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트노스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트노스섬은 키클라데스 제도에 속하는 그리스의 섬이다. 섬에는 메사리아와 드리오피다 두 개의 주요 정착지가 있으며, 메리차스는 페리 보트가 운행되는 항구 마을이다. 키트노스는 중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고대에는 구리 제련소와 신전 유적이 발견되었다. 역사를 거치며 프랑크족,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에도 참여했다. 현재는 관광지로 발전하여 다양한 해변과 카타피키 동굴, 키트노스 고고학 박물관과 같은 명소를 제공하며, 전통 문화와 요리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섬 - 칼림노스섬
    칼림노스섬은 도데카니소스 제도 북부에 있는 그리스 섬으로, 과거 해면 채취업으로 유명했으나 현재는 암벽 등반을 중심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동방 정교회 성인 사바스 신부와 관련 있고 밥 코스타스 등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 그리스의 섬 - 도코스섬
    도코스섬은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알바니아 정착민의 피난처였던 전략적 요충지로, 인근 해역에서 기원전 2150년경의 난파선이 발견된 곳이다.
  • 그리스계 도시국가 - 크노소스
    크노소스는 크레타 섬의 고대 도시로, 미노스 문명의 중심지였던 크노소스 궁전으로 유명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고, 청동기 시대에는 거대한 궁전을 중심으로 번영했으며, 미노타우로스 미궁 전설과 함께 고고학 유적지로 남아있다.
  • 그리스계 도시국가 - 미케네
    미케네는 아르골리스 지방의 고대 유적지로, 미노아 문명의 영향을 받아 에게 문명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아가멤논 왕의 도시로도 알려져 있고 청동기 시대 붕괴와 함께 쇠퇴했으나 후대 그리스 문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키트노스섬
지도
키트노스 지도
키트노스 지도
일반 정보
이름키트노스
현지 이름Κύθνος
다른 이름테르미아 (Θερμιά)
유형자치구
지리
위치키아키트노스 현
좌표37° 23′ 9″ N 24° 25′ 41″ E
최소 고도0 m
최대 고도297 m
면적100.2 km²
행정 구역
소속남에게 해
키아키트노스 현
인구 통계
전체 인구 (2021년)1,568 명
코뮈니티 인구714 명
정치
시장정보 없음
정당정보 없음
취임정보 없음
기타 정보
우편 번호840 06
지역 번호22810
차량 번호판ΕΜ
웹사이트키트노스 공식 웹사이트

2. 지리

2. 1. 위치 및 지형

2. 2. 정착지

키트노스섬에는 두 개의 주요 정착지가 있는데, 코라라고 불리는 메사리아 마을(2011년 인구 조사 기준 561명)과 드리오피다 마을 또는 드리오피스(인구 325명)는 "초리오"로도 알려져 있다.[3] 두 마을 모두 차량 통행이 불가능할 정도로 좁고 구불구불하며 종종 계단으로 이루어진 거리가 특징이다.[3] 마을은 매우 그림 같지만 건축 양식이 다르다.[3] 코라는 전형적인 키클라데스식 평평한 지붕을 가지고 있는 반면, 드리오피다는 경사진 타일 지붕을 가지고 있다.[3] 코라는 또한 큰 동방 정교회 교회로도 유명하다.[3]

키트노스섬


동쪽에 있는 카날라에는 동명의 기독교 정교회 성지가 있으며, 많은 대형 해변에는 소수의 주민들이 정착해 있다.[3] 섬 남쪽 끝에 위치한 아기오스 디미트리오스는 대부분 현대적인 정착지로, 넓은 해변 위 언덕에는 바다 수선화가 점점이 박혀 있고 작은 별장들이 흩어져 있다.[3] 섬 북동쪽 끝에는 온천으로 유명한 루트라(인구 81명) 마을이 있는데, 이곳의 온천은 치료 효능이 있다고 한다.[3]

항구 마을은 메리차스(인구 369명)이다.[3] 1970년대 이전에는 최근 역사에서 연중 거주자가 없었다.[3] 마놀라스 프사라스라는 그리스 어부와 그의 아내 포토가 처음으로 연중 항구에 살았다.[3] 오늘날에는 연중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여름 관광 성수기에는 마을이 매우 붐빈다.[3] 항구 주민들은 대부분 영어를 구사하며, 가장 인기 있는 제2 언어이다.[3] 메리차스는 페리 보트로 피레우스와 라브리온과 연결되어 있다.[3]

3. 역사

3. 1. 선사 시대

키트노스는 키클라데스 제도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북동 해안의 마룰라스에 위치한 중석기 시대(기원전 10000년 – 기원전 8000년) 정착지이다. 루트라 마을 근처에 위치한 이 유적지는 해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당 부분이 바다로 침식되었다.[4] 1996년의 발굴 조사에서 훼손되지 않은 인간 골격과 함께 석기 유물과 바닥 포장재의 일부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수렵 채집인들의 장기 정착지를 나타낸다.[4]

3. 2. 고대

키트노스에서는 기원전 3천년기 (초기 키클라데스 시대)의 유물이 섬의 가장 높은 봉우리인 프로피티스 일리아스 산 근처 스쿠리에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키트노스가 청동기 시대에 다른 섬에 야금술의 원자재를 공급했음을 시사한다.[5] 구리 제련소와 노천 구리 광산의 유적이 1984년부터 1985년까지 조사되었다.[5]

역사학자들에게 알려진 섬의 가장 초기의 주민들은 아나톨리아인인 카레스 (카리아인)였다. 그들은 아마도 미노아 문명과 동맹을 맺거나 지배를 받았으며, 결국 침략 부족의 압력으로 인해 이동하여 소아시아에 정착했다. 헤로도토스는 기원전 13세기에 또 다른 헬레니즘 이전 부족인 드리오페스가 그리스 본토의 파르나소스 산 근처에서 유래하여 섬으로 이주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처음에는 에우보이아로, 나중에는 케아, 키트노스 등으로 퍼져 나갔다.[5] 이 부족은 두 주요 마을 중 하나인 드리오피스 또는 드리오피다의 이름을 낳았을 가능성이 크다. 일부 자료는 섬이 드리오페스의 왕 키트노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자료는 이것이 역사적 인물보다는 신화적 인물이라고 주장한다.[5]

브리오카스트로의 고대 성벽


섬 북서부에 있는 에피스코피 만 위의 브리오카스트로에 있는 헬레니즘 시대 유적은 20세기 중반에 부분적으로 발굴되었으며, 가옥의 평면도와 신전, 그리고 몇 가지 유물이 발견되었다. 2002년 고고학자 알렉산드로스 마자라키스-아이니안은 이 유적에서 신전의 내실(아디톤)이 손상되지 않은 채 발견되었다고 발표했다. 고고학자들이 여신들의 여왕인 헤라 또는 사랑의 여신인 아프로디테에게 바쳐진 2,700년 된 사원으로 결정한 곳에서 귀중한 보석과 금, 은, 청동 유물, 테라코타 조각상, 채색된 꽃병 등 1,400개 이상의 물건이 발굴되었다. 유물은 주로 기원전 7세기부터 5세기까지의 것이다.[5] 브리오카스트로 유적은 고대 로마 시대까지 사람이 살았다. 이 시대에 키클라데스 제도는 해적질의 빈번한 피해를 입었으며, 아마도 이러한 이유로 주요 정착지는 내륙과 더 방어적인 위치로 이동했다.[5]

또 다른 오래된 정착지의 유적은 섬 북쪽 곶에서 광범위한 석조 벽과 함께 볼 수 있다. 성을 뜻하는 그리스어인 카스트로라는 이 유적은 대략 1세기부터 비잔틴 제국 시대를 거쳐 프랑크 시대까지 섬의 수도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 유적은 세 면이 바다로 152미터나 되는 절벽이고, 네 번째 면은 좁은 길을 통해 접근하며, 그 길은 두껍고 높은 벽으로 막혀 있는데, 그 일부는 여전히 남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도시는 여러 번 파괴되고 재건되었다는 증거가 있다. 이 기간 동안 인구는 극심하게 변동했으며 때로는 약탈자와 흑사병으로 인해 섬이 황폐화되기도 했다.[5]

드리오피다 마을의 모습


고대 작가들은 이 섬을 언급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살라미스 해전 (기원전 480년)에서 헤로도토스는 키트노스가 삼단노선과 펜테콘테르를 지원했다고 기록했으며, 이러한 기여는 델포이에 있는 황금 삼각대의 받침대에 기념되었다.[5]

로마 제국 시대에 키트노스는 중요한 인물들의 유배지였다. 또한 고대에는 이 섬에 여러 개의 신전이 있었으며, 그 결과 이집트, 소아시아, 이탈리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여행객들이 이 섬을 방문했다.[6] 화가 티만티스와 키디아스는 고대 키트노스에서 태어났다. 이후 키트노스는 비잔틴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5]

3. 3. 중세 및 근세

1207년, 키트노스는 프랑크족 군주 마르코 사누도의 에게해 키클라데스 공국(낙소스 공국)에 합병되었다.[7] 이 시기 섬은 북동쪽 해안의 루트라 마을에 있는 온천에서 유래된 이름인 '''테르미아'''로 알려졌다. 이 약용 온천은 적어도 로마 시대부터 유명했으며, 유행하는 스파 및 휴양지였다. 16세기부터 공국이 멸망할 때까지 키클라데스 공국의 분할 통치령으로 통치되었으며, 이후 사실상 독립되었다.[7]

1600년, 테르미아는 이전 케오 로마 가톨릭 교구 (현재 라틴 가톨릭 명의 주교좌)로 알려진 키클라데스의 라틴 주교구의 새로운 이름이 되었다. 섬의 수도는 오리아 또는 카타케팔로의 카스트로에 남아 있었으며, 프랑크족 요새로 재건되었고 테르미아의 탑으로 알려졌다.

15세기 초 인구 감소 기간 이후 일부 알바니아인 공동체가 인근 에우보이아에서 이주해 왔다. 그들은 현지 그리스인들과 동화되었다.[8][9]

오리아 또는 카타케팔로 성


1617년, 포위 공격 끝에 오스만 제국은 마지막 베네치아 군주인 안젤로 3세 고차디니를 상대로 승리했다.[10] 테오도어 벤이 1885년 키클라데스에 대한 여행기에서 전하는 신화에 따르면, 카스트로는 오스만 제국의 배신적인 계략으로 인해 함락되었다. 임신하여 고통스러워 보이는 젊은 여성이 입구에 다가와 들여보내 달라고 애원했고, 문지기의 딸이 근처에 숨어 있던 투르크인들을 위해 문을 열었다는 것이다.[11] 벤은 이 이야기가 섬의 민요에 보존되어 있다고 적고 있다.

투르크인에게 함락된 후, 카스트로는 버려졌고, 새로운 수도는 내륙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이는 메사리아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다. 이후 이 마을은 호라(수도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그리스어 이름, 또한 코라로 표기)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시기 키트노스는 가난하고 인구가 적었으며, 여전히 해적의 위협에 시달리고 잦은 전염병으로 고통받았다.

1791년에는 파나기아 니쿠스 수도원에 호라(메사리아)에 그리스 학교가 개교했다. 시프노스 출신의 수도사 파르테니오스 쿨루리스가 처음으로 그곳에서 가르쳤다. 그는 1809년 키트노스 출신의 수도사 마카리오스 필리파이오스로 교체되었고, 그는 이오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시대에도 계속 가르쳤다.[12]

1806년, 해적의 습격이 있었지만 격퇴되었지만, 이로 인해 현지인들이 소아시아 해안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들 중 일부는 나중에 귀환하여 그들이 살았던 곳에서 섬으로 관습을 가져왔다.[13]

키트노스는 1821년 혁명에 참여했으며, 그 기간 동안 히오스, 프사라, 아이발리와 같은 지역에서 온 그리스 난민들에게 안전한 피난처가 되었다. 1823년에는 역병이 발생했다. 키트노스는 에피다우로스에서 열린 제3차 국민 의회와 트로이 지나에서 열린 제3차 국민 의회에서 모스초스 필리파이오스(호라)와 N. 에코노미디스 레반티스(드리오피다)가 대표로 참석했다. 1832년까지, 키트노스는 국민 의회에서 N. 발린다스가 대표했다.[14]

3. 4. 근현대

1617년, 오스만 제국은 포위 공격 끝에 마지막 베네치아 군주인 안젤로 3세 고차디니를 상대로 승리했다.[10] 테오도어 벤이 1885년 키클라데스에 대한 여행기에서 전하는 신화에 따르면, 카스트로는 오스만 제국의 배신적인 계략으로 인해 함락되었다고 한다. 임신하여 고통스러워 보이는 젊은 여성이 입구에 다가와 들여보내 달라고 애원했고, 문지기의 딸이 근처에 숨어 있던 투르크인들을 위해 문을 열었다는 것이다.[11] 벤은 이 이야기가 섬의 민요에 보존되어 있다고 적고 있다. 투르크인에게 함락된 후, 카스트로는 버려졌고, 새로운 수도는 내륙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이는 메사리아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다. 이후 이 마을은 호라(수도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그리스어 이름, 또한 코라로 표기)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시기 키트노스는 가난하고 인구가 적었으며, 여전히 해적의 위협에 시달리고 잦은 전염병으로 고통받았다.

1791년에는 파나기아 니쿠스 수도원에 호라(메사리아)에 그리스 학교가 개교했다. 시프노스 출신의 수도사 파르테니오스 쿨루리스가 처음으로 그곳에서 가르쳤다. 그는 1809년 키트노스 출신의 수도사 마카리오스 필리파이오스로 교체되었고, 그는 이오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시대에도 계속 가르쳤다.[12] 1806년, 해적의 습격이 있었지만 격퇴되었지만, 이로 인해 현지인들이 소아시아 해안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들 중 일부는 나중에 귀환하여 그들이 살았던 곳에서 섬으로 관습을 가져왔다.[13]

키트노스는 1821년 혁명에 참여했으며, 그 기간 동안 히오스, 프사라, 아이발리와 같은 지역에서 온 그리스 난민들에게 안전한 피난처가 되었다. 1823년에는 역병이 발생했다. 키트노스는 에피다우로스에서 열린 제3차 국민 의회와 트로이 지나에서 열린 제3차 국민 의회에서 모스초스 필리파이오스(호라)와 N. 에코노미디스 레반티스(드리오피다)가 대표로 참석했다. 1832년까지, 키트노스는 국민 의회에서 N. 발린다스가 대표했다.[14] 1828년에는 사립 학교를 포함하여 5개의 학교가 섬에서 운영되었고, 1833년에는 단 두 개의 학교만 운영되었다.[15] 이 학교들은 주민들의 기부와 섬에 있는 수도원의 수입으로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15] 오톤 국왕의 통치 기간 동안 키트노스는 정치범유배 장소였으며, 1862년에는 수감자들을 석방하려는 시로스 출신 반란군에 의한 실패한 반란이 일어난 곳이기도 하다.

메리차스의 모습


19세기에 키트니아인들은 주로 수 세기 동안 그래왔던 것처럼 양치기나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섬에는 천연 자원이 거의 없었고, 배를 위한 깊은 물 정박 시설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웠다. 반면에 키트노스에서는 도예와 도기가 번성하여, 키트니아 장인들이 여름에는 아테네로 떠나 겨울에 돌아오곤 했다.

20세기 초, 고품질 보리와 세몰리나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고, 그에 따라 수출도 증가했다.[16] 새로운 세기가 밝아오면서 섬에서 철광석이 발견되었고, 키트니아인들은 광산에서 일함으로써 부족한 수입을 보충할 수 있었다.[17] 그러나 이 광산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즈음에는 대부분 고갈되었고, 다시 한번, 젊은이들이 아테네나 더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자리를 찾고 더 나은 삶을 찾아 떠나면서 섬의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리스의 추축국 점령 기간 동안 아테네에 살던 많은 키트니아인들이 더 나은 생활 환경을 위해 섬으로 돌아왔다.

20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그리스 관광 붐은 키트노스의 항구에 페리선을 위한 깊은 물 부두가 없었기 때문에 대부분 키트노스를 비껴갔다. 1974년에 새로운 방파제 건설은 큰 변화를 가져왔다. 오늘날, 이 섬은 급증하는 관광 사업과 함께 현대적이고 번영하는 곳이다. 1982년 그리스 최초의 풍력 발전소 설립으로 대체 에너지 실험의 선두에 서 있다.[18][19]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축전지를 추가하여 섬의 전력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디젤 연료의 양이 11% 감소했다.[20] 외딴 만에 있는 수많은 개인 주택에는 태양광 시스템이 갖춰져 있으며, 거의 모든 주택에서 태양열 온수기를 사용하고 있다.

아테네와의 근접성 때문에 키트노스는 외국 방문객들이 접근하기 쉬운 곳일 뿐만 아니라 별장지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수많은 해변과 그림 같은 마을 외에도, 그리스에서 가장 큰 동굴 중 하나인 카타피키 동굴이 드리오피다에 위치하고 있다. 1830년대에 처음 방문하여 지질학자 피들러에 의해 묘사된 이 동굴은 독특한 "슈라텐" 또는 암석 커튼과 동굴 생성물을 가지고 있다. 1939년까지 철광산이 있던 곳이었으며 현재는 관광 명소로 개발되었다.

2023년, 키트노스는 섬 주민들의 오랜 꿈이었던 키트노스 고고학 박물관의 개관을 기념했다. 이 박물관은 키트노스 호라의 옛 단일 교실 초등학교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전시품을 통해 방문객들은 기원전 7세기에서 5세기 초의 다양한 황금 및 귀금속 제물과 유물을 포함한 고대 사원 보물을 볼 수 있다.[21]

4. 문화

4. 1. 전통

스윙스 또는 쿠니에스(쿠니에스/Κούνιεςel)는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온 부활절 풍습이다. 마을 중심부에 나무나 말뚝에 나무 그네를 매달아 젊은 남녀가 그네를 타며 칭찬과 시를 주고받는다.[23]

5월 1일 전날 밤에는 꽃으로 "5월" 화환을 준비하고 음악에 맞춰 노래를 불렀다. 이 관습은 오늘날까지도 보존되고 있다.[23][24]

티리안 일요일 정오에, "라자니스"는 "라자냐(스파게티)"를 가져가기 위해 온 짚 인형으로 세례를 받았다. 이 관습은 오늘날까지 유지되고 있으며, '라자니스'는 카니발의 왕 역할을 한다.[23][25]

발로스를 추는 무용수들


바이올린과 류트는 섬의 주요 악기이며, 섬에서는 "지아스"라고 불린다. 참푸나(또는 카이다)는 사육제 때 들을 수 있는 특징적인 악기이다.[26]

키트노스섬의 전설과 믿음에는 섬의 여러 장소, 예를 들어 고대 유적, 방앗간, 타작 마당, 외딴 해변 등에 살고 있는 요정, 흡혈귀, 용 등에 대한 언급이 여러 번 나타난다.[27]

4. 2. 요리

키트노스섬의 대표적인 요리로는 스푸가타(튀긴 치즈볼), 콜로피(채소를 넣은 피타), 풀로스(소금에 절인 돼지고기를 채운 빵 롤) 등이 있다.[28] 또한 이 섬에는 꿀과 다양한 종류의 치즈와 같은 다른 전통적인 특산품도 있다.[28]

5. 관광

키트노스섬에는 90개 이상의 해변이 있으며, 그 중 많은 곳은 아직 도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특히 주목할 만한 곳은 콜로나의 초승달 모양의 고운 모래 띠이다. 다른 해변으로는 에피스코피, 아포크루시, 메갈리 암모스, 시나리, 시무시, 마르티나키아, 조가키, 나우사, 쿠리, 아기오스 스테파노스, 바실리카, 레프케스 및 리오트리비가 있다.

5. 1. 해변

키트노스섬에는 90개 이상의 해변이 있으며, 그 중 많은 곳은 아직 도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특히 주목할 만한 곳은 콜로나의 초승달 모양의 고운 모래 띠이다. 다른 해변으로는 에피스코피, 아포크루시, 메갈리 암모스, 시나리, 시무시, 마르티나키아, 조가키, 나우사, 쿠리, 아기오스 스테파노스, 바실리카, 레프케스 및 리오트리비가 있다.

5. 2. 명소



6. 인물

키트노스섬 출신 인물은 다음과 같다.


  • 티만테스 (기원전 4세기), 화가
  • 마리우폴의 이그나티우스 (1716–1786), 주교, 마리우폴 설립자
  • 요르고스 잠베타스 (1925–1992), 작곡가
  • 레오니다스 파라스케보풀로스, 군 장교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2] 웹사이트 Great Online Encyclopaedia of Asia Minor http://www.ehw.gr/as[...] 2022-07-13
[3] 웹사이트 Port of Kythnos - Merichas https://www.portofsy[...] 2022-07-03
[4] 웹사이트 "- Αρχαιότητες της Κύθνου" http://extras.ha.uth[...] 2022-07-03
[5]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CYTHNUS http://www.perseus.t[...] 2021-03-15
[6] 웹사이트 Αρχαία Κύθνος: Οι ανασκαφές αποκαλύπτουν τα μυστικά της https://www.news247.[...] 2019-02-08
[7] 서적 The Cyclades :or, life among the insular Greeks. http://hdl.handle.ne[...] London 1885
[8] 서적 Embroidery of the Greek Islands and Epirus https://books.google[...] Interlink Books 1998
[9] 문서 Über die Einwanderung der Albaner in Griechenland: Eine zusammenfassene Betrachtung ["On the immigration of Albanians to Greece: A summary"]. München: Trofenik. 1971
[10] 웹사이트 Aegean Islands http://www.hostkingd[...] 2021-02-27
[11] 서적 The Cyclades :or, life among the insular Greeks. http://hdl.handle.ne[...] London 1885
[12] 문서 Κορδατζή-Πρασσά p. 28
[13] 문서 Χρυσού-Καρατζά p. 64
[14] 문서 Βάλληνδας 1896 p. 121.
[15] 문서 Κορδατζή-Πρασσά p. 69
[16] 문서 Χρυσού-Καρατζά p. 82.
[17] 문서 Χρυσού-Καρατζά p. 54
[18] 웹사이트 Kythnos Island - 20 years' of experience of system technology for renewable energies http://files.sma.de/[...] SMA 2017-08-02
[19] 웹사이트 eletaen http://www.eletaen.g[...] Eletaen.gr 2012-02-09
[20] 간행물 Large Scale Integration Of Renewable Electricity Production Into The Grids http://iris.elf.stub[...] 2012-02-09
[21] 웹사이트 Opening of the Archaeological Museum of Kythnos https://thermiasuite[...] The Thermia Suites 2023-05-26
[22] 문서 Κυθνιακά ήτοι της νήσου Κύθνου χωρογραφία και ιστορία μετά του βίου των συγχρόνων Κυθνίων εν ω ήθη και έθη και γλώσσα και γένη κλπ https://anemi.lib.uo[...] Εν Ερμουπόλει: Τυπ. της "Προόδου". 1882
[23] 웹사이트 Customs https://www.kythnos.[...] 2022-07-03
[24] 웹사이트 Ήρχεν ο Μάης https://www.domnasam[...] 2022-07-03
[25] 문서 Βάλληνδας 1882 p. 118
[26] 웹사이트 Tradititional Dances & Music https://www.kythnos.[...] 2022-07-03
[27] 문서 Freely p. 34
[28] 간행물 Τοπικά παραδοσιακά προϊόντα και ανάπτυξη: οικολογία, τοπικά συστήματα, τοπικότητες https://www.academia[...] 2016-01-01
[29] 웹사이트 Κύθνος: Ο μικρός παράδεισος επί γης με τις 99 καταγάλανες παραλίες https://www.ertnews.[...] 2022-07-03
[30] 웹사이트 Beaches https://www.kythnos.[...] 2022-07-03
[31] 웹사이트 Books of Blood, Vol. 5 https://books.google[...] Sphere 2017-11-19
[32] 웹인용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