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에코에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에코에어는 나미비아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코이코인족이 사용하며, '사람'을 뜻하는 단어에 접미사가 붙어 만들어진 이름이다. 16만 7천 명 정도의 사용자가 남아있어 소멸 위기에 놓여 있으며, 나미비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라디오 방송을 통해 사용된다. 코에코에어는 3개의 성조와 20개의 흡착음을 포함한 31개의 자음을 가지며, 3개의 방언이 존재한다. 문법적으로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며, 명사, 관사, 절 표지와 같은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에어족 - 콰디어
    콰디어는 7개의 구두 모음과 3개의 비모음을 가지며, 다양한 자음 체계와 더불어 1, 2인칭 대명사 및 주격, 목적격, 소유격을 구분하고, 명사는 성과 수를 구분하는 언어이다.
  • 코에어족 - 코에콰디어족
    코에콰디어족은 코에어족과 콰디어의 언어 가설로서, 대명사 체계, 어휘, 동사 구문 등의 유사성을 근거로 제시되며, 의존 동사가 접미사 *-(a)Ra로 표시되는 특징을 보인다.
  • 코이코이인 - 나마인
    나마인은 1880년대 독일령 남서 아프리카로 이주하여 기베온에 정착, 공동체 사회를 이루고 기독교를 받아들였으나, 독일 제국에 의해 학살당하는 비극을 겪었으며, 현재는 독특한 문화적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 코이코이인 - 세라 바트먼
    세라 바트먼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코이코이족 여성으로, 유럽에서 '호텐토트 비너스'라는 이름으로 전시되며 인종차별과 억압의 희생양이 되었고, 그녀의 삶은 서구 제국주의와 과학적 인종차별의 상징으로 남아 다양한 예술 작품에 등장한다.
  • 나미비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나미비아의 언어 - 헤레로어
    헤레로어는 나미비아, 앙골라, 보츠와나 지역에서 사용되는 반투어군의 언어이며, 헤레로랜드에서 주로 사용되고 19세기 말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문자가 정립되었으며, 나미비아에서 교육 및 방송에도 사용된다.
코에코에어
지도 정보
나마어의 분포 ([[나미비아]])
나미비아 내의 나마어 분포
기본 정보
언어 이름코에코에어
다른 이름나마어/다마라어
자기 이름Khoekhoegowab
사용 국가나미비아, 보츠와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용 지역오렌지강, 나마콸란드
사용자코이코이족, 나마족, 다마라족, 하이콤족, 호마니족
사용자 수251,100명 (2011년 추정)
언어 분류
어족코에콰디어족
어파코에어족
어군코에코에어군
방언
나마-다마라 방언나마어
다마라어
하이콤-아코에 방언하이콤어
ǂ아코에어
기타 방언에이니어
언어 코드
ISO 639-3naq
글롯톨로그nort3245 (북코에코에어군)
글롯톨로그 (세부)nama1264 (나마어)
haio1238 (하이콤-아코에어)
지위
공용어나미비아
소수 언어남아프리카 공화국 (보호 언어)

2. 역사

원래 주어를 사용했던 하이촘(Haiǁom)족이 나중에 코에코에어로 언어 전환을 했다. 코에어족에 속하며, 그 화자를 코이코이인이라고도 부른다. '코이코인'(Khoekhoen)은 "사람"을 뜻하는 단어 'khoe'에 중복과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n'이 결합되어 만들어졌다. 1659년에 훗날 케이프타운이 될 "ǁHui!gaeb"에 상륙한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브레데 (Georg Friedrich Wreede)가 이 언어를 처음 배운 유럽인으로 알려져 있다.

2. 1. 유럽인과의 접촉

하이옴족은 한때 주어 언어를 사용했지만, 이후 코에코에어로 언어를 전환했다.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코이코인'(Khoekhoen)은 "사람"을 뜻하는 단어 'khoe'에 중복과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n'이 결합되어 만들어졌다.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브레데는 1659년 ǁHui!gaeb(이후 케이프타운)에 도착한 후 이 언어를 연구한 최초의 유럽인이었다.

3. 현황

코에코에어는 나미비아국어이며, 소멸 위기 언어로 여겨지고 있다. 나미비아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영 방송사가 코에코에어로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고 있으며, 케이프타운 대학교 등에서 언어 보존 노력을 하고 있다.

3. 1. 사용 지역 및 사용자 수

코에코에어는 나미비아국어이다. 나미비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국영 방송사가 코에코에어로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방송한다.[7]

코에코에어 사용자는 아프리카에 약 16만 7천 명 정도만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소멸 위기 언어임을 의미한다. 2019년 케이프타운 대학교는 이 언어를 가르치는 단기 강좌를 연이어 개설했으며, 2020년 9월 21일에는 새로운 코이 및 산 센터를 개소했다. 학부 과정은 향후 몇 년 안에 시행될 예정이다.[7][24]

3. 2. 보존 노력

코에코에어 사용자는 아프리카에 약 16만 7천 명 정도만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소멸 위기 언어임을 의미한다.[7] 2019년 케이프타운 대학교는 코에코에어를 가르치는 단기 강좌를 연이어 개설했으며, 2020년 9월 21일에는 새로운 코이 및 산 센터를 개소했다. 학부 과정은 향후 몇 년 안에 시행될 예정이다.[7]

4. 방언

현대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코에코에어의 세 가지 주요 방언을 구별한다.


  • 나마-다마라 (세스폰테인 다마라 포함)
  • 하이ǁ옴
  • ǂĀkhoe (자체적으로는 방언 클러스터이며, 하이ǁ옴과 칼라하리 코이 어족의 중간 형태)


이들은 서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 두세 개의 별개 언어로 간주될 수도 있다.

다음은 코에코에어의 방언 또는 하위 방언으로 분류되었던 언어들이다.

  • 아이니 (사멸): 현재는 별개의 언어로 간주된다.
  • ǂ아코에
  • 본델스바르츠
  • 센트럴 다마라 (센트럴 다마)
  • 센트럴 나마
  • 가우브 다마라
  • 고바비스
  • 나미다마
  • 세스폰테인 다마라
  • 톱나르

5. 음운

코에코에어에는 3개의 성조와 5개의 모음이 있고, 자음에는 20개의 흡착음이 있다.[1]

구(phrase) 내에서는 어휘 단어가 문법 단어보다 더 강세를 받는다. 단어 내에서는 첫 번째 음절이 가장 많은 강세를 받으며, 이후 음절은 점점 더 적은 강세를 받고 더욱 빠르게 발음된다. 어휘의 어근은 2개 또는 드물게 3개의 모라로 구성되며, CVCV(C), CVV(C), 또는 CVN(C)의 형태를 띈다. (초성 자음은 필수이다.) 중간 자음은 ''w r m n'' (''w''는 ''b~p''이고 ''r''은 ''d~t'')만 올 수 있으며, 종성 자음(C)은 ''p, s, ts''만 올 수 있다. 각 모라는 성조를 가지며, 두 번째 모라는 고성 또는 중성만 올 수 있어, 6개의 성조 "멜로디"가 존재한다: HH, MH, LH, HM, MM, LM.

5. 1. 모음

코에코에어에는 5개의 모음 음질이 있으며, 구강 모음 와 비모음 로 나타난다. 는 강하게 둥글고, 는 약간 둥글다. 는 주목할 만한 변이음을 가진 유일한 모음으로, 또는 앞에서 로 발음된다.[1]

모음구음의 에 보이는 5종과 비음의 가 있다. 는 강한 원순 모음이며, 는 약간 둥글게 발음된다. 는 유일하게 명백한 이음으로, 또는 앞에서는 로 발음된다.[1]

5. 2. 성조

코에코에어에는 3개의 성조와 5개의 모음이 있고, 자음에는 20개의 흡착음이 있다. 나마어는 3개[8] 또는 4개[9][10][11]의 성조를 가지는 것으로 묘사되며, 각 모라(모음 및 종성 비음)에서 나타날 수 있다. 고성조는 고모음( ) 또는 비음( )에서 나타날 때 중모음이나 저모음( )에서보다 더 높다.[8]

성조는 제한된 수의 '성조 멜로디'(단어 성조)로 결합하며, 특정 구문 환경에서 모음조화 형태를 갖는다. 인용 형태와 주요 모음조화 형태의 가장 중요한 멜로디는 다음과 같다:[9]

인용모음조화의미멜로디
들이받기, 무엇인가를 치다저성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저성 상승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굴에서 몰아내다중성
폴라드(머리 깎은 나무)고성 상승
응고시키다, [가시를] 뽑아내다저성 하강
주먹고성 하강


5. 3. 자음

코에코에어에는 31개의 자음이 있으며, 흡착음 20개와 비흡착음 11개로 구성되어 있다.[9][26] 흡착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5. 3. 1. 비흡착음

모음 사이에서 는 로 발음되고 는 로 발음된다. 파찰음 계열은 강하게 기음화되며, 음소적으로 유기 파열음으로 분석될 수 있다. 관련 언어인 코라나어에서는 이다.

Beach (1938)[12]는 당시 코에코에어가 연구개 설측 방출 파찰음 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클릭음을 가진 언어에서 의 일반적인 실현 또는 변이음이다. 이 소리는 더 이상 코에코에어에서 나타나지 않지만, 사촌 언어인 코라나어에는 남아 있다.

정식 표기는 괄호 안에 표시한다.


5. 3. 2. 흡착음

코에코에어에는 3개의 성조와 5개의 모음이 있고 자음에 20개의 흡착음이 있다.[13] 흡착음은 이중 조음 자음이다. 각 흡착음은 4개의 기본 조음(유입)과 5개의 보조 조음(유출)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합은 20개의 음소를 생성한다.[13]

부속음파찰 클릭음날카로운 클릭음표준화된
표기법
치경
클릭음
설측
클릭음
치경
클릭음
경구개
클릭음
무기음
유기음
비음
유기 비음
성문 폐쇄 비음



유기 클릭음의 유기는 종종 약하지만, 유기 비음 클릭음보다 '거칠게' 들리며, 스코틀랜드어의 ''loch''의 'ch'에 가까운 소리가 난다. 성문 폐쇄 클릭음은 방출 전의 억제 때문에 명확하게 무성음이며, 전통적인 표기법에서는 단순한 무성 클릭음으로 표기된다. 비음 성분은 초성에서는 들리지 않으며, 유기 클릭음의 무성 비음 성분 또한 모음 사이에 있지 않으면 듣기 어려우므로, 외국인에게는 윤곽 클릭음의 더 길지만 덜 거친 버전으로 들릴 수 있다.

틴달은 유럽 학습자들이 거의 예외 없이 혀를 옆 치아에 대고 설측 클릭음을 발음하며, 이 조음은 "거칠고 원어민에게는 생소하다"고 언급한다. 반면 나마콰족은 혀로 구개 전체를 덮고 "가능한 한 구개 뒤쪽에서" 소리를 낸다.[14]

5. 4. 음소 배열

구(phrase) 내에서는 어휘 단어가 문법 단어보다 더 강세를 받는다. 단어 내에서는 첫 번째 음절이 가장 많은 강세를 받는다. 이후 음절은 점점 더 적은 강세를 받으며 더욱 빠르게 발음된다.

어휘의 어근은 2개 또는 드물게 3개의 모라로 구성되며, CVCV(C), CVV(C), 또는 CVN(C)의 형태를 띈다. (초성 자음은 필수이다.) 중간 자음은 ''w r m n'' (''w''는 ''b~p''이고 ''r''은 ''d~t'')만 올 수 있으며, 종성 자음(C)은 ''p, s, ts''만 올 수 있다. 각 모라는 성조를 가지며, 두 번째 모라는 고성 또는 중성만 올 수 있어, 6개의 성조 "멜로디"가 존재한다: HH, MH, LH, HM, MM, LM.

CVV의 구두 모음 시퀀스는 ii ee aa oo uu ai [əi] ae ao au [əu] oa oe uiund이다. 비모음의 수가 적기 때문에, 비음 시퀀스는 ĩĩ ãã ũũ ãĩ [ə̃ĩ] ãũ [ə̃ũ] õã ũĩund이다. 고모음으로 끝나는 시퀀스(ii uu ai au ui ĩĩ ũũ ãĩ ãũ ũĩund)는 다른 시퀀스(ee aa oo ae ao oa oe ãã õãund)보다 더 빠르게 발음되며, 모음 연쇄보다는 이중 모음 및 장모음과 더 유사하다. 성조는 윤곽으로 실현된다. CVCV 단어는 동일한 모음 시퀀스를 갖는 경향이 있지만, 많은 예외가 있다. 두 성조 또한 더 뚜렷하다.

모음-비음 시퀀스는 비전설 모음으로 제한된다: am an om on um unund. 그들의 성조 또한 윤곽으로 실현된다.

문법적 입자는 CV 또는 CN의 형태를 가지며, 모든 모음 또는 성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C는 파열음을 제외한 모든 자음이 될 수 있으며, 후자는 NN이 될 수 없다. 접미사 및 어근의 세 번째 모라는 CV, CN, V, N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모든 모음 또는 성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세 개의 C 전용 접미사가 있다: ''-p'' 1인칭 단수, ''-ts'' 2인칭 단수, ''-s'' 2/3인칭 복수.

6. 문법

나마어는 PGN(인칭--) 표지를 접어 대명사로 사용하여 명사구에 부착한다.[16] PGN 표지는 1인칭, 2인칭, 3인칭 인칭, 남성, 여성, 중성 , 단수, 쌍수, 복수 를 구분하며, 주격, 목적격, 굴절격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남성여성중성
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
단수tatsb/mi/nitass-i
2중khomkhokhamroramrora
복수gegogusesodidadun



(PGN + ''i'')

남성여성중성
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
단수비/미/니-이
2중미/임미/임
복수니/인



(PGN + ''a'')

남성여성중성
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
단수tatsaba/ma/natasasa-e
복수khomakhokhamaroramorora
다수gegogasesodedadona


6. 1. 명사구

나마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지며, 세 개의 명사 등급(남성/gu-등급, 여성/di-등급 및 중성/n-등급)과 세 개의 문법적 수 (단수, 이중수 및 복수)가 있다. 대명사 후치사는 명사구에서 인칭, 성 및 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수이중수복수의미
여성/Di-등급PirisPiriraPiridi염소
남성/Gu-등급AribArikhaArigu
중성/N-등급Khoe-iKhoeraKhoen사람들


6. 2. 관사

코에코에어에는 ''ti'', ''si'', ''sa'', ''ǁî''의 4가지 정관사가 있다.[16] 이 정관사는 PGN 마커와 결합될 수 있다.

Haacke (2013)의 예시:

  • ''si-khom'' "우리 (화자와 청자가 아닌) 남자 두 명"
  • ''sa-khom'' "우리 (화자와 청자) 남자 두 명"
  • ''ǁî-khom'' "이전에 언급된 다른 사람과 나"


tisisaǁî
+정관사+정관사+정관사+정관사
+화자+화자+청자+논의된
+인간-청자+인간
+단수+인간
-단수


6. 3. 절 표지

세 가지 종결어미, ge (서술), kha (의문), ko/km (단정)가 있다. 이 종결어미는 주절에 나타나며, 주어 뒤에 위치한다.[17]

7. 어휘

Nē ǀkharib ǃnâ da ge ǁGûn tsî ǀGaen tsî doan tsîn; tsî ǀNopodi tsî ǀKhenadi tsî ǀhuigu tsî ǀAmin tsîn; tsî !kharagagu ǀaon tsîna ra hō.|네 ǀ카리브 ǃ나 다 게 ǁ군 치 ǀ가엔 치 도안 친; 치 ǀ노포디 치 ǀ케나디 치 ǀ후이구 치 ǀ아민 친; 치 !카라가구 ǀ아온 치나 라 호.nmg

이 지역에서 우리는 스프링복, 오릭스, 듀이커를 찾을 수 있다. 프랭콜린, 기니닭, 느시, 타조,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뱀도 있다.[18]


  • ǃGâi tsēs - 안녕하십니까?
  • ǃGâi ǁgoas - 좋은 아침입니다.
  • ǃGâi ǃoes - 좋은 저녁입니다.
  • Matisa - 어떻게 지내세요?
  • ǃGâise ǃgû re - 안녕히 가세요.
  • ǁKhawa mûgus - 곧 다시 만나요.
  • Regkomtani - 괜찮아요.
  • Tae na Tae - 잘 지내? (직역: "무엇이 무엇인가")

참조

[1] 간행물 The twelve modern Khoisan languages. Rüdiger Köppe Verlag 2011
[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6 – Chapter 1: Founding Provisions http://www.gov.za/do[...] 2014-12-06
[3]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4] 간행물 Khoekhoegowab (Nama/Damara) Palgrave Macmillan UK 2018
[5] 웹사이트 Khoekhoe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20-03-15
[6] 웹사이트 Hottentot https://www.oxfordre[...] 2022-12-15
[7] 웹사이트 UCT launches milestone Khoi and San Centre http://www.news.uct.[...] University of Cape Town 2020-09-23
[8] 문서 Hagman 1977
[9] 문서 Haacke & Eiseb 2002
[10] 문서 Haacke 1999
[11] 문서 Brugman 2009
[12] 서적 The Phonetics of the Hottentot Language Cambridge 1938
[13] 웹사이트 Nama http://www.phonetics[...] 2020-10-18
[14] 서적 A grammar and vocabulary of the Namaqua-Hottentot language 1858
[15] 웹사이트 Namibian town's plan to change name to !Nami#nus sparks linguistic debate https://www.thestar.[...] 2015-02-26
[16] 서적 The Khoesan Languages Routledge 2013
[17] 간행물 Word Order Variation in Khoekhoe CSLI Publications 2013
[18] 서적 Khoekhoegowab: 3ǁî xoaigaub Gamsberg Macmillan 2003
[19]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20] 웹사이트 Khoekhoe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20-03-15
[21] 간행물 Khoekhoegowab (Nama/Damara) Palgrave Macmillan UK 2018
[22] 웹사이트 Khoekhoe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20-03-15
[23] 웹사이트 Hottentot https://www.oxfordre[...] 2022-12-15
[24] 웹사이트 UCT launches milestone Khoi and San Centre http://www.news.uct.[...] University of Cape Town 2020-09-23
[25] 문서 Hagman 1977
[26] 문서 Haacke & Eiseb 2002
[27] 문서 Haacke 1999
[28] 문서 Brugman 2009
[29] 서적 The Phonetics of the Hottentot Language Cambridge 1938
[30] 서적 The Phonetics of the Hottentot Language Cambridge 1938
[31] 서적 The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s Blackwell 1996
[32] 논문 コイサン諸語のクリック子音の記述的枠組み(<特集>アフリカ諸語の音声) https://doi.org/10.2[...] 日本音声学会 1998
[33] 웹사이트 Nama http://www.phonetics[...] 2020-10-18
[34] 서적 A grammar and vocabulary of the Namaqua-Hottentot language 185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