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젤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젤스크는 러시아 칼루가주에 위치한 도시로, 114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체르니히우 공국의 일부였다. 1238년 몽골의 침략 당시 바투 칸의 군대에 7주간 저항하여 "악의 도시"로 불리며 파괴되었으나, 이후 재건되었다. 14세기 후반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지배를 받다가 1494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합병되었으며, 16세기부터 17세기에 번성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에 점령되기도 했으나 붉은 군대에 의해 해방되었고, 이후 전략 로켓군 기지가 주둔했다. 코젤스크 인근에는 옵티나 푸스틴 수도원이 위치해 있으며, 카틴 학살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곳이기도 하다. 현재는 자동차 차체 공장, 건자재 공장, 식품 공장 등이 있으며, 철도가 통과하는 교통 요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루가주 - 주코프 (칼루가주)
주코프는 러시아 칼루가주에 위치한 산업 도시로, 17세기 초 철강 공장과 함께 시작되어 1974년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를 기념하여 개명되었으며 역사적 명소와 기념관들이 있다. - 칼루가주 - 타루사
타루사는 러시아 칼루가주에 위치한 도시로, 타루사강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며, 과거 타루사 공국의 수도이자 모스크바 대공국의 남부 국경 요새였으며, 현재는 역사 유적과 자연 경관을 바탕으로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코젤스크 | |
---|---|
지도 정보 | |
![]() | |
일반 정보 | |
도시 이름 | 코젤스크 |
러시아어 이름 | Козе́льск |
위치 | 칼루가주 |
좌표 | 위도 54° 02′ 07″ N, 경도 35° 46′ 36″ E |
행정 구역 | |
연방 주체 | 칼루가주 |
행정 구역 | 코젤스키군 |
자치군 | 코젤스키 자치군 |
도시 정착지 | 코젤스크 도시 정착지 |
행정 중심지 | 코젤스키군, 코젤스크 도시 정착지 |
지리 | |
거리 | 모스크바에서 72km |
인구 통계 | |
2010년 인구 조사 | 18,245명 |
2021년 인구 조사 | 16,759명 |
2002년 인구 조사 | 19,907명 |
1989년 인구 조사 | 19,735명 |
역사 | |
최초 언급 | 1146년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249720, 249722, 249723, 249725, 249739 |
지역 번호 | 48442 |
웹사이트 | 코젤스크 시 행정부 웹사이트 |
2. 역사
코젤스크는 슬라브계 뱌티치족이 정착하여 살았던 곳에 세워졌다. 1146년 기록에는 코즐레스크, 1154년 기록에는 코젤레스크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체르니히우 공국 해체 후, 오카강 상류 공국군의 한 공국(코젤스크 공국)의 중심이 된 코젤스크는 14세기 후반 및 1445년부터 1494년까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지배를 받다가 1494년에 모스크바 대공국에 합병되었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코젤스크는 번성기를 맞이했으며, 러시아 중부에서 우크라이나를 잇는 도로상의 도시로서 19세기까지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1776년에는 도시 지위를 얻어 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2. 1. 중세 시대

1146년 연대기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체르니히우 공국의 일부였다. 코젤스크는 1238년 봄, 당시 열두 살의 바실리 왕자(티투스의 아들)가 바투 칸의 군대에 맞서 도시를 방어하면서 유명해졌다. 바투 칸은 코젤스크 시민들이 7주 동안이나 공격자들과 싸우며 코젤스크 포위전 동안 약 4,000명의 적군을 죽였기 때문에 이 도시를 "악의 도시"라고 불렀다.[2] 코젤스크 시민들은 수적으로 매우 열세였고 거의 모두 전투에서 사망했다.
1446년, 코젤스크는 일시적으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지배를 받았다. 1494년에는 모스크바 대공국에 합병되었다. 1607년, 이반 볼로트니코프의 부대 중 하나가 코젤스크에 주둔하며 차르의 군대에 저항했다.
근처에 매우 존경받는 수도원인 옵티나 푸스틴이 있다. 19세기에 이 은둔처는 "스타르치"로 널리 명성을 얻었다.
2. 2. 근세 시대
1238년 봄, 바투 칸의 군대에 맞서 도시를 방어하던 열두 살의 바실리 왕자(티투스의 아들)는 7주 동안이나 공격자들과 싸우며 코젤스크 포위전 동안 약 4,000명의 적군을 죽였다. 이로 인해 바투 칸은 이 도시를 "악의 도시"라고 불렀다.[2] 코젤스크 시민들은 수적으로 매우 열세였고 거의 모두 전투에서 사망했다.1446년, 코젤스크는 일시적으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지배를 받았다. 1494년에는 모스크바 대공국에 합병되었으며, 1607년에는 이반 볼로트니코프의 부대 중 하나가 코젤스크에 주둔하며 차르의 군대에 저항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1939년 폴란드 방어 전쟁 당시 붉은 군대에 포로로 잡힌 폴란드 장교들을 위한 포로 수용소가 옵티나 푸스틴 수도원에 세워졌다.[2] 1940년 4월과 5월 사이에 NKVD는 약 5,000명을 카틴 근처 숲으로 이송하여 그곳에서 처형했는데, 이는 카틴 학살로 알려지게 되었다.[2] 나머지 200명의 장교들은 파블리셰프 보르의 수용소로 보내졌다가 코르닐리예보로 보내졌다.[2]이 도시는 1941년 10월 8일에 독일 국방군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모스크바 부근에서 칼루가 부근까지 전선을 밀어낸 붉은 군대서부 전선에 의해 1941년 12월 28일에 해방되었다. 종전 후, 전략 로켓군의 기지가 코젤스크 지역에 배치되었고, 주민의 대부분은 미사일 관련 임무에 종사하는 군인과 그 가족이었다.
3. 행정 및 지방 자치
러시아의 행정 구역 체계 내에서 코젤스크는 코젤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3] 지방 자치체로서는 코젤스크 읍이 코젤스키 시립 구에 '''코젤스크 도시 정착촌'''으로 통합되어 있다.[4]
4. 문화
코젤스크 시의 볼거리는 1777년에 봉헌된 대성당, 1810년에 건립된 수태고지 대성당(블라고베쉔스카야 대성당), 19세기에 세워진 석조 상인 건물 등이 있다. 코젤스크에서 3km 떨어진 지즈드라강 맞은편(우안)에는 옵티나 푸스틴 수도원이 있다.
4. 1. 옵티나 푸스틴 수도원

코젤스크에서 3km 떨어진 지즈드라강 맞은편(우안)에는 15세기 이래로 '''옵티나 푸스틴 수도원'''(Оптина пустынь|옵티나 푸스틴ru)이 세워져 있다. 정식 명칭은 스뱌토-브베덴스키 수도원(Свято-Введенский монастырь|스뱌토-브베덴스키 수도원ru)이라고 불린다. 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서는 브베덴스키 대성당, 카잔의 성모 대성당(카잔스카야 대성당), 이집트의 마리아 대성당(마리이 예기페츠코이 대성당), 선구자 세례 요한 대성당, 블라디미르의 성모 종루 등 많은 성당 등의 건물이 수도원 내에 건립되었고, 러시아 정교회 내에서도 중요한 신학적, 문화적 중심지가 되었다. 당시 러시아의 성직자들이 이 수도원에서 지냈고, 톨스토이, 도스토옙스키 등의 문학가도 방문했다. 슬라브주의 사상가 콘스탄틴 레온체프는 그 만년에 신부 클리멘트로 이 수도원에서 생을 마쳤다[8].
1917년 10월 혁명 후, 소련은 수도원을 폐쇄했다. 1939년에는 수도원 건물은 소련의 폴란드 침공으로 포로가 된 폴란드 병사의 수용소로 사용되었고, 그 중 다수가 이듬해 1940년에 카틴 숲으로 보내져 처형되었으며(카틴 학살), 나머지는 더욱 먼 수용소로 보내졌다. 1987년에 수도원은 개수되어 재개되었다.
4. 2. 기타
코젤스크 시의 볼거리는 1777년에 봉헌된 대성당, 1810년에 건립된 수태고지 대성당(블라고베쉔스카야 대성당), 19세기에 세워진 석조 상인 건물 등이 있다.
코젤스크에서 3km 떨어진 지즈드라강 맞은편(우안)에는 15세기 이래로 '''옵티나 푸스틴 수도원'''(Оптина пустынь|옵티나 푸스틴ru)이 세워져 있다. 정식 명칭은 스뱌토-브베덴스키 수도원(Свято-Введенский монастырь|스뱌토-브베덴스키 수도원ru)이라고 불린다. 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서는 브베덴스키 대성당, 카잔의 성모 대성당(카잔스카야 대성당), 이집트의 마리아 대성당(마리이 예기페츠코이 대성당), 선구자 세례 이오안 대성당, 블라디미르의 성모 종루 등 많은 성당 등의 건물이 수도원 내에 건립되었고, 러시아 정교회 내에서도 중요한 신학적, 문화적 중심지가 되었다. 당시 러시아의 성직자들이 이 수도원에서 지냈고, 톨스토이, 도스토옙스키 등의 문학가도 방문했다. 슬라브주의 사상가 콘스탄틴 레온체프는 그 만년에 신부 클리멘트로 이 수도원에서 생을 마쳤다[8] 1917년의 10월 혁명 후, 소비에트 연방은 수도원을 폐쇄했다. 1939년에는 수도원 건물은 소련의 폴란드 침공으로 포로가 된 폴란드 병사의 수용소로 사용되었고, 그 중 다수가 이듬해 1940년에 카틴 숲으로 보내져 처형되었으며(카틴 학살), 나머지는 더욱 먼 수용소로 보내졌다. 1987년에 수도원은 개수되어 재개되었다.
5. 경제 및 교통
코젤스크에는 자동차 차체 공장, 건자재 공장, 식품 공장 등이 있다. 1899년에 스몰렌스크 - 수히니치 - 차플리긴 간 철도가 개통되었고, 1941년에는 소센스키 - 투라 간 철도가 개통되었다.
참조
[1]
템플릿
[2]
서적
History of Russia from earliest times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2000
[3]
템플릿
[4]
법률
Law #7-OZ
[5]
웹사이트
http://www.janes360.[...]
[6]
간행물
Russian nuclear weapons, 2021
[7]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19
[8]
서적
ロシア・ルネサンス
みすゞ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