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디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디브는 1867년부터 사용된 명칭으로,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이집트의 통치자에게 부여한 칭호이다.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 왕조가 1867년부터 1914년까지 사용했다. 19세기 초, 이집트가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지역 기반을 다지면서 왈리 대신 케디브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882년 우라비 반란 이후 영국이 이집트를 점령하면서, 케디브는 영국의 영향력 아래 명목상 오스만 제국의 주권을 유지하며 통치했다. 1914년 이집트가 영국 보호령이 되면서 케디브 칭호는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방관직 - 베이
베이는 튀르크어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튀르크 및 이슬람 국가에서 사용된 칭호로, 부족 지도자, 군사령관, 지방 통치자 등 다양한 지위를 나타내며, 오스만 제국에서는 고위 관료나 군인의 칭호로 사용되었고 현대 터키어에서는 남성을 존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지방관직 - 사트라프
사트라프는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유래한 "주의 수호자"라는 뜻의 고대 이란어에서 비롯된 단어로, 속주의 총독을 지칭하며 행정, 사법, 군사적 권한을 가지고 속주를 다스렸고, 이후 여러 제국에서 유지 및 변화되었다. - 이집트의 귀족 - 쿠투즈
쿠투즈는 1260년 아인 잘루트 전투에서 몽골 제국을 격퇴하여 이슬람 세계를 보호하는 데 기여한 맘루크 왕조의 인물이다. - 이집트의 귀족 - 무라드 베이
무라드 베이는 18세기 후반 이집트를 지배한 맘루크 지도자이며,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시기에 저항하다가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 오스만 제국의 칭호 - 술탄 중의 술탄
- 오스만 제국의 칭호 - 파디샤
파디샤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하여 "위대한 왕" 또는 "왕 중 왕"을 의미하며 황제에 준하는 통치자를 지칭하는 칭호로, 역사적으로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중동 지역의 여러 제국에서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고, 특히 무굴 제국과 오스만 제국의 통치자들이 사용하면서 권위와 위엄, 제국의 힘을 상징했다.
| 케디브 |
|---|
2. 어원
케디브라는 명칭은 1867년부터 영어로 기록되었으며, 프랑스어 khédive|케디브프랑스어에서 차용되었고, 이는 다시 오스만 튀르크어 خدیو|흐디브ota에서 유래되었으며, 고전 페르시아어 خدیو|khidēvfa ("군주")에서 파생되었다.[3]
19세기와 20세기 초 이집트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점차 독립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1798년 프랑스의 이집트 침공 이후, 오스만 제국은 무함마드 알리가 이끄는 군대를 파견하여 이집트 통제권 회복을 시도했다. 그러나 무함마드 알리는 권력을 장악하고 스스로 통치자를 선언, 1805년 오스만 제국의 왈리(총독)로 인정받았다. 그는 더 높은 칭호인 케디브를 사용했으며, 그의 후계자들도 이 칭호를 사용했다.
3. 19세기와 20세기 초 이집트
1867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압둘아지즈는 이스마일 파샤에게 케디브 칭호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3] 이스마일 파샤는 왕위 계승 방식을 부자 상속으로 바꾸려 했고, 술탄은 이를 승인했다. 그러나 1879년, 대영 제국과 프랑스 제3 공화국의 압력으로 이스마일 파샤는 폐위되고, 그의 아들 테우피크 파샤가 새로운 케디브가 되었다. 이스마일 파샤는 망명 후 보스포루스 해협의 에미르간 궁전에서 은퇴하여 사망했고, 카이로에 묻혔다.[3]
1882년 우라비 반란 이후, 영국은 이집트를 침공하여 점령했다. 이 기간 동안 무함마드 알리 왕조는 케디브 칭호를 유지하며 이집트와 수단을 통치했지만, 1914년 영국은 이집트를 영국 보호령으로 선언하고 이집트 술탄국을 수립했다.[3]
3. 1. 왈리국 시대 (1805년 ~ 1867년)
1798년 프랑스의 이집트 침공과 나폴레옹이 통치계급인 맘루크 군을 주축으로 하는 이집트 군을 격파한 후, 오스만 제국은 그동안 오스만 제국의 속주였던 이집트에서 제국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룸멜리아(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방)에서 무함마드 알리 파샤가 지휘하는 군대를 파견했다. 그러나 프랑스가 패배하고 철수한 후, 무함마드 알리는 이집트의 통제권을 장악하고 스스로 이집트의 통치자를 선언하여 빠르게 독립적인 지역 기반을 다졌다. 그를 제거하고 암살하려는 시도가 여러 번 실패한 후, 1805년 술탄의 궁정은 공식적으로 무함마드 알리를 이집트의 파샤이자 왈리(총독)로 인정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더 큰 야망을 보여주며, 그의 후계자인 압바스 1세, 사이드 1세 및 이브라힘 파샤와 마찬가지로 더 높은 칭호인 케디브를 스스로 칭했다.
3. 2. 케디브국 시대 (1867년 ~ 1914년)
1867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압둘아지즈는 이스마일 파샤에게 케디브 칭호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3] 이스마일 파샤는 오스만 제국과 아랍 왕조의 전통과 달리 왕위 계승을 형제 상속이 아닌 부자 상속으로 바꾸려 했고, 술탄은 이를 받아들였다. 1879년 5월, 대영 제국과 프랑스 제3 공화국은 오스만 제국의 술탄 압둘하미드 2세에게 이스마일 파샤를 폐위하도록 압력을 가했고, 이는 1879년 6월 26일에 이루어졌다. 테우피크 파샤는 이스마일 파샤의 아들로서 새로운 케디브가 되었다. 이스마일 파샤는 이집트를 떠나 처음에 나폴리로 망명했지만, 결국 술탄 압둘하미드 2세의 허가를 받아 보스포루스 해협의 에미르간 공원[3]에 있는 에미르간 궁전에서 은퇴했다. 그는 그곳에서 죽을 때까지 사실상 감금된 상태로 머물렀으며, 나중에 카이로에 묻혔다.
1882년 민족주의자 우라비 반란 이후, 영국은 테우피크 파샤를 지원하기 위해 이집트를 침공하여 이집트 점령을 시작했다. 이 기간 동안 테우피크 파샤와 그의 아들 압바스 2세 치하의 무함마드 알리 왕조는 1914년까지 명목상(법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주권을 유지하면서 케디브 칭호를 사용하여 이집트와 수단을 통치했다.[3]
1914년 영국은 이집트의 압바스 2세를 폐위하고 이집트를 영국 보호령으로 선언했다. 압바스 2세의 삼촌 후세인 카멜이 술탄 칭호로 통치하는 이집트 술탄국이 수립되었다.
참조
[1]
간행물
Khedive
https://www.academia[...]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Leiden: Brill, 2020)
2020
[2]
백과사전
Ismail Pasha, Ottoman Viceroy of Egypt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3]
웹사이트
Historic photo of the Khedive Ismail Pasha Palace (Hıdiv İsmail Paşa Sarayı)
http://www.agaclar.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