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로즈드 볼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즈드 볼트는 방아쇠를 당기기 전 노리쇠가 닫힌 상태로 탄약이 약실에 장전되는 방식의 화기 디자인이다. 이 방식은 초탄 명중률이 높고, 먼지 유입이 적으며, 소음기 장착 시 소음 감소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생산 비용이 높고, 약실 열 발산이 적어 오발 사고 위험이 있으며, 탄창 제거 후에도 약실에 탄환이 남아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클로즈드 볼트 방식은 소총에 주로 사용되며, 기관총과 같은 자동 무기에는 개방 노리쇠 방식이 더 일반적이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항공기 탑재 기관총에 활용되었으며, 자동소총, 기관단총, 기관총 등 다양한 종류의 화기에 적용된다. 일부 화기는 반자동 사격 시 클로즈드 볼트, 완전 자동 사격 시 오픈 볼트 방식을 혼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기 작동 방식 - 뇌관
    뇌관은 화약류를 점화하여 폭발이나 발사를 유도하는 발화 장치로, 캡록 시스템을 거쳐 다양한 탄약 점화 방식으로 발전해 왔으며, 현재는 센터파이어 방식이 군용 및 스포츠용 탄약에 널리 사용된다.
  • 화기 작동 방식 - 펌프 액션
    펌프 액션은 손잡이를 앞뒤로 움직여 탄환을 장전 및 배출하는 화기 작동 방식이며, 산탄총에 널리 사용되고 반자동 방식보다 극한 환경에 강하다.
클로즈드 볼트
총기 작동 방식
작동 방식폐쇄 노리쇠 방식

2. 오픈 볼트 방식과의 비교

오픈 볼트 방식과 비교했을 때 클로즈드 볼트 방식은 장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2] 클로즈드 볼트 방식은 발사 준비가 완료되었을 때 탄약이 약실(체임버) 안에 있고, 볼트와 작동 부품이 전진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반자동 또는 자동 화기에서 방아쇠를 당기면 파이어링 핀 또는 스트라이커에 의해 탄약이 격발되고, 그 에너지에 의해 볼트가 뒤로 밀려나면서 빈 탄피를 빼내고 배출한다. 이어서 볼트는 전진하며, 새로운 탄약을 탄창에서 약실로 장전하여 다음 사격을 준비한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기관총을 비행기에 탑재할 때, 루이스 기관총오픈 볼트 방식이었기 때문에 프로펠러와 동조할 수 없어 프로펠러를 통해 전방을 사격할 수 없었다. 반면 연합국 측의 비커스 기관총, 동맹국 측의 LMG08 및 LMG 08/15 스판다우 기관총, 파라벨룸 MG14는 모두 맥심형이었지만, 볼트 폐쇄 상태에서 발사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탄약 발사로 파이어링 사이클이 시작되므로, 사선상에 프로펠러가 없을 때만 발사하도록 동조 장치를 설정하는 것이 비교적 쉬웠다.

클로즈드 볼트 방식은 오픈 볼트 방식에 비해 장점으로는 초탄 명중률이 높고, 먼지 등 이물질 유입이 적으며, 소음기를 장착했을 때 소음 감소 효과가 크다는 점 등이 있다. 단점으로는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 비용이 높으며, 지속 사격 시 과열로 인한 오발 사고 위험성이 있다는 점 등이 있다.

2. 1. 장점


  • 방아쇠를 당겼을 때 노리쇠노리쇠 뭉치와 같은 주요 작동 부품들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초탄 명중률이 높다.
  • 탄약이 약실에 장전된 상태로 있으므로, 첫 발과 반자동 사격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 * 사격 전에 무거운 작동 부품의 움직임이 없어 정확도를 저해할 가능성이 없다.
  • * 탄약이 약실에 일관되게 위치한다.
  • * 사수가 방아쇠를 당기고 탄약이 발사되기까지의 지연 시간(잠금 시간)이 짧다.
  • 무기가 발사될 때를 제외하고 작동부가 닫혀 있으므로 먼지 및 기타 이물질이 총기에 들어갈 가능성이 적어, 더 깨끗하게 작동한다.
  • 작동부를 앞으로 잠글 수 있어 소음기가 장착된 무기의 소음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소음 화기에서 노리쇠와 노리쇠 뭉치를 전진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격발 후 노리쇠 및 노리쇠 뭉치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작동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 탄약 1발을 약실에 장전시켜 놓음으로써 탄창 용량보다 더 많은 탄약을 가지고 다닐 수 있다.

2. 2. 단점


  • 제조 및 작동 방식이 복잡하고 생산 비용이 높다.[1]
  • 약실의 열 발산이 적어 지속 사격 시 약실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면 탄의 화약이나 뇌관이 발화(cook-off)되어 오발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2]
  • 폐쇄된 챔버는 방열이 잘 되지 않아 폭발 위험이 증가한다.
  • 탄창을 제거해도 챔버 내 탄환은 발사 준비 상태이므로 수동으로 배출해야 하며, 이는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2. 3. 용도

폐쇄 노리쇠 방식은 주로 소총에 사용된다. 폐쇄 노리쇠 방식은 정확도가 높지만, 열 발산이 잘 안 되는 특성이 있어 발사 속도가 느린 무기에서 덜 문제가 된다. 반면, 개방 노리쇠 방식은 기관총과 같이 빠른 발사 속도가 필요한 자동 무기에 주로 사용된다. 자동 무기는 지속적인 사격으로 인해 열이 빠르게 축적되지만, 정확성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기 때문에 개방 노리쇠 방식의 향상된 열 발산 기능이 더 효과적이다.

3. 제1차 세계 대전과 클로즈드 볼트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기관총을 항공기에 사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는데, 루이스 기관총오픈 볼트 상태에서 발사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프로펠러와 동조할 수 없어 프로펠러를 통해 전방을 사격할 수 없었다.

이에 반해, 비커스 기관총, LMG 08 및 LMG 08/15 스판다우 기관총, 파라벨룸 MG14는 모두 맥심형이었지만, 이들은 모두 볼트 폐쇄(클로즈드 볼트) 상태에서 발사하는 방식이었다. 즉, 탄약 발사로 파이어링 사이클이 시작되므로, 사선상에 프로펠러가 없을 때만 발사하도록 동조 장치를 설정하는 것이 비교적 쉬웠다.[1][2]

4. 클로즈드 볼트 방식 화기

클로즈드 볼트 방식으로 작동하는 화기는 다음과 같다.

자동소총기관단총기관총


4. 1. 자동소총

대부분의 자동소총은 클로즈드 볼트 방식을 사용한다. 다음은 클로즈드 볼트 방식을 사용하는 자동소총의 예시이다.

4. 2. 기관단총


  • K1A 기관단총
  • 헤클러&코흐 MP5
  • 헤클러&코흐 UMP
  • 헤클러&코흐 MP7
  • 미니 우지

4. 3. 기타

다음은 클로즈드 볼트 방식의 화기 예시이다.

자동소총기관단총



기관총


5. 복합 방식 화기

다음은 혼합 방식(개방형 노리쇠 또는 폐쇄형 노리쇠로 작동 가능) 총기의 예시이다.


  • FG-42: 반자동 사격 시에는 클로즈드 볼트 방식으로 작동하고, 완전 자동 사격 시에는 오픈 볼트 방식으로 작동한다.
  • 아르마라이트 AR-100 - AR-101 및 AR-102
  • CETME Model A
  • FN SCAR - 열 적응형 모듈식 소총
  • LWRC 보병 자동 소총 - M6A4
  • M1941 존슨 기관총
  • 드롤 경기관총

참조

[1] 서적 Spandau Guns, Windsock Mini-Datafile No.10 Albatros Publications Ltd. 1997
[2] 서적 Flying guns: the development of aircraft guns, ammunition and installations, 1933-45 Airlif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