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캉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캉족은 미얀마 샨주에 거주하는 중국계 소수 민족으로, 18세기 명나라 충성파의 후손들이 윈난성에서 이주하여 형성되었다. 코캉이라는 이름은 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미얀마 민족민주동맹군(MNDAA)과 미얀마 정부군 간의 무력 충돌이 지속적으로 발생해왔다. 코캉족은 산가와 타가 같은 고유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색신 신앙과 중국 전통 종교를 믿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얀마의 민족 - 라카인족
    라카인족은 미얀마 라카인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아라칸어를 사용하고, 독립 후에도 로힝야족과의 갈등과 군부 탄압 속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며 방글라데시와 인도에도 거주한다.
코캉족
기본 정보
기타 이름, , , , Kokang people, 코캉족
거주 지역샨주, 미얀마
언어
사용 언어서남관화(코캉 중국어), 버마어, 표준중국어
종교
종교애니미즘, 대승불교, 유교, 도교
관련 민족
관련 민족미얀마 화교, 한족, 샨족, 친 호, 기타 중국-티베트어족 민족

2. 어원

코캉(Kokang)이라는 이름은 버마어 ကိုးကန့်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샨어 ၵဝ်ႈ (kāo, "아홉") + ၵူၼ်း (kúun, "가족") 또는 ၵၢင် (kǎang, "경비")에서 파생되었다.

3. 역사

코캉족은 대부분 18세기 현재 미얀마의 샨주로 이주한 중국어 화자의 후손이다. 17세기 중반, 명나라가 멸망한 후 난징시에서 윈난성으로 피신한 명나라 충성파 군인들이 코캉 지역에 정착했다. 이들을 이끌던 양씨 가문은 코캉에 봉건 국가를 건설하고 토사로서 지역을 통치했다. 1960년대부터 1989년까지 이 지역은 버마 공산당이 통치했고, 1989년 공산당이 해산된 후 미얀마의 특별 자치구가 되었다.

3. 1. 명나라 유민의 정착

17세기 중반, 명나라가 멸망한 후 난징시에서 윈난성으로 피신한 명나라 충성파 군인들이 코캉 지역에 정착했다. 이들을 이끌던 양씨 가문은 코캉에 봉건 국가를 건설하고 토사로서 지역을 통치했다.[4]

3. 2. 영국 식민지 시대

1885년 영국이 상부 버마를 병합한 후에도 양씨 가문은 코캉 지역의 실질적인 통치자로 남아 있었다.[4]

3. 3. 버마 독립 이후

1885년 영국이 상부 버마를 병합한 후에도 양씨는 사실상의 번왕으로 간주되어 여전히 코캉 지역의 실권을 쥐고 있었다. 버마 독립 후 상부 버마와 하부 버마가 통일되면서 토사 정권은 종말을 고했다.[4] 그 후 내전을 거쳐 코캉은 "미얀마 샨주 제1특구(코캉)"가 되었다. 1960년대부터 1989년까지 이 지역은 버마 공산당이 통치했고, 1989년 공산당이 해산된 후 미얀마의 특별 자치구가 되었다.[4]

코캉족의 군대는 미얀마 민족민주동맹군(MNDAA)이라고 불리며, 2009년 8월에는 미얀마 군사 정권과 충돌하는 코캉 사건이 일어났다.[4] 2015년 3월부터 5월까지, 미얀마 국군이 중국 국경에 접한 코캉족 거주지를 공습하여, 오폭으로 인해 중국 윈난성의 민간인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5] 이로 인해 미얀마와 중국 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3. 4. 미얀마 내전과 코캉 분쟁

미얀마 민족민주동맹군(MNDAA)은 코캉족 반군 단체이다. 2009년 8월, 이들은 2009년 코캉 사태로 알려진 분쟁에서 미얀마 정부군과 충돌했으며,[4] 이후 2015년 코캉 공세 동안 추가적인 교전이 발생했다.

2015년 3월부터 5월까지, 미얀마 국군이 중국 국경에 접한 코캉족 거주지를 공습하여, 오폭으로 인해 중국 윈난성의 민간인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5] 이로 인해 미얀마와 중국 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4. 분포

1997년을 기준으로 코캉족은 중국 윈난성에서 최근 이주한 한족과 함께 미얀마 화교 인구의 30~4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3] 코캉족은 미얀마 전체 인구의 약 0.1%를 차지한다.[3]

5. 문화

코캉족의 문화에는 산가(山歌)와 타가(打歌) 등이 있다. 산가는 남녀가 야외에서 구애의 노래를 주고받는 가가(歌垣) 문화이며, 타가는 관혼상제 때 삼현과 단적 반주에 맞춰 민가를 부르며 원을 그리며 추는 춤이다.

5. 1. 산가(山歌)

산가는 남녀가 야외의 한적한 곳에서 구애의 노래를 주고받는 가가(歌垣) 문화이다. 희곡과 같은 특징적인 창법을 사용한다. 1955년, 코캉 지역 훙아이(홍암, 紅岩) 망인반룽자이(芒銀班龍寨)의 두 청년과 윈난성전강현 멍방진(맹봉진, 勐棒鎮) 톈와(전와, 田窪)의 여성이 중미얀마 국경의 예저탕(야저당, 野豬塘)에서 산가를 부르던 중, 통행인의 외침에 놀라 두 청년이 구덩이에 떨어져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5. 2. 타가(打歌)

타가는 관혼상제 때 행해지며, 삼현과 단적 반주에 맞춰 민가를 부르면서 원을 그리며 추는 춤이다

6. 종교

코캉족은 한족과 마찬가지로 대승 불교, 유교, 도교 등의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1] 수확을 관장하는 색신(穡神)을 숭배한다.[1]

6. 1. 색신(穡神) 신앙

코캉족은 수확을 관장하는 신인 색신(穡神)을 숭배한다.[1] 색신 신앙은 타이족이 숭배하는 전쟁의 신인 '색맹' 또는 '맹신' 신앙과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3] 마젠슝(馬健雄, 2023)은 2017년 3월 코캉 지역의 한 마을에서 발생한 병사와 마을 주민 간의 충돌에 대해, 색신의 제단에 제물을 바치지 않고 마을에 들어온 병사에 대해 색신이 불만을 품고 다툼을 일으킨 것이라고 마을 주민들이 이야기한 것을 기록하고 있다.[3]

6. 2. 중국 전통 종교

한족과 마찬가지로 대승 불교, 유교, 도교 등의 신앙이 존재한다.[1]

7. 다른 화인과의 관계

양곤 등 다른 도시나 지역에 거주하는 화교는 코캉족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살윈강을 사이에 둔 쿠카이 구의 大勐宜|타모니에중국어 지역에 거주하는 몽완족은 코캉족과 억양이 다른 윈난 방언을 사용하며[6][7], 코캉족과는 다른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2016년 3월 11일, 미얀마 정부는 몽완족을 몽완-버마(버마족)로 간주하여 완전한 시민권을 인정했다. 이로 인해 타인인다 (선주민족) 중 하나로 간주되는 코캉족과는 신분적인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6]

참조

[1]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 웹사이트 Ethnic rebels flee Myanmar, abandoning weapons and uniforms for safe haven in south China http://www.chicagotr[...] 2009-08-30
[3]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4] 웹사이트 Chinese Dam Builders Fan Conflict in Burma http://www.internati[...]
[5] 웹사이트 米国の対ASEAN外交 https://www.scgr.co.[...] 2016-02-10
[6] 뉴스 Identity politics and the Mong Wong https://www.frontier[...] 2016-08-22
[7] 뉴스 The Mong Wong, Burma’s Newest Citizens, Face Backlash https://www.irrawadd[...] 2016-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