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노벨리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노벨리누스는 서기 9년경에 세력을 떨친 고대 브리튼의 왕으로, 현재의 콜체스터와 세인트앨번스에서 동전이 발견되었다. 그는 로마 제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대륙과의 교역을 증진시켰다. 쿠노벨리누스는 여러 아들을 두었으며, 그의 사후 로마의 브리튼 정복의 계기가 되었다. 쿠노벨리누스는 셰익스피어의 희곡 심벨린 등 영국의 전설과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리튼계 군주 - 부디카
부디카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이케니족을 이끌고 로마에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며, 남편의 죽음 이후 로마의 부당한 처사에 분노하여 봉기했으나 와트링 가도 전투에서 패배하고 자결하거나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브리튼계 군주 - 카락타쿠스
카락타쿠스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 브리타니아에서 저항 운동을 이끈 지도자이며, 로마의 침공에 맞서 게릴라전을 펼치다 체포되어 로마에서 사면받고 생을 마감했다. - 1세기 유럽의 군주 - 부디카
부디카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이케니족을 이끌고 로마에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며, 남편의 죽음 이후 로마의 부당한 처사에 분노하여 봉기했으나 와트링 가도 전투에서 패배하고 자결하거나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세기 유럽의 군주 - 카락타쿠스
카락타쿠스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 브리타니아에서 저항 운동을 이끈 지도자이며, 로마의 침공에 맞서 게릴라전을 펼치다 체포되어 로마에서 사면받고 생을 마감했다.
쿠노벨리누스 | |
---|---|
기본 정보 | |
본명 | 쿠노벨리누스 |
로마자 표기 | Cunobelinus |
그리스어 표기 | Κυνοβελλίνος |
웨일스어 표기 | 컨벨런 (Cynfelyn) |
출생 | 기원전 9년경 |
사망 | 서기 40년경 |
아버지 | 타스키오바누스 |
통치 시작 | 서기 9년경 |
통치 종료 | 서기 40년경 |
국가 | 카투벨라우니족 |
직업 | 왕 |
설명 |
2. 역사
화폐학적 증거에 따르면 쿠노벨리누스는 아버지 타스키오바누스가 사망한 후 기원후 9년경에 권력을 잡은 것으로 보이며, 카물로두눔(콜체스터, 트리노반테스족의 수도)와 베르라미온(후의 로마 도시 베르라미움, 현재의 세인트앨번스, 카투벨라우니족의 수도)에서 모두 동전을 주조했다. 베르라미온 동전 중 일부는 그를 카투벨라우니의 이전 왕인 타스키오바누스의 아들로 명시하고 있다.[7]
쿠노벨리누스는 로마 제국과 꽤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그는 Rexla(라틴어 '왕')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동전에 고전적인 모티프를 사용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대륙과의 교역이 증가했다. 고고학적 증거는 이탈리아 와인과 음료 용기, 올리브 오일, 생선 소스 등 대륙에서 수입된 사치품의 증가를 보여준다. 히스파니아산 유리 제품, 보석류, 갈로-벨기크 식탁용품은 그 분포로 보아 카물로두눔 항구를 통해 영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11] 그는 스트라보에 따르면, 아우구스투스에게 사절을 보낸 영국 왕들 중 한 명이었을 것이다. 스트라보는 영국의 곡물, 금, 은, 철, 가죽, 노예, 사냥개를 포함한 로마와의 수익성 있는 교역에 대해 보고한다.[12]
쿠노벨리누스에게는 아드미니우스, 토고두무누스, 카라타쿠스의 세 아들과 에파티쿠스라는 형제가 있었다.
쿠노벨리누스는 40년경에 사망했으며,[1] 확실히 그는 43년까지는 사망했다.[15] 렉스덴 투물루스는 그의 무덤으로 추정되지만(이전 트리노반테 왕인 Addedomarus도 그 거주자로 유력하다).[16] 카라타쿠스는 아트레바테스족의 정복을 완료했고, 그들의 왕인 베리카는 로마로 도망쳐 새로운 황제인 클라우디우스에게 영국 정복의 구실을 제공했다. 카라타쿠스와 토고두무누스는 침공에 대한 초기 저항을 이끌었다. 디오 카시우스는 카투벨라우니족에 조공을 바치던 "보두니"족이 편을 바꿔 로마를 지원했다고 전한다. 이것은 글로스터셔의 도부니족의 오기일 가능성이 높으며, 쿠노벨리누스의 헤게모니가 서부 지방까지 확장되었음을 나타낸다.[17]
비문 증거에 따르면 1세기 후반에 영국의 로마 총독이었던 살루스티우스 루쿨루스가 그의 손자였을 가능성이 있다.[18]
2. 1. 세력 확장
화폐학적 증거에 따르면 쿠노벨리누스는 서기 9년경부터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그의 동전은 트리노반테스족의 수도 카물로두눔(현재의 콜체스터)과 카투벨라우니족의 수도 베르라미온(후의 로마 도시 베르라미움, 현재의 세인트앨번스) 양쪽에서 주조되었다. 베르라미온에서 발견된 동전 중 일부는 쿠노벨리누스를 카투벨라우니의 이전 왕 타스키오바누스의 아들로 명시하고 있다.[24] 쿠노벨리누스의 초기 동전은 카물로두눔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그가 먼저 카물로두눔을 장악했음을 시사한다.[25]쿠노벨리누스의 동전 중 일부는 군사적 승리를 상징하는 종려나무 잎이나 월계관 디자인을 사용했는데, 이는 로마 제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서기 9년 게르마니아의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로마가 패배하면서, 쿠노벨리누스는 트리노반테스족에 대한 군사 행동을 감행할 용기를 얻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 트리노반테스족은 기원전 54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와의 조약으로 자치를 보장받은 로마의 동맹이었지만, 게르마니아에서의 패배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영토 확장 야욕과 브리튼 내 동맹 보호 능력을 약화시켰다.[26]
쿠노벨리누스는 로마 제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Rexla(라틴어로 '왕')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동전에 고전적인 모티프를 사용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대륙과의 교역이 증가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탈리아 와인, 술잔, 올리브유, 생선 소스 등 대륙으로부터 수입된 사치품이 증가했으며, 히스파니아산 유리 그릇, 보석, 갈리아 벨기카의 식탁용 식기 등이 카물로두눔 항구를 통해 브리튼으로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7] 스트라보에 따르면, 쿠노벨리누스는 아우구스투스에게 사절을 보낸 브리튼 왕들 중 한 명이었을 것이다. 스트라보는 브리튼과의 교역을 통해 로마가 곡물, 금, 은, 철, 가죽, 노예, 사냥개 등을 수입하여 이익을 얻었다고 기록했다.[28]
쿠노벨리누스에게는 아드미니우스, 토고두무누스, 카라타쿠스라는 세 아들과 에파티쿠스라는 동생이 있었다. 에파티쿠스는 20년대 초 아트레바테스족의 영토로 세력을 확장하여 25년경에는 아트레바테스족의 수도 칼레바 아트레바툼(실체스터)을 점령했다. 에파티쿠스는 35년경 사망할 때까지 영토를 계속 확장했고, 이후 카라타쿠스가 그 뒤를 이어 아트레바테스족은 영토 일부를 회복했다.
아드미니우스는 동전을 통해 판단해 볼 때, 켄트 지역을 지배하고 있었다.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40년경 아드미니우스는 아버지에 의해 브리튼에서 추방되어 칼리굴라 황제에게 피난처를 요청했다. 칼리굴라는 이를 브리튼 전체가 자신에게 복종한 것으로 간주하고 침공을 준비했지만, 병사들에게 파도를 공격하고 조개 껍데기를 전리품으로 수집하라는 명령을 내리는 우스꽝스러운 상황에서 침공을 포기했다.[29]
쿠노벨리누스는 서기 43년 이전에 사망했다. 카라타쿠스는 아트레바테스족 정복을 완료했고, 아트레바테스족의 왕 베리카는 로마로 도망쳐 클라우디우스 황제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이는 로마의 브리튼 정복의 구실이 되었다. 카라타쿠스와 토고두무누스는 로마 침공에 대한 초기 저항을 이끌었다. 카시우스 디오는 카투벨라우니족에 종속되어 있던 "보두니"족이 로마 편으로 돌아섰다고 전한다.[30] "보두니"는 글로스터셔의 도부니족을 잘못 표기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쿠노벨리누스의 영향력이 웨스트 컨트리 지역까지 확장되었음을 시사한다.
2. 2. 로마와의 관계
쿠노벨리누스는 로마 제국과 꽤 좋은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Rex|렉스la(라틴어 '왕')라는 칭호와 그의 동전에 고전적인 모티프를 사용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대륙과의 교역이 증가했다. 고고학적 증거는 이탈리아 와인과 음료 용기, 올리브 오일, 생선 소스 등 대륙에서 수입된 사치품의 증가를 보여준다. 히스파니아산 유리 제품, 보석류, 갈로-벨기크 식탁용품은 그 분포로 보아 카물로두눔 항구를 통해 영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11] 그는 스트라보에 따르면, 아우구스투스에게 사절을 보낸 영국 왕들 중 한 명이었을 것이다. 스트라보는 영국의 곡물, 금, 은, 철, 가죽, 노예, 사냥개를 포함한 로마와의 수익성 있는 교역에 대해 보고한다.[12]쿠노벨리누스는 Adminius, Togodumnus, Caratacus 세 아들과 Epaticcus라는 형제가 있었는데, 이들은 역사에 알려져 있다.
아드미니우스는 그의 동전으로 판단컨대, 이 시기에 켄트를 장악하고 있었다. 수에토니우스는 약 40년에 그가 아버지에 의해 영국에서 추방되어 황제 칼리굴라에게 피난처를 요청했다고 전한다. 칼리굴라는 이것을 섬 전체가 자신에게 복종한 것처럼 취급하고 영국 침공을 준비했다. 그러나 그는 병사들에게 파도를 공격하고 승리의 전리품으로 조개 껍데기를 수집하라고 명령하면서 우스꽝스러운 상황에서 이를 포기했다.[13]
쿠노벨리누스는 약 40년에 사망했으며,[1] 확실히 그는 43년까지는 사망했다.[15] 카라타쿠스는 아트레바테스족의 정복을 완료했고, 그들의 왕인 베리카는 로마로 도망쳐 새로운 황제인 클라우디우스에게 영국 정복의 구실을 제공했다. 카라타쿠스와 토고두무스는 침공에 대한 초기 저항을 이끌었다. 디오 카시우스는 카투벨라우니족에 조공을 바치던 "보두니"족이 편을 바꿔 로마를 지원했다고 전한다. 이것은 글로스터셔의 도부니족의 오기일 가능성이 높으며, 쿠노벨리누스의 헤게모니가 서부 지방까지 확장되었음을 나타낸다.[17]
2. 3. 후계와 로마의 침공
쿠노벨리누스는 로마 제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Rexla(라틴어로 '왕')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동전에 고전적인 모티프를 새겼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대륙과의 교역이 증가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탈리아 와인과 음료 용기, 올리브 오일, 생선 소스 등 대륙에서 수입된 사치품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히스파니아 산 유리 제품, 보석류, 갈로-벨기크 식탁용품은 그 분포로 보아 카물로두눔 항구를 통해 영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11] 그는 스트라보에 따르면, 아우구스투스에게 사절을 보낸 영국 왕들 중 한 명이었을 것이다. 스트라보는 영국의 곡물, 금, 은, 철, 가죽, 노예, 사냥개를 포함한 로마의 수익성 있는 영국과의 교역에 대해 보고한다.[12]쿠노벨리누스에게는 Adminius, Togodumnus, Caratacus 세 아들과 Epaticcus라는 형제가 있었다. 에파티쿠스는 20년대 초 Atrebates의 영토로 영향력을 확대하여 약 25년에 아트레바탄의 수도인 칼레바(실체스터)를 점령했다. 그는 약 35년에 사망할 때까지 영토를 계속 확장했으며, 그 후 카라타쿠스가 그를 대신하고 아트레바테스는 영토 일부를 회복했다.
애드미니우스는 동전으로 판단컨대, 이 시기에 켄트를 장악하고 있었다. 수에토니우스는 약 40년에 그가 아버지에 의해 영국에서 추방되어 황제 칼리굴라에게 피난처를 요청했다고 전한다. 칼리굴라는 이것을 섬 전체가 자신에게 복종한 것처럼 취급하고 영국 침공을 준비했으나, 병사들에게 파도를 공격하고 승리의 전리품으로 조개 껍데기를 수집하라고 명령하면서 우스꽝스러운 상황에서 이를 포기했다.[13]
쿠노벨리누스는 40년경에 사망했으며,[1] 그 날짜로부터 1년 이내일 것이다.[14] 확실히 그는 43년까지는 사망했다.[15] 렉스덴 투물루스는 그의 무덤으로 추정되지만(이전 트리노반테 왕인 Addedomarus도 유력한 후보이다).[16] 카라타쿠스는 아트레바테스의 정복을 완료했고, 그들의 왕 베리카는 로마로 도망쳐 새로운 황제 클라우디우스에게 영국 정복의 구실을 제공했다. 카라타쿠스와 토고두무스는 침공에 대한 초기 저항을 이끌었다. 디오 카시우스는 카투벨라우니에 조공을 바치던 "보두니"족이 편을 바꿔 로마를 지원했다고 전한다. 이는 글로스터셔의 도부니족의 오기일 가능성이 높으며, 쿠노벨리누스의 헤게모니가 서부 지방까지 확장되었음을 나타낸다.[17]
비문 증거에 따르면 1세기 후반에 영국의 로마 총독이었던 살루스티우스 루쿨루스가 그의 손자였을 가능성이 있다.[18]
3. 전설과 문학
쿠노벨리누스의 이름은 영국의 전설과 문학 작품에 남아 전해진다.
버킹엄셔의 킨블스(Kimbles) 마을은 쿠노벨리누스를 기리기 위해 지어진 이름이다. 이 마을에는 비컨 힐과 "심벌린의 언덕" 또는 "심벌린 성"이라고 불리는 언덕이 있는데, 지역 전설에 따르면 이 언덕에서 쿠노벨리누스 왕과 그의 아들들이 로마 군대와 격렬하게 싸웠다고 한다.
3. 1. 중세 문학
쿠노벨리누스는 영국의 전설과 문학 작품에 등장한다. 9세기 초 ''브리튼인의 역사''에서 쿠노벨리누스는 ''벨리누스''로 등장하며, ''미노칸누스''의 아들이자 율리우스 카이사르 시대의 영국 왕으로 묘사된다.[19] 수에토니우스의 ''칼리굴라의 생애''에서 오로시우스의 ''Historia adversus Paganos''로 이름이 전파되는 과정에서 필사 오류로 인해 쿠노벨리누스와 그의 아들 아드미니우스의 이름이 변질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브리튼인의 역사'' 저술가는 오로시우스의 저서를 주요 자료로 사용했다.웨일스 삼제시와 ''브란웬 페르흐 르리르'', ''막센 웰레디그의 꿈'', ''루드와 르벨리스''와 같은 중세 문학에서 "미노칸누스의 아들 벨리누스"는 웨일스어로 "벨리 대왕", 즉 ''벨리 마우르''로 변형되었다. 벨리 마우르는 미노간 (또는 마노간)의 아들이었으며, 여러 중세 웨일스 족보에도 등장한다.[19]
10세기 중반 중세 웨일스 필사본 ''할리언 3859''에 보존된 족보에는 "카라타욱 맵 킨벨린 맵 테우한트"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타시오바누스의 아들 쿠노벨리누스의 아들 카라타쿠스"로 해석된다. 세 명의 역사적 인물이 정확한 순서로 배치되어 있지만, 잘못된 역사적 맥락과 언어적 변화는 오랜 구전 기간을 시사한다. 족보에는 로마 황제들과 웨일스 신화 속 인물인 기드겐 (그위디온)과 루 (르우)의 이름도 포함되어 있다.[20]
몬머스의 제프리의 ''브리타니아 열왕사''(약 1136년 저술)에는 쿠노벨리누스가 여러 번 등장한다. 제프리는 ''브리튼인의 역사''에 나오는 벨리누스를 카이사르에 대항한 카시벨라우누스의 장군으로 묘사한다. (제프리의 Historia를 웨일스어로 번역한 브루트 이 브렌히네드에서 벨리누스는 ''벨리''가 되고, ''카스왈론''의 집사가 된다.) 제프리의 Historia에서 벨리누스는 헬리 (클리게일루스의 아들)로 다시 등장하며, 40년 동안 통치한 카시벨라누스, 루드, 넨니우스 세 형제의 아버지로 묘사된다. (웨일스어 번역본에서는 ''벨리 마우르''가 제프리의 헬리 대신 사용된다.)[19] 이후 텐반티우스의 아들 킴벨리누스로 등장하는데, 그는 아우구스투스의 궁정에서 자란 강력한 전사였다. 로마와 매우 친밀하여 로마 무기로 나라를 무장하고, 로마에 대한 조공은 요구가 아닌 존경의 의미로 지불했다. 그는 기데리우스와 아르비라르구스 두 아들을 두었다. 기데리우스가 왕위를 이었지만 클라우디우스 침략 초기에 사망하고, 아르비라르구스가 전투를 이어받았다.[21]
1577년 라파엘 홀린셰드의 ''연대기''에 제프리의 이야기가 삽입되었고,[22]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이를 바탕으로 로맨스 ''심벨린''을 썼다. 킴벨린은 사악한 계모의 영향으로 딸 이모겐이 신분은 낮지만 가치 있는 남자 포스투무스 레오나투스와 결혼하는 것을 금하고, 무례한 의붓아들 클로텐과 결혼시키려 한다. 이로 인해 신원 착오, 불충실에 대한 허위 비난으로 인한 질투, 여왕의 선동으로 인한 로마와의 전쟁이 발생한다. 결국 영국과 로마의 평화가 회복되고, 킴벨린은 어린 시절 벨라리우스 (잘못 추방된 귀족)에게 납치된 두 아들 기데리우스, 아르비라구스와 재회한다. 이모겐은 포스투무스와 화해하고, 클로텐과 사악한 여왕은 벌을 받는다.[23]
3. 2. 제프리의 브리타니아 열왕사
몬머스의 제프리의 ''브리타니아 열왕사''(약 1136년 저술)에서 쿠노벨리누스는 여러 번 등장한다. 제프리는 ''브리튼인의 역사''의 벨리누스를 빌려 카이사르에 대항한 카시벨라우누스(제프리의 ''Historia''의 웨일스어 번역본인 브루트 이 브렌히네드에서는 벨리누스는 ''벨리''가 되고, ''카스왈론''의 집사가 된다)의 장군으로 묘사한다. 제프리의 ''Historia''에서 다음 등장은 40년 동안 통치한 카시벨라누스, 루드, 그리고 넨니우스 세 형제의 아버지인 헬리 (클리게일루스의 아들)이다 (웨일스어 번역본에서 ''벨리 마우르''는 제프리의 헬리 대신 사용된다).[19] 그 다음 그는 텐반티우스의 아들 킴벨리누스로 등장하며, 아우구스투스의 궁정에서 자란 강력한 전사였다. 그는 로마 궁정과 매우 친밀했으며, 그의 나라는 로마 무기로 갖춰졌고, 로마에 대한 모든 조공은 요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존경심에서 지불되었다. 그는 두 아들 기데리우스와 아르비라르구스를 두었다. 기데리우스가 그의 뒤를 이었지만, 클라우디우스의 침략 초기 단계에서 죽었고, 아르비라르구스가 싸움을 계속하도록 남겨두었다.[21]3. 3. 셰익스피어의 심벨린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라파엘 홀린셰드의 ''연대기''에서 쿠노벨리누스에 대한 이야기를 접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로맨스극인 ''심벨린''을 썼다.[23] 이 작품에서 킴벨린 왕은 사악한 계모의 영향을 받아, 딸 이모겐이 신분이 낮지만 가치 있는 남자 포스투무스 레오나투스와 결혼하는 것을 금지하고, 이모겐이 자신의 의붓아들 클로텐과 결혼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로 인해 신원 착오, 불충실에 대한 허위 비난으로 인한 질투, 여왕의 선동으로 로마와의 전쟁이 벌어진다.[23]결국 영국과 로마 사이의 평화가 재건되고, 킴벨린은 어린 시절 벨라리우스(잘못 추방된 귀족)에게 납치된 두 아들 기데리우스와 아르비라르구스와 재회한다. 이모겐은 포스투무스와 화해하고, 클로텐과 그의 어머니는 정당한 대가를 치른다.[23]
셰익스피어의 작품 속 킴벨린은 역사 속 쿠노벨리누스와 이름 외에는 거의 공통점이 없다.[23]
4. 유산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 요약 등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작성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Cunobelinus
[2]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 Cunobelinus
https://www.britanni[...]
[3]
서적
Arthur and the Kings of Britain: The Historical Truth Behind the Myths
Amberley Publishing
2017
[4]
서적
UnRoman Britain: Exposing the Great Myth of Britannia
History Press
2011
[5]
간행물
"The irreducible Gauls used to swear by Belenos. Or did they? Celtic religion, henbane and historical misapprehensions"
2017
[6]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Editions Errance
2003
[7]
서적
Coins and power in Late Iron Age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7]
서적
Celtic Coinage in Britain
Shire Archaeology
1996
[8]
간행물
Die Sprache altbritannischer Munzlegenden
1991
[9]
문서
Roman History
[10]
서적
Boudica: the British Revolt Against Rome AD 60
1978
[11]
서적
The Catuvellauni
Alan Sutton Publishing Ltd
1987
[12]
웹사이트
Geography 4.5
https://penelope.uch[...]
[13]
웹사이트
Lives of the Twelve Caesars: Caligula 44.2–47
https://penelope.uch[...]
[13]
웹사이트
Roman History 59.25
https://penelope.uch[...]
[14]
서적
Boudica: The British Revolt Against Rome AD 60
Routledge
2003
[15]
서적
Ruling Roman Britain: Kings, Queens, Governors and Emperors from Julius Caesar to Agricola
Routledge
1996
[16]
서적
City of Victory; the story of Colchester – Britain's first Roman town
Colchester Archaeological Trust
1997
[17]
웹사이트
Roman History 60.20
https://penelope.uch[...]
[18]
간행물
Roman Britain's Lost Governor
2006
[18]
웹사이트
Sallustius Lucullus
http://www.roman-bri[...]
[19]
서적
A Welsh classical dictionary: people in history and legend up to about A.D. 1000
National Library of Wales
1993
[20]
웹사이트
Harleian Genealogies 16
https://web.archive.[...]
[20]
웹사이트
The Heirs of Caratacus
[21]
문서
Historia Regum Britanniae 4.11–12
[22]
웹사이트
Chronicles: History of England Vol 3 Ch. 18
http://www.gutenberg[...]
[23]
희곡
Cymbeline
[24]
서적
Coins and power in Late Iron Age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4]
서적
Celtic Coinage in Britain
Shire Archaeology
1996
[25]
문서
ローマ史
[26]
서적
Boudica: the British Revolt Against Rome AD 60
1978
[27]
서적
The Catuvellauni
Alan Sutton Publishing Ltd
1987
[28]
웹사이트
Geography 4.5
https://penelope.uch[...]
[29]
웹사이트
皇帝伝 Caligula 44.2-47
https://penelope.uch[...]
[29]
웹사이트
ローマ史 59.25
https://penelope.uch[...]
[30]
웹사이트
ローマ史 60.20
https://penelope.uch[...]
[31]
간행물
Roman Britain's Lost Governor
2006
[31]
웹사이트
Sallustius Lucullus
http://www.roman-bri[...]
[32]
웹사이트
Harleian Genealogies 16
http://www.geocities[...]
[32]
웹사이트
The Heirs of Caratacus
[33]
문서
ブリタニア列王史 4.11-12
[34]
웹사이트
年代記
http://www.gutenberg[...]
[35]
웹사이트
"Cunobelinus
[36]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 Cunobelinus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