.dyalog.[...] Dyalog Limited 2014
[108] 간행물 J Programming Forum post https://jsoftware.co[...] 2017-10-19
[109] 서적 An Implementation of J https://www.jsoftwar[...] Iverson Software Inc. 1992-01-27
[110] 간행물 Some Uses of { and } https://www.jsoftwar[...] 1987-05
[111] 간행물 Rank and Uniformity https://www.jsoftwar[...] 1995-06
[112] 간행물 The TAO of J https://code.jsoftwa[...] 2006-01-27
[113] 서적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L '91 - APL '91 1991-08
[114] 간행물 J for the APL Programmer https://www.jsoftwar[...] 1996-09
[115] 간행물 APL and J https://www.jsoftwar[...] 2005-03-02
[116] 간행물 J Source https://jsoftware.co[...] Jsoftware, Inc.
[117] 서적 Tangible Math Iverson Software Inc. 1991
[118] 서적 Programming in J Iverson Software Inc. 1991
[119] 서적 Arithmetic https://www.jsoftwar[...] Iverson Software Inc. 1991
[120] 서적 Calculus https://www.jsoftwar[...] Iverson Software Inc. 1993
[121] 서적 Concrete Math Companion https://www.jsoftwar[...] Iverson Software Inc. 1995
[122] 서적 Exploring Math https://www.jsoftwar[...] Iverson Software Inc. 1996
[123] 서적 J Phrases https://www.jsoftwar[...] Iverson Software Inc. 1996
[124] 간행물 ICFP '98 Contest Winners https://www.jsoftwar[...] 1998
[125] 서적 Math for the Layman https://www.jsoftwar[...] JSoftware Inc. 1999
[126] 간행물 A Commentary on APL Development https://www.jsoftwar[...] 1988-09
[127] 간행물 Phrasal Forms https://www.jsoftwar[...] 1989-08
[128] 간행물 APL/? https://www.jsoftwar[...] 1990-07
[129]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L '91 - APL '91 1991-08
[130] 간행물 A Personal View of APL https://www.jsoftwar[...] 1991-12
[131] 웹사이트 J Introduction and Dictionary https://www.jsoftwar[...] Jsoftware Inc. 1991
[132] 간행물 Revisiting Rough Spots https://www.jsoftwar[...] 1994-03
[133] 간행물 Computers and Mathematical Notation https://www.jsoftwar[...] Iverson Software Inc. 1996
[134]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Share knowledge share success - APL '97 1998-01
[135] 간행물 APL in the New Millennium https://archive.vect[...] 2006-08
[136] 간행물 Iverson Receives Harry Goode Award https://www.jsoftwar[...] 1975-06
[137] 간행물 NAE Members Directory https://www.nae.edu/[...]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138] 간행물 Notation as a Tool of Thought https://www.jsoftwar[...] 1980-08
[139] 간행물 Computer Pioneer Award (Charter Recipient) https://www.computer[...] IEEE Computer Society 1982
[140] 간행물 Citation for Dr. Kenneth Iverson https://www.jsoftwar[...] York University 1998-06-11
[141] 간행물 New species of plume moths of the genus ''Agdistis'' Hübner, 1825 (Lepidoptera: Pterophoridae: Agdistinae) from southern Africa
[142] 서적 John Wiley & Sons
[143] 웹사이트 Citation in Corporate Technical Recognition Event (CTRE) booklet, 3 June 1997 http://www.almaden.i[...]
[144] 간행물 APL/? http://www.jsoftware[...]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ACM
[145] 웹사이트 J Software Source Code page http://jsoftware.com[...]
[146] 웹사이트 Computer Pioneer Charter Recipients http://www.computer.[...] IEEE Computer Society 2011-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