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벤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벤인은 노르웨이 북부에 거주하는 핀란드계 민족 집단이다. '크벤'이라는 명칭은 19세기 후반 노르웨이 당국의 차별과 탄압으로 인해 경멸적인 의미를 갖게 되면서, 스스로를 '카이눌라이세트'라고 부르기도 했다. 1970년대 크벤 문화 부흥 운동 이후에는 '크벤'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노르웨이 크벤 단체인 '노르셰 크베네르 포르분드'의 명칭에도 사용되고 있다. 1845년부터 1930년까지 노르웨이 인구 조사에서 별도의 그룹으로 등록되었으며, 2001년 조사에서는 약 10,000명에서 15,000명으로 추정되었다. 크벤어는 핀어군 언어로, 핀란드어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며, 노르웨이어 차용어를 포함하고 있다. 크벤인들은 자신들을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 볼 것인지, 핀란드계 노르웨이인으로 볼 것인지를 두고 논쟁을 벌이기도 했으며, 최근에는 노르웨이의 토착 민족으로 인정받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크벤 문화 축제인 '바스키'와 크벤어/핀란드어 이중 언어 신문인 '루이얀 카이쿠' 등이 있으며, 크벤족 문화와 언어를 위한 단체 및 기관으로는 '노르웨이 크벤 조직', '크벤 연구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민족 - 사미인
    사미인은 북유럽에 거주하는 원주민으로,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니고 순록 방목 등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생활해 왔으며, 차별과 동화 정책을 겪었으나 현재는 자치권 확보와 문화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노르웨이의 민족 - 삼림핀인
    삼림 핀인은 16세기 중반 스웨덴에서 이주해 온 핀란드계 이주민으로, 숲에서 생활하며 핀란드와 스웨덴 문화를 혼합한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고 화전 농업에 기반한 생활 방식을 유지했으나, 20세기 초 동화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현대에 들어와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움직임도 진행 중이다.
크벤인
기본 정보
크벤인의 기
공식 기 (2017년 이후)
현지어명 (크벤어)kveeni / kvääni
현지어명 (노르웨이어)kvener / kvenar
현지어명 (북부 사미어)kveanat
인구10,000–15,000명 (노르웨이 인구의 0.2%)
거주 지역노르웨이 (노를란주, 특히 핀마르크주트롬스주)
종교루터교, 레스타디우스교 포함
사용 언어크벤어
사미어
노르웨이어
관련 민족핀인
토르네달인
사미인

2. 명칭

'크벤'이라는 명칭은 일부 학계에서 노르웨이 당국의 차별과 탄압으로 인해 19세기 후반에 경멸적인 의미를 띠게 되었다고 주장한다.[6][7] 그래서 많은 크벤인들은 스스로를 '카이눌라이세트'라고 불렀다.[6][7] 그러나 1970년대 크벤 문화 부흥 운동과 함께 크벤인들 스스로가 이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도 finneno(핀란드인), finskno(핀란드의), 또는 finskættedno(핀란드 출신)을 대신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나, 오늘날 '크벤'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사용되며, 노르웨이 크벤 단체인 '노르셰 크베네르 포르분드'(Norske Kveners Forbund)의 명칭에도 사용되고 있다.

3. 인구 통계

크벤인은 1845년부터 1930년까지 노르웨이 인구 조사에서 별도의 그룹으로 등록되었다. 18세기부터 크벤인은 북부 노르웨이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 시작했다. 1845년에는 핀마르크 인구의 13.3%와 트롬스 인구의 3.2%가 자신을 크벤인으로 여겼다. 1854년에는 각각 19.9%와 7.0%로 증가했다. 1875년에 각각 24.2%와 7.7%로 정점을 찍었다. 1890년에는 각각 20.2%와 3.7%로 감소했고, 1900년에는 13.8%와 2.0%로 감소했다. 1930년 인구 조사에서는 트롬스와 핀마르크에 8,215명의 크벤인이 등록되었다. 1950년에는 트롬스(58명)와 핀마르크(1,381명)에서 1,439명이 핀란드어를 사용한다고 보고했다.

2001년, 노르웨이 국회 소수 민족 조사에서 크벤인의 수는 약 10,000명에서 15,000명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크벤인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가 없기 때문에 크벤인의 수를 추정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다른 연구에서는 적어도 한 명의 조부모가 크벤어를 사용했다는 기준에 따라 크벤인의 수를 약 50,000명에서 60,000명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이들 중 다수는 자신을 노르웨이인, 사미인 또는 그 혼합으로 여길 수 있다.

4. 역사

16세기 덴마크-노르웨이 세금 기록에는 이미 노르웨이 북부에 거주하는 일부 크벤인이 등재되어 있다.[12] 또한, 1539년 올라우스 마그누스의 스칸디나비아 지도인 해양 헌장에는 오늘날의 트롬쇠와 로포텐 사이 대략적인 지역에 "베르카라 퀴베나르"(Berkara Qvenar)라는 크벤인 정착지가 표시되어 있다.[13] 이 시기의 크벤인은 종종 스웨덴 북부의 비르칼 조직과 연결된다.[14] 일부 초기 문서에서는 크벤인이 노르웨이 중부 및 북부의 원주민인 사미족과 함께 묶이기도 한다.[15]

최근 노르웨이 국회는 진실과 화해 위원회를 통해 크벤인들이 겪은 차별과 탄압의 역사를 조사하고 인정하는 절차를 밟고 있다. 크벤인과 사미족은 노르웨이화 정책이라는 공통의 역사를 공유하지만, 이후 정책에서 차별적인 대우를 받기도 했다.

5. 언어

크벤어는 핀어군 언어이다.[16] 크벤어는 크벤인들이 다른 핀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사실상 격리되어 있었기 때문에 핀란드어와 다르다.[16] 크벤어는 많은 노르웨이어 차용어를 포함하게 되었고, 핀란드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핀란드어 단어가 여전히 사용된다.[16] 2005년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노르웨이에서 크벤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수는 사용된 기준에 따라 2,000명에서 8,000명 사이로 추정되었다.[16]

6. 민족 관련 논쟁

1990년대에 크벤인들은 자신들을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핀란드계 노르웨이인으로 볼 것인지를 두고 논쟁을 벌였다. 크벤어의 법적 지위와 교육 문제를 두고도 논쟁이 있었다.

크벤인과 사미족은 노르웨이화라는 공통의 역사를 공유하지만, 이후 정책에서 차이를 보였다. 사미족은 북부 노르웨이의 토착 민족으로 인정받아 학교, 의회, 핀마르크 재산 위원 선출권을 가지는 반면, 일부 크벤인들은 권리와 공공 기금 분배가 사미족에게 편향되었다고 주장한다. 반면, 사미족 측에서는 노르웨이 소수 민족 정책이 주로 사미족에게 집중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최근 노르웨이 크벤 기구는 크벤인들을 노르웨이의 토착 민족으로 인정받으려고 시도하고 있다. 일부 크벤인들은 "카이누"라는 단어를 비공식적으로 채택하기도 했다.

2018년, 노르웨이 국회는 진실과 화해 위원회에 노르웨이화에 시달린 크벤인들의 경험과 그에 따른 결과에 대한 인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도록 의뢰했다.

7. 현대의 인정

크벤 깃발은 2013년 3월 16일 오전 11시에 스웨덴 키루나 시청에서 게양되어 제1회 크벤의 날을 기념하고 기렸다.[17] 이후 이 날짜는 북부 크벤 공동체와 다른 사람들에게도 더 널리 인식되도록 의도되었다.[17]

이 행사의 날짜는 1328년 스웨덴과 비르칼 사이의 국가 조약인 텔리에 헌장(스웨덴어: Tälje stadga)의 서명에서 선택되었다.[17] 그 조약에서 스웨덴 국왕은 그들에게 북부에서의 무역 권리를 보장했다.[17]

과거에는 노르웨이에서 사용되는 크벤어가 스웨덴 북부에서 사용되는 핀란드어 메엔키엘리와 마찬가지로 핀란드어의 방언으로 여겨졌다. 오늘날, 두 언어 모두 공식적으로 해당 언어가 사용되는 지역에서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핀란드어, 메엔키엘리 및 사미어는 모두 스웨덴 키루나 시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소수 언어이다.

8. 문화와 미디어

'''루이얀 카이쿠fi'''는 크벤어/핀란드어노르웨이어로 발행되는 이중 언어 신문으로, 노르웨이 트롬쇠에서 발행된다.[18] 현재는 매달 한 호가 발행된다. 이 신문은 주로 크벤족 문제, 노르웨이 내 핀란드어와 문화 강화 노력에 대해 다룬다.[18] 또한 노르웨이의 다른 핀란드 단체와 북유럽 및 주변 국가의 다른 핀란드 소수 민족에 대한 기사도 다룬다.[18] 신문의 편집장은 리사 코이불레토이다.

''바스키fi''는 노르드레이사 시에서 열리는 크벤 문화 축제이다.[18] 첫 축제는 2007년 6월에 열렸으며, 연례 행사로 개최될 예정이다.[18] 축제 주최는 노르드레이사 시이며, 초대 축제 감독은 요한네 가우프였다.[18]

크벤 의상(Kväänipuku)은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에 '디자인'되었지만, 더 오래된 크벤 패션을 바탕으로 하며 크벤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19][20] 의상의 대부분은 단순한 흰색이며, 이는 역사적인 용도 외에도 크벤족의 청결함에 대한 기억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19][20] 은 세공품 또한 크벤 의상의 중요한 부분이며, 'kvensølvesmed'(노르웨이어로 '크벤 은 세공인')의 위치는 중요하다.[20][21]

''카도누 로루''는 크벤어로 녹음된 유일한 팝 음악 싱글이다. 이 곡은 소시지 만들기에 관한 오래된 크벤 자장가를 기반으로 한다. 이 곡의 아티스트는 각각 뵈르셀브와 락셀브 출신인 카린 야콥센과 키네 요한센이다. 이 싱글은 이두트에서 발매되었다.

9. 단체 및 기관

노르웨이 크벤 조직(크벤어/핀란드어: Ruijan Kveeniliitto, 노르웨이어: Norske Kveners Forbund)은 1987년에 설립되었으며 크벤인의 권익 보호와 문화 증진을 위해 활동하는 단체이다.[22] 약 7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키보튼, 뵈르셀브, 노르바랑에르, 타나브루, 락셀브, 알타, 북부 트롬스, 트롬쇠, 외스트란 등에 지역 지부를 두고 있다. 주요 과제는 크벤 인구의 역사와 권리에 대한 정부 보고서 발간, 크벤 문제 언론 보도 개선, 크벤 문제 담당 비서관 임명 등이다. 크벤어 교육, 문화 기금 조성, 크벤어 지명 표기 등도 추진하고 있다.

크벤 핀 협회(Kven Finn Association, 핀란드어: Kveeni Suomi Liitto, 노르웨이어: Kvensk Finsk Riksforbund)는 노르웨이의 크벤족과 핀족의 권리를 위해 활동하는 비정부기구(NGO)이다. 1999년 스웨덴, 핀란드의 유사 단체들과 함께 설립되었으며, 크벤란스포르분데트(Kvenlandsförbundet, 크벤란 연합)라는 이름으로 공동 활동을 한다. 크벤 핀 협회는 핀우그리아 세계 회의(Finno-Ugric World Congress)에 크벤족의 참여를 관리하며, 노르웨이의 국제법 협약 준수 여부를 국제 기구에 보고한다. 특히 노르웨이 당국의 크벤족/핀족 차별에 대해 우려하며, 핀란드어 교육 장려를 위한 장학금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크벤 연구소(Kainun institutti, Kvensk institutt)는 노르웨이 포르상에르 시(뵈르셀브)에 위치한 크벤족 문화와 크벤어를 위한 센터이다. 2007년 4월에는 크벤어 위원회가 설립되어 표기 크벤어 표준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23][24] 위원회는 이렌 안드레아센(Irene Andreassen), 테리에 아론센(Terje Aronsen), 안나 리타 린드그렌(Anna Riitta Lindgren) 교수, 에이라 쇠데르홀름(Eira Söderholm) 부교수, 그리고 피아 레인(Pia Lane)으로 구성되어 있다.

Halti kvenkultursenter는 노르드레이사 시에 있으며, 루이야 크벤 박물관(Ruija Kven museum)은 바르쇠에 위치하여 크벤 문화와 역사를 보존하고 알리는 역할을 한다.

10. 저명한 크벤인


참조

[1] 뉴스 Endelig et felles flagg for kvenene https://www.nrk.no/s[...]
[2] 웹사이트 Finnish, Kven http://www.ethnologu[...]
[3] 서적 The Handbook of Language Contact John Wiley & Sons 2010
[4] 서적 Planning a New Standard Language: Finnic Minority Languages Meet the New Millennium, Issue 1 Finnish Literature Society 2010
[5] 웹사이트 Kvener/Norskfinner https://www.udir.no/[...]
[6] 웹사이트 Kainulaiset eli kväänit – Kainun Institutti – Kvensk Institutt http://www.kvenskins[...]
[7] 간행물 Kvenskans status: Rapport för Kommunal- og regionaldepartement och Kultur- og kirkedepartement http://odin.dep.no/k[...] 2003
[8] 논문 Den finske kolonisasjon av Nordkalotten – forløp og årsaker 1978
[9] 웹사이트 Universitetsbiblioteket i Tromsø - juni 1999 http://www.ub.uit.no[...] 2006-11-08
[10] 웹사이트 St.meld. nr. 15 (2000-2001) http://odin.dep.no/k[...] 2000-12-08
[11] 논문 Kveenit. Tutkimus erään pohjoisnorjalaisen vähemmistön identiteetistä Helsinki 1996
[12] 간행물 Kvenene og staten – et historisk riss 1994
[13] 웹사이트 James Ford Bell Library · University of Minnesota Libraries http://www.bell.lib.[...] 2006-11-08
[14] 서적 Tornionlaakson historia I Malungs boktryckeri AB 1991
[15] 문서 Grenseeksaminasjonsprotokoller 1742-1745 1929
[16] 웹사이트 Official School Statistics https://gsi.udir.no/[...]
[17] 문서 Tälje stadga
[18] 웹사이트 Startsiden - Halti kvenkultursenter IKS http://www.kvenkultu[...] 2007-08-13
[19] 웹사이트 Lær mer om kvendrakten: Når detaljene teller https://www.ruijan-k[...] 2024-10-23
[20] 웹사이트 Kväänipuku – Kvendrakten https://kvensk.no/20[...] 2024-10-23
[21] 웹사이트 Bør den nye kvensølvsmeden være en kven? https://www.nrk.no/k[...] 2024-10-23
[22] 웹사이트 Norske Kveners Forbund http://www.kvener.no[...]
[23] 웹사이트 Språkrådet - Kvensk språkråd er dannet http://www.sprakrad.[...] 2007-04-30
[24] 뉴스 Ságat 2007-04-19
[25] 웹사이트 Halti Kvenkultursenter http://www.kvenkultu[...] 2007-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