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초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초버는 알바니아의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1920년대 초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아 산업화가 진행되었고, 1928년 알바니아 최초의 석유 시추가 이루어졌다. 사회주의 시대에는 '취테티스탈린'으로 불리며 폐쇄 도시가 되었고, 공산주의 붕괴 이후 탈산업화를 겪었다. 현재는 쿠초버 공군기지가 위치하며, 2024년 NATO 공군 기지로 재개장되었다. 석유 산업이 발달했으며, 축구 클럽과 람라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의 도시 - 티라나
    티라나는 알바니아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오스만 제국 지배와 공산주의 시대를 거쳐 현재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지만, 인구 과밀에 따른 환경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알바니아의 도시 - 라치
    라치는 알바니아어로 습지대를 의미하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 기록되었고 성 안토니오 교회가 위치하며, 축구 선수 카짐 라치와 알바니 가문 등이 이 지역과 관련되어 있다.
쿠초버
기본 정보
쿠초버 문장
쿠초버 시 문장
쿠초버 깃발
쿠초버 깃발
쿠초버 메인 스트리트
쿠초버 다운타운의 주요 광장으로 이어지는 대로
쿠초버 영화관
쿠초버 영화관
쿠초버 F6 전투기
쿠초버 비행장에 남아있는 선양 F-6 전투기
베라트 주
시장크레슈니크 하이다리
소속 정당PS
해발고도50m
면적 (지방 자치체)160.33 km2
인구 (2023년)31077명
인구 (도시)12629명
우편 번호5301-5304
지역 번호(0)311
웹사이트쿠초버 시 공식 웹사이트
지리

2. 역사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현재 쿠초버 인근의 카툰다스 마을 유적지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일리리아인 시대, 고대 후기에 이르기까지 사람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920년대 초반부터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으며 산업화가 진행되었고, 1928년에는 알바니아 최초의 석유 시추 작업이 이루어졌다. 특히 이탈리아 석유 회사인 AIPA와의 계약을 통해 연간 5만ton에 달하는 석유가 생산되면서 산업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사회주의 체제 시기에는 도시 이름이 이오시프 스탈린의 이름을 따 '''취테티스탈린'''(Qyteti Stalin)으로 변경되었고, 군사 시설이 들어서면서 폐쇄 도시로 운영되었다. 1950년대부터는 사회주의 양식의 건축물이 들어서며 도시가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2. 1. 고대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쿠초버 인근 지역, 특히 카툰다스 마을 유적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동기 시대(또는 금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일리리아인 시대(도시 일리리아인 시대 포함), 그리고 고대 후기에 이르기까지 총 6개의 뚜렷한 주거 단계가 확인되었다.[4] 이는 쿠초버 지역이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중요한 정착지였음을 보여준다.

2. 2. 현대

1920년대 초반부터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으면서 산업화가 진행되었다. 1928년에는 "디카테르"에서 알바니아 최초의 유정이 시추되었고, 쿠초바 유전이 설립되었다.[5] 이 시점부터 쿠초버는 석유 산업의 중심지로 떠올랐으며, 노동자와 그 가족들이 모여들었다.[5] 1928년부터 이탈리아의 석유 회사인 AIPA는 조그 1세 정부와 계약을 맺었다. 계약 내용은 연간 석유 채취량이 5만ton을 초과하면 AIPA가 알바니아에 정유소를 건설한다는 것이었다.[6] 그러나 1939년 알바니아가 이탈리아에 점령된 후, 채취된 석유가 17만ton이 넘었음에도 정유소는 건설되지 않았고, 생산된 석유는 모두 이탈리아로 수송되었다.[6]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는 도시 이름이 이오시프 스탈린의 이름을 딴 '''취테티스탈린'''(Qyteti Stalin)으로 바뀌었다. 또한 군사 시설이 들어서면서 폐쇄 도시가 되었다. 1950년대부터는 사회주의 양식의 건축물이 들어서면서 도시가 크게 발전했다.

2. 3. 사회주의 시대 (취테티스탈린)

사회주의 시대, 특히 공산주의 알바니아 시기에 이 도시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이름을 따 '''Qyteti Stalin|취테티스탈린alb'''(스탈린 시티)으로 개명되었다. 군사 시설이 들어서면서 폐쇄 군사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50년대부터 사회주의 양식의 건축물이 건설되면서 도시는 크게 개발되었으며, 이는 공산주의 건축 연구자들에게 흥미로운 대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공산주의 체제 붕괴 이후에는 기존 건물에 대한 무단 건축 및 개조가 많이 이루어졌다.

2. 4. 군사 기지

쿠초버 공군기지가 위치한 곳으로, 알바니아 공군의 기지이다. 2005년부터 알바니아 공군은 소련중국으로부터 제공받은 노후된 미그 전투기 운용을 중단하고, 회전익 항공기만 운용하고 있다. 이 비행장은 2024년 동유럽으로의 지속적인 NATO 확장의 일환으로 NATO 공군 기지로 재개장되었다.[7]

3. 경제

쿠초버는 석유 산업으로 유명한 알바니아의 도시 중 하나로, 파토스-마린자 유전 및 발쉬-헤칼 유전과 함께 알바니아 석유 산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곳의 석유 산업은 조그 1세 통치 시기 이탈리아인들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나, 현재 많은 관련 기반 시설이 노후화된 상태이다.

공산주의 시대가 끝난 후, 쿠초버는 심각한 탈산업화를 겪었다. 많은 공장이 문을 닫았고, 피라미드 은행의 실패 이후 발생한 1997년 폭동 당시에는 도시의 발전소가 파괴되기도 했다.

오늘날 쿠초버 경제는 과거 국영 공장 부지 등에서 운영되는 다수의 소규모 사업체들이 생겨나면서 어느 정도 회복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실업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많은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찾아 해외로 이주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도시 내에는 다수의 외국계 은행과 소수의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가 운영되고 있다.

4. 인구

202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쿠초버 시 전체 인구는 약 31,000명이다.[1] 이 중 약 12,629명이 쿠초버 시가지에 거주한다.[1] 인구 밀도는 567명/km2로, 쿠초버 지역은 알바니아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알바니아의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이 지역의 또 다른 특징은 도시 거주자가 전체 인구의 63%를 차지하고 나머지 인구는 인근 마을에 거주한다는 것이다.

쿠초버 시는 5개의 구역(lagjesqi)으로 구성되어 있다: "11 야나리"(11 Janarisqi) 구역, "류칸 프티"(Llukan Priftisqi) 구역, "11 슈르티"(11 Shkurtisqi) 구역, "타필 스켄도"(Tafil Skëndosqi) 구역, 그리고 "1 마지"(1 Majisqi) 구역이다.

'''쿠초버 시가지 역사적 인구'''[8][9][1]
연도인구
19501,585
196010,337
196914,000
197917,200
198921,709
200118,038
201112,654
202312,629


5. 교육

쿠초버 시에는 2개의 공립 고등학교와 1개의 사립 고등학교가 있다. 공립 고등학교는 제너럴 고등학교 "미르테자 케피"(Shkolla e Mesme e Përgjithshme "Myrteza Kepi"sq)와 제너럴 고등학교 쿠초버(Shkolla e Mesme e Përgjithshme Kucovësq)이다.

또한, 1학년부터 9학년까지 과정의 학교가 5개 있다.


  • "18 테토리" (18 Tetorisq)
  • "28 넨토리" (28 Nëntorisq)
  • "가키 카라카시" (Gaqi Karakashisq)
  • "23 넨토리" (23 Nëntorisq)
  • "데쉬모레트 에 콤비트" (Dëshmorët e Kombitsq)


고등학교 졸업생들은 대학교육을 받기 위해 다른 알바니아 도시나 국외로 진학한다.

6. 스포츠

축구 클럽으로는 KF 나프트타리 쿠초버가 있다. 이 클럽은 현재 알바니아 세컨드 디비전에서 활동한다. 홈 구장은 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바쉬킴 술레이마니 경기장이다.

7. 자매 도시

쿠초버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8. 유명 인물


  • 일리르 보지치(1965년 5월 22일 출생)는 은퇴한 알바니아 축구 골키퍼이다.
  • 엘트욘 발레(1984년 출생)는 쿠초버 출신의 예술가이다.
  • 닥터 플로리(플로리안 콘디, 1979년 ~ 2014년)는 웨스트 사이드 패밀리의 멤버였던 유명한 알바니아 가수이다.
  • 아짐 슈카(1942년 ~ 1992년)는 쿠초버 출신의 유명한 알바니아 영화 및 연극 배우이다.
  • 오를리 슈카(1976년 출생)는 영국-알바니아 배우로, 런던 갱스에서 알바니아 마피아의 수장 루안 역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알바니아 배우 아짐 슈카의 아들이다.
  • 톨리 슈카는 LANÇ를 위한 쿠초버의 반파시스트 세력의 수장이었으며,[10] 그는 아짐 슈카의 삼촌이다.
  • 넬슨 바이퍼는 독일 마인츠 05 축구 클럽의 축구 선수이며, 그의 어머니는 쿠초버 출신이다.
  • 아르디트 자우파이(1996년 출생)는 쿠초버 출신의 알바니아 축구 선수이다.
  • 아나스타스 콘도(1937년 ~ 2006년)는 알바니아 작가, 각본가, 미세고생물학자였다.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instat.g[...]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2] 웹사이트 Law nr. 115/2014 https://www.vendime.[...] 2022-02-25
[3] 웹사이트 Correspondence table LAU – NUTS 2016, EU-28 and EFTA / available Candidate Countries https://ec.europa.eu[...] Eurostat 2019-09-25
[4] 서적 Institute of Archaeology bulleti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London 2011-01-13
[5] 웹사이트 Life on an Albanian Oilfield: Pollution, not Petrodollars https://balkaninsigh[...]
[6] 웹사이트 History of Kuçovë http://www.bashkiaku[...] Municipality of Kuçovë
[7] 웹사이트 NATO completes modernisation of major airbase in Albania https://www.nato.int[...] NATO 2024-03-04
[8] 웹사이트 Cities of Albania http://pop-stat.mash[...]
[9] 웹사이트 Albania: All places/communes http://pop-stat.mash[...]
[10] 웹사이트 Toli Shuka Kryetar i Këshillit Antifashist Nacional- Çlirimtar https://bashkiakucov[...]
[11] 웹인용 Interactive map administrative territorial reform http://gis.ceshtjetv[...] 2017-06-04
[12] 웹인용 Law nr. 115/2014 http://www.reformate[...] 2017-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