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벡 전투 (177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퀘벡 전투 (1775년)는 미국 독립 전쟁 중 대륙군이 퀘벡 시를 점령하려다 실패한 전투이다.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한 후, 대륙군은 퀘벡을 침공하여 영국군을 몰아내고 캐나다를 독립시키려 했다. 리처드 몽고메리와 베네딕트 아놀드가 이끄는 대륙군은 1775년 12월 31일 퀘벡 시를 공격했지만, 영국군의 방어에 막혀 몽고메리는 전사하고 아놀드는 부상을 입는 등 대패했다. 이 전투는 대륙군의 첫 번째 패배였으며, 캐나다를 독립시키려는 미국의 초기 시도를 좌절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퀘벡의 역사 - 생트푸아 전투
생트푸아 전투는 1760년 퀘벡에서 프랑스군이 영국군을 공격했으나 퀘벡 탈환에 실패하고, 결국 뉴 프랑스가 영국에 항복하는 결과를 가져온 프랑스-인디언 전쟁 중의 전투이다. - 퀘벡의 역사 - 로어캐나다
로어캐나다는 퀘벡 식민지 분할로 성립된 영국 식민지로, 프랑스계 캐나다인이 다수 거주했고 미국 침략을 격퇴했으며, 반란 이후 어퍼캐나다와 통합되어 캐나다 연합주가 되었다. - 1775년 분쟁 - 푸가초프의 난
푸가초프의 난은 1773년부터 1775년까지 예멜리얀 푸가초프가 표트르 3세를 사칭하며 농노제에 불만을 품은 농민과 코사크를 규합하여 일으킨 대규모 반란으로, 정부군의 진압으로 푸가초프가 처형되며 종결되었다. - 1775년 분쟁 - 보스턴 포위전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미국 식민지 민병대가 영국군을 보스턴에 포위한 보스턴 포위전은 과중한 세금과 렉싱턴-콩코드 전투로 고조된 반영국 감정 속에, 조지 워싱턴의 대륙군이 도체스터 고지 요새화로 영국군을 철수시켜 미국의 독립 투쟁 의지를 고취하고 독립 전쟁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 퀘벡 전투 (1775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전투 개요 | |
| 전투 이름 | 퀘벡 전투 |
| 다른 이름 | Bataille de Québec (프랑스어) |
| 관련 전쟁 | 미국 독립 전쟁 |
![]() | |
| 날짜 | 1775년 12월 31일 |
| 장소 | 퀘벡주 퀘벡 시 |
| 결과 | 영국군의 결정적인 승리 |
| 교전 세력 | |
| 교전국 1 | 대륙군 제1 캐나다 연대 |
| 교전국 2 | 영국군 캐나다 민병대 |
| 지휘관 및 지도자 | |
| 대륙군 | 리처드 몽고메리(전사) 베네딕트 아놀드(부상) 대니얼 모건(포로) 제임스 리빙스턴 |
| 영국군 | 가이 칼턴 앨런 맥클린 존 해밀턴 |
| 병력 규모 | |
| 대륙군 | 정규군 900명 민병대 300명 |
| 영국군 | 정규군 및 민병대 1,800명 |
| 사상자 및 피해 | |
| 대륙군 | 전사 약 50명 부상 34명 포로 431명 |
| 영국군 | 전사 5명 부상 14명 |
2. 배경
1775년 4월, 미국 독립 전쟁 발발 직후, 이던 앨런과 베네딕트 아놀드가 이끄는 소규모 부대가 타이컨더로가 요새를 점령했다. 이 사건은 퀘벡으로 향하는 중요한 거점을 확보하고, 몬트리올 근처 세인트존 요새 습격으로 이어져 영국 지도부를 경악하게 했다.[179]
1775년 5월, 이던 앨런과 베네딕트 아놀드가 타이컨더로가 요새를 점령하고 세인트존 요새를 습격하자, 퀘벡 지역의 영국 지도부는 경각심을 갖게 되었다.[179] 가이 칼턴 총독은 퀘벡 식민지 방어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제2차 대륙회의는 대륙군을 승인하여 캐나다 퀘벡 식민지 침공 가능성을 열었고, 퀘벡 총독 가이 칼튼은 식민지 방어를 준비했다. 대륙회의는 필립 스카일러에게 퀘벡 침공 권한을 부여했고, 스카일러는 즉시 원정에 필요한 인원과 물자를 준비했다. 미국은 선전 활동을 통해 퀘벡 주민들에게 영국 통치로부터의 해방을 약속했다.[180] 조지 워싱턴은 베네딕트 아놀드가 이끄는 별도의 원정대가 퀘벡 시로 향하는 것을 승인했다.[181]
대륙군은 1775년 9월 퀘벡으로 진군을 시작했다. 스카일러 장군은 "전제적인 관료적 질서 하에 있는 영국군을 가능한 한 몰아내는 것 ... 가혹한 노예의 굴레를 쓰고 있는 동료 시민, 형제를 위해서"라고 목표를 밝혔다. 리처드 몽고메리는 샹플레인 호수를 통해 진군하여 세인트존스 요새 포위전에 성공하고 몬트리올을 점령했다.
미국은 퀘벡의 프랑스계 주민들이 영국 통치에 대항하여 봉기할 것을 기대했다. 그러나 프렌치 인디언 전쟁 이후 영국 통치하에서 발생한 문제들은 1774년 퀘벡법으로 완화되었다. 퀘벡법은 가톨릭 교도에게 시민권을 회복시켜주고 교회의 설립을 인정하여, 가톨릭 교회의 지지하에 프랑스 문화를 지키면서 영국의 지배를 수용하게 했다. 이로 인해 퀘벡의 프랑스계 주민들은 미국의 독립 운동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126]
3. 영국군의 준비
칼턴은 6월 9일 계엄령을 선포하고 민병대를 소집했다.[22] 그는 세인트존스 요새에 주력 부대를 집중시키고, 몬트리올과 퀘벡 시에는 소규모 정규군 수비대를 배치했다.[23]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스코틀랜드 고지대 이민자들을 모아 왕립 하이랜드 이민자 연대를 창설했다.[24] 이 연대의 지휘관인 앨런 매클린은 이후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5]
칼턴은 인디언 부족과의 협력을 모색하기도 했지만, 그들의 잔혹성을 우려하여 뉴잉글랜드 침공 제안을 거절하고 정찰병으로만 활용했다.[24][27]
퀘벡 시의 방어는 부지사 헥터 크라마헤가 담당했다. 그는 민병대를 조직했지만, 그들의 신뢰성에 의문을 가졌다.[28] 크라마헤는 보스턴에 증원군을 요청했지만, 겨울철 세인트로렌스강 봉쇄 등의 이유로 거절당했다.[29]
11월 3일, 아놀드 부대의 접근 소식이 퀘벡에 전해지자 크라마헤는 경계를 강화하고 강 남쪽의 모든 배를 철수시켰다.[37] 이 소식으로 민병대 징집이 늘어 1,200명 이상이 되었다.[28] 세인트존스 섬과 뉴펀들랜드에서 온 민병대와 해병대가 퀘벡 수비에 합류했다.[38]
11월 10일, 앨런 매클린이 이끄는 왕립 하이랜드 이민자 연대 200명이 퀘벡 시에 도착하여 방어를 도왔다. 이들의 도착은 민병대의 사기를 높였고, 매클린은 즉시 방어를 맡았다.[39]
3. 1. 칼턴의 퀘벡 귀환
생장 요새가 함락된 후, 칼턴은 몬트리올을 포기하고 배를 이용해 퀘벡 시로 돌아왔으며, 간신히 포획을 피했다.[40] 11월 19일에 도착하자마자 그는 즉시 지휘권을 잡았다. 사흘 후, 그는 마을의 모든 건장한 남자는 무기를 들지 않으면 반역자나 스파이로 간주하여 그에 준하는 대우를 받을 것이라는 포고령을 발표했다. 무기를 들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4일 안에 떠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41] 그 결과, 약 500명의 주민(영국인 200명, 캐나다인 300명 포함)이 방어에 참여했다.[42]
칼턴은 마을의 방어 요새의 취약점을 보완했다. 그는 그의 대포가 배치된 지역 내 세인트로렌스 강가에 통나무로 만든 두 개의 바리케이드와 울타리를 세웠고, 병력을 성벽과 내부 방어선에 배치했으며,[71] 경험이 없는 민병대가 강력한 지도력을 받도록 했다.[43]
4. 아놀드 부대의 도착
조지 워싱턴 장군은 메사추세츠주 북부(현재 메인주)의 험준한 지형을 군사력으로 통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았고, 약 20일 만에 횡단할 수 있다고 보았다.[49] 아놀드는 200척의 바토(배)와 "바토에 정통한 활동적인 벌목꾼"을 요청했다.[49] 1,050명의 지원병을 모집한 후, 1775년 9월 5일 퀘벡 시로 출발했다.[49] 아놀드가 원정대에 선택한 병사들은 보스턴 포위전에 참전하고 있던 뉴잉글랜드 부대에서 자원한 병사들이었다. 이들은 원정을 위해 두 개의 대대로 편성되었으며, 세 번째 대대는 펜실베이니아와 버지니아 출신의 대니얼 모건 대위 지휘 아래 소총병으로 구성되었다.[50] 9월 20일 조지타운에 상륙한 후, 아놀드는 케네벡 강을 따라 항해를 시작했다.[49] 아놀드는 퀘벡 시까지 약 289.68km밖에 안 된다고 생각했지만, 실제 거리는 약 482.80km이나 되었고 지형은 그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험난했다.[49]
메인 황무지를 통과하는 여정은 길고 어려웠으며, 얼음 비, 깨끗하지 않은 물을 마심으로써 발생하는 이질, 물에 잠긴 나무들로 가득 찬 강 등이 문제였다.[51] 상황은 습하고 추웠으며, 여정은 아놀드와 워싱턴 모두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오래 걸렸다. 악천후와 난파된 배로 인해 원정대의 식량 보급품이 많이 손실되었고, 원래 1,100명 중 약 500명이 되돌아가거나 사망했다. 뉴잉글랜드 대대 중 하나를 포함하여 되돌아간 사람들은 남은 식량의 많은 부분을 가져갔다. 계속 나아간 사람들은 11월 초에 첫 번째 프랑스 정착지에 도착할 때쯤 굶주리고 있었다.[52] 쇼디에르 강에 도착했을 때, 아놀드의 병사들은 가죽 신발과 허리띠를 먹고 있었고, 11월 2일에 첫 번째 ''거주자''(habitant) 정착지를 만났을 때 쇠고기, 귀리죽, 양고기를 제공받아 기뻐했지만, ''캐나디언''이 음식 값을 너무 많이 요구한다고 불평했다.[53] 11월 3일, 프리깃함 HMS ''리자드''가 뉴펀들랜드에서 온 100명의 병사와 함께 퀘벡 시에 도착했다.[54] 11월 8일, 아놀드는 처음으로 퀘벡 시의 벽이 세인트로렌스 강 위로 솟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54] 11월 9일, 보스턴에서 퀘벡까지 아놀드의 행군에서 살아남은 600명의 생존자가 세인트로렌스 강 건너편의 포인트 레비스에 도착했다. 아놀드는 부대 상황에도 불구하고 즉시 배를 모아 건너갈 준비를 했다. 11월 10일 밤에 그렇게 할 준비가 되었지만 폭풍으로 인해 3일 동안 지연되었다. 한 인디언 추장이 아놀드를 맞이하여 카누를 제공하여 세인트로렌스 강을 건너도록 동의했고, 약 50명의 남자가 안내자로 나섰다.[54] 11월 12일, 매클린은 자신의 하이랜더 부대와 함께 퀘벡 시에 도착했다.[54] 11월 13일 오후 9시경부터 미국군은 카누를 타고 세인트로렌스 강을 건너 볼프 만에 상륙했고, 오전 4시까지 약 500명의 병사가 건너왔다.[55] 세인트로렌스 강 반대편에 도착한 후, 아놀드는 그의 군대를 도시 성벽에서 약 약 2.41km 떨어진 아브라함 평원으로 이동시켰다.[56]
퀘벡 성벽에 접근하는 군대는 장비가 현저히 부족했다. 아놀드는 포병이 없었고, 각 병사는 다섯 개의 탄약만 가지고 있었으며, 병사들의 옷은 넝마가 된 상태였다. 아놀드는 2 대 1로 수적으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도시에 항복을 요구했다. 파견된 두 사절 모두 영국 대포에 의해 사살되었다.[57] 11월 16일 크라마에가 소집한 군사 회의에서 매클린은 최고위 군 장교로서 저항을 옹호했다.[58] 매클린은 퀘벡 시에 1,178명의 수비대가 있으며 수비대와 민간인이 겨울 내내 버틸 수 있는 충분한 식량과 장작이 있다고 말했다.[58] 아놀드는 무력으로 도시를 점령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고, 서쪽에서 도시를 봉쇄했다. 아놀드가 명령한 재고 조사 결과, 황무지를 통과하는 동안 노출로 인해 100정 이상의 머스킷총이 손상되어 쓸모없게 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58] 11월 18일, 미국군은 영국군이 800명의 병력으로 자신들을 공격할 계획이라는 (거짓) 소문을 들었다. 군사 회의에서 그들은 봉쇄를 유지할 수 없다고 결정했고, 아놀드는 리처드 몽고메리를 기다리기 위해 그의 군대를 약 32.19km 상류의 푸앙트-오-트렘블("아스펜 포인트")로 이동시키기 시작했다.[57]
5. 몽고메리 부대의 도착
1775년 12월 1일, 리처드 몽고메리는 푸앵트오트랑블에 도착했다. 몽고메리 부대는 제1, 제2, 제3 뉴욕 연대에서 온 300명의 병력, 존 램이 모집한 포병대 한 개 중대[60], 제임스 리빙스턴이 제1 캐나다 연대를 위해 모집한 약 200명의 병력, 그리고 징병 만료로 해산된 연대의 잔여 병력인 제이콥 브라운이 이끄는 16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63][61] 며칠 후 몽고메리가 몬트리올에서 지휘관으로 남겨둔 데이비드 우스터 소장의 분견대가 이들을 보충했다.[60]
몽고메리가 가져온 포병대에는 대포 4문과 박격포 6문이 있었으며, 베네딕트 아놀드의 병사들을 위한 겨울 의류와 기타 물품도 가져왔다. 의류와 물품은 몬트리올에서 도주하는 대부분의 영국 선박을 나포했을 때 얻은 전리품이었다. 아놀드는 부하들에게 인기가 없었고, 몽고메리가 도착하자 아놀드의 몇몇 대위들은 몽고메리의 지휘하에 배속되기를 요청했다.[62]
지휘관들은 곧 퀘벡으로 방향을 돌려 12월 6일에 도시를 포위했다.[63] 몽고메리는 칼턴에게 개인적인 서한을 보내 도시의 항복을 요구했으며, 여성을 사자로 보냈다.[62] 칼턴은 요청을 거절하고 읽지도 않고 서한을 불태웠다. 몽고메리는 열흘 후에 같은 결과로 다시 시도했다.[63] 포위군은 주로 도시의 주민들을 위한 메시지를 계속 보냈고, 그곳의 상황이 절망적이라고 묘사하면서 미국인을 돕기 위해 일어선다면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제안했다.[64]
12월 10일, 미국군은 벽에서 약 640.08m 떨어진 곳에 가장 큰 포병대를 설치했다. 얼어붙은 땅은 미국군이 포병대를 참호화하는 것을 막았고, 그들은 눈 덩어리로 벽을 만들었다.[63] 이 포병대는 도시를 향해 발사되었지만 피해는 미미했다. 몽고메리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했음을 깨달았는데, 얼어붙은 땅이 참호를 파는 것을 막았고, 그의 무기가 부족하여 도시의 방어를 뚫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12월 17일, 영국 대포가 몽고메리의 박격포 2문을 파괴했고, 그는 남은 3문을 철수하라고 명령했다.[65]
몽고메리가 도시 공격을 계획하는 동안, 트루아 리비에르 근처에 사는 프랑스인 크리스토프 펠리시에가 그를 찾아왔다. 펠리시에는 생모리스 제철소를 운영하는 미국 측의 정치적 지지자였다.[67] 그와 몽고메리는 의회 대표를 선출하기 위한 지방 회의를 개최하는 아이디어를 논의했다. 펠리시에는 퀘벡 시가 점령될 때까지 이를 반대했는데, 거주민들이 안전이 더 보장될 때까지 그렇게 행동할 자유를 느끼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68] 두 사람은 펠리시에의 제철소가 포위 공격을 위한 탄약(탄약, 포탄 등)을 제공하는 데 동의했다. 펠리시에는 미국군이 1776년 5월에 철수할 때까지 그렇게 했고, 그와 함께 도주했다.[69]
6. 퀘벡 전투 (1775년)

1775년 12월 31일, 대륙군은 리처드 몽고메리 장군과 베네딕트 아놀드 대령의 지휘 아래 퀘벡 시를 공격했다. 이 공격은 대륙군에게 큰 패배로 끝났다.
몽고메리와 아놀드는 각각 부대를 이끌고 도시의 남쪽과 북쪽을 공격했다. 몽고메리 부대는 도시 남쪽을 공격했으나, 몽고메리가 전투 초반에 전사하면서 공격은 실패했다. 아놀드 부대는 도시 북쪽을 공격하여 바리케이드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지만, 아놀드가 다리를 다쳐 지휘를 대니얼 모건에게 넘겨야 했다. 영국군은 반격을 가해 모건 부대를 포위했고, 결국 항복했다.
이 전투에서 대륙군은 많은 사상자와 포로를 냈다. 몽고메리 장군을 포함한 30명이 전사하고 431명이 포로로 잡혔다.[158] 영국군의 피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159]
퀘벡 전투는 대륙군이 겪은 첫 번째 주요 패배였다.
6. 1. 몽고메리 부대의 공격
몽고메리는 울프 만에서 가파르고 눈이 쌓인 길을 따라 외부 방어 시설로 병력을 이끌었다.[65] 눈보라 때문에 진군이 어려웠다. 몽고메리 부대는 마침내 외부 방어 시설의 울타리에 도착했고, 선발대로 온 목수들이 벽을 톱으로 잘라 길을 만들었다. 몽고메리 자신도 두 번째 울타리를 톱으로 잘랐고, 50명의 병력을 이끌고 거리를 따라 2층 건물로 향했다. 그 건물은 도시 방어 시설의 일부였으며, 사실 39명의 퀘벡 민병대와 머스킷총, 대포로 무장한 9명의 선원이 점령한 요새였다.[74]
몽고메리는 눈보라가 맹렬하게 휘몰아치는 가운데 칼을 뽑아 들고 부하들을 거리로 이끌었다.[74] 수비군은 근거리에서 발포했고, 몽고메리는 산탄에 머리를 맞아 즉사했다. 옆에 있던 병사들 대부분도 죽거나 부상을 입었다.[74] 선발대에서 살아남은 몇 안 되는 병사들은 울타리 쪽으로 도망쳤고, 애런 버 등 몇 명만이 다치지 않고 탈출했다.[75] 몽고메리 다음으로 지휘권을 가진 존 맥퍼슨과 제이콥 치스먼도 사망하여, 부사령관인 도널드 캠벨 대령이 지휘를 맡게 되었다. 캠벨은 다시 진격하는 것은 자살 행위라고 판단했다.[74] 몽고메리의 장교 중 많은 수가 공격으로 부상을 입은 상황에서, 남은 몇 안 되는 부상 없는 장교 중 한 명이 생존자들을 아브라함 평원으로 이끌고 갔고, 몽고메리의 시신은 그 자리에 남겨졌다.[76]
6. 2. 아놀드 부대의 공격
베네딕트 아놀드가 이끄는 부대는 퀘벡 시 북쪽의 하부 도시(Lower Town) 끝에 있는 솔토마텔로(Sault-au-Matelot) 바리케이드를 향해 진격했다.[153] 이들은 외부 문과 영국군 포대를 지나쳤지만, 팔라스 문(Porte du Palais) 근처에 이르자 도시 성벽 위에서 격렬한 사격을 받았다.[154]높은 성벽 때문에 반격이 어려워지자, 아놀드는 부하들에게 전진을 명령했다. 좁은 길을 따라 바리케이드로 접근하던 중, 아놀드는 발목에 총을 맞고 부상당했다. 그는 부대 지휘를 대니얼 모건에게 넘기고 후방으로 후송되었다.[155]
모건의 지휘 아래 부대는 바리케이드를 점령했지만, 좁고 꼬불꼬불한 거리와 젖은 화약 때문에 머스킷 총을 사용할 수 없어 진격에 어려움을 겪었다. 모건 부대는 화약을 말리고 재무장하기 위해 건물에 숨었지만, 가이 칼턴이 북쪽 문 공격이 양동 작전임을 간파하고 병력을 하부 도시에 집중시키면서 거센 공격을 받았다. 팔라스 문에서 출격한 500명의 영국군이 첫 번째 바리케이드를 탈환하면서 모건 부대는 도시에 갇히게 되었다.[156] 퇴로가 끊기고 격렬한 공격을 받으면서, 모건 부대는 결국 항복했다. 전투는 오전 10시에 끝났다.[157]
7. 포위전
아놀드는 패배에도 불구하고 퀘벡 시 포위를 계속했다. 그러나 대륙군은 수적으로 3대 1로 열세였고, 영하의 추운 겨울 날씨와 징병 기간 만료로 인한 병사들의 이탈로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천연두와 식량 부족 문제까지 겹쳤다.[164] 몬트리올에서 우스터가 수행한 반가톨릭 정책에 대한 소식과 식량 및 장작 징발은 '거주민'들의 지지를 잃게 만들었다.[93]
아놀드는 모제스 헤이즌과 에드워드 앤틸을 몬트리올을 거쳐 필라델피아로 보내 대륙 회의에 패배를 보고하고 지원을 요청했다.[172] 의회는 증원군을 파견했지만, 겨울 동안 퀘벡 시로 가는 여정은 병사들을 지치게 만들었고, 많은 무기가 사용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92]
4월 초, 아놀드는 데이비드 우스터 장군으로 교체되었고, 그는 다시 4월 말에 존 토머스 장군으로 교체되었다.[165] 칼턴 총독은 수적 우위에도 불구하고 퀘벡 성벽 안에서 방어적인 자세를 유지했다.[166] 그는 1759년 퀘벡 포위전 당시 제임스 울프 휘하에서 복무했던 경험을 통해, 성 밖으로 나서는 것이 위험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토마스 장군은 도착 후 포위 유지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철수를 준비했다. 1776년 5월 6일, 200명의 정규병을 태운 영국 소함대가 도착하자[169] 대륙군의 철수는 가속화되었다. 칼턴은 이 새로운 병력과 기존 주둔군을 이끌고 도시 밖으로 나와 대륙군과 맞섰고, 철수는 궤멸에 가까운 상황으로 변했다.[169] 천연두에 시달리던 대륙군은 결국 타이컨더로가 요새까지 후퇴했고, 존 토마스는 철수 중 천연두로 사망했다.[170]
8. 전투 이후
1775년 12월 31일 퀘벡 전투 (1775년) 이후, 가이 칼턴은 전투에서 미국을 지원한 캐나다인들을 조사하고 처벌했다. 1776년 5월 22일, 칼턴은 프랑수아 베이비, 가브리엘-엘제아 타셰로, 젠킨 윌리엄스에게 퀘벡 시 안팎에서 미국 원정대를 도운 캐나다인 757명을 확인하도록 지시했다.[106] 칼턴은 경미한 위반자들에게는 관대했지만, 미국군이 퀘벡에서 쫓겨난 후에는 미국 지지자들에 대한 처벌이 더욱 가혹해졌다. 흔한 처벌은 미국군이 퇴각하면서 파괴한 기반 시설을 수리하기 위한 강제 노동이었다.[107] 이러한 조치는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미국에 대한 공개적인 지지 표현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었다.[108]
1776년 5월 6일부터 6월 1일 사이에, 거의 40척의 영국 배가 퀘벡 시에 도착하여 존 버고인 장군 휘하의 9,000명 이상의 병력을 증원했다. 이 병력에는 프리드리히 아돌프 리데젤 남작이 지휘하는 브라운슈바이크와 헤세-하나우 출신의 약 4,000명의 독일 용병(헤센 용병)도 포함되었다.[111] 이 병력 중 일부는 칼턴의 반격에 참여했으며, 1776–77년 겨울을 퀘벡 주에서 보내면서 약 80,000명에 불과한 인구에 상당한 부담을 주었다.[112] 이 병력의 상당수는 1777년 허드슨 계곡 전역을 위해 배치되었다.[114]
대륙군은 이후에도 캐나다 침공을 고려했으나, 실행에 옮기지는 못했다. 미국 독립 전쟁 종전 협상에서 미국은 캐나다 할양을 요구했으나, 영국은 거부했다.[11]
9. 전투 서열
다음은 전투 및 후속 작전 중 병력의 전투 서열이다.[44][45][46][47]
9. 1. 영국군
가이 칼턴의 지휘 하에 영국군은 총 1,8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전투에서 5명이 사망하고 14명이 부상을 입었다.[1]영국군 부대는 다음과 같다.
| 부대 |
|---|
| 제7 보병 연대 (로열 퓨질리어스) (몬트리올과 퀘벡에 각 1개 중대) |
| 제21 (로열 노스 브리티시) 퓨질리어스 보병 연대 |
| 제24 보병 연대 |
| 제26 보병 연대 |
| 로열 하이랜드 이민자 일부 |
| 국왕 해병대 일부 |
교전에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인근에 다음과 같은 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 부대 |
|---|
| 제7 보병 연대 (로열 퓨질리어스) 6개 중대 |
| 제8 (더 킹스) 보병 연대 (변경 요새에 중대 단위로 분산 주둔) |
9. 2. 미국군 (대륙군)
총 지휘관은 리처드 몽고메리 소장이었다.리처드 몽고메리 소장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1 뉴욕 연대
- 제2 뉴욕 연대
- 제3 뉴욕 연대
- 제4 뉴욕 연대
- 베델 연대
- 제1 캐나다 연대
- 램 대륙 포병 연대
베네딕트 아놀드 소장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모건의 소총병
- 매튜 스미스의 소총 중대 (펜실베이니아 소총 연대)
- 윌리엄 헨드릭스의 소총 중대 (펜실베이니아 소총 연대)
- 이름 없는 임시 보병 대대 2개
10. 영향
퀘벡 전투는 미국 독립 전쟁 초기 북부 전역에서 중요한 사건이었다. 이 전투에서 대륙군이 패배하면서 캐나다를 점령하고 13개 식민지에 포함시키려던 계획은 좌절되었다. 이로 인해 캐나다는 미국에 합병되지 않고 계속 영국령으로 남게 되었다.[5] 퀘벡 전투는 이후 영국군의 반격 작전과 사라토가 전역으로 이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 발발 직후, 이던 앨런과 베네딕트 아놀드가 이끄는 부대가 타이컨더로가 요새를 점령하고 생장 요새를 습격하여 영국 지도부를 경악하게 했다.[5]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영국과 미국 모두 제2차 대륙 회의의 반란군에 의한 퀘벡 주 침공 가능성을 고려하게 만들었다.[5]
당시 캐나다의 영국군은 3개 연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 외에 민병대 약 15,000명과 인디언 부족 출신 전사 약 8,500명이 있었다.[6][7] 그러나 '캐나디엔' 민병대와 많은 인디언 부족은 왕실에 대한 충성심이 약한 것으로 여겨졌다.[8]
미국과 영국 모두 '캐나디엔'(당시 프랑스계 캐나다인) 사회의 본질을 오해하고 있었다.[9] 미국은 '하비탕'(퀘벡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소작농)이 봉건 사회로부터의 해방자로서 그들을 환영할 것이라고 믿었지만, 대부분의 '하비탕'은 중립을 유지하고 평화롭게 살아가기를 원했다.[9]
폰티악 전쟁의 기억은 오하이오 강 계곡, 오대호 및 미시시피 강 계곡에 사는 대부분의 인디언이 모든 백인을 불신하게 만들었고, 이 지역의 대부분의 인디언은 의회나 왕실을 위해 싸우고 싶어하지 않았다.[12]
아놀드와 앨런은 의회에 캐나다를 점령하고 있는 영국군이 약하고 '캐나디엔'이 미국인을 해방자로 환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3] 캐나다 점령은 영국이 뉴잉글랜드와 뉴욕을 침공하는 기지로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13]
1774년 퀘벡법 통과로 '캐나디엔'에게 시민권이 회복되었지만, 몬트리올과 퀘벡 시티에 거주하는 영어 사용 "옛 신민"은 주로 스코틀랜드 또는 13개 식민지 출신으로, 퀘벡 식민지를 정치적, 경제적으로 지배하려 했고, '캐나디엔' 엘리트와 충돌했다.[19] 많은 "옛 신민"은 퀘벡법을 왕실의 배신으로 보았고, 일부는 미국을 위한 "제5열"로 활동했다.[9]
참조
[1]
서적
Quebec: Portrait of a Province
Greenberg
1951
[2]
서적
Smith (1907), vol 2
[3]
서적
Smith (1907), vol 2
[4]
서적
Boatner
[5]
서적
Lanctot (1967)
[6]
서적
Morrissey (2003)
[7]
서적
Morrissey (2003)
[8]
서적
Morrissey (2003)
[9]
서적
Morrissey (2003)
[10]
서적
Morton (1999)
[11]
서적
Morrissey (2003)
[12]
서적
Morrissey (2003)
[13]
서적
Morrissey (2003)
[14]
서적
Lanctot (1967)
[15]
서적
Lanctot (1967)
[16]
서적
Morrissey (2003)
[17]
서적
Smith (1907), vol 1
[18]
서적
Stanley (1973)
[19]
서적
Morrissey (2003)
[20]
서적
Morton (1999)
[21]
서적
Black (2009)
[22]
서적
Morrissey (2003)
[23]
서적
Stanley (1973)
[24]
서적
Morrissey (2003)
[25]
서적
Morrissey (2003)
[26]
서적
Morrissey (2003)
[27]
서적
Morrissey (2003)
[28]
서적
Smith (1907) vol 2
[29]
서적
Smith (1907) vol 2
[30]
서적
Morrissey (2003)
[31]
서적
Morrissey (2003)
[32]
서적
Morrissey (2003)
[33]
서적
Morrissey (2003)
[34]
서적
Morrissey (2003)
[35]
서적
Morrissey (2003)
[36]
문서
Morrissey (2003)
[37]
문서
Smith (1907) vol 2
[38]
문서
Smith (1907) vol 2
[39]
문서
Smith (1907) vol 2
[40]
문서
Smith (1907) vol 1
[41]
문서
Smith (1907) vol 2
[42]
문서
Shelton (1996)
[43]
문서
Smith (1907) vol 2
[44]
웹사이트
The Invasion of Canada and the Siege of Quebec
http://www.royalfuzi[...]
2007-12-25
[45]
웹사이트
Battle of Quebec 1775
https://www.britishb[...]
2020-04-26
[46]
웹사이트
American War of Independence, 1775–1783
http://www.regiments[...]
2007-12-14
[47]
웹사이트
Battle of Quebec Facts & Summary
https://www.battlefi[...]
2019-09-27
[48]
서적
The Continental Army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989
[49]
문서
Morrissey (2003)
[50]
간행물
An Account of the Assault on Quebec, 1775
The Historical Society of Pennsylvania
1891-01
[51]
문서
Morrissey (2003)
[52]
문서
Nelson (2006)
[53]
문서
Morrissey (2003)
[54]
문서
Morrissey (2003)
[55]
문서
Morrissey (2003)
[56]
문서
Wood (2003))
[57]
문서
Wood (2003)
[58]
문서
Morrissey (2003)
[59]
서적
Revolutionary War Journals of Henry Dearborn, 1775–1783
https://books.google[...]
2009
[60]
문서
Gabriel
[61]
문서
Smith (1907), vol 2
[62]
문서
Morrissey (2003)
[63]
문서
Wood (2003)
[64]
문서
Smith (1907) vol 2
[65]
문서
Morrissey (2003)
[66]
문서
Wood (2003)
[67]
문서
Fortier
[68]
문서
Gabriel (2002)
[69]
문서
Royal Society of Canada (1887)
[70]
문서
United States Continental Congress (1907)
[71]
서적
Wood (2003)
[72]
서적
Gabriel (2002)
[73]
서적
Morrissey (2003)
[74]
서적
Morrissey (2003)
[75]
서적
Wood (2003)
[76]
서적
Gabriel (2002)
[77]
서적
Lanctot (1967)
[78]
서적
Smith (1907), vol 2
[79]
간행물
"The Journal of Isaac Senter, Physician and Surgeon to the Troops Detached From the American Army Encamped at Cambridge, Mass., On a Secret Expedition Against Quebec, Under the Command of Col. Benedict Arnold, in September, 1775"
[80]
서적
Wood (2003)
[81]
서적
Morrissey (2003)
[82]
서적
Morrissey (2003)
[83]
서적
Smith (1907), vol 2
[84]
서적
Gabriel (2002)
[85]
서적
Smith (1907), vol 2
[86]
서적
Smith (1907), vol 2
[87]
서적
Gabriel (2002)
[88]
서적
Sutherland
[89]
서적
Morrissey (2003)
[90]
서적
Stanley (1973)
[91]
서적
Morrissey (2003)
[92]
서적
Morrissey (2003)
[93]
서적
Morrissey (2003)
[94]
서적
Morrissey (2003)
[95]
서적
Lanctot (1967)
[96]
논문
Smallpox in Washington's Army: Strategic Implications of the Disease During the American Revolutionary War
Journal of Military History
2004-04
[97]
서적
Lanctot (1967)
[98]
서적
Smith (1907), vol 2
[99]
서적
Lanctot (1967)
[100]
서적
Lanctot (1967)
[101]
서적
Morrissey (2003)
[102]
서적
Morrissey (2003)
[103]
서적
Fraser (1907)
[104]
서적
Lanctot (1967)
[105]
서적
Lanctot (1967)
[106]
문서
Lacoursiere (1995)
[107]
문서
Lanctot (1967)
[108]
문서
Lacoursiere (1995)
[109]
간행물
Promises to Keep: French Canadians as Revolutionaries and Refugees, 1775–1800
https://brill.com/ab[...]
2019
[110]
문서
Nelson (2006)
[111]
문서
Stanley (1973)
[112]
문서
Lanctot (1967)
[113]
문서
Morton (1999)
[114]
문서
Lanctot (1967)
[115]
문서
Morrissey (2003)
[116]
문서
Department of the Army, Lineage and Honors, 69th Infantry
[117]
문서
Department of the Army, Lineage and Honors, 181st Infantry
[118]
문서
Department of the Army, Lineage and Honors, 182nd Infantry
[119]
문서
Smith (1907), vol 2
[120]
문서
Smith (1907), vol 2
[121]
문서
Lanctot (1967)
[122]
문서
Lanctot (1967)
[123]
문서
Lanctot (1967)
[124]
문서
Smith (1907), vol 1
[125]
문서
Stanley (1973)
[126]
문서
Black (2009)
[127]
문서
Stanley (1973)
[128]
문서
Smith (1907) vol 2
[129]
문서
Smith (1907) vol 2
[130]
문서
Smith (1907) vol 2
[131]
문서
Smith (1907) vol 2
[132]
문서
Smith (1907) vol 2
[133]
문서
Smith (1907) vol 1
[134]
문서
Smith (1907) vol 2
[135]
문서
Shelton (1996)
[136]
문서
Smith (1907) vol 2
[137]
문서
Nelson (2006)
[138]
문서
Wood (2003)
[139]
문서
Wood (2003)
[140]
문서
Gabriel
[141]
참조
[142]
참조
[143]
참조
[144]
참조
[145]
참조
Fortier
[146]
참조
[147]
참조
Royal Society of Canada
[148]
참조
United States Continental Congress
[149]
참조
[150]
참조
[151]
참조
[152]
참조
[153]
참조
[154]
참조
[155]
참조
[156]
참조
[157]
참조
[158]
참조
[159]
참조
[160]
참조
[161]
참조
[162]
참조
[163]
참조
[164]
참조
[165]
참조
[166]
참조
[167]
참조
[168]
참조
[169]
참조
Fraser
[170]
참조
[171]
참조
[172]
참조
Lacoursière
[173]
참조
[174]
참조
Lacoursière
[175]
참조
[176]
서적
Stanley (1973)
[177]
서적
Lanctot (1967)
[178]
서적
Lanctot (1967)
[179]
서적
Lanctot (1967)
[180]
서적
Lanctot (1967)
[181]
서적
Lanctot (19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