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대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대공은 러시아 제국의 황족으로, 파벨 1세의 차남이다. 그는 예카테리나 2세의 지시로 콘스탄티누스 대제에서 이름을 따 세례명을 받았으며, 아버지 파벨 1세가 황제가 된 후에는 체사레비치 칭호를 받았다. 군사적 재능은 부족했지만, 나폴레옹 1세를 숭배하며 러-불 동맹을 지지했다. 알렉산드르 1세에 의해 폴란드 입헌 왕국의 부왕으로 임명되어 억압적인 통치를 펼쳤으며, 1830년 11월 봉기 당시 러시아군 투입을 거부했다. 1831년 콜레라로 사망했으며, 러시아에서는 용감한 인물로, 폴란드에서는 폭군으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벨 1세 -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1세는 1801년 러시아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초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나폴레옹 전쟁 승리와 빈 체제 형성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보수적 정책으로 전환하며 자유주의와 반동 사이에서 복잡한 통치를 보였다.
  • 파벨 1세 - 니콜라이 1세
    니콜라이 1세는 1825년부터 1855년까지 러시아 제국의 황제로 재위하며 데카브리스트의 난을 진압하고 보수적인 통치를 펼쳐 '유럽의 헌병'으로 불렸으며 크림 전쟁 중 사망, 국내적으로는 억압적인 정책과 검열을 강화하고 대외적으로는 신성동맹 이념에 따라 유럽 혁명 운동을 진압했다.
  • 러시아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1세는 1801년 러시아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초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나폴레옹 전쟁 승리와 빈 체제 형성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보수적 정책으로 전환하며 자유주의와 반동 사이에서 복잡한 통치를 보였다.
  • 러시아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는 혁신적인 전술로 수많은 전쟁에서 공을 세운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 이스마일 요새 함락 등의 잔혹 행위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러시아 육군 및 해군 대원수 칭호를 받았고 그의 군사 전략은 후대 러시아 군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 대공 -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1세는 1801년 러시아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초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나폴레옹 전쟁 승리와 빈 체제 형성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보수적 정책으로 전환하며 자유주의와 반동 사이에서 복잡한 통치를 보였다.
  • 러시아 대공 - 파벨 1세
    파벨 1세는 표트르 3세와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어머니와의 불화, 강경한 프랑스 혁명 대응,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군사 개혁, 그리고 귀족들의 불만으로 1801년 암살당했다.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대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콘스탄틴 파블로비치
원어 이름Константи́н Па́влович (Konstantín Pávlovich)
칭호러시아 대공
체사레비치
출생지러시아 제국, 차르스코예 셀로
사망지러시아 제국, 비쳅스크
매장일1831년 8월 17일
매장지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 내 성 베드로와 바울 대성당
종교기독교 러시아 정교회
서명
아버지파벨 1세
어머니마리아 표도로브나
가문
가문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왕조
결혼
배우자 1안나 표도로브나
배우자 2요안나 그루진스카
경력
직책러시아 대공
체사레비치
전임자알렉산드르 파블로비치 황태자
후임자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
이미지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대공
황태자 (체사레비치)
즉위1801년 3월 24일
퇴위1831년 6월 27일
대관식1799년 11월 8일

2. 생애



1779년 4월 27일, 황태자였던 파벨 페트로비치 대공과 그의 아내인 뷔르템베르크 공녀 마리아 표도로브나 사이에서 차남으로 차르스코예 셀로에서 태어났다. 콘스탄틴은 파벨의 자녀들 중에서 용모도 성격도 가장 아버지와 닮았다. 할머니인 예카테리나 2세로부터 부활을 꿈꾸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될 것을 기대받았기 때문에 콘스탄티누스 대제에서 이름을 따서 세례명을 받았다.

콘스탄틴은 태어나자마자 예카테리나 2세에게 맡겨졌다. 예카테리나 2세는 첫 손자 알렉산드르 파블로비치(후의 알렉산드르 1세)와 마찬가지로 콘스탄틴의 신체적, 정신적 교육에 대해서도 자신이 세심하게 감독하려 했다. 그러나 여제는 늘 하던 대로 자신이 신뢰하는 인물에게 손자의 교육을 일임했다.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살티코프 백작이 콘스탄틴의 실질적인 후견인이 되었지만, 살티코프에게는 황자의 양육은 벅찬 일이었던 것 같고, 백작은 특별한 일이 없으면 콘스탄틴의 일에 관여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장난기 많고 침착하지 못하며 제멋대로인 황자의 성격은 그대로 방치되었다. 1783년부터 1795년까지 여제의 손자 2명의 교육 감독을 맡았던 세자르 라 아르프만이 콘스탄틴의 인격 교육을 한 유일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예카테리나 2세는 1796년 2월 26일, 16세의 콘스탄틴을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의 셋째 딸로 14세인 율리아네(안나 표도로브나)와 결혼시켰다. 안나에게 콘스탄틴은 거칠고 철없는 인물이었고, 그와의 결혼 생활은 고통스러웠으며, 1799년에는 남편과 별거했다. 그리고 1801년에는 결국 코부르크의 친정으로 돌아가 버렸다. 콘스탄틴은 1814년이 되어서야 아내를 데려오려 했지만, 안나의 완강한 저항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2. 1. 출생과 성장 배경



1779년 4월 27일, 황태자였던 파벨 페트로비치 대공과 그의 아내인 뷔르템베르크 공녀 마리아 표도로브나 사이에서 차남으로 차르스코예 셀로에서 태어났다. 콘스탄틴은 파벨의 자녀들 중에서 용모도 성격도 가장 아버지와 닮았다. 할머니인 예카테리나 2세로부터 부활을 꿈꾸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될 것을 기대받았기 때문에 콘스탄티누스 대제에서 이름을 따서 세례명을 받았다.

콘스탄틴은 태어나자마자 예카테리나 2세에게 맡겨졌다. 예카테리나 2세는 첫 손자 알렉산드르 파블로비치(후의 알렉산드르 1세)와 마찬가지로 콘스탄틴의 신체적, 정신적 교육에 대해서도 자신이 세심하게 감독하려 했다. 그러나 여제는 늘 하던 대로 자신이 신뢰하는 인물에게 손자의 교육을 일임했다.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살티코프 백작이 콘스탄틴의 실질적인 후견인이 되었지만, 살티코프에게는 황자의 양육은 벅찬 일이었던 것 같고, 백작은 특별한 일이 없으면 콘스탄틴의 일에 관여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장난기 많고 침착하지 못하며 제멋대로인 황자의 성격은 그대로 방치되었다. 세자르 라 아르프만이 콘스탄틴의 인격 교육을 한 유일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예카테리나 2세는 1796년 2월 26일, 16세의 콘스탄틴을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의 셋째 딸로 14세인 율리아네(안나 표도로브나)와 결혼시켰다. 안나에게 콘스탄틴은 거칠고 철없는 인물이었고, 그와의 결혼 생활은 고통스러웠으며, 1799년에는 남편과 별거했다. 그리고 1801년에는 결국 코부르크의 친정으로 돌아가 버렸다. 콘스탄틴은 1814년이 되어서야 아내를 데려오려 했지만, 안나의 완강한 저항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2. 2. 결혼 생활

예카테리나 2세는 1796년 2월 26일, 16세의 콘스탄틴을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의 셋째 딸로 14세인 율리아네(안나 표도로브나)와 결혼시켰다. 안나에게 콘스탄틴은 거칠고 철없는 인물이었고, 그와의 결혼 생활은 고통스러웠으며, 1799년에는 남편과 별거했다. 그리고 1801년에는 결국 코부르크의 친정으로 돌아가 버렸다. 콘스탄틴은 1814년이 되어서야 아내를 데려오려 했지만, 안나의 완강한 저항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1820년 율리아네와 이혼 후 폴란드 귀족 요안나 그루진스카와 재혼했다. 요안나와의 귀천상혼으로 러시아 제위 계승권을 포기해야 했다.

2. 3. 초기 군사 활동

콘스탄틴은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장군의 휘하에서 첫 군사 원정에 참가했다. 바시냐노 전투에서는 자신의 실책으로 러시아군이 패배하는 원인을 제공했지만, 노비 전투에서는 용맹함을 보여 군인으로서의 명예를 얻었다.

황제가 된 아버지 파벨 1세는 차남의 공을 기뻐하여 황위 계승자에게만 주어지는 "체사레비치" 칭호를 콘스탄틴에게 부여했다. 파벨 1세는 장남 알렉산드르 1세를 불신했지만, 콘스탄틴에게 이러한 조치를 취한 것이 장남을 배제하고 차남을 후계자로 삼으려는 계획의 일부였는지는 불분명하다.

콘스탄틴은 황위를 원하지 않았고, 1801년 아버지 황제가 암살된 후에는 군대에 전념했다. 1805년 전역에서는 근위군 사령관을 맡았으나,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러시아군 패배의 원인 중 하나를 제공했다. 1807년 전역에서도 군인으로서의 무능함을 드러냈다.

틸지트 조약 체결 후, 콘스탄틴은 나폴레옹 1세의 열렬한 숭배자가 되었고, 러-불 동맹을 지지하여 형 알렉산드르 1세의 신뢰를 잃었다. 1812년 모스크바가 프랑스군에 함락된 후에도, 콘스탄틴은 나폴레옹 1세와의 조속한 동맹 체결을 주장했다.

전역 동안, 미하일 바클라이 드 톨리 장군은 콘스탄틴의 지휘 능력이 부족하여 군대가 패배하는 것을 막기 위해 두 번이나 콘스탄틴을 전투 지휘에서 배제해야 했다. 1813년 8월 26일 드레스덴 전투에서 콘스탄틴은 군사 지식 부족으로 실수를 범했지만, 라페르 샹프누아즈 전투/Bataille de Fère-Champenoise프랑스어에서는 용감한 모습을 보여 칭찬을 받았다.

2. 4. 아우스터리츠 전투와 틸지트 조약

콘스탄틴은 1805년 전역에서 근위군 사령관을 맡았으나,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러시아군 패배의 원인 중 하나를 제공했다. 1807년 전역에서도 군사적 무능함을 드러냈다.

틸지트 조약 체결 후, 콘스탄틴은 나폴레옹 1세의 열렬한 숭배자가 되어 러-불 동맹을 지지했다. 이 때문에 프랑스와의 동맹을 반대하던 형 알렉산드르 1세의 신뢰를 잃었다. 1812년 모스크바가 프랑스군에 함락된 후에도 콘스탄틴은 나폴레옹 1세와의 조속한 동맹 체결을 주장했으며, 미하일 쿠투조프와 함께 러시아군이 국경을 넘어 프랑스군을 추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전역 동안 미하일 바클라이 드 톨리 장군은 콘스탄틴의 지휘 능력이 부족하여 군대가 패배하는 것을 막기 위해 두 번이나 그를 전투 지휘에서 배제해야 했다. 드레스덴 전투에서는 군사 지식 부족으로 실수를 범하기도 했지만, 에서는 용감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2. 5. 1812년 러시아 전역

콘스탄틴은 틸지트 조약 체결 이후 나폴레옹 1세의 열렬한 숭배자가 되어, 러-불 동맹을 지지했다. 이 때문에 프랑스와의 동맹을 반대하던 형 알렉산드르 1세의 신뢰를 잃었다. 1812년 모스크바가 프랑스군에 함락된 후에도 나폴레옹과의 조속한 동맹 체결을 주장했으며, 미하일 쿠투조프와 함께 러시아군의 프랑스군 추격에 반대했다.

미하일 바클라이 드 톨리는 콘스탄틴의 지휘 능력을 불신하여 두 번이나 전투 지휘에서 배제했다. 콘스탄틴은 1813년 8월 26일 드레스덴 전투에서 중요한 순간에 실수를 범했지만, 에서는 용감하게 싸워 칭찬을 받았다.

2. 6. 폴란드 부왕 임명

알렉산드르 1세콘스탄틴을 자신이 창설한 폴란드 입헌 왕국의 사실상 부왕으로 임명하면서, 콘스탄틴에게도 국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이 주어지게 되었다. 콘스탄틴은 피정복국 폴란드를 억압하고 군국화하는 임무를 맡았다. 콘스탄틴은 입헌 왕국의 군 총사령관 지위를 받았고, 1819년에는 러시아령 리투아니아 지역의 총사령관 지위도 얻었다. 리투아니아는 한때 폴란드와 함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구성했기 때문에, 두 지역을 아우를 필요가 있었다.

알렉산드르 1세의 정치 방침은 복고주의 체제의 유럽에 비하면 자유주의적인 편이었다. 고전적 자유주의자는 교육, 연구, 경제 활동의 자유를 누릴 수 있었다. 그러나 폴란드에서는 중요한 자치가 허용되지 않았고, 예산, 군사, 통상을 자신들의 손으로 결정하고 싶어 하는 폴란드인들의 욕구가 높아져 갔다. 보나벤투라 니에모요프스키/Bonawentura Niemojowski영어와 빈첸티 니에모요프스키/Wincenty Niemojowskide 형제를 지도자로 하는 칼리시파/Kaliszanie영어의 항의 운동이 시작되었고, 폴란드에서의 사법권 독립도를 더욱 높일 것을 요구했다. 알렉산드르 1세는 이 항의 활동을 자유의 "남용"으로 간주하고, 5년간의 국회 (세임) 개최 중지를 명령했으며, 콘스탄틴에게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입헌 왕국의 질서를 지켜낼 것을 엄명했다.

불안에 휩싸인 콘스탄틴은 형에게 명령받은 질서 유지를 정부에 공개적으로 반항하지 않는 사람들까지 강요하려 했다. 콘스탄틴은 비밀 경찰 (러시아 제국 내무부 경찰국 경비국)의 조직력을 강화하고, 폴란드인의 애국 운동을 탄압했는데, 이는 많은 폴란드인들에게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콘스탄틴은 또한 칼리시파로 대표되는 자유주의자들을 괴롭히고, 지방 행정과 군대에서 요직을 폴란드인에게서 빼앗아 러시아인에게 주었으며, 폴란드인 부하들을 종종 모욕하거나 폭력을 행사했기 때문에, 장교들 사이에서도 대공에 대한 불만이 쌓였다. 국회는 여전히 러시아와의 동군 연합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주로 의석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그 의원들조차 콘스탄틴의 마치 자신이 헌법이라도 되는 듯한 오만한 행동은 눈에 거슬린다고 느꼈다.

2. 7. 자유주의 탄압과 폴란드인 차별

콘스탄틴은 폴란드 입헌 왕국의 군 총사령관이자, 1819년에는 러시아령 리투아니아 지역의 총사령관 지위도 얻었다. 콘스탄틴은 알렉산드르 1세의 명에 따라 폴란드를 억압하고 군국화하는 임무를 맡았다.

알렉산드르 1세의 정치 방침은 복고주의 체제의 유럽에 비하면 자유주의적인 편이었지만, 폴란드에서는 중요한 자치가 허용되지 않았다. 는 와 형제를 지도자로 하여 사법권 독립도를 높일 것을 요구했다. 알렉산드르 1세는 이 항의 활동을 자유의 "남용"으로 간주하고, 5년간의 국회(세임) 개최 중지를 명령했으며, 콘스탄틴에게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입헌 왕국의 질서를 지켜낼 것을 엄명했다.

콘스탄틴은 비밀 경찰 (러시아 제국 내무부 경찰국 경비국)의 조직력을 강화하고, 폴란드인의 애국 운동을 탄압했다. 또한 칼리시파를 탄압하고, 지방 행정과 군대에서 폴란드인 대신 러시아인을 요직에 앉혔다. 폴란드인 부하들에게 모욕과 폭력을 행사하여 장교들 사이에서도 불만이 쌓였다. 국회 의원들조차 콘스탄틴의 오만한 행동에 대해 불만을 느꼈다.

2. 8. 11월 봉기

1830년 바르샤바에서 콘스탄틴에 대한 암살 계획이 세워졌지만, 음모자들은 암살 계획에도, 군의 부대 전체를 음모에 끌어들이는 데에도 실패했다. 두 개의 부대만 음모에 가담하여 무기고를 점거했지만, 이것이 발단이 되어 다수의 사람들이 무장하여 봉기에 참여했고, 11월 봉기가 발발했다. 콘스탄틴은 반란자들에게 러시아군을 투입하는 것을 거부하고 "폴란드인이 일으킨 폭동은 폴란드인이 진압하라"고 말하며, 봉기한 군중을 회의 왕국 정부에 맡기고 러시아 국경 내로 퇴각했다. 심지어 그는 폴란드 봉기군의 병사들이 승리하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발언하기까지 했다.

3. 제위 포기와 죽음

1825년 12월 1일 알렉산드르 1세가 붕어하자, 콘스탄틴의 제위 계승 포기 사실을 몰랐던 동생 니콜라이 대공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콘스탄틴의 황제 즉위를 선언했다. 그러나 며칠 후 콘스탄틴은 사정을 밝히고 제위를 포기했다. 이 일로 데카브리스트의 난이 발생했다.

니콜라이 1세 치세가 시작된 후에도 콘스탄틴은 이전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데카브리스트 반란에 폴란드인이 수행한 역할에 대한 견해 차이로 형제 사이에 의견 대립이 있었다. 콘스탄틴은 폴란드 내 독립 음모를 숨기고 회의 왕국 군대와 관료 조직이 제국에 충성한다고 주장했다. 182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발발로 불화가 표면화되었는데, 콘스탄틴의 반대로 폴란드군은 전쟁에 동원되지 않았다.

1830년 11월 봉기바르샤바에서 발발했지만, 콘스탄틴은 러시아군 투입을 거부하고 폴란드인 스스로 진압하게 했다. 1831년 6월 27일, 콘스탄틴은 콜레라에 걸려 봉기가 진압되는 것을 보지 못한 채 비체프스크에서 사망했다. 콘스탄틴은 러시아에서 용감하고 쿨한 인물로 여겨졌지만, 폴란드에서는 냉혹한 지배자이자 폭군으로 묘사된다.

4. 평가

4. 1. 러시아와 폴란드에서의 상반된 평가

4. 2. 한국의 관점에서의 평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