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에토니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에토니우스는 로마 제정 시대의 역사가로, 《황제 열전》의 저술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북아프리카 히포 레기우스 출신으로, 기사 계급 출신 아버지의 지원을 받아 로마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며 소(小)플리니우스와 친분을 맺었다. 플리니우스를 통해 트라야누스와 하드리아누스의 총애를 받았으나, 하드리아누스 황비 비비아 사비나와의 관계 문제로 해임되었다. 수에토니우스는 《황제 열전》 외에도 《명사 열전》, 《헬레스의 어린이들》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며, 이 중 《황제 열전》은 율리우스 카이사르부터 도미티아누스까지 로마 황제들의 생애를 다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9년 출생 - 폴리카르포스
    사도 요한의 제자로 2세기 기독교의 중요한 인물인 폴리카르포스는 스미르나의 주교로서 사도시대와 후대를 연결하고, 《빌립보인들에게 보낸 폴리카르포스의 서신》을 통해 초기 기독교 신앙을 전파했으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박해 시기에 순교했다.
  • 고대 로마의 전기 작가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로마의 전기 작가 -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는 46년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과 『모랄리아』 등의 저서를 통해 서양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역사가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역사가 -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는 46년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과 『모랄리아』 등의 저서를 통해 서양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수에토니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웨토니우스 에칭
19세기 스웨토니우스 에칭
본명가이우스 스웨토니우스 트란퀼루스
출생기원후 69년 경
출생지히포 레기우스, 아프리카 (현재의 안나바, 알제리)
사망기원후 122년 이후 (53–54세)
직업비서, 역사학자
장르전기
주제역사, 전기, 웅변
사조라틴어 은시대
주요 작품황제전
영향
영향해당 정보 없음
영향 받은 인물
영향 받은 인물해당 정보 없음

2. 생애

가이우스 수에토니우스 트란퀼루스는 히포 레기우스(지금의 안나바) 출신으로, 수에토니우스 라에투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라에투스는 에퀴테스에 속했으며, 내전 시기에는 오토 황제 아래에서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속주 총독이었던 아울루스 비텔리우스와 함께 베드리아쿰 전투 (69년)에 참전했다.

90년대부터 수에토니우스는 로마에서 변호사로 활동하였는데, 원로원 의원이자 역사가가 된 소(小)플리니우스와도 친분이 있었다. 플리니우스는 수에토니우스를 물심양면으로 지원했고 문필에 일가를 이룬 인물이라고 기록을 남겼다. 소 플리니우스는 수에토니우스가 이탈리아의 소규모 부동산을 구입할 때도 미혼에 자식이 없었던 수에토니우스에게 면세 특권(통상 아들 셋을 둔 아버지에게 인정되었다)을 인정해주도록 트라야누스 황제와의 사이에서 주선에 나서는 등 협력했다. 플리니우스를 통해서 수에토니우스는 트라야누스, 그리고 하드리아누스와도 친해졌다.

또한 110년부터 112년까지 수에토니우스는 소 플리니우스가 비튀니아와 폰투스 두 속주의 프로콘술로 부임할 때에 수행하였다. 트라야누스의 치세 때에는 몇 번이나 비서관(秘書官)과 공문서관(公文書館)의 감독 업무를 맡고 있었다. 그러나 112년에 수에토니우스는 하드리아누스의 황비(皇妃) 비비아 사비나(en)에 대한 불경한 태도가 문제가 되어 해임되었다.[5][6] 수에토니우스의 해임은 현재는 하드리아누스의 행정 개혁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122년 이후 하드리아누스가 수에토니우스를 다시 직무에 기용했다는 기록은 없다.

수에토니우스의 사망 시기는 확실하지 않고 130년 이후로 여겨지고 있다.

2. 1. 출생과 가문

가이우스 수에토니우스 트란퀼루스는 서기 69년경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그가 네로 사후 20년이 지난 시점에 자신을 "젊은이"라고 묘사한 그의 발언에서 추론된 것이다.[1] 그의 출생지는 논란이 있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가 오늘날 알제리에 위치한 누미디아의 작은 북아프리카 도시인 히포 레기우스에서 태어났다고 본다. 수에토니우스는 비교적 평범한 사회적 지위의 집안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 수에토니우스 라에투스[3]는 제13군단 게미나의 기사 계급(''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 출신이었다. 수에토니우스는 로마에서 수사학 학교가 번성할 때 교육을 받았다.

수에토니우스는 로마 원로원 의원이자 서신 작가인 대 플리니우스의 절친이었다. 플리니우스는 그를 "조용하고 학구적이며 글쓰기에 헌신적인 사람"이라고 묘사했다. 플리니우스는 그가 작은 재산을 구매하도록 돕고, 수에토니우스가 결혼했으나 자녀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황제 트라야누스에게 세 자녀의 아버지에게 주어지는 특권인 ''이우스 트리움 리베로룸''을 수여하도록 중재했다.[4] 플리니우스를 통해 수에토니우스는 트라야누스하드리아누스의 총애를 받게 되었다.

수에토니우스는 플리니우스가 110년에서 112년 사이에 비티니아 폰투스(북부 소아시아)의 황제 총독(''레가투스 아우구스티 프로 프라에토레'')으로 있을 때 플리니우스의 참모로 활동했을 수 있다. 트라야누스 치하에서 그는 학술 비서(정확한 기능은 불확실) 및 황실 기록 보관소의 관리자로 일했다. 하드리아누스 치하에서 그는 황제의 비서가 되었다. 하드리아누스는 나중에 수에토니우스가 황후 비비아 사비나와 부적절한 관계를 가졌다는 혐의로 그를 해고했다.[5][6]

2. 2. 플리니우스와의 관계

수에토니우스는 로마 원로원 의원이자 서신 작가인 대 플리니우스의 절친이었다.[4] 플리니우스는 그를 "조용하고 학구적이며 글쓰기에 헌신적인 사람"이라고 묘사했다.[4] 플리니우스는 수에토니우스가 작은 재산을 구매하도록 돕고, 수에토니우스가 결혼했으나 자녀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황제 트라야누스에게 세 자녀의 아버지에게 주어지는 특권인 ''이우스 트리움 리베로룸''을 수여하도록 중재했다.[4] 플리니우스를 통해 수에토니우스는 트라야누스하드리아누스의 총애를 받게 되었다.[4] 수에토니우스는 플리니우스가 110년에서 112년 사이에 비티니아 폰투스(북부 소아시아)의 황제 총독(''레가투스 아우구스티 프로 프라에토레'')으로 있을 때 플리니우스의 참모로 활동했을 수 있다.[4]

2. 3. 관직 경력

가이우스 수에토니우스 트란퀼리우스는 히포 레기우스(지금의 안나바) 출신으로, 에퀴테스인 수에토니우스 라에투스의 아들로 태어났다.[1] 라에투스는 내전 시기 오토 휘하에서 69년 아울루스 비텔리우스와의 베드리아쿰 전투에 종군했다.[3]

90년대부터 수에토니우스는 로마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며 원로원 의원이자 역사가인 소(小)플리니우스와 친분을 맺었다. 플리니우스는 수에토니우스를 물심양면으로 지원했고, 그가 이탈리아의 소규모 부동산을 구입할 때 트라야누스 황제에게 부탁해 면세 특권(통상 세 아들을 둔 아버지에게 인정)을 받도록 주선했다.[4] 플리니우스를 통해 수에토니우스는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와도 친분을 쌓았다.

110년부터 112년까지 수에토니우스는 소 플리니우스가 비튀니아와 폰투스 두 속주의 프로콘술로 부임할 때 수행했다. 트라야누스 치세에는 비서관과 공문서관 감독 업무를 맡았다. 그러나 112년 하드리아누스의 황비(皇妃) 비비아 사비나(en)에 대한 불경한 태도가 문제가 되어 해임되었다.[5][6] 이는 하드리아누스의 행정 개혁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122년 이후 하드리아누스가 수에토니우스를 다시 기용했다는 기록은 없다.

2. 4. 사망

수에토니우스는 로마 원로원 의원이자 서신 작가인 대 플리니우스의 절친이었다.[4] 플리니우스는 그를 "조용하고 학구적이며 글쓰기에 헌신적인 사람"이라고 묘사했다.[4] 플리니우스를 통해 수에토니우스는 트라야누스하드리아누스의 총애를 받게 되었다.[4] 하드리아누스 치하에서 그는 황제의 비서가 되었으나, 황후 비비아 사비나와 부적절한 관계를 가졌다는 혐의로 해고되었다.[5][6]

3. 저서

1540년프랑스에서 출판된 《황제 열전》의 첫장.


수에토니우스는 《황제 열전》(De vita Caesarumla)의 저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황제 열전》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처음 몇 장이 유실됨), 아우구스투스, 티베리우스, 칼리굴라, 클라우디우스, 네로, 갈바, 오토, 비텔리우스, 베스파시아누스, 티투스, 도미티아누스의 전기가 수록되어 있다. 119년 프라이토리아 근위대의 집정관이었던 그의 친구 가이우스 셉티키우스 클라루스에게 헌정되었다.

이 책은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로마 황제들의 생애를 외모, 징조, 가족사, 인용구, 경력, 사적 순으로 일관된 형식에 따라 서술한다. 수에토니우스는 공공 비용을 위해 재물을 모은 황제를 탐욕스럽다고 평가했는데, 이는 평균적인 로마 중류층 계급의 태도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황제 열전》은 한국에서도 번역되었는데,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황제》(전2권, 박광순 역, 1998, 풀빛미디어)와 영국의 시인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영역본을 중역한 《열두명의 카이사르 - 고대 로마 역사가가 쓴 황제 이야기》(조윤정 역, 2009, 다른세상)가 있다.

수에토니우스는 고대 로마의 명사들에 대한 《명사 열전》(De Viris Illustribusla)을 남겼는데, 현재는 그 중 「문법가전」, 「웅변가전」 및 「시인전」의 일부만이 전한다. 한국에는 2013년에 《로마의 문법학자들》(안재원 역, 한길사)이라는 제목으로 《문법학자 열전》이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명사 열전》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 《문법학자 열전》(《문법학자들의 생애》): 20개의 짧은 생애가 있으며, 완전한 것으로 보인다.
  • 《웅변가 열전》(《웅변가들의 생애》): 16개의 원래 생애 중 5개의 짧은 생애가 남아 있다.
  • 《시인 열전》(《시인들의 생애》): 베르길리우스의 생애와 테렌스, 호라티우스, 루카누스의 생애에서 발췌한 단편들이 남아 있다.
  • 《역사가 열전》(《역사가들의 생애》): 대 플리니우스의 짧은 생애가 이 작품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 외, 그리스어로 쓰여진 《헬레스의 어린이들》(《그리스 게임》),《비방에 관하여》(《그리스 욕설》)등이 후대의 그리스어 용어집에 발췌된 형태로 부분적으로 남아있다.

로버트 그레이브스가 『열두 명의 황제』 번역본 서문에서 언급한 수에토니우스의 분실된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왕의 전기』
  • 『유명한 매춘부의 생애』
  • 『로마 풍습과 관습』
  • 『로마의 연대기』
  • 『로마 축제』
  • 『로마 복식』
  • 『그리스 경기』
  • 『국가 원수직』
  • 『키케로의 공화국에 관하여』
  • 『인간의 신체적 결함』
  • 『시간 계산법』
  • 『자연에 관한 에세이』
  • 『그리스 맹세』
  • 『문법 문제』
  • 『책에 사용된 비평 기호』


J. C. 롤프가 번역하고 K. R. 브래들리가 서문을 쓴 수에토니우스의 뢰브판 서문은 수다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은 제목들을 언급한다.

  • 『그리스 경기에 관하여』
  • 『로마의 구경거리와 경기에 관하여』
  • 『로마의 연대기에 관하여』
  • 『책에 사용된 비평 기호에 관하여』
  • 『키케로의 공화국에 관하여』
  • 『옷의 이름과 종류에 관하여』
  • 『모욕에 관하여』
  • 『로마와 그 관습과 풍습에 관하여』


이 책은 수다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제목들을 추가했다.

  • 『유명한 고급 창부에 관하여』
  • 『왕에 관하여』
  • 『공직 제도에 관하여』
  • 『신체적 결함에 관하여』
  • 『기상 징후에 관하여』
  • 『바다와 강 이름에 관하여』
  • 『바람 이름에 관하여』


다른 두 제목은 앞서 열거된 것들의 컬렉션일 수도 있다.

  • 『프라툼(잡록)』
  • 『다양한 문제에 관하여』

3. 1. 황제전 (De Vita Caesarum)

수에토니우스는 《황제 열전》(라틴어 원제: De vita Caesarum)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황제 열전》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처음 몇 장이 유실됨), 아우구스투스, 티베리우스, 칼리굴라, 클라우디우스, 네로, 갈바, 오토, 비텔리우스, 베스파시아누스, 티투스, 도미티아누스의 전기를 수록하고 있다.[7] 119년에 프라이토리아 근위대의 집정관이었던 그의 친구 가이우스 셉티키우스 클라루스에게 헌정되었다.[7]

이 책은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로마 황제들의 생애를 외모, 징조, 가족사, 인용구, 경력, 사적 순으로 일관된 형식에 따라 서술한다. 수에토니우스는 공공 비용을 위해 재물을 모은 황제를 탐욕스럽다고 평가했는데, 이는 평균적인 로마 중류층 계급의 태도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간질 발작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을 남겼다.[7]

《황제 열전》은 한국에서도 번역되었는데,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황제》(전2권, 박광순 역, 1998, 풀빛미디어)와 영국의 시인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영역본을 중역한 《열두명의 카이사르 - 고대 로마 역사가가 쓴 황제 이야기》(조윤정 역, 2009, 다른세상)가 있다.

3. 2. 명사 열전 (De Viris Illustribus)

수에토니우스는 고대 로마의 명사들에 대한 《명사 열전》(라틴어 원제: De Viris Illustribus)을 남겼는데, 현재는 그 중 「문법가전」, 「웅변가전」 및 「시인전」의 일부만이 전한다. 《명사 열전》에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속한다.

  • 《문법학자 열전》(《문법학자들의 생애》): 20개의 짧은 생애가 있으며, 완전한 것으로 보인다.
  • 《웅변가 열전》(《웅변가들의 생애》): 16개의 원래 생애 중 5개의 짧은 생애가 남아 있다.
  • 《시인 열전》(《시인들의 생애》): 베르길리우스의 생애와 테렌스, 호라티우스, 루카누스의 생애에서 발췌한 단편들이 남아 있다.
  • 《역사가 열전》(《역사가들의 생애》): 대 플리니우스의 짧은 생애가 이 작품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에는 2013년에 《로마의 문법학자들》(안재원 역, 한길사)이라는 제목으로 《문법학자 열전》이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3. 3. 기타 저작

고대 로마의 명사들에 대한 《명사 열전》(라틴어 원제: De Viris Illustribus)을 남겼는데, 현재는 그 중 「문법가전」, 「웅변가전」 및 「시인전」의 일부만이 전한다. 한국에는 2013년에 《로마의 문법학자들》(안재원 역, 한길사)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 《유명한 사람들에 관하여》(《문학 분야의 저명한 사람들》)에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속한다.
  • * 《문법학자 열전》(《문법학자들의 생애》; 20개의 짧은 생애가 있으며, 완전한 것으로 보인다)
  • * 《웅변가 열전》(《웅변가들의 생애》; 16개의 원래 생애 중 5개의 짧은 생애가 남아 있다)
  • * 《시인 열전》(《시인들의 생애》; 베르길리우스의 생애와 테렌스, 호라티우스, 루카누스의 생애에서 발췌한 단편들이 남아 있다)
  • * 《역사가 열전》(《역사가들의 생애》; 대 플리니우스의 짧은 생애가 이 작품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헬레스의 어린이들》(《그리스 게임》)
  • 《비방에 관하여》(《그리스 욕설》)


위의 두 작품은 그리스어로 쓰여졌다. 이들은 후대의 그리스어 용어집에 발췌된 형태로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로버트 그레이브스가 『열두 명의 황제』 번역본 서문에서 언급한 수에토니우스의 분실된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8]

  • 『왕의 전기』
  • 『유명한 매춘부의 생애』
  • 『로마 풍습과 관습』
  • 『로마의 연대기』
  • 『로마 축제』
  • 『로마 복식』
  • 『그리스 경기』
  • 『국가 원수직』
  • 『키케로의 공화국에 관하여』
  • 『인간의 신체적 결함』
  • 『시간 계산법』
  • 『자연에 관한 에세이』
  • 『그리스 맹세』
  • 『문법 문제』
  • 『책에 사용된 비평 기호』


J. C. 롤프가 번역하고 K. R. 브래들리가 서문을 쓴 수에토니우스의 뢰브판 서문은 수다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은 제목들을 언급한다.

  • 『그리스 경기에 관하여』
  • 『로마의 구경거리와 경기에 관하여』
  • 『로마의 연대기에 관하여』
  • 『책에 사용된 비평 기호에 관하여』
  • 『키케로의 공화국에 관하여』
  • 『옷의 이름과 종류에 관하여』
  • 『모욕에 관하여』
  • 『로마와 그 관습과 풍습에 관하여』


이 책은 수다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제목들을 추가했다.

  • 『유명한 고급 창부에 관하여』
  • 『왕에 관하여』
  • 『공직 제도에 관하여』
  • 『신체적 결함에 관하여』
  • 『기상 징후에 관하여』
  • 『바다와 강 이름에 관하여』
  • 『바람 이름에 관하여』


다른 두 제목은 앞서 열거된 것들의 컬렉션일 수도 있다.

  • 『프라툼(잡록)』
  • 『다양한 문제에 관하여』

3. 3. 1. 현존하는 일부


  • 《유명한 사람들에 관하여》(《문학 분야의 저명한 사람들》)에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속한다.
  • * 《문법학자 열전》(《문법학자들의 생애》; 20개의 짧은 생애가 있으며, 완전한 것으로 보인다)
  • * 《웅변가 열전》(《웅변가들의 생애》; 16개의 원래 생애 중 5개의 짧은 생애가 남아 있다)
  • * 《시인 열전》(《시인들의 생애》; 베르길리우스의 생애와 테렌스, 호라티우스, 루카누스의 생애에서 발췌한 단편들이 남아 있다)
  • * 《역사가 열전》(《역사가들의 생애》; 대 플리니우스의 짧은 생애가 이 작품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헬레스의 어린이들》(《그리스 게임》)
  • 《비방에 관하여》(《그리스 욕설》)

위의 두 작품은 그리스어로 쓰여졌다. 이들은 후대의 그리스어 용어집에 발췌된 형태로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3. 2. 소실된 저작

로버트 그레이브스가 『열두 명의 황제』 번역본 서문에서 언급한 수에토니우스의 분실된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8]

  • 『왕의 전기』
  • 『유명한 매춘부의 생애』
  • 『로마 풍습과 관습』
  • 『로마의 연대기』
  • 『로마 축제』
  • 『로마 복식』
  • 『그리스 경기』
  • 『국가 원수직』
  • 『키케로의 공화국에 관하여』
  • 『인간의 신체적 결함』
  • 『시간 계산법』
  • 『자연에 관한 에세이』
  • 『그리스 맹세』
  • 『문법 문제』
  • 『책에 사용된 비평 기호』


J. C. 롤프가 번역하고 K. R. 브래들리가 서문을 쓴 수에토니우스의 뢰브판 서문은 수다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은 제목들을 언급한다.

  • 『그리스 경기에 관하여』
  • 『로마의 구경거리와 경기에 관하여』
  • 『로마의 연대기에 관하여』
  • 『책에 사용된 비평 기호에 관하여』
  • 『키케로의 공화국에 관하여』
  • 『옷의 이름과 종류에 관하여』
  • 『모욕에 관하여』
  • 『로마와 그 관습과 풍습에 관하여』


이 책은 수다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제목들을 추가했다.

  • 『유명한 고급 창부에 관하여』
  • 『왕에 관하여』
  • 『공직 제도에 관하여』
  • 『신체적 결함에 관하여』
  • 『기상 징후에 관하여』
  • 『바다와 강 이름에 관하여』
  • 『바람 이름에 관하여』


다른 두 제목은 앞서 열거된 것들의 컬렉션일 수도 있다.

  • 『프라툼(잡록)』
  • 『다양한 문제에 관하여』

참조

[1] 서적 Lives of the Caesars Harvard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Suetonius https://www.britann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5-15
[3] 서적 Vita Othonis
[4] 서적 Letters
[5] 서적 Suetonius Tranquillus, Gaius
[6] 서적 Historia Augusta
[7] 서적 Texts and Transmission: A Survey of the Latin Classic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8] 서적 Suetonius: The Twelve Caesars https://www.penguin.[...] Penguin Books
[9] 서적 美しきイタリア 22の物語 光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