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처드 몽고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몽고메리는 아일랜드 태생의 군인으로,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영국군 장교로 경력을 시작하여 프랑스와의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독립 전쟁에 참여, 대륙군 준장으로 임명되었다. 몽고메리는 캐나다 침공 작전을 지휘하며 세인트존스와 몬트리올을 점령했으나, 퀘벡 전투에서 전사했다. 그의 죽음은 미국과 영국 양측에서 애도되었으며, 미국 독립의 상징으로 추앙받았다. 그는 몽고메리, 몽고메리 카운티, 몽고메리 플레이스 등 여러 지명과 시설에 이름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아일랜드 사람 - 존 암스트롱
    존 암스트롱은 아일랜드 출신으로 프랑스-인디언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한 미군 장군이자 토목 기술자, 펜실베이니아 주 의회 대표였으며, 키타닝 원정에서의 공훈으로 "키타닝의 영웅"이라 불렸고, 찰스턴 방어 성공, 대륙회의 대표 활동, 미국 헌법 지지, 디킨슨 대학 설립 기여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18세기 아일랜드 사람 - 제1대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
    1769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아서 웰즐리 웰링턴 공작은 군인과 정치가로서, 마이소르 전쟁과 마라타 전쟁에서 공을 세우고 나폴레옹 전쟁과 워털루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으며 영국 총리까지 역임했다.
  • 더니골주 출신 -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 신부는 아일랜드계 미국인 로마 가톨릭 사제로 50년 이상 제주도에서 봉사하며 한림수직 설립, 한림여자상업고등학교 설립, 성 이시돌 목장 설립 등을 통해 제주도민의 경제적 자립과 교육 기회 확장에 기여했고, 특히 축산업 발전에 공헌하여 '돼지 신부'라는 별명을 얻으며 대한민국 명예 국민이 되고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훈받았다.
  • 더니골주 출신 - 패트릭 도슨
    패트릭 도슨은 아일랜드 출신 가톨릭 사제이자 한국 독립운동가로,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항일 의식을 고취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고, 광복 후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한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1775년 사망 - 존 해리슨
    존 해리슨은 영국의 시계 제작자로, 해상용 크로노미터(H4)를 발명하여 경도 문제 해결에 기여했으며,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장기간의 연구 끝에 정확한 경도 측정을 가능하게 했으나, 당시 과학계의 반대와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 1775년 사망 - 효의순황후
    효의순황후는 건륭제의 총애를 받은 후궁으로, 황귀비까지 올라 황후의 역할을 대행하며 가경제의 생모로서 사후 황후로 추존되었으나, 권력욕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있다.
리처드 몽고메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론조 채플이 그린 몽고메리 판화
알론조 채플의 몽고메리 판화
출생일1738년 12월 2일
출생지아일랜드 왕국 더블린 주 펠트림
사망일1775년 12월 31일
사망지영국령 아메리카 퀘벡 주 퀘벡 시
안장 장소퀘벡 시, 퀘벡 주, 영국령 아메리카
배우자자넷 리빙스턴 (1773년 7월 24일 결혼)
서명Richard Montgomery Signature.svg
군사 경력
소속영국 (1756년–1772년)
미합중국 (1775년)
군종영국 육군 (1756년–1772년)
대륙군 (1775년)
최종 계급소장
주요 전투7년 전쟁
루이스버그 포위전
타이콘데로가 전투
마르티니크 원정
쿠바 원정
폰티액 전쟁
미국 독립 전쟁
퀘벡 침공
생장 요새 전투
퀘벡 전투

2. 생애

리처드 몽고메리는 아일랜드에서 태어나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 1756년 영국 육군에 입대하여 프렌치 인디언 전쟁에 참전했으며, 북아메리카카리브해에서 복무하며 군 경력을 쌓았다. 전쟁 후 폰티액 전쟁에도 참여했으나 건강 문제로 영국으로 돌아갔다. 영국에서는 휘그당 인사들과 교류하며 정치적 견해에 변화를 겪었고, 영국 정부 정책에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다.

1772년 군을 떠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뉴욕주에서 자넷 리빙스턴과 결혼하고 농장 경영을 시작했다. 리빙스턴 가문과의 관계를 통해 미국 독립 지지자가 되었으며, 영국 정부를 억압적으로 여기게 되었다. 1775년 뉴욕 식민지 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어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자 대륙군 준장으로 임관되었고, 필립 스카일러 장군을 대신하여 캐나다 침공 작전을 지휘했다. 1775년 11월 세인트존스 요새와 몬트리올을 점령하는 등 초기 성공을 거두었으나, 같은 해 12월 31일 퀘벡 전투 중 전사했다. 그의 유해는 영국군에 의해 수습되어 군 장례식으로 치러졌으며, 1818년 뉴욕 시로 이장되었다.

2. 1. 어린 시절

몽고메리는 1738년 12월 2일 아일랜드 더블린 주 검 인근 펠트림에서 태어났다.[2][3] 그는 얼스터 스코트 젠트리 가문 출신으로, 몽고메리 씨족의 도니골 주 분가였다. 그의 아버지 토머스 몽고메리(1700년–1761년)는 영국 육군 장교이자 동도니골에 위치한 리포드의 포켓 버러 아일랜드 의회 의원(MP)이었으며,[4][129] 어머니는 메리 프랭클린 몽고메리였다. 그의 형 알렉산더 몽고메리(1720년–1800년)와 사촌 알렉산더 몽고메리(1686년–1729년)는 모두 대령이었고, 도니골 주 대표로 의원을 지냈다. 다른 사촌 알렉산더 몽고메리(1721년-1785년)는 모나한 주 대표로 의원을 지낸 장군이었다.

몽고메리는 어린 시절 대부분을 더블린 주 검 근처 킨실리에 있는 아베빌 하우스에서 보냈으며, 그곳에서 사냥, 승마, 사격, 펜싱을 배웠다.[4] 아버지 토머스는 아들이 좋은 교육을 받도록 장려했고, 몽고메리는 렉슬립의 사우마레즈 두보르디유 목사의 학교에 다니며 프랑스어, 라틴어, 수사학을 배웠다.[4][130] 1754년 북아메리카에서 프렌치 인디언 전쟁이 시작될 무렵, 몽고메리는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했다.[5]

몽고메리는 지식을 매우 좋아했지만, 학위는 받지 못했다.[6][131] 아버지와 형 알렉산더의 권유로 1756년 9월 21일 영국 육군에 입대했다.[7][132] 아버지가 소위 임관을 사주었고, 그는 제17 보병 연대에 배속되었다.[7][132]

2. 2. 7년 전쟁 (프렌치 인디언 전쟁)

1757년 2월 3일, 제17보병연대는 골웨이 주둔지에서 해외 파병 준비 명령을 받았다.[8][133] 5월 5일, 몽고메리와 제17보병연대는 코크를 출발하여 노바스코샤핼리팩스로 향했고, 7월에 도착했다.[9][134] 영국군은 루이스버그 요새 공략을 계획했으나 실행이 연기되어 뉴욕 식민지에서 겨울을 보냈다.[9][135] 1758년, 제17보병연대는 다시 핼리팩스로 파견되어 루이스버그 공략을 목표로 했다.[8][133]

영국군 지휘관 제프리 애머스트와 제임스 애버크롬비는 핼리팩스 북쪽 케이프브레턴섬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루이스버그의 프랑스군을 공격할 작전을 세웠다.[10][136] 프랑스 수비대는 800명에 불과했지만, 영국군은 13,142명의 병력과 23척의 전열함, 13척의 프리깃 지원을 받았다. 1758년 6월 8일, 요새 공격이 시작되었다. 몽고메리는 격렬한 포화 속에서 해변에 상륙하여 부대원들에게 총검을 장착하고 전진하라고 명령했다.[11][137] 외부 방어선을 포기한 프랑스군은 요새 안으로 후퇴했다. 몽고메리 부대와 다른 영국 부대는 요새의 대포 사정거리 바로 바깥까지 프랑스군을 추격했다.[11][137] 이후 영국군은 요새 포위전에 돌입했다. 악천후로 인해 포위전에 필요한 대포와 군수 물자가 도착하는 데 몇 주가 걸렸다.[12][138] 몽고메리는 병사들에게 참호를 파고 흉벽을 만들게 하여 프랑스군의 공격 가능성에 대비하며 경계하도록 지시했다.[11][137] 7월 9일, 프랑스군이 요새에서 탈출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7월 26일, 일련의 전투로 프랑스 해군 함대 대부분이 파괴되자 요새 내 프랑스군은 항복했다.[13][139] 애머스트 장군은 포위전 중 몽고메리의 활약에 감탄하여 그를 중위로 진급시켰다.[13][139]

제프리 애머스트 장군은 루이스버그 공방전 이후 몽고메리를 중위로 진급시켰다.


1758년 7월 8일, 제임스 애버크롬비는 챔플레인호의 카리용 요새를 공격했으나 큰 손실을 입고 격퇴되었다.[14][140] 8월, 몽고메리와 제17보병연대는 보스턴으로 이동하여 올버니에서 애버크롬비 부대와 합류한 후 조지호로 진군했다.[15][141] 11월 9일, 애버크롬비는 해임되었고 애머스트가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4][140]

영국군 상층부는 1759년 작전을 위해 캐나다를 세 방면에서 공격하는 계획을 세웠다. 제17보병연대를 포함한 부대는 카리용 요새와 크라운포인트 근처의 생프레데릭 요새를 공략하게 되었다. 애머스트 장군의 지휘 아래 몽고메리와 제17보병연대는 카리용 요새 공략전에 참전했다.[140] 전투 전 군대가 집결하는 동안 몽고메리 중대는 경비 임무를 맡았고, 그는 병사들에게 프랑스군이나 아메리카 원주민의 기습에 대비하도록 명령했다. 5월 9일, 제17보병연대 병사 12명이 공격을 받으면서 몽고메리의 우려가 현실이 되었다.[16][142] 몽고메리와 제17보병연대는 초기에 완강한 저항에 부딪혔다.[16][142] 몽고메리는 아군 오인 사격을 피하기 위해 밤에는 사격하지 않도록 명령했다. 7월 21일, 전군이 요새 공략을 시작했다. 7월 26일경 요새 외벽에 도달했을 때, 프랑스군은 이미 주력 부대를 생프레데릭 요새로 철수시킨 상태였다. 낮 동안의 포격전 후, 그날 밤 프랑스군은 카리용 요새의 화약고를 폭파했고, 다음 날에는 생프레데릭 요새마저 폭파하고 챔플레인호 북단으로 후퇴했다.[16][142]

1759년 말, 로버트 멍크턴 소장 지휘 하에 들어간 제17보병연대는 겨울 동안 모호크강 계곡에서 수비 임무를 수행했다.[17][143] 1760년 5월 15일, 멍크턴은 몽고메리를 연대 부관으로 임명했다. 이 직책은 연대 지휘관이 가장 장래가 유망하다고 판단한 중위에게 수여하는 자리였다.[18][144] 8월, 제17보병연대는 챔플레인호 사단에 합류하여 크라운포인트를 출발, 몬트리올을 세 방향에서 공격하는 작전에 참여했다.[19][145] 제17보병연대는 일오누아와 샹블리 요새를 공략한 후 몬트리올 외곽에서 다른 두 사단과 합류했다. 프랑스령 캐나다 총독 보드뢰유 후작은 몬트리올 방어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싸우지 않고 항복했다.[20][146] 몬트리올 함락으로 캐나다 전체가 영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19][145] 1761년 여름, 몽고메리와 제17보병연대는 몬트리올에서 스태튼 섬으로 개선했다.[19][145]

영국 정부는 캐나다 정복 후 카리브해에서 프랑스 세력을 격파할 계획을 세웠다.[19][145] 1761년 11월, 몽고메리와 제17보병연대는 바베이도스로 이동하여 북아메리카에서 온 다른 부대와 합류했다. 1762년 1월 5일, 부대는 바베이도스를 출발해 프랑스령 마르티니크로 향했고, 1월 중순에 도착했다. 프랑스군은 공격이 임박했음을 알고 방어 태세를 강화했다.[19][145] 영국군은 신속하게 상륙 거점을 확보하고 1월 24일에 주력 공세를 시작했다. 프랑스군의 외곽 방어선이 무너지고 생존자들은 수도 로열 요새로 후퇴했다. 영국군이 요새 공격을 준비하자, 상황이 절망적임을 깨달은 프랑스군은 항복했다.[21][147] 2월 12일, 섬 전체가 항복했다.[21][147] 마르티니크 함락 후, 나머지 프랑스령 서인도 제도의 그레나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가 저항 없이 영국에 점령되었다.[21][147] 1762년 5월 6일, 마르티니크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존 캠벨 중령은 몽고메리를 대위로 진급시키고 제17보병연대 10개 중대 중 하나의 지휘를 맡겼다.[22][148]

1761년 스페인이 프랑스의 동맹국으로 참전했다.[21][147] 영국 최고 사령부는 아바나를 점령하면 스페인 본국과 식민지 간의 통신망을 파괴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23][149] 1762년 6월 6일, 영국 공격 부대는 아바나 해안에서 약 11.27km 떨어진 곳에 도착했다. 몽고메리의 중대를 포함한 제17보병연대는 도시 방어의 핵심인 모로 요새 공략 임무를 맡았다.[23][149] 영국 전함의 포격으로 스페인 포 대부분이 무력화되었다. 7월 30일, 몽고메리와 제17보병연대는 요새를 습격하여 점령했다.[23][149] 8월 말, 몽고메리와 제17보병연대는 뉴욕으로 보내져 전쟁이 끝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7년 전쟁1763년 2월 10일 파리 조약 체결로 종결되었다.[24][150]

2. 3. 폰티액 전쟁

1763년 4월, 프랑스의 항복과 영국군의 정책에 불만을 품은 오타와족 추장 폰티액은 18개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을 규합하여 영국군과 정착지를 공격하기 시작했다.[25] 이들은 영국군 요새 8곳을 점령하고 다른 2곳에서는 영국군이 철수하도록 만들었다. 이에 애머스트 장군은 1763년 6월, 제17 보병연대에 올버니로 이동하여 반란 진압을 지원하라고 명령했다.[28]

몽고메리가 속한 부대가 배를 타고 허드슨강을 거슬러 올버니로 향하던 중,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리빙스턴 가문의 거처인 클레르몽 저택 근처에서 배가 좌초되었다. 배를 수리하는 동안 리빙스턴 가문은 장교들을 환대했고, 이때 몽고메리는 로버트 리빙스턴의 스무 살 딸 자넷을 만났다. 이후 제17연대가 뉴욕으로 돌아왔을 때 자넷은 몽고메리가 동행하지 않았음을 알게 되었는데, 그는 이미 잉글랜드로 돌아갈 휴가를 받은 상태였다.[26]

제17연대는 요새 스탠윅스에 주둔했으며, 몽고메리는 1764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1764년, 카리브해 복무로 건강이 악화된 몽고메리는 게이지 장군과 캠벨 대령에게 영국 귀국 휴가를 신청했다. 게이지는 휴가를 승인했지만, 카리브해 원정으로 장교 수가 줄어든 캠벨 대령은 다음 원정이 끝난 후에야 휴가를 허락했다.[27]

1764년 영국은 인디언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두 차례의 원정을 조직했다.[28] 몽고메리와 제17연대는 존 브래드스트리트가 지휘하는 원정대 중 하나에 참여하여 7월에 요새 나이아가라로 이동했다. 그들은 그곳에서 한 달간 주둔하며 윌리엄 존슨 경이 오대호 주변 원주민들과 개최한 대규모 회의(2,000명 이상 참석) 동안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역할을 했다.[28] 이후 원정대는 이전에 공격받았던 요새 디트로이트로 이동하여 8월에 도착했다.[29] 몽고메리는 몇 주간 요새에 머물며 방어 시설 개선을 돕고 원주민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29] 9월, 브래드스트리트는 쇼니족 및 델라웨어족과의 회담을 위해 샌더스키로 떠났고, 귀국 허가를 받은 몽고메리도 그를 따라갔다. 한편 제17연대는 요새 디트로이트와 요새 미칠리매키낵에 주둔했다.[29] 10월 3일, 몽고메리와 다른 장교들은 오네이다족 추장 토마스 킹을 만났다. 일리노이 지역에서 브래드스트리트 분견대와 동행했던 킹은 그곳 원주민들이 매우 적대적이므로 군사 행동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다. 이틀 후, 브래드스트리트와 이로쿼이족 지도자들과의 회의에서 브래드스트리트는 영국이 쇼니족과 델라웨어족을 공격할 의사가 없음을 밝혔다. 이후 브래드스트리트는 몽고메리를 풀어주었고, 그는 존슨 홀을 거쳐 뉴욕으로 가서 브래드스트리트의 전갈을 게이지 장군에게 전달한 뒤 영국으로 떠났다.[30]

2. 4. 미국 이주와 독립 전쟁

영국에서 건강을 회복한 몽고메리는[31][158] 정치적 자유 확대를 요구하는 식민지 주민들을 지지하는 휘그당 국회의원들과 교류했다. 그는 아이작 바레, 에드먼드 버크, 찰스 제임스 폭스와 같은 저명한 휘그당원들과 친구가 되었고,[31][159] 이들과 정치에 대해 많은 시간을 보내며 영국 정부의 정책에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32][159] 1768년, 제17보병연대가 영국으로 돌아오자 몽고메리는 징병 활동을 시작했으나,[160] 1771년 진급에서 누락되었다. 이는 그의 정치적 성향 때문일 가능성이 높았다.[34][161] 결국 그는 약 1500GBP에 자신의 위임을 팔고 1772년 군대를 떠났다.[34][161] 이후 과학 기구, 측량 도구, 제도 도구를 구입하고 그해 7월 미국으로 항해했으며,[35][162] 다시는 결혼하거나 무기를 들지 않고 젠트리 농부가 되기로 결심했다.[36][163]

몽고메리는 킹스브리지에서 북쪽으로 약 20.92km 떨어진 곳에 농장을 구입했다.[164] 그는 주변 환경에 적응하던 중 자넷 리빙스턴과 다시 친분을 쌓게 되었고,[37][164] 그녀의 아버지 로버트 로버트 리빙스턴의 허락을 받아 1773년 7월 24일 자넷과 결혼했다.[39][166] 이 결혼을 통해 몽고메리는 당시 저명한 노예 소유 가문이었던 리빙스턴 가문의 일원이 되었고, 그 역시 노예 소유주가 되었다.[40]

결혼 후 몽고메리는 자신의 농장을 소작인에게 임대하고, 아내의 가족이 제공한 라인벡의 작은 별장으로 이주했다.[166][295] 그는 주변 토지를 구입하여 울타리를 치고, 밭을 갈고, 제분소를 짓고, "그래스미어"(Grasmereeng)라고 불릴 더 큰 집의 기초를 놓는 작업을 시작했으나, 그의 사망 당시에는 완성되지 못했다.[41][167] 그는 "내 평생 이렇게 행복한 적이 없었다"고 말했지만, "이것은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고 전해진다.[41][167] 결혼 3개월 후, 아내 자넷은 몽고메리가 그의 형제와 결투에서 죽는 꿈을 꾸었다고 말했고, 그는 "나는 당신에게 내 행복은 오래가지 못한다고 항상 말해왔다... 가능한 한 오래 즐기도록 하고 나머지는 신에게 맡기자"라고 답했다고 한다.[41][167]

미국 독립을 지지하는 리빙스턴 가문과의 관계로 인해 몽고메리는 영국 정부에 반대하기 시작했고, 자신을 영국인이 아닌 미국인으로 여기게 되었다.[42][168] 그는 영국 정부가 억압적이고 폭군적인 모국처럼 행동하고 있다고 믿었다.[42][168]

1775년 5월 16일, 몽고메리는 더치스 군을 대표하는 10명의 대의원 중 한 명으로 뉴욕 지방 의회에 선출되었다.[43][169] 뉴욕에 거주한 지 2년밖에 되지 않았고 정치 참여를 꺼렸지만, 지역 사회에서 널리 알려지고 존경받았기에 참석해야 한다고 느꼈다.[44][170] 그는 라인벡에서 남쪽으로 약 128.75km 떨어진 뉴욕 시로 향했다.[45][171]

5월 22일 첫 회기가 시작되었고,[45][171] 5월 26일 몽고메리를 포함한 97명의 대표가 의회의 권위를 정당화하는 결의안에 서명했다. 당시 몽고메리의 견해는 온건한 패트리어트의 입장이어서, 영국 정부가 잘못되었다고 믿었지만 명예로운 화해를 희망했다.[46][172] 시간이 지나면서 왕에게 충성을 유지하는 파벌의 영향력은 약해졌다.[46][172] 몽고메리는 뉴욕의 군사 방어 위치를 결정하는 부지 선정 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47][173] 지방 민병대를 조직하고 물품을 확보하는 데에도 관여했다.[47][173]

미국 독립 전쟁이 시작되자 몽고메리는 1775년 6월 대륙군 준장으로 임관되었다. 필립 스카일러 장군의 병세가 깊어져 캐나다 침공을 이끌 수 없게 되자 몽고메리가 지휘를 인수했다. 같은 해 11월, 그는 세인트존스 요새와 몬트리올을 점령하고 퀘벡 시까지 진군하여 베네딕트 아놀드가 이끄는 별동대와 합류했다. 12월 31일, 몽고메리는 퀘벡 전투에서 퀘벡 시 공격을 지휘했지만 전투 중에 전사했다. 영국군은 그의 유해를 찾아 군 장례식을 치러주었으며, 유해는 1818년 뉴욕 시로 이장되었다.

3. 미국 독립 전쟁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자, 영국군 복무 경험이 있던 몽고메리는 미국 독립 지지자가 되어 1775년 5월 뉴욕주 식민지 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6월, 대륙군 준장으로 임명되어[50][178] 캐나다 침공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그는 이 임명을 "자유와 노예 상태 사이에서 선택해야 하는 억압받는 사람들의 뜻은 따라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받아들였다.[52][180]

필립 스카일러 장군의 건강 악화로 실질적인 지휘권을 인수한 몽고메리는[65][205] 군대를 이끌고 북진하여 1775년 11월, 주요 거점인 생장 요새와 몬트리올 시를 점령하는 큰 공을 세웠다.[79][82][235][240] 이후 퀘벡 시로 진군하여 베네딕트 아놀드 부대와 합류했으나,[87][245] 1775년 12월 31일 벌어진 퀘벡 전투 중 선두에서 병사들을 독려하다 영국군의 포격에 맞아 전사했다.[100][264] 그의 죽음은 대륙군에게 큰 손실이었으며, 퀘벡 점령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영국군은 적장이었음에도 몽고메리의 용맹함을 인정하여 군 장례식을 치러주었다. 그의 유해는 1818년 미국 뉴욕 시로 옮겨져 안장되었다.

3. 1. 캐나다 침공 작전

조지 워싱턴1775년 6월 15일 새로 창설된 대륙군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된 후, 제2차 대륙 회의는 뉴욕 주 임시 정부에 군 복무를 위한 두 명의 인물을 선정하도록 요청했다.[48] 한 명은 소장, 다른 한 명은 준장이 될 예정이었다. 의회는 필립 스카일러를 소장으로 선호했지만, 몽고메리는 스카일러의 전투 경험 부족을 우려했다.[49] 몽고메리는 자신이 준장 후보로 고려되고 있음을 알았으나, 임명에 대한 개인적인 욕심을 드러내지는 않았다.[49] 결국 6월 22일, 스카일러는 소장으로, 몽고메리는 준장으로 임명되었다.[50] 몽고메리는 모든 준장 중 두 번째로 높은 서열이었다.[51] 이 임명에 대해 그는 "자유와 노예 상태 사이에서 선택해야 하는 억압받는 사람들의 뜻은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52]

캐나다에 대한 미국의 침공


1775년 6월 25일, 조지 워싱턴은 보스턴으로 가는 길에 뉴욕 시를 지나면서 몽고메리를 스카일러 휘하의 부사령관으로 임명했다.[53][181] 며칠 후, 스카일러는 대륙 회의로부터 캐나다 침공 명령을 받았다.[53][182] 이 계획은 허드슨 강과 북부 호수를 통해 보급을 받으며 퀘벡을 침공하는 것이었다. 군대는 타이컨더로가 요새에 소집되었고, 스카일러는 7월 4일 지휘를 위해 떠났다.[54][183] 몽고메리는 올버니에 남아 침공 준비를 마무리했다. 그는 사라토가까지 동행한 아내에게 "당신은 당신의 몽고메리 때문에 결코 부끄러워할 일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54][184]

7월과 8월 초, 몽고메리와 스카일러는 군대를 조직하고 침공에 필요한 병력과 물자를 모았다.[55][185] 이 과정에서 워싱턴은 베네딕트 아놀드에게 메인을 통해 퀘벡을 침공하는 별동대를 이끌도록 명령하여 침공 규모를 확대했다. 이 부대는 퀘벡 시 외곽에서 스카일러 군대와 합류하여 공동 공격을 펼칠 예정이었다.[55][186]

8월, 스카일러가 침공 중 이로쿼이 연맹의 중립을 확보하기 위해 대표들과 회담하러 떠나자, 몽고메리는 타이컨더로가 요새의 군 지휘를 맡았다.[56][187] 스카일러 부재 중, 몽고메리는 영국군이 샹플레인 호수에 군함 두 척을 건조 중이라는 정보를 입수했다. 이 군함들이 완성되면 영국군이 호수를 장악할 위험이 있었다.[57][188] 몽고메리는 스카일러의 허가 없이 1,2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스쿠너 ''리버티''와 슬루프 ''엔터프라이즈''에 승선시켜 북쪽으로 이동했다.[56][189] 그는 스카일러에게 편지를 보내 상황을 설명했다.[58][190]

크라운 포인트에서 몽고메리 군대의 출항.


스카일러는 8월 30일 타이컨더로가 요새로 돌아와[59][191] 800명의 병력을 추가로 몽고메리에게 보내도록 명령하고, 좋지 않은 건강 상태에도 불구하고 몽고메리와 합류하기 위해 출발했다. 그는 9월 4일 일르라모트에서 몽고메리를 따라잡아[60][192] 지휘권을 인수한 뒤, 리슐리외 강의 작은 섬인 일 오 누아로 진격을 계속하도록 명령했다.[60][193] 스카일러는 캐나다인들에게 "친구이자 동포"라 부르며 영국군 축출에 협력해 달라는 포고문을 작성했다.[60][194]

9월 6일, 몽고메리는 몬트리올 방어의 핵심인 생장 요새로 정찰대를 이끌었다.[60][195] 주력 부대가 숲과 습지를 통과하는 동안, 매튜 미드 대위가 이끄는 측면 부대가 영국군과 동맹한 아메리카 원주민 100명의 매복 공격을 받았다.[61][196] 미드 부대는 격퇴에 성공했지만, 몽고메리는 예상보다 강력한 영국군 방어에 놀라 작전을 중단하고 후퇴했다.[61][197] 스카일러는 요새의 빠른 함락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부대를 일 오 누아로 철수시켜 방어를 강화했다.[62][198]

스카일러의 건강이 더욱 악화되자[62][199] 몽고메리가 군대의 실질적인 지휘를 맡게 되었다. 9월 10일, 몽고메리는 1,7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다시 요새로 향했다.[63][200] 그러나 어두운 늪지대에서 아군 부대끼리 오인 사격하는 혼란이 벌어졌고,[63][201] 영국군의 산탄 사격과 영국 군함 접근 소문으로 인해 뉴잉글랜드 병사 절반이 도주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64][203] 몽고메리는 공격을 포기하고 일 오 누아로 후퇴했으며, 도주한 병사들에 대한 군법회의를 스카일러에게 요청했다.[64][204] 결국 스카일러는 9월 16일 요양을 위해 타이컨더로가로 떠나면서 작전의 모든 지휘권을 몽고메리에게 넘겼다.[65][205]

생장 요새 밖에서 몽고메리는 계속 증원을 받으며[66][206] 부대를 재정비했다. 그는 직무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지휘관들을 내보내며 "믿을 수 있는 전사들만 남기겠다"고 다짐했다.[66][207] 9월 16일, 몽고메리는 총 1,400명의 병력으로 다시 요새 공략에 나섰다.[66][208] 그는 영국 군함 '로열 세비지'에 대응하기 위해 해군 부대(스쿠너 1척, 슬루프 1척, 바토 10척에 350명 탑승)를 파견하고,[66][209] 나머지 병력을 이끌고 9월 17일 생장 근처에 상륙했다.[66][210] 요새 수비대는 찰스 프레스턴 소령(과거 몽고메리의 상관)이 지휘하는 725명이었다.[67][211]

Redoutes Sud et Nord 1775
생장 요새 지도


몽고메리 군대는 상륙 첫날 밤 영국군의 가벼운 포격을 견뎌냈고,[67][212] 다음 날 아침에는 티모시 베델 소령에게 요새 북쪽 점령을 명령했다가 병사들의 불안감을 감지하고 직접 지휘에 나섰다.[67][213] 그는 영국군과의 소규모 교전을 성공적으로 지휘하여 적을 요새 안으로 몰아넣고,[68][214] 요새 북쪽 약 약 1.61km 지점에 참호를 구축하며 포위망을 좁혀갔다.[68][215] 초기에는 영국군이 10대 1의 화력 우위를 점했지만,[68][216] 몽고메리는 포위 시설 강화에 집중하여 며칠 만에 2개의 포대를 구축했다.[68][217] 9월 22일에는 포탄이 스쳐 지나가며 흉벽에서 떨어졌으나 무사히 착지하는 등 위험 속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했다.[69][218]

타이컨더로가에서 대포가 계속 보급되었지만,[70][219] 초기에는 거리가 멀어 효과가 크지 않았다.[70][220] 몽고메리는 포대를 더 가까운 북쪽으로 옮기려 했으나, 장교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71][221] 대신 그는 '로열 세비지'를 위협할 수 있는 위치에 새로운 포대를 건설하여 10월 14일 영국 함선을 침몰시켰다.[72][222]

10월 중순, 몽고메리의 아내 자넷의 친척인 제임스 리빙스턴은 생장 요새보다 약 약 16.09km 하류에 있는 챔블리 요새가 더 취약하다고 제안했다.[73][223] 몽고메리는 이를 받아들여 350명의 병력을 파견했고, 이들은 10월 16일 밤 대포 2문을 챔블리로 옮겨 포격을 시작했다.[73][224] 이틀간의 포격 끝에 챔블리 요새는 항복했고, 미국군은 6ton의 화약과 83명의 포로, 그리고 제7 로열 푸질리어스의 연대기를 노획했다. 이는 미국 독립 전쟁에서 처음으로 포획된 영국 연대기였다.[74][226] 워싱턴은 몽고메리에게 축하 편지를 보내며 다음 소식은 몬트리올에서 오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74][227]

챔블리 점령으로 사기가 오른 몽고메리 군대는 마침내 생장 요새 북쪽에 포대를 설치했다.[75][228] 영국군의 격렬한 포격에도 불구하고 미국군은 포대 건설을 완료했다.[76][229] 몬트리올의 영국군 사령관 가이 칼턴 장군은 생장 요새 구원을 시도했지만, 몽고메리 군대는 세인트로렌스 강 도하를 저지했다.[77][230]

11월 1일, 북쪽 포대가 완성되어 포격이 시작되자[77][231] 요새 내부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고 수비대의 사기는 급격히 떨어졌다.[77][233] 몽고메리는 챔블리 포로를 통해 항복을 권유했다. 칼턴이 보낸 사수 명령을 담은 전령이 미국군에게 포획되면서[78][234] 영국군의 저항 의지는 더욱 꺾였다. 결국 11월 2일, 영국군은 군사적 예우를 갖추고 항복했으며, 11월 3일 요새를 떠나 포로로 수감되었다.[79][235] 이 포위전에서 영국군은 20명 사망, 23명 부상, 미국군은 5명 사망, 6명 부상의 피해를 입었다.[79][236]

가이 칼턴 장군, 퀘벡 시에서 몽고메리 군과 대항했다


몽고메리는 즉시 군대를 몬트리올로 진격시켰다.[80][237] 눈과 얼음, 겨울 폭풍으로 행군은 어려웠지만,[80][238] 소렐에 분견대를 보내 영국군의 퀘벡 도주로를 차단했다.[81][239] 몽고메리가 몬트리올 외곽에 도착하자 항복 협상이 시작되었고, 그 사이 칼턴은 작은 함대를 이끌고 세인트로렌스 강을 따라 탈출했다. 몬트리올은 11월 13일 무혈 입성했다.[82][240]

11월 19일, 영국 함대가 포획되었으나 칼턴은 다시 한번 탈출하여 퀘벡 시로 향했다.[83][241] 몽고메리가 영국 포로들을 관대하게 대우하자 일부 장교들이 불만을 표했고, 몽고메리는 이를 자신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여기고 사임하겠다고 위협했다.[84][242] 그러나 군 기강 문제를 우려하는 워싱턴의 편지를 받고 지휘를 계속하기로 결정했다.[85][243]

11월 28일, 몽고메리는 300명의 병사와 함께 포획한 배를 타고 퀘벡 시로 향했다.[86][244] 12월 2일, 퀘벡에서 약 28.97km 떨어진 푸앵트 오 트렘블에서 베네딕트 아놀드의 부대와 합류했다. 몽고메리는 도착 즉시 아놀드로부터 부대 지휘권을 넘겨받았다.[87][245] 메인 황야를 통과하며 극심한 고생을 겪은 아놀드 부대에게 몽고메리는 절실히 필요했던 의류와 겨울 물품을 보급했다.[88] 다음 날, 연합군은 퀘벡 시로 이동하여 포위를 시작했다.[88][246] 12월 7일, 몽고메리는 칼턴에게 항복을 요구하는 최후 통첩을 보냈으나, 칼턴은 이를 불태워 버렸다. 몽고메리는 시민들에게 해방군임을 알리는 편지를 활과 화살을 이용해 성벽 너머로 보내기도 했지만, 칼턴의 방해로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89][247]

3. 2. 퀘벡 전투와 죽음

1775년 11월, 세인트존스 요새와 몬트리올 시를 점령한 몽고메리는 군대를 이끌고 퀘벡 시로 향했다.[80] 행군은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땅 위에서 이루어졌으며, 출발 며칠 후 겨울 폭풍까지 겹쳐 매우 어려움을 겪었다.[80] 몽고메리는 몬트리올에서 퀘벡으로 탈출하는 영국군을 막기 위해 일부 병력을 소렐로 보내 잠시 교전하게 했고, 영국군은 세인트로렌스 강의 배로 철수했다.[81] 몽고메리 주력 부대가 몬트리올 외곽에 도착하자, 그는 사자를 보내 항복하지 않으면 포격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항복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가이 칼턴 장군은 작은 함대를 이끌고 세인트로렌스 강을 따라 퀘벡으로 탈출했다. 몬트리올은 11월 13일 저항 없이 항복했고, 몽고메리와 그의 군대는 도시로 진입했다.[82]

11월 19일, 칼턴이 타고 있던 영국 함대가 나포되었으나 칼턴은 가까스로 탈출하여 퀘벡 시로 향했다.[83] 몽고메리가 포로로 잡힌 영국인들을 관대하게 대우하자 일부 장교들이 우려를 표했고, 몽고메리는 이를 자신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 사임을 고려하기도 했다.[84] 그러나 조지 워싱턴에게서 군 기강 문제를 언급하며 격려하는 편지를 받고 지휘를 계속하기로 결정했다.[85]

11월 28일, 몽고메리는 300명의 병사와 함께 나포한 배를 타고 퀘벡 시로 항해를 시작했다.[86] 12월 2일, 퀘벡에서 약 28.97km 떨어진 푸앵트 오 트렘블에서 베네딕트 아놀드가 이끄는 부대와 합류했다. 아놀드는 즉시 부대 지휘권을 몽고메리에게 넘겼다.[87] 12월 3일, 몽고메리는 메인 황야를 거쳐 퀘벡 시까지 힘겹게 행군해 온 아놀드의 병사들에게 옷과 영국 배에서 노획한 겨울 물품 등 절실히 필요한 보급품을 제공했다. 다음 날, 연합군은 퀘벡 시로 이동하여 도착과 동시에 도시를 포위했다.[88] 12월 7일, 몽고메리는 칼턴에게 최후통첩을 보내 항복을 요구했으나, 칼턴은 편지를 불태워 버렸다. 며칠 후, 몽고메리는 상인들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퀘벡 시민들을 해방시키러 왔다고 호소하며 성벽 안으로 전달하려 했지만, 칼턴이 이를 알아채고 사자를 체포했다. 몽고메리는 활과 화살을 이용해 성벽 너머로 포고문을 보내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89]

1775년 자필 서명이 있는 리처드 몽고메리 소장


몽고메리는 자신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세인트존스와 몬트리올 점령의 공로로 12월 9일 소장으로 진급했다. 칼턴을 설득하여 항복시킬 수 없게 되자, 몽고메리는 퀘벡 시 성벽 밖 수백 야드 거리에 여러 문의 박격포를 설치했다.[248] 12월 9일부터 포격이 시작되었으나, 며칠이 지나도 성벽이나 수비대, 시민들에게 큰 피해를 주지 못했다. 효과가 미미하자 몽고메리는 에이브러햄 평원에 성벽에 더 가까운 포대를 설치하라고 명령했지만, 이곳은 영국군의 포격에 거의 노출되는 위치였다.[249] 12월 15일, 새로운 포대가 준비되었고 몽고메리는 휴전 깃발을 든 부대를 보내 다시 항복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포격을 재개했지만 여전히 효과는 미미했고,[250] 오히려 새로운 포대가 영국군의 효과적인 반격을 받게 되자 몽고메리는 철수를 명령했다.[251]

포격의 효과가 없음을 확인한 몽고메리는 직접적인 공격 작전을 계획하기 시작했다.[252] 초기 계획은 몽고메리 부대가 강변에 가까운 로어 타운 지구(생로쉬)를 공격하고, 아놀드 부대는 가장 높고 견고한 케이프 다이아몬드 요새를 공격하여 점령하는 것이었다. 몽고메리는 영국군의 시야를 피하기 위해 폭풍우가 치는 밤에 공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253] 12월 27일, 날씨가 폭풍우로 변하자 공격 준비 명령을 내렸으나, 곧 폭풍이 약해져 공격을 취소했다.[254] 설상가상으로 대륙군 탈영병이 원래 계획을 영국군에게 누설하면서 작전 변경이 불가피해졌다. 새로운 계획은 몽고메리와 아놀드 부대 모두 로어 타운을 공격하는 것이었다. 몽고메리는 남쪽에서, 아놀드는 북쪽에서 공격하여[255] 성벽을 돌파한 후 시내에서 합류하여 어퍼 타운을 공격, 점령한다는 구상이었다. 기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두 개의 위장 공격도 계획했다.[256] 제1 캐나다 연대를 이끄는 제임스 리빙스턴의 부대가 성문 중 하나에 불을 지르고, 제이콥 브라운이 이끄는 부대가 케이프 다이아몬드 요새의 수비대와 교전하며 로켓을 발사하여 공격 시작 신호를 보내기로 했다. 위장 공격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포병이 시내를 포격할 예정이었다.[257] 몽고메리는 이 공격을 망설였지만, 아놀드 부대 병사들의 복무 기간이 1월 1일에 만료될 예정이었기에 그들의 전력 손실을 우려하여 공격을 감행하기로 결정했다.[258]

''1775년 12월 31일 퀘벡 공격에서 몽고메리 장군의 죽음'', 존 트럼불, 1786


12월 30일 밤, 거센 눈보라가 몰아치기 시작했다.[259] 몽고메리는 공격 명령을 내렸고, 대륙군은 지정된 위치로 이동했다. 12월 31일 오전 4시, 몽고메리는 로켓 신호를 보고 로어 타운을 향해 병력을 이동시키기 시작했다.[260] 로켓은 공격 개시 신호였지만, 동시에 영국군에게 공격 임박을 알리는 경고가 되어 수비대는 서둘러 방어 위치로 달려갔다. 몽고메리는 직접 선두에 서서 로어 타운으로 향하는 행군을 이끌며, 성벽 밖의 가파르고 미끄러운 절벽을 내려갔다.[261] 오전 6시경, 몽고메리 부대는 로어 타운 외곽의 나무 방책에 도달하여 톱으로 잘라내야 했다.[262] 두 번째 방책을 잘라낸 후, 몽고메리는 선봉 부대를 이끌고 그 틈으로 들어섰다. 길 아래쪽에 2층짜리 블록하우스를 발견한 몽고메리는 병사들을 그쪽으로 이끌며 칼을 뽑아들고 Come on, my good soldiers, your General calls upon you to follow!|자, 나의 훌륭한 병사들이여, 당신의 장군이 당신을 부르고 있다. 뒤따르라!eng[263] 라고 외치며 병사들을 독려했다. 대륙군이 약 약 45.72m까지 접근했을 때, 블록하우스에 있던 영국군(캐나다 민병대 30명과 일부 선원)이 대포, 머스킷, 포도탄으로 일제히 사격을 가했다. 몽고메리는 포도탄에 머리와 양쪽 허벅지를 맞고 그 자리에서 즉사했다.[264] 이 일제 사격으로 존 맥퍼슨 대위와 제이콥 치즈먼 대위도 함께 전사했다.[265]

몽고메리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그의 공격 부대는 혼란에 빠졌다.[266] 살아남은 장교인 도널드 캠벨 대령은 당황하여 퇴각을 명령했다. 몽고메리의 부관 중 한 명이었던 애런 버가 잠시 그의 시신을 아군 진영으로 끌고 가려 했으나, 깊은 눈과 시신의 무게 때문에 실패했다. 몽고메리 부대의 지원이 끊기자, 아놀드 부대의 공격 역시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267] 아놀드는 다리에 부상을 입었고, 다니엘 모건을 포함한 많은 병사들이 포로로 잡혔다.[268] 영국군은 전투 후 몽고메리의 시신을 발견하고 군 장례식을 치러주었다. 그의 유해는 1818년 뉴욕 시로 이장되었다.

4. 사후

1775년 퀘벡 전투에서 전사한 리처드 몽고메리의 시신은 1776년 1월 1일 영국군에 의해 수습되었다. 캐나다 총독 가이 칼턴 경은 포로로 잡힌 미국인의 증언을 통해 시신이 몽고메리임을 확인하고,[103][269] 적이었지만 존경받던 그를 위해 정중한 장례를 치르도록 지시했다.[103][271] 몽고메리의 지휘권은 베네딕트 아놀드가 승계했다.[104][270]

몽고메리의 죽음은 미국 식민지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특히 필립 슐러조지 워싱턴은 그의 죽음을 깊이 애도했다.[106][273] 대륙회의는 군대와 시민의 사기 저하를 우려하면서도,[107][276] 1776년 1월 25일 그의 공적을 기리는 기념비 건립을 승인하고 국가적인 추모 행사를 열었다.[108][109][278] 그는 애국자들 사이에서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며, 토머스 페인 등 여러 작가들이 그의 이름을 언급하며 기렸다.[110][111][279][280] 영국에서도 그의 죽음은 애도되었고, 휘그당은 이를 정부의 식민지 정책 실패를 비판하는 데 이용하기도 했다.[111][281]

몽고메리의 아내 재닛 리빙스턴 몽고메리는 남편 사후 53년을 더 살면서 그의 명예를 지켰다.[114][283] 1818년, 몽고메리의 유해는 뉴욕 주지사의 허가 아래 퀘벡에서 뉴욕으로 이장되어 맨해튼의 세인트 폴 채플에 안치되었다.[117][118][287] 그는 미국 독립 전쟁의 초기 영웅 중 한 명으로 기억되며, 그의 이름은 미국 전역의 수많은 장소와 시설에 남아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4. 1. 애도와 기념

1776년 1월 1일, 영국군은 전사자들의 시신을 수습하던 중 미국 식민지 군대의 고위 장교 시신을 발견했다. 이 시신은 캐나다 총독 칼턴 장군에게 옮겨졌고, 한 미국인 포로가 시신의 주인이 리처드 몽고메리임을 확인했다.[103] 몽고메리의 사망 소식이 알려지자 베네딕트 아놀드가 미국 식민지 군대의 지휘권을 이어받았다.[104] 양측 모두에게 존경받던 인물이었기에, 칼턴은 몽고메리의 장례를 존엄하게 치르도록 명령했으나, 지나친 의전은 피하도록 지시했다.[103] 1776년 1월 4일 해 질 녘, 몽고메리의 유해는 안장되었다. 장례식에 참석한 미국인 포로들은 몽고메리를 "온 군대의 신뢰"를 받았던 "영웅적인 용기"와 "수려한 매너"를 지닌 "사랑받는 장군"으로 기렸다.[105]

몽고메리의 전사 소식은 슐러워싱턴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106][273] 슐러는 몽고메리 없이는 캐나다에서의 승리가 불가능하다고 여겼다. 그는 대륙회의와 워싱턴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의 다정한 친구이자 용감한 몽고메리가 더 이상 없습니다. 용감한 아놀드는 부상을 입었고, 우리는 퀘벡에 대한 성공하지 못한 시도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입었습니다... 이 불운이 여기서 끝나기를 바랍니다."라고 비통한 심정을 전했다.[106][274] 워싱턴 역시 슐러에게 보낸 답장에서 "이 분의 죽음으로 미국은 큰 손실을 입었습니다. 그는 미국의 권리에 대한 확고한 친구였으며, 미국에 가장 중요한 봉사를 제공할 능력이 있음을 증명했기 때문입니다."라고 애도했다.[106][275] 한편, 대륙회의는 이 소식이 군대와 시민들의 사기를 떨어뜨릴 것을 우려하여 가능한 한 조용히 처리하고자 했다.[107][276][277]

그럼에도 불구하고, 1776년 1월 25일 대륙회의는 몽고메리를 기리는 기념비 건립을 승인했으며,[108][109][278] 1776년 2월 19일에는 국가적인 추모 행사를 거행했다. 13개 식민지 전역에서 몽고메리는 영웅으로 추앙받았고, 애국자들은 그의 죽음을 독립 전쟁의 대의를 알리는 데 적극 활용했다.[110][279] 몽고메리의 이름은 토머스 페인과 같은 작가들의 문학 작품에서 자주 등장했으며,[111][280] 시인 앤 엘리자 블리커는 그를 기리는 "몽고메리 장군의 죽음에 대한 비가"를 썼다.[112]

몽고메리에 대한 애도는 영국에서도 나타났다.[111][281] 휘그당은 그의 죽음을 미국 식민지에 대한 영국 정부 정책의 실패를 보여주는 사례로 이용하려 했다. 당시 수상이었던 프레데릭 노스는 몽고메리의 군사적 능력을 인정하면서도, "나는 몽고메리의 죽음을 공적인 손실로 함께 애도할 수는 없습니다. 그의 미덕에 저주를! 그것들이 그의 나라를 망쳤습니다. 그는 용감하고, 유능하고, 인자하고, 관대했지만, 여전히 그는 용감하고, 유능하고, 인자하고, 관대한 반역자일 뿐입니다."라고 평가절하했다.[113][282] 반면 런던의 일부 신문들은 몽고메리에게 경의를 표했으며, ''이브닝 포스트''는 1776년 3월 12일 자 신문을 애도의 표시로 검은색 테두리로 장식하기도 했다.[113][282]

몽고메리 동상은 필라델피아 미술관 근처에 있다.


몽고메리의 아내 자넷은 남편이 사망한 후 53년을 더 살았다.[283] 그녀는 평생 몽고메리를 "나의 장군" 또는 "나의 군인"이라 부르며 그의 명예를 지켰다. 남편 사후에는 전쟁 전에 함께 살던 라인베크 근처의 집으로 이사했다.[284] 자넷은 전쟁이 끝난 후에도 정치에 꾸준히 관심을 가졌으며, 특히 로열리스트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전 대륙군 장군 호레이쇼 게이츠가 청혼했지만 거절했다.[285] 1789년, 자넷은 아일랜드에 있는 몽고메리의 친척을 방문하는 길에 뉴욕에 들러, 취임 선서를 마친 워싱턴의 취임 기념 무도회에 참석하고 워싱턴 가족과 교류하기도 했다.[286] 이후 아일랜드로 건너갔으나, 영국 정부의 미국 정책에 대해 시누이와 의견 충돌을 겪은 후 1790년 미국으로 돌아왔다.

1818년, 뉴욕 주지사 스티븐 반 렌셀리아의 노력으로 퀘벡 시에 안장되어 있던 몽고메리의 유해를 뉴욕 시로 이장하는 것이 허가되었다.[287] 그해 6월, 몽고메리의 유해는 퀘벡을 떠나 뉴욕 시로 향했다. 7월 4일 올버니에 도착한 유해는 배에 실려 허드슨 강을 따라 뉴욕 시로 운구되었다.[288] 자넷은 집 현관에서 남편의 유해를 실은 배가 강을 따라 내려가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유해가 뉴욕 시에 도착하자 약 5,000명의 시민들이 모여 장례 행렬을 이루었다.[289] 1818년 7월 8일, 몽고메리의 유해는 맨해튼의 세인트폴 채플에 있는 그의 기념비 옆에 안장되었다. 이 기념비는 1776년 대륙회의의 결정으로 세워진 것이었다. 자넷은 이 모든 과정에 대해 "나의 가엾은 군인의 유해에 이토록 고귀한 영예가 바쳐질 수 있으리라고는 바랄 수 없었다"고 기록하며 기쁨을 표했다.[290]

훗날 앤드루 잭슨 대통령은 에드워드 리빙스턴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넷에 대한 안부를 물으며 "귀하의 연로한 누이(자넷)에게 최고의 경의를 표하십시오... 애국적인 몽고메리 장군의 존경스러운 유해를 방문하고 악수함으로써 최고의 영예를 드리고 싶습니다. 그는 이 나라 사람들의 마음에 지금도 살아 있다고 전하십시오."라고 적으며 몽고메리를 높이 평가했다.[291] 이 편지를 받은 지 약 3개월 후인 1824년 11월 6일, 자넷은 세상을 떠났다.[288]

몽고메리를 기리는 장소로는 필라델피아 미술관 근처에 세워진 동상과 뉴욕주 라인베크에 있는 그의 옛집이 있다. 이 집은 현재 '제너럴 몽고메리 하우스'라는 이름의 역사적인 주택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라인베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이다.

4. 2. 유산

1777년 장 자크 카피에리가 조각한 몽고메리 기념비, 1787년 세인트 폴 채플에 설치됨


몽고메리의 아내 재닛 리빙스턴 몽고메리는 남편보다 53년을 더 살면서[114] "나의 장군" 또는 "나의 병사"라 부르며 그의 명성을 지켰다. 남편 사후, 그녀는 전쟁 전에 몽고메리가 짓기 시작했던 라인벡 근처의 저택으로 이사했다.[115] 재닛은 전쟁 기간 동안 정치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특히 왕당파에 대해 강한 비판적 입장을 유지했다. 전쟁 후, 전 대륙군 장군 호레이쇼 게이츠가 청혼했지만 거절했다.[116] 1789년, 재닛은 아일랜드에 있는 몽고메리의 친척들을 방문하는 길에 뉴욕시에 들러 조지 워싱턴 대통령 취임 기념 무도회에 참석했고, 이후 워싱턴과 그의 가족과 여러 차례 교류했다.[116]

1818년, 뉴욕 주지사 스티븐 반 렌셀러의 허가로 몽고메리의 유해를 퀘벡에서 뉴욕으로 옮기는 작업이 시작되었다.[117] 그해 6월, 유해는 뉴욕시로 향했으며, 7월 4일 올버니에 도착한 후 허드슨 강을 따라 배로 운구되었다.[118] 재닛은 자신의 집 현관에서 남편의 유해를 실은 배가 지나가는 것을 지켜보다가 충격으로 쓰러졌다고 전해진다. 뉴욕시에 도착했을 때는 5,000명의 시민이 장례 행렬에 참여했다.[118] 몽고메리의 유해는 7월 8일, 맨해튼의 세인트 폴 채플에 안치되었다. 이곳에는 이미 1776년 대륙회의의 결정으로 제작되어 1787년에 설치된 그의 기념비가 있었다.[119] 재닛은 이 장례식에 만족하며 "나의 불쌍한 병사의 유해에 부여된 높은 영예보다 더 바랄 것이 무엇이 있겠는가"라고 기록했다.[120]

훗날 앤드루 잭슨 대통령은 에드워드 리빙스턴에게 보낸 편지에서 "존경하는 마음으로 당신의 연로하신 여동생 [재닛]에게 안부를 전해주시오. 만약 내가 그녀의 거주지에서 100마일 이내에 있게 된다면, 나는 방문하여 조국을 사랑하는 몽고메리 장군의 존경받는 미망인과 악수하는 영광을 누릴 것입니다. 그는 항상 그의 동포들의 마음속에 살아있을 것입니다."라고 쓰며 몽고메리에 대한 존경심을 표했다.[118] 이 편지를 보낸 지 약 3개월 후인 1824년 11월 6일, 재닛은 세상을 떠났다.[118]

리처드 몽고메리는 미국 독립 전쟁의 영웅으로서 그의 이름을 딴 수많은 장소와 시설이 미국 전역에 존재한다. 그의 업적은 지명, 군함, 교육 기관 등 다양한 형태로 기려지고 있다.

4. 2. 1. 지명

몽고메리 플레이스(Montgomery Place), 뉴욕주 배리타운에 위치


리처드 몽고메리의 이름을 딴 여러 장소가 있다.

챔플레인 호수에 위치한 포트 몽고메리(Fort Montgomery)는 125문의 대포를 갖춘 대형 석조 요새로, 몽고메리 장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요새는 캐나다미국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국경을 방어하기 위해 1844년에 건설되기 시작했으나, 현재는 폐허로 남아 있다.

그의 이름을 딴 여러 카운티가 존재한다.

카운티
노스캐롤라이나주몽고메리 카운티
미주리주몽고메리 카운티
미시시피주몽고메리 카운티
아이오와주몽고메리 카운티
아칸소주몽고메리 카운티
일리노이주몽고메리 카운티[122]
인디애나주몽고메리 카운티
캔자스주몽고메리 카운티
메릴랜드주몽고메리 카운티
오하이오주몽고메리 카운티
펜실베이니아주몽고메리 카운티
뉴욕주몽고메리 카운티
조지아주몽고메리 카운티
버지니아주몽고메리 카운티
켄터키주몽고메리 카운티[123]



또한 그의 이름을 딴 도시와 타운도 여럿 있다. 대표적으로 앨라배마주의 주도이자 주 내 두 번째로 큰 도시인 몽고메리가 있으며, 그 외에도 미네소타주의 도시, 버몬트주의 타운, 뉴저지주의 타운십, 그리고 뉴욕주의 빌리지 등이 있다.

메릴랜드주 록빌에 위치한 리처드 몽고메리 고등학교(Richard Montgomery High School) 역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뉴욕주 배리타운에 있는 저택인 몽고메리 플레이스(Montgomery Place)는 1803년에 그의 미망인이 몽고메리 장군을 기리기 위해 지었으며, 장군은 1775년 그라스미어를 떠나기 전에 이미 이 저택 건설을 계획했었다.[124][125]

이 외에도 조지아주 서배너의 몽고메리 가(Montgomery Street)[126]뉴저지주 트렌턴의 몽고메리 가[127]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4. 2. 2. 시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8월 템스강 하구에서 침몰한 리버티선 SS 리처드 몽고메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난파선에는 여전히 상당량의 탄약 화물이 실려 있다.

뉴욕주 라인베크에 있던 몽고메리의 집은 현재 몽고메리 가에서 리빙스턴 가 77번지로 옮겨져 '제너럴 몽고메리 하우스'라는 역사 박물관이 되었다. 이 건물은 라인베크에서 가장 오래된 구조물이며, 미국 독립 전쟁의 딸들 챈슬러 리빙스턴 지부의 매달 모임 장소로도 사용된다[292]

미국 해군은 여러 함선에 "몽고메리"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중 1776년에 건조를 시작한 프리깃은 영국군에 의한 나포를 피하기 위해 완공 전에 소각되었다.

필라델피아의 페어마운트 공원 내 필라델피아 미술관 근처에는 몽고메리의 조각상이 세워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airleigh Dickinson EDM https://web.archive.[...] 2008-09-01
[2] 웹사이트 Montgomery, Richard https://www.dib.ie/b[...] 2024-08-03
[3] 웹사이트 Montgomery, Richard https://www.biograph[...] 2024-08-03
[4] 서적 Gabriel p. 17
[5] 간행물 Trinity College Alumni lists; Edith Mary Johnston-Liik, A history of the Irish Parliament 1692–1800, Vol. V, Thomas Montgomery (UHF, 2002); A history of Abbeville House, Eneclann for Sherry FitzGerald (2013).
[6] 서적 Gabriel p. 19
[7] 서적 Shelton p. 16
[8] 서적 Shelton p. 19
[9] 서적 Gabriel p. 21
[10] 서적 Shelton p. 22
[11] 서적 Shelton p. 23
[12] 서적 Shelton p. 21
[13] 서적 Shelton p. 24
[14] 서적 Shelton p. 25
[15] 서적 Gabriel p. 24
[16] 서적 Shelton p. 26
[17] 서적 Gabriel, pp. 26–27
[18] 서적 Shelton p. 27
[19] 서적 Shelton p. 28
[20] 문서 Eccles
[21] 서적 Shelton p. 29
[22] 서적 Gabriel, p. 28
[23] 서적 Shelton p. 30
[24] 서적 Shelton p. 31
[25] 서적 Shelton, p. 32
[26] 서적 Gabriel, p. 32
[27] 서적 Gabriel, pp. 32–33
[28] 서적 Gabriel p. 33
[29] 서적 Gabriel p. 34
[30] 서적 Gabriel p. 35
[31] 서적 Shelton p. 33
[32] 서적 Shelton p. 34
[33] 서적 Gabriel, p. 49
[34] 서적 Gabriel p. 51
[35] 서적 Gabriel, p. 53
[36] 서적 Shelton
[37] 서적 Shelton
[38] 서적 Gabriel
[39] 서적 Shelton
[40] 뉴스 Naming rights – and wrongs: Montgomery students reveal uncomfortable truths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 2021-09-03
[41] 서적 Shelton
[42] 서적 Shelton
[43] 서적 Shelton
[44] 서적 Shelton
[45] 서적 Shelton
[46] 서적 Shelton
[47] 서적 Shelton
[48] 서적 Shelton
[49] 서적 Shelton
[50] 서적 Shelton
[51] 서적 Shelton
[52] 서적 Griswold
[53] 서적 Shelton
[54] 서적 Shelton
[55] 서적 Shelton
[56] 서적 Shelton
[57] 서적 Gabriel
[58] 서적 Shelton
[59] 서적 Shelton
[60] 서적 Shelton
[61] 서적 Shelton
[62] 서적 Shelton
[63] 서적 Shelton
[64] 서적 Shelton
[65] 서적 Shelton
[66] 서적 Shelton
[67] 서적 Shelton
[68] 서적 Shelton
[69] 서적 Shelton
[70] 서적 Shelton
[71] 서적 Shelton
[72] 서적 Shelton
[73] 서적 Shelton
[74] 서적 Shelton
[75] 서적 Shelton
[76] 서적 Shelton
[77] 서적 Shelton
[78] 서적 Shelton
[79] 서적 Shelton
[80] 서적 Shelton
[81] 서적 Shelton
[82] 서적 Shelton
[83] 서적 Shelton
[84] 서적 Shelton
[85] 서적 Shelton
[86] 서적 Shelton
[87] 서적 Shelton
[88] 서적 Shelton
[89] 서적 Shelton
[90] 서적 Shelton
[91] 서적 Shelton
[92] 서적 Shelton
[93] 서적 Shelton
[94] 서적 Shelton
[95] 서적 Shelton
[96] 서적 Shelton
[97] 서적 Shelton
[98] 서적 Shelton
[99] 서적 Shelton
[100] 서적 Shelton
[101] 서적 Shelton
[102] 서적 Gabriel
[103] 서적 Shelton
[104] 서적 Shelton
[105] 서적 Shelton
[106] 문서 Shelton p. 158
[107] 문서 Shelton p. 159
[108] 문서 Shelton p. 164
[109] 웹사이트 S. Rept. 46-372 - In the Senate of the United States. March 16, 1880. – Ordered to be printed. Mr. Burnside, from the Committee on Military Affairs, submitted the following report. (To accompany Bill H.R. 3966.) The Committee on Military Affairs, to whom was referred the Bill (H.R. 3966) to carry into effect the resolution of Congress, adopted on the 29th day of October, 1781, in regard to a monumental column at Yorktown, Va., and for other purposes, have had the same under consideration and beg leave to submit the following report .. https://www.govinfo.[...]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3-06-17
[110] 문서 Shelton p. 166
[111] 문서 Shelton p. 167
[112] 간행물 The Private Sublime in Public Discourse: War Poet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muse.jhu.edu[...] 2020
[113] 문서 Shelton p. 169
[114] 문서 Shelton p. 175
[115] 문서 Shelton p. 176
[116] 문서 Shelton p. 178
[117] 문서 Shelton p. 179
[118] 문서 Shelton p. 180
[119] 문서 Burnside, p. 1
[120] 문서 Shelton p. 181
[121] 문서 'Directory: Historical Agencies, Museums, Local Historians: Dutchess, Putnam, Rockland, Westchester' Lower Hudson Conference 1984
[122] 웹사이트 Historical Stories: About Greenville and Bond County, IL https://archive.org/[...] 2007-08-15
[123] 서적 The Register of the Kentucky State Historical Society, Volume 1 https://archive.org/[...] Kentucky State Historical Society
[124] 웹사이트 Richard Montgomery High School http://www.montgomer[...] Richard Montgomery High School 2009-02-20
[125] 서적 Montgomery, Richard
[126] 서적 It's Not That Lincoln The Abercorn Press
[127] 웹사이트 Trenton Historical Society, New Jersey https://www.trentonh[...]
[128] 웹사이트 Fairleigh Dickinson EDU http://inside.fdu.ed[...] 2008-09-01
[129] 문서 Gabriel p.17
[130] 문서 Gabriel p.18
[131] 문서 Gabriel p.19
[132] 문서 Shelton p.16
[133] 문서 Shelton p.19
[134] 문서 Gabriel p.21
[135] 문서 Gabriel p.21
[136] 문서 Shelton p.22
[137] 문서 Shelton p.23
[138] 문서 Shelton p.21
[139] 문서 Shelton p.24
[140] 문서 Shelton p.25
[141] 인용
[142] 인용
[143] 인용
[144] 인용
[145] 인용
[146] 인용
[147] 인용
[148] 인용
[149] 인용
[150] 인용
[151] 인용
[152] 인용
[153] 인용
[154] 인용
[155] 인용
[156] 인용
[157] 인용
[158] 인용
[159] 인용
[160] 인용
[161] 인용
[162] 인용
[163] 인용
[164] 인용
[165] 인용
[166] 인용
[167] 인용
[168] 인용
[169] 인용
[170] 인용
[171] 인용
[172] 인용
[173] 인용
[174] 인용
[175] 인용
[176] 서적 Shelton
[177] 서적 Shelton
[178] 서적 Shelton
[179] 서적 Shelton
[180] 서적 Griswold
[181] 서적 Shelton
[182] 서적 Shelton
[183] 서적 Shelton
[184] 서적 Shelton
[185] 서적 Shelton
[186] 서적 Shelton
[187] 서적 Shelton
[188] 서적 Gabriel
[189] 서적 Shelton
[190] 서적 Shelton
[191] 서적 Shelton
[192] 서적 Shelton
[193] 서적 Shelton
[194] 서적 Shelton
[195] 서적 Shelton
[196] 서적 Shelton
[197] 서적 Shelton
[198] 서적 Shelton
[199] 서적 Shelton
[200] 서적 Shelton
[201] 서적 Shelton
[202] 서적 Shelton
[203] 서적 Shelton
[204] 서적 Shelton
[205] 서적 Shelton
[206] 서적 Shelton
[207] 서적 Shelton
[208] 서적 Shelton
[209] 서적 Shelton
[210] 서적 Shelton
[211] 서적 Shelton p.99
[212] 서적 Shelton p.99
[213] 서적 Shelton p.99
[214] 서적 Shelton p.100
[215] 서적 Shelton p.100
[216] 서적 Shelton p.100
[217] 서적 Shelton p.100
[218] 서적 Shelton p.101
[219] 서적 Shelton p.106
[220] 서적 Shelton p.106
[221] 서적 Shelton p.107
[222] 서적 Shelton p.108
[223] 서적 Shelton p.109
[224] 서적 Shelton p.109
[225] 서적 Shelton p.110
[226] 서적 Shelton p.110
[227] 서적 Shelton p.110
[228] 서적 Shelton p.111
[229] 서적 Shelton p.112
[230] 서적 Shelton p.113
[231] 서적 Shelton p.113
[232] 서적 Shelton p.113
[233] 서적 Shelton p.113
[234] 서적 Shelton p.114
[235] 서적 Shelton p.115
[236] 서적 Shelton p.115
[237] 서적 Shelton p.117
[238] 서적 Shelton p.117
[239] 서적 Shelton p.118
[240] 서적 Shelton p.119
[241] 서적 Shelton p.120
[242] 서적 Shelton p.121
[243] 서적 Shelton p.122
[244] 서적 Shelton p.127
[245] 서적 Shelton p.128
[246] 서적 Shelton p.129
[247] 서적 Shelton p.131
[248] 서적 Shelton p.133
[249] 서적 Shelton p.134
[250] 서적 Shelton p.135
[251] 서적 Shelton p.135
[252] 서적 Shelton p.138
[253] 서적 Shelton p.138
[254] 서적 Shelton p.139
[255] 서적 Shelton p.140
[256] 서적 Shelton p.140
[257] 서적 Shelton p.140
[258] 서적 Shelton p.140
[259] 서적 Shelton p.141
[260] 서적 Shelton p.142
[261] 서적 Shelton p.143
[262] 서적 Shelton p.148
[263] 서적 Shelton p.149
[264] 서적 Shelton p.149
[265] 서적 Shelton p.149
[266] 서적 Shelton p.149
[267] 서적 Shelton p.150
[268] 서적 Gabriel p.164
[269] 서적 Shelton p.153
[270] 서적 Shelton p.152
[271] 서적 Shelton p.153
[272] 서적 Shelton p.154
[273] 서적 Shelton p.158
[274] 서적 Shelton p.158
[275] 서적 Shelton p.158
[276] 서적 Shelton p.159
[277] 서적 Shelton p.159
[278] 서적 Shelton p.164
[279] 서적 Shelton p.166
[280] 서적 Shelton p.167
[281] 서적 Shelton p.167
[282] 서적 Shelton p.169
[283] 서적 Shelton p.175
[284] 서적 Shelton p.176
[285] 서적 Shelton p.178
[286] 서적 Shelton p.178
[287] 서적 Shelton p.179
[288] 서적 Shelton p.180
[289] 서적 Shelton p.180
[290] 서적 Shelton p.181
[291] 서적 Shelton p.180
[292] 간행물 Directory: Historical Agencies, Museums, Local Historians: Dutchess, Putnam, Rockland, Westchester Lower Hudson Conference
[293] 서적 Historical Stories: About Greenville and Bond County, IL https://books.google[...] 2007-08-15
[294] 웹사이트 Richard Montgomery High School http://www.montgomer[...] Richard Montgomery High School 2009-02-20
[295] 웹사이트 Montgomery, Richa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