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탑천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탁탑천왕은 중국 신화 및 소설 《봉신연의》에 등장하는 인물로, 곤륜산에서 도술을 배우고 상나라의 관리가 되어 진당관총병을 지냈다. 그는 금타, 목타, 나타의 아버지이며, 아들 나타와의 갈등으로 유명하다. 나타가 동해 용왕의 아들을 죽인 후, 나타를 희생시키지 않으면 자신의 목숨을 바쳐야 하는 상황에 놓였고, 나타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나타의 환생과 관련된 사건들을 겪으며, 연등도인에게 금탑술을 배우고 영롱탑을 받아 나타를 제압하게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불습합 - 칠성여래
- 다문천왕 - 나타
나타는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강력한 힘과 용맹함을 지닌 소년 신으로, 《봉신연의》와 《서유기》 같은 고전 문학에 자주 등장하며 현대 매체에서도 재해석되고 있다. - 다문천왕 - 에비스 (신화)
에비스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어업, 상업, 행운의 신으로, 칠복신 중 하나이며, 바다와 관련된 기원을 가지며 상업 번영의 신으로도 숭배받는다. - 봉신연의의 등장인물 - 여와
여와는 중국 신화에서 뱀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천지창조 및 인류를 탄생시킨 여신으로, 무너진 하늘을 보수하고 홍수를 막았으며 복희와 남매이자 배우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 봉신연의의 등장인물 - 주 무왕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 강태공,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 탁탑천왕 | |
|---|---|
| 기본 정보 | |
![]() | |
| 다른 이름 | 탁탑천왕 |
| 문화 | 중국 신화, 도교, 중국 민간 신앙 |
| 종류 | 신 |
| 속성 | 왕, 장군 |
| 가족 | 부인: 미상 |
| 자녀 | 금타, 목타, 나타 |
| 상징 | 탑 |
| 신화적 정보 | |
| 직함 | 천왕 |
| 거주지 | 하늘 |
| 숭배 | 중국 민간 신앙의 신으로 숭배 |
| 등장 작품 | |
| 소설 | 봉신연의 서유기 |
| 인물 배경 | |
| 설명 | 이정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이며, 도교와 중국 민간 신앙에서 숭배받는 신이다. 그는 천계의 뛰어난 장군으로, 그의 아들 나타와 함께 잘 알려져 있다. 그는 '탁탑천왕'으로도 불린다. 이정은 본래 수나라의 장군였으며 후에 당나라에 귀순하여 당나라의 개국공신이 되었다. 사후에는 신격화되어 천계의 장군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
| 역할 | 그는 천계의 장군으로서, 하늘의 군대를 지휘하고 악령과 싸우는 역할을 한다. 그의 탑은 악령을 가두는 데 사용되며, 그는 정의와 질서를 수호하는 신으로 여겨진다. 그는 또한 가족의 아버지로서, 그의 아들 나타와의 복잡한 관계로도 유명하다. 나타는 반항적인 성격으로 아버지와 갈등을 겪지만, 결국에는 화해하고 함께 악에 맞서 싸운다. |
| 신화 속 이야기 | |
| 봉신연의 | 봉신연의에서 이정은 나타의 아버지로 등장한다. 나타가 용왕의 아들을 죽인 후, 이정은 아들을 벌하려 하지만, 나타는 자신의 생명을 희생하여 가족을 구한다. 이후 나타는 연꽃으로 다시 태어나 이정과 함께 주나라를 돕는다. |
| 서유기 | 서유기에서 이정은 하늘의 군대를 이끌고 손오공을 제압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그는 손오공의 강력한 힘에 굴복하고, 결국 손오공을 돕는 역할을 한다. |
| 대중 문화 속의 이정 | |
| 영화 및 드라마 | 이정은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등장하며, 그의 신화적인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
2. 봉신연의에서의 이정
어렸을 때 곤륜산의 도액진인(度厄眞人)에게서 도술을 배웠으나, 경지에 오르지 못하고 하산해 상나라의 관리가 되어 진당관총병(陳塘關總兵)이 되었다. 금타(金吒), 목타(木吒), 나타(哪吒)의 아버지이다.
나타가 7살 때 동해 용왕(龍王)의 부하인 이량(李良)과 용왕의 셋째 아들인 오병(敖丙)을 죽여, 자신들에게 피해가 오지 않게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나타가 이정의 아내 은씨에게 자신의 행궁을 세워 3년 동안 제사를 지내달라고 부탁했지만, 행궁을 지은 지 반년 뒤 이정에게 들켜 파괴되었다. 이후 태을진인(太乙眞人)의 도움으로 되살아난 나타에게 죽을 위기에 처했으나, 연등도인(燃燈道人)에게 제압당해 서로 화해했다. 이때 연등도인에게서 영롱탑(玲瓏塔)을 받아 사용했는데, 이는 나타가 언제든지 자신을 죽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 뒤 연등도인을 스승으로 모셨으며, 연등도인의 명에 따라 강자아(姜子牙)가 이끄는 동벌군의 출정에 합류한다.
2. 1. 봉신연의 속 주요 행적
이정은 어렸을 때 곤륜산의 도액진인(度厄眞人)에게서 도술을 배웠으나, 경지에 오르지 못하고 하산해 상나라의 관리가 되어 진당관총병(陳塘關總兵)이 되었다. 금타(金吒), 목타(木吒), 나타(哪吒)의 아버지이다.나타가 7살 때 동해 용왕(龍王)의 부하인 이량(李良)과 용왕의 셋째 아들인 오병(敖丙)을 죽여, 자신들에게 피해가 오지 않게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나타가 이정의 아내 은씨에게 자신의 행궁을 세워 3년 동안 제사를 지내달라고 부탁했지만, 행궁을 지은 지 반년 뒤 이정에게 들켜 파괴되었다. 이후 태을진인(太乙眞人)의 도움으로 되살아난 나타에게 죽을 위기에 처했으나, 연등도인(燃燈道人)에게 제압당해 서로 화해했다. 이때 연등도인에게서 영롱탑(玲瓏塔)을 받아 사용했는데, 이는 나타가 언제든지 자신을 죽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 뒤 연등도인을 스승으로 모셨으며, 연등도인의 명에 따라 강자아(姜子牙)가 이끄는 동벌군의 출정에 합류한다.
3. 신화
이정(상나라 시대에 올드 폰드 패스(Old Pond Pass)의 고위 지휘관)은 인부인(Lady Yin)을 아내로 맞이하여 세 아들 금자(Jinzha), 목책(Muzha), 나타(Nezha)를 두었다. 이정은 곤륜산에서 수련하여 빠른 지하 이동술의 대가가 되었다.
이정은 셋째 아들 나타를 얻었으나, 나타는 순종하지 않고 성질이 급해 부자 관계는 험악했다. 나타는 동해 용왕 오광의 아들을 죽이는 등 문제를 일으켰고, 이정은 나타를 희생시키지 않으면 자신의 목숨을 바쳐야 했다. 나타는 스스로를 희생하여 살과 뼈를 부모에게 넘겨주었다.
이정은 나타의 영혼을 위해 지어진 사당을 불태웠으나, 이 일로 나타는 아버지를 죽이고 싶어 했다. 나타는 태을진인에 의해 몸을 다시 만들어 환생했다. 이정은 나타에게 "''이 망할 놈아! 네가 내 자식이었을 때 너는 이루 말할 수 없는 재앙을 일으켰지. 어째서 환생해서 평화를 깨뜨리려 하느냐?''"라고 말했다.
나타와 싸운 후, 이정은 자신의 몸이 나타의 몸에 비해 100분의 1도 안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지하로 도망쳤고, 둘째 아들 목책을 만났다. 목책이 나타에게 패배한 후, 이정은 자살을 시도했다. 문수광법천존이 개입하여 이정의 생명을 구하고 나타를 제압했다. 나타는 연등도인에게 제압당한 후 아버지에게 굴복해야 했다. 연등도인은 이정에게 금탑술을 가르쳤고, 이정은 '탑을 든 이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3. 1. 나타와의 갈등
탁탑천왕은 금타(金吒), 목타(木吒), 나타(哪吒)의 아버지이며, 나타가 7살 때 동해 용왕(龍王)의 부하인 이량(李良)과 용왕의 셋째 아들인 오병(敖丙)을 죽인 뒤 자신들에게 피해가 오지 않게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나타가 이정의 아내인 은씨에게 자신의 행궁을 세워 3년 동안 제사를 지내달라고 부탁했지만 행궁을 지은 지 반년 뒤에 이정에게 들켜 행궁이 파괴되었다.나타는 순종하지 않고 성질이 급했기 때문에 이정과 나타의 관계는 처음부터 험악했다. 나타는 용왕의 아들을 죽이고 그의 분노를 샀으며, 동해 용궁에서 문제를 일으키자 이정은 나타를 희생시키지 않으면 자신의 목숨을 오광에게 바쳐야 했다. 하지만 나타는 스스로를 희생하여 살과 뼈를 부모에게 넘겨준다.
셋째 아들과의 불운을 겪은 후, 이정은 나타의 영혼을 위해 지어진 사당을 불태웠다. 그러나 이 일로 나타는 아버지를 죽이고 싶어 했다. 태을진인(太乙眞人)의 도움으로 되살아난 나타에 의해 죽을 위기에 처했으나, 나타가 연등도인(燃燈道人)에게 제압당해 서로 화해했다. 나타와 싸운 후, 이정은 자신의 몸이 나타의 몸에 비해 100분의 1도 안 된다는 것을 곧 깨달았다. 그래서 그는 목숨에 대한 엄청난 공포 속에서 가능한 한 빨리 지하로 도망쳤다. 다행히 이정은 둘째 아들 목타(木吒)를 만났고, 문수광법천존이 개입하여 이정의 생명을 구하고 나타를 제압했다. 나타는 연등도인(燃燈道人)이라는 또 다른 초인에게 제압당한 후 아버지에게 굴복해야 했다. 이후에는 나타가 자신을 언제든지 죽일 수 있었기 때문에 연등도인이게서 영롱탑(玲瓏塔)을 받아 사용했다. 연등도인은 아들을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해 이정에게 나타가 반항할 경우 불타는 탑 안에 가두는 금탑술을 가르쳤다. 그리하여 나타는 이정에게 굴복해야 했고, 이정은 현재 '탑을 든 이정'(Li the Pagoda Bearer)으로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4. 대중문화 속 이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