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에콰디어족은 코에어족과 콰디어를 포함하는 언어 가설이다. 이 가설은 두 언어에 공통된 대명사 체계와 어휘, 동사 구문 등을 근거로 제시되었다. 특히, 코에콰디어족은 최소형과 증대형의 두 가지 형태를 가진 대명사 체계를 가지며, 의존 동사가 접미사 *-(a)Ra로 표시되는 동사 구문을 공유한다. 가장 가까운 친족으로는 산다웨어 언어가 제시되나, 아직까지 명확한 음운 대응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코에어족 - 코에코에어 코에코에어는 코에어족 언어로서 과거 주어족 언어를 사용하던 하이옴족이 언어 전환한 언어이며,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나미비아의 국어이자 공용어이지만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코에어족 - 콰디어 콰디어는 7개의 구두 모음과 3개의 비모음을 가지며, 다양한 자음 체계와 더불어 1, 2인칭 대명사 및 주격, 목적격, 소유격을 구분하고, 명사는 성과 수를 구분하는 언어이다.
코에어족과 콰디어에 공통된 대명사 체계와 몇몇 기초어휘가 재구되었다. 콰디어에 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공통된 단어 중 어떤 것이 동계어이고 어떤 것이 차용어인지 알기 어렵지만, 약 50개의 어휘 대응과 공통의 동사 구문이 파악된 바 있다. 에른스트 베스트팔이 남긴 콰디어 현장조사 기록은 추가적인 문법적 대응 관계를 발견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 아래 2018년까지도 계속 연구되고 있다.
코에콰디어족의 가장 가까운 친척은 고립어인 산다웨어일 가능성이 있다. 산다웨어 대명사 체계는 코에콰디어족과 매우 유사하지만, 규칙적인 음운 대응을 찾기에는 아직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예컨대 코에어족에는 존재하지만 산다웨어에는 없는 후설 모음 제약 등을 고려하면, 둘 사이의 관계는 어느 정도의 예측 능력을 가질지도 모른다.[1]
2. 1. 대명사 체계
(단수/쌍수 대명사)
증대형 (복수 대명사)
포함 1인칭
*mu
?
1인칭 단수
*ti~ta (이형태)
?
2인칭
*sa
*o 또는 *u
3인칭 남성
*어간-(?)-E
*어간-(?)-u
3인칭 여성
*어간-(s)E
*어간-(?)-E
여기서 는 정확한 음가를 모르는 전설 모음이고, 대명사 어간은 *xa 같은 지시사 또는 *kho '사람'과 같은 일반명사가 될 수 있었다. 3인칭 접미사는 명사에도 붙을 수 있었고, 명사에는 쌍수 접미사 *-da도 붙을 수 있었다.
2. 2. 동사 구문
콰디어와 코에어족 모두 의존 동사가 접미사 *-(a)Ra로 표시되고 그 뒤의 한정 동사가 무표적으로 나타나는 동사 구문이 있다.[1]
3. 음운론
원시 코에콰디어의 모음은 구두 모음 *a, *e, *i, *o, *u와 비음 *ã, *ĩ, *ũ, 그리고 이중 모음 *ai, *ae, *ao, *au, *oa, *oe, *ue, *ui와 비음 *ãĩ, *ũã으로 재구성된다.[1]
3. 1. 자음
원시 코에콰디어의 클릭음이 아닌 자음은 다음과 같이 재구성된다. 괄호 안에 있는 유성 자음의 존재는 불확실하다. 대문자로 표기된 자음의 성격은 불확실하다. 예를 들어, *K 계열은 구개음일 수 있지만, 자음-모음 조화나 ±RTR 구별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TS)H는 일부 언어에서는 /ts/에 해당하고, 다른 언어에서는 /h/에 해당한다. *TSʼ는 아마 /tsʼ/가 아니었을 것이고, 심지어 클릭음이었을 수도 있다.[1]
콰디어에는 치경 클릭음만 남아있다. 코에콰디어의 측면, 구개 및 치경 클릭음은 콰디어의 측면, 구개 및 연구개 파열음 및 파찰음에 해당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대응 관계가 있다. 콰디어의 구개수 파찰음과 마찰음은 원시-Kxʼa의 다섯 번째 클릭음 계열과 유사하게 원시 코에콰디어의 측면 및 치경 클릭음에 해당하며, Fehn & Rocha (2023)는 코에콰디어-콰디어 언어에서 유사한 발달이 일어났다고 가설을 세웠다. 따라서 원시 코에콰디어-콰디어는 5개의 클릭 자음 계열을 가졌을 수 있다. Fehn & Rocha는 원시-Kxʼa의 *‼에서 암시된 것처럼 특정 음성 값을 제안하기보다는 와일드 카드 기호 *Ʞ을 사용한다.[1]
콰디어에는 치경 클릭음만 남아있다. 코에콰디어의 측면, 구개 및 치경 클릭음은 콰디어의 측면, 구개 및 연구개파열음 및 파찰음에 해당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대응 관계가 있다. 콰디어의 구개수 파찰음과 마찰음은 원시-Kxʼa의 다섯 번째 클릭음 계열과 유사하게 원시 코에콰디어의 측면 및 치경 클릭음에 해당하며, Fehn & Rocha (2023)는 코에콰디어-콰디어 언어에서 유사한 발달이 일어났다고 가설을 세웠다. 따라서 원시 코에콰디어-콰디어는 5개의 클릭 자음 계열을 가졌을 수 있다. Fehn & Rocha는 원시-Kxʼa의 *‼에서 암시된 것처럼 특정 음성 값을 제안하기보다는 와일드 카드 기호 *Ʞ을 사용한다.[1]
코에어족과 콰디어에 공통된 대명사 체계와 몇몇 기초어휘가 재구되었다. 콰디어에 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공통된 단어 중 어떤 것이 동계어이고 어떤 것이 차용어인지 알기 어렵지만, 약 50개의 어휘 대응과 공통의 동사 구문이 파악된 바 있다.[1] 에른스트 베스트팔이 남긴 콰디어 현장조사 기록은 추가적인 문법적 대응 관계를 발견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 아래 2018년까지도 계속 연구되고 있다.[1]
Güldemann (2018)은 최소형(minimal)과 증대형(augmented)의 두 가지 형태로 대명사 체계를 다음과 같이 재구하였다.[1]
인칭
최소형 (단수/쌍수 대명사)
증대형 (복수 대명사)
포함1인칭
*mu
?
1인칭 단수
*ti~ta (이형태)
?
2인칭
*sa
*o 또는 *u
3인칭 남성
*어간-(?)-E
*어간-(?)-u
3인칭 여성
*어간-(s)E
*어간-(?)-E
는 정확한 음가를 모르는 전설 모음이고, 대명사 어간은 *xa 같은 지시사 또는 *kho '사람'과 같은 일반명사가 될 수 있었다. 3인칭 접미사는 명사에도 붙을 수 있었고, 명사에는 쌍수 접미사 *-da도 붙을 수 있었다.[1]
콰디어와 코에어족 모두에, 의존 동사가 접미사 *-(a)Ra로 표시되고 그 뒤의 한정 동사가 무표적으로 나타나는 동사 구문이 있다.[1]
코에콰디어족의 가장 가까운 친척은 고립어인 산다웨어일 가능성이 있다. 산다웨어 대명사 체계는 코에콰디어족과 매우 유사하지만, 규칙적인 음운 대응을 찾기에는 아직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예컨대 코에어족에는 존재하지만 산다웨어에는 없는 후설 모음 제약 등을 고려하면, 둘 사이의 관계는 어느 정도의 예측 능력을 가질지도 모른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