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테크니컬 다이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크니컬 다이빙은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의 한계를 넘어 수심, 잠수 시간, 오버헤드 환경 등에서 잠수를 수행하는 기술이다. 1990년대 초 '아쿠아코프스' 잡지에서 "테크니컬 다이빙" 용어가 사용되면서 널리 알려졌으며, 혼합 기체, 재호흡기, 감압 절차 등을 활용한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훈련과 특수 장비를 필요로 하며, 오버헤드 환경(동굴, 난파선 등)에서의 잠수를 포함한다. 주요 위험 요소로는 질소 마취, 산소 중독, 감압병 등이 있으며, 안전을 위해 계획, 장비 이중화, 절차 숙지가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이빙 - 스쿠버 장비
    스쿠버 장비는 자가용 수중 호흡 장치로, 다이버가 수중에서 호흡할 수 있게 해주며, 개방회로식과 재호흡기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뉘고, 다이빙 실린더, 레귤레이터, 하네스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다이빙 - 동굴 다이빙
    동굴 다이빙은 자연광이 없는 수중 동굴을 탐험하는 테크니컬 다이빙의 한 분야로, 레크리에이션과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나뉘며, 엄격한 안전 수칙 준수와 전문적인 교육이 필수적이다.
  • 잠수 - 스쿠버 장비
    스쿠버 장비는 자가용 수중 호흡 장치로, 다이버가 수중에서 호흡할 수 있게 해주며, 개방회로식과 재호흡기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뉘고, 다이빙 실린더, 레귤레이터, 하네스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잠수 - 동굴 다이빙
    동굴 다이빙은 자연광이 없는 수중 동굴을 탐험하는 테크니컬 다이빙의 한 분야로, 레크리에이션과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나뉘며, 엄격한 안전 수칙 준수와 전문적인 교육이 필수적이다.
  • 다이빙 장비 - 잠수복
    잠수복은 수중 활동 시 체온 유지와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의류로, 네오프렌 소재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보온성과 유연성은 네오프렌 두께, 소재, 봉제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 다이빙 장비 - 소나
    소나는 음파를 사용하여 수중 물체를 탐지하고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능동 소나와 수동 소나로 나뉘며 군사 및 민간 분야에서 널리 쓰이지만 해양 생태계에 대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다.
테크니컬 다이빙
기술 다이빙 개요
정의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 스쿠버 다이빙의 범위를 벗어난 다이빙
수심, 시간, 환경, 장비 측면에서 더 높은 위험을 수반할 수 있는 다이빙
주요 특징감압 다이빙 또는 혼합 기체 다이빙을 포함할 수 있음
다이버가 표면에서 직접적으로 다이빙하는 경우가 많음
특수한 훈련, 장비, 경험이 필요함
최대 깊이180 미터 이상 (600 피트)
목적과학 연구 (해양 생물, 해저 지형 조사 등)
난파선 탐사 및 인양
동굴 다이빙
위험물 처리
특수 환경 다이빙
기술 다이빙 유형
감압 다이빙수중에서 감압 정지를 수행해야 하는 다이빙
혼합 기체 다이빙질소 외의 다른 기체를 사용하여 다이빙하는 것
산소 농도가 낮은 기체 (예: 트라이믹스)
감압 효율성 증대
질소 마취 위험 감소
동굴 다이빙수중 동굴을 탐험하는 다이빙
특별한 기술과 장비 요구
높은 위험 수준
난파선 다이빙침몰한 배를 탐험하는 다이빙
구조가 복잡하고 위험 요소 존재
고고학 다이빙수중 문화유적이나 유물을 탐사하는 다이빙
포화 다이빙장시간 동안 수심에 머무르는 다이빙
잠수부가 수심에서 감압을 수행하지 않음
특수한 잠수 설비 필요
위험 요소
질소 마취높은 수심에서 질소의 영향으로 의식 저하
판단력 흐려짐
혼합 기체 사용으로 예방 가능
산소 중독높은 분압의 산소로 인한 신경계 손상
적절한 기체 혼합으로 예방 가능
감압병혈액 내 질소가 기포 형성
감압 절차를 정확히 준수해야 함
장비 고장잠수 장비의 오작동
철저한 장비 점검 및 유지보수 필요
환경 위험동굴 천장 붕괴
난파선 잔해물
해류
낮은 시야
필요한 훈련 및 자격
전문 교육 기관PADI (Professional Association of Diving Instructors)
NAUI (National Association of Underwater Instructors)
IANT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Nitrox and Technical Divers)
TDI (Technical Diving International)
교육 과정감압 다이빙 교육
혼합 기체 다이빙 교육
동굴 다이빙 교육
난파선 다이빙 교육
기술 다이빙 강사 과정
장비
호흡기고급 레귤레이터
다중 탱크 시스템 (주탱크, 예비 탱크)
바이백 시스템
잠수 컴퓨터다중 기체 혼합 지원
감압 정보 제공
여러 안전 기능을 포함
수중 스쿠터다이버 이동을 돕는 장치
넓은 영역 탐사 가능
드라이 슈트낮은 수온 환경에서 사용
체온 유지
부력 조절 장치 (BC)추가 부력 확보를 위한 윙 스타일 BC
장비 추가 용이
기타 장비나침반
수심계
다이빙 칼
예비 마스크
안전 장비
통신 장비
수중 카메라

2. 역사

테크니컬 다이빙은 1950년대부터 동굴(해중 종유굴, 등도 포함)이나 침선 등에서 행해져 온 '''오버헤드 환경'''(동굴 잠수 참조) 잠수 기술 및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 1980년대 NOAA(미국 국립해양대기청) 등에서 연구된 '''혼합 기체 잠수''' 기술을 이용하여, '''감압 정지'''를 수반하는 심해 잠수(수심 40m~100m 정도)를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레저 다이빙'''의 한 종류이다.

일반인이 즐거움으로 행하는 스쿠버 다이빙의 한 종류이며, 레크리에이셔널 다이빙과 구별된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레저 다이빙의 안전 관리의 기초가 되며, 케이브 다이버는 각 레크리에이셔널 다이빙 지도 단체의 트레이닝 부서에 소속되거나 고문을 맡고 있다.

일반적으로 테크니컬 다이빙은 고도의 다이빙 장비를 사용하는 기술을 의미하지만, 수중 공사, 자위대, 해상보안청 등에서 하는 잠수와는 이론적인 공통점은 있지만 별개의 것이다. 침몰선 등 수중 구조물 내부나 물이 찬 동굴 내부에 진입하는 상급 스쿠버 다이빙은 오버헤드 환경 다이빙이라고도 불린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스몰 스텝 프로그램이 확립되어 있어 시니어 세대에 테크니컬 다이버가 많다. 일본의 경우, 이윤 추구주의적인 경향으로 인해 레크리에이셔널 다이빙을 초월한 지력, 체력, 기술을 익히는 데 막대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NAUI(미국 수중 지도자 협회)는 해외 본부에서 40년 이상 테크니컬 다이빙 부문 NAUI-tec을 개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NAUI에서는 이를 취급할 능력이 없는 회사도 있다.

해외 테크니컬 다이버는 정신적 안정과 신체 유연성을 위해 요가를 도입하기도 한다.

테크니컬 다이빙 중 케이브 다이빙은 레크리에이셔널 다이빙보다 오래전부터 행해져 왔으며, 레저 다이빙의 원형이 된 잠수 탐험을 포함한다.

2. 1. 기원

"테크니컬 다이빙"이라는 용어는 1990년대 초 아쿠아코프스(aquaCorps) 잡지 창간호 표지 기사인 빌 해밀턴의 "하이테크 다이빙이라고 부르자"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기사는 심해, 감압, 혼합 기체 다이빙과 같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한계를 넘어선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의 현황을 설명했다. 1991년 중반까지 이 잡지는 "테크니컬(암벽) 등반"이라는 용어와 유사하게 "테크니컬 다이빙"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후 영국 해군(Royal Navy)이 이미 재호흡기 다이빙에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해밀턴은 테크니컬 다이빙을 두 가지 이상의 호흡 기체를 사용하거나 재호흡기를 사용하는 다이빙으로 재정의했다. 리처드 파일(Richard Pyle)은 테크니컬 다이버를 "주어진 감압 알고리즘에 따라 상승 중에 단계별 정지를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으로 정의했다.

"테크니컬 다이빙"이라는 용어는 1977년 미국 캘리포니아 과학기술 다이빙 자문위원회(California Advisory Committee on Scientific and Technical Diving, CACSTD)가 규제 목적으로 더 복잡한 레크리에이션 다이빙 방식과 과학 다이빙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미국 직업 안전 보건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은 규제 면제 목적으로 직업과 관련되지 않은 다이빙을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으로 분류한다.

2. 2. 발전

테크니컬 다이빙은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후반 사이에 등장했다. 이 발전 과정의 많은 부분은 아쿠아코프스(aquaCorps)에 기록되었는데, 이는 마이클 멘두노(Michael Menduno)가 당시 대부분의 레크리에이션 다이빙 잡지에서 다루기를 꺼렸던 다이빙의 측면을 위한 포럼을 제공하기 위해 시작한 잡지였다.

당시 아마추어 스쿠버 다이버들은 공기를 사용하는 다이빙의 생리적 한계를 탐험하고 있었다. 테크니컬 다이버들은 공기 다이빙의 한계를 넓히는 방법과 더 깊이 들어가고 더 오래 머무를수록 호흡 기체 공급을 연장하는 방법을 찾았다. 군사 및 상업 다이빙 커뮤니티는 예산과 인프라가 충분하고 다이빙 작업이 통제되었지만, 아마추어 다이빙 커뮤니티는 혼합 기체와 재호흡기 사용에 있어 더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그 결과, 초기에는 상당수의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여 주류 다이빙 업계 내부와 테크니컬 다이빙 커뮤니티의 부문 간에 논란이 있었다.

군사 및 상업 다이버들이 심도와 지속 시간 범위를 확장하려는 동기는 주로 작업을 완료해야 하는 작전상의 필요성 때문이었지만,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의 심도와 지구력 범위를 초과하려는 동기는 다른 방법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장소를 탐험하려는 충동 때문이었다.

셰크 엑슬리(Sheck Exley)는 "시간의 시작 이후로 아무도 가본 적이 없는 곳이 있습니다. 우리는 거기에 무엇이 있는지 볼 수 없습니다. 달의 어두운 면이나 화성에 무엇이 있는지 볼 수 있지만, 동굴 뒤편에 무엇이 있는지는 직접 가보지 않고서는 볼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아쿠아코프스(aquaCorps) 4호, 1992년 1월)

아무도 가본 적 없는 곳으로 가려는 충동은 항상 탐험가들의 원동력이었다. 1980년대는 동굴 다이빙 커뮤니티가 활발하게 탐험하던 시대였으며, 그중 일부는 60~125m 깊이 범위에서 비교적 긴 공기 다이빙을 하고 산소로 감압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다이빙은 실험적이고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세부 사항은 다이버들에 의해 공개되지 않았다. 이러한 다이빙을 수행한 다이버들은 그것이 일반인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탐험의 경계를 넓히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40m를 초과하는 스쿠버 다이빙에 대한 합의된 지침은 없었다.

일본의 테크니컬 다이빙 도입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기내용
1990년대 초반동굴 탐험가들에 의해 도입
1990년대 후반프로샵, TDI, ANDI, IANTD에 의해 본격적으로 도입


2. 3. 연표


  • 1946년 - CDG(영국 동굴 잠수 그룹) 설립
  • 1950년대 - 동굴 탐험가와 보물 사냥꾼에 의한 잠수
  • 1960년대 - 레크리에이션 단체 설립 급증
  • * 1968년 - NACD(미국 동굴 잠수 협회) 설립. NAUI의 Tec 부서 신설
  • 1970년대 - 케이브 다이빙 단체 설립 급증
  • * 1973년 - CDAA(호주 동굴 잠수 협회) 설립. NSS(미국 동굴 학회)의 동굴 잠수 부서 신설
  • 1980년대 - 혼합 기체 잠수 기술이 레저 분야로 진출. 케이브 다이버에 의해 레저용 혼합 기체 잠수 확립.
  • * 1985년 - IAND(현 IANTD, 국제 나이트록스 테크니컬 다이빙 협회) 설립
  • * 1987년 - PSA(현 PSAI, 국제 프로페셔널 잠수 협회) 설립
  • 1990년대 - 테크니컬 다이빙 단체 설립 급증
  • * 1991년 - ANDI(미국 나이트록스 잠수 협회) 설립
  • * 1992년 - 잡지에서 케이브 등에 혼합 기체 잠수를 도입한 분야를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소개.
  • * 1994년 - TDI(국제 테크니컬 다이빙) 설립
  • * 1996년 - PADI 상품 개발 부서 DSAT(잠수 과학 기술)을 테크 레크 단체로 업무 변경(※레크리에이션과 테크니컬의 중간 위치)
  • * 1997년 - IART(국제 리브리더 트레이너 협회) 설립. TDI, IANTD, ANDI의 각 일본 지부 설립
  • * 1998년 - GUE(전 세계 수중 탐험회) 설립. DiveRite-Japan 설립
  • 2000년대 - 리브리더 다이빙 단체 설립 급증
  • * 2004년 - ITDA(국제 테크니컬 다이빙 협회) 설립. Halcyon-Japan 설립.

3. 정의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테크니컬 다이빙의 정확한 범위에 대한 의견은 일치하지 않는다. 나이트록스 다이빙과 리브리더 다이빙은 초기에는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여러 인증 기관에서 레크리에이션 수준의 교육 및 인증을 제공하면서 보편적인 기준은 아니게 되었다. 난파선 및 동굴 침투 다이빙을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분류하는 교육 기관도 있다.

각 기관별 테크니컬 다이빙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IANTD: "테크니컬 다이빙은 다양한 지식, 기술, 적절한 장비를 포함하며, 이것들이 올바르게 결합되면 레크리에이션 다이버가 수중에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라고 설명한다.
  • NAUI: "테크니컬 다이빙은 수심과 잠수 시간(바닥 시간)에 부과되는 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 한계를 초과하는 스쿠바 다이빙의 한 형태"라고 정의한다.
  • NOAA: "레크리에이션 스쿠바 다이빙에 부과되는 수심 및/또는 잠수 시간의 한계를 초과하는 모든 다이빙 방법"으로 정의한다.
  • PADI: "다이버를 레크리에이션 다이빙 한계를 넘어서게 하는 기존의 상업용 또는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이 아닌 다이빙"으로 정의한다.
  • TDI: 감압, 추가 실린더, 대체 호흡 가스, 리브리더 또는 난파선, 동굴 또는 광산과 같은 오버헤드 환경을 포함하는 모든 다이빙을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정의한다.
  • 호주 퀸즐랜드 주 정부: 나이트록스 또는 기타 혼합 가스를 사용하는 레크리에이션 다이빙 또는 감압이 필요한 모든 다이빙으로 정의한다.
  • BSAC: 폐쇄 회로 리브리더(CCR), 개방 회로에서 여러 가스 혼합물을 사용하거나 헬륨 기반 가스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특수 장비를 포함하는 다이빙으로 정의한다.


유럽 다이빙 기관들은 50m에서 레크리에이션 다이빙과 테크니컬 다이빙의 경계를 긋는 경향이 있으며, 많은 기관이 단계적 감압 다이빙을 레크리에이션 교육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가르친다.[3] 영국 수중 협회에서 사용되는 뷜만 표는 단계적 감압 다이빙을 가능하게 한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1950년대부터 행해져 온 동굴(해중 종유굴, 등도 포함)이나 침몰선 등의 '''오버헤드 환경'''(머리 위에 장애물이 있어 즉시 수면으로 상승할 수 없는 환경) 잠수 기술 및 지식을 기반으로, 1980년대에 NOAA 등에서 연구되어 온 '''혼합 기체 잠수''' 기술을 이용하여, '''감압 정지'''를 수반하고, 그 전에는 잠수할 수 없었던 심해 잠수(수심 40m~100m 정도)를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레저 다이빙'''을 가리킨다. 1990년대에 잡지에서 소개된 이후 테크니컬 다이빙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일반인이 즐거움으로 행하는 스쿠버 다이빙의 한 종류이며, 레크리에이셔널 다이빙과 구별된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모든 레저 다이빙의 안전 관리의 기초가 되고 있으며, 특히 케이브 다이버는 각 레크리에이셔널 다이빙 지도 단체의 트레이닝 부서에 소속되어 있거나 고문을 맡고 있다.

3. 1. 범위

레크리에이션 다이빙과 테크니컬 다이빙의 차이점
활동레크리에이션 다이빙테크니컬 다이빙
심해 다이빙최대 수심 40m 또는 50m[2]40m 또는 50m 이상[3]
감압 다이빙[4]일부 기관에서는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을 "무감압" 다이빙으로 정의하며, 다른 기관에서는 모든 다이빙을 감압 다이빙으로 간주함.일부 기관에서는 테크니컬 다이빙을 "감압 다이빙"으로 정의하며, 다른 기관에서는 모든 다이빙을 감압 다이빙으로 간주함.[3]
혼합 가스 다이빙공기와 나이트록스나이트록스, 트라이믹스, 헬리옥스, 헬리에어
가스 전환단일 가스 사용감압을 가속화하거나 저산소성 가스 혼합물을 사용하여 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혼합 가스"를 사용하기 위해 가스를 전환할 수 있음.
리브리더일부 기관에서는 반폐쇄식 리브리더 사용을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으로 간주함.PADI TecRec, TDI, GUE, IANTD, SSI XR, IART, ISE, NAUI TEC, PSAI, UTD는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간주함.
난파선 다이빙"밝은 영역" 또는 30m 수심 + 침투로 제한더 깊은 침투
동굴 다이빙"밝은 영역" 또는 30m 수심 + 침투로 제한[5]더 깊은 침투, 복잡한 항법 및 감압이 포함될 수 있음.
빙하 다이빙일부 레크리에이션 기관에서는 빙하 다이빙을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으로 간주함.다른 기관에서는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간주함.


4. 위험 요소 및 안전

테크니컬 다이빙은 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 다이빙보다 위험성이 더 크다고 인식되지만, 철저한 훈련, 계획, 장비 점검 및 유지 관리를 통해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 테크니컬 다이빙의 위험은 확장된 다이빙 범위 및 사용 장비와 관련이 있다. 복잡한 가스 관리, 잠재적으로 호흡 불가능한 가스 사용은 산소 중독, 질소 마취, 감압병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지만, 훈련된 다이버는 비상 절차를 통해 이러한 위험을 완화할 수 있다.[6]

자유 부유식 감압 정지


장시간 또는 심해 다이빙 후에는 감압병을 예방하기 위해 질소헬륨 같은 불활성 기체를 체내에서 서서히 방출하는 감압 정지가 필요하다. 나이트록스나 순수 산소와 같은 호흡 가스 혼합물은 불활성 기체 제거 속도를 높여 감압 시간을 단축시킨다.

동굴 다이빙, 빙하 다이빙, 난파선 다이빙과 같이 물리적 장벽이 있거나, 감압 의무와 같이 생리적 제약으로 인해 수면으로 직접 상승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생명 유지 장비의 이중화와 절차 훈련이 매우 중요하다.[6]

탁도, 실트 현상, 밀폐된 공간 등으로 시야가 제한되거나 조명이 좋지 않은 환경에서의 테크니컬 다이빙은 높은 숙련도를 요구한다. 특히 오버헤드 환경에서는 극도로 위험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기술, 신뢰할 수 있는 장비, 가이드라인에 의존하여 방향 및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6]

혼합 기체 감압 다이빙을 준비하는 테크니컬 다이버들. 백 마운트 구성에 사이드 마운트된 감압 실린더가 있는 것을 주목하십시오.


주요 기체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매니폴드 방식 또는 독립적인 트윈 백 마운트 실린더, 여러 개의 사이드 마운트 실린더, 또는 리브리더를 사용한다. 비상용 및 감압 기체는 별도로 휴대할 수 있으며, 실린더에는 기체 혼합물, 최대 작동 수심, 최소 작동 수심 등을 표시하여 관리한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오버헤드 환경이나 감압 의무와 같은 제약으로 인해 비상시 수중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계획, 상황 인식, 중요 장비 이중화, 절차 훈련이 필수적이다.

리브리더 다이빙의 안전 문제는 훈련, 사전 점검, 유지 관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다이버들이 장비에 익숙해지면서 사전 점검을 소홀히 하거나, 장비에 기능적 문제가 있음에도 다이빙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매우 위험하다. 리브리더의 이중화는 수중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 다이빙을 안전하게 종료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미 고장 난 장비로 다이빙하는 것은 심각한 비상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복잡한 테크니컬 다이빙 작전은 탐험 또는 전문 다이빙 작전처럼 계획되고 운영될 수 있으며, 수면 및 수중 지원 인력이 탐험 다이버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제공하거나 대기 상태로 지원할 수 있다. 비상시 지원팀은 구조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수색 및 인양 지원을 제공한다.

4. 1. 위험 요소

테크니컬 다이빙은 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 다이빙보다 더 많은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그 위험성 또한 더 큰 경우가 많다. 이러한 위험은 기술 다이빙의 확장된 범위, 사용되는 장비와 관련이 있다. 때로는 장비가 일차적 위험을 완화하는 동시에 이차적 위험을 초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치명적인 가스 공급 실패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복잡한 가스 관리가 필요하거나, 잠수 프로파일의 일부에 대해 호흡할 수 없는 가스를 사용하여 산소 중독, 질소 마취 또는 감압병의 위험을 줄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차적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장비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대부분은 기술에 기반한다. 테크니컬 다이버는 훈련을 통해 일반적인 예비 상황을 처리하는 절차를 익히므로, 비상 상황에 대처하고 공황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적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수심 약 약 39.62m 이상 또는 표면이나 자연광으로 직접 접근할 수 없는 오버헤드 환경에서의 잠수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는 담수 및 해수 동굴과 난파선 내부가 포함될 수 있다. 많은 경우, 테크니컬 다이빙에는 잠수 종료 후 표면으로의 통제된 상승 중 여러 단계에 걸쳐 수행되는 계획된 감압이 포함된다.

  • 수심: 수심 기반 정의는 호흡하는 질소의 분압 증가에 따른 정신 능력의 점진적인 저하로 인한 위험에 기반한다. 압력 하에서 공기를 호흡하면 질소 마취가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수심 약 30.48m 이상에서 문제가 되기 시작하지만, 이는 다이버마다 다릅니다. 수심이 증가하면 산소의 분압도 증가하여 산소 중독의 위험이 증가한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공기 이외의 호흡 혼합물(트라이믹스(trimix), 헬리옥스(heliox) 등)을 사용하며, 다양한 호흡 혼합물을 관리하는 추가적인 복잡성으로 인해 다른 위험이 발생하며 장비 구성 및 절차 교육을 통해 관리된다.

  • 직접 상승 불가: 테크니컬 다이빙은 감압 정지가 필수적이거나 물리적인 천장이 존재하여 다이버가 표면으로 직접 안전하게 상승할 수 없는 잠수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다이빙은 다이버가 안전하게 상승할 수 있을 때까지 또는 오버헤드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탈출할 때까지 수중에 머물러야 하기 때문에 중요한 생명 유지 장비의 이중화 및 절차 훈련에 훨씬 더 많이 의존한다.[6]

  • 물리적 장벽: 다음과 같은 물리적 장벽은 다이버가 직접 수면으로 상승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동굴 다이빙 – 동굴 시스템 내에서의 다이빙
  • 빙하 다이빙 – 얼음 아래에서의 다이빙
  • 난파선 다이빙 – 난파선 내부에서의 다이빙


이러한 상황에서는 가이드 라인 또는 생명줄을 사용하여 길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 표준적인 방법이다. 다이버에게 고정된 생명줄은 잃어버리기 쉽지 않고, 라인이 걸릴 가능성이 적고 거리가 비교적 짧은 얼음 아래 다이빙에 사용되며 수면에 있는 사람이 관리할 수 있다. 정적인 가이드라인은 생명줄이 환경이나 다른 다이버에게 걸릴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더 적합하며, 다른 다이빙에 사용하기 위해 그대로 두거나 리일을 감아 돌아오는 길에 회수할 수 있다. 가이드라인은 생명줄보다 훨씬 길 수 있으며, 가지를 치고 표시될 수 있다. 이는 동굴 다이빙과 난파선 침투에 대한 표준 관행으로 사용된다.

  • 제한된 시야: 시야가 탁도 또는 실트 현상으로 인해 심하게 제한되고, 수심이나 밀폐된 공간으로 인해 조명 상태가 좋지 않은 수중에서 이루어지는 테크니컬 다이빙은 더 높은 숙련도를 요구한다. 저시야와 강한 조류가 결합되면, 특히 오버헤드 환경에서는 극도로 위험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더욱 높은 기술과 신뢰할 수 있고 익숙한 장비가 필요하다. 저시야 다이빙은 방향 감각 상실, 부력 조절 실패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극도로 시야가 제한된 상황에서 다이버들은 다이브 라이트, 압력계, 나침반, 수심계, 바텀 타이머, 다이브 컴퓨터 등의 장비와 방향 및 정보 확인을 위한 가이드라인에 의존한다. 동굴 및 난파선 다이빙 훈련에는 극도로 낮은 시야를 관리하는 기술이 포함되는데, 가스가 부족해지기 전에 오버헤드 환경에서 탈출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안전에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6]

4. 2. 장비

테크니컬 다이빙에는 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 다이빙 장비 외에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하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보통 레크리에이션 다이빙보다 잠수 시간이 길고, 감압 의무 때문에 다이버가 즉시 수면으로 올라올 수 없어 호흡 장비의 이중화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독립된 호흡 가스 공급원을 휴대하며, 주 공급원에 문제가 생길 경우를 대비한 백업 시스템을 갖춘다. 백업 시스템은 다이버가 계획된 다이빙의 어느 지점에서든 안전하게 수면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요 기체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매니폴드 방식 또는 독립적인 트윈 백 마운트 실린더
  • 여러 개의 사이드 마운트 실린더
  • 리브리더


비상용 및 감압 기체는 이러한 구성에 포함될 수도 있고, 사이드 마운트 스테이지 및 감압 실린더로 별도로 휴대할 수도 있다. 실린더는 언제 어디서 사용될지에 따라 다양한 기체를 담을 수 있으며, 잘못된 수심에서 사용하면 생명을 유지할 수 없을 수도 있으므로 내용물을 명확히 식별하기 위해 표시가 되어 있다. 실린더에는 일반적으로 기체 혼합물이 표시되며 최대 작동 수심과 해당되는 경우 최소 작동 수심도 표시된다.

사이드마운트 방식으로 탈착식 산소통을 장착한 테크니컬 다이버


스테이지 실린더는 나중에 출수 시 또는 다른 다이빙을 위해 가이드라인을 따라 내려놓을 수 있다. 스테이지 실린더는 다양한 종류의 호흡용 가스로 채워진 추가적인 실린더이다.[7] 스테이지 실린더는 때때로 테크니컬 다이버의 수중 시간을 연장하거나 감압 과정을 가속화하는 데 사용된다.[8] 또한 수중에서 리프트 백(lift bags)을 채우는 데 사용할 수 있다.[9]

테크니컬 다이빙은 공기를 호흡 가스로 사용할 수 있지만, 특정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다른 호흡 가스 혼합물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 감압 시간 단축: 산소가 풍부한 호흡 가스 혼합물(예: 나이트록스)과 순수 산소를 사용하여 불활성 기체 제거 속도를 높인다.
  • 질소 마취 감소: 다이버의 호흡 혼합물에서 질소의 일부를 헬륨으로 대체하는 트라이믹스 또는 질소가 없는 헬리옥스를 사용한다.
  • 산소 중독 감소: 저산소성 호흡가스 혼합물, 저산소성 트라이믹스, 헬리옥스, 및 헬리에어를 사용한다.


테크니컬 다이빙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주제 중 하나는 이하의 깊이에서 압축 공기를 호흡 가스로 사용하는 것이다. 일부 교육기관은 최대 60m 깊이까지 공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여전히 홍보하고 교육하지만, 다른 기관들은 이상 깊이에서 공기를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4. 3. 안전 대책

테크니컬 다이빙은 일반 레크리에이션 다이빙보다 위험성이 더 크다고 인식되지만, 철저한 훈련과 준비를 통해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 테크니컬 다이빙의 위험은 확장된 다이빙 범위, 사용 장비와 관련이 있다. 복잡한 가스 관리, 잠재적으로 호흡 불가능한 가스 사용은 산소 중독, 질소 마취, 감압병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지만, 훈련된 다이버는 비상 절차를 통해 이러한 위험을 완화할 수 있다.[6]

테크니컬 다이빙은 감압 정지가 필수적이거나 물리적 천장이 있어 수면으로 직접 상승할 수 없는 잠수를 포함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생명 유지 장비의 이중화와 절차 훈련이 매우 중요하다.[6]

장시간 또는 심해 다이빙 후에는 감압병을 예방하기 위해 질소헬륨 같은 불활성 기체를 체내에서 서서히 방출하는 감압 정지가 필요하다. 나이트록스나 순수 산소와 같은 호흡 가스 혼합물은 불활성 기체 제거 속도를 높여 감압 시간을 단축시킨다.

탁도, 실트 현상, 밀폐된 공간 등으로 시야가 제한되거나 조명이 좋지 않은 환경에서의 테크니컬 다이빙은 높은 숙련도를 요구한다. 특히 오버헤드 환경에서는 극도로 위험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기술, 신뢰할 수 있는 장비, 가이드라인에 의존하여 방향 및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6]

주요 기체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매니폴드 방식 또는 독립적인 트윈 백 마운트 실린더, 여러 개의 사이드 마운트 실린더, 또는 리브리더를 사용한다. 비상용 및 감압 기체는 별도로 휴대할 수 있으며, 실린더에는 기체 혼합물, 최대 작동 수심, 최소 작동 수심 등을 표시하여 관리한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오버헤드 환경이나 감압 의무와 같은 제약으로 인해 비상시 수중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계획, 상황 인식, 중요 장비 이중화, 절차 훈련이 필수적이다.

리브리더 다이빙의 안전 문제는 훈련, 사전 점검, 유지 관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다이버들은 장비에 익숙해지면서 사전 점검을 소홀히 하거나, 장비에 기능적 문제가 있음에도 다이빙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매우 위험하다. 리브리더의 이중화는 수중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 다이빙을 안전하게 종료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미 고장난 장비로 다이빙하는 것은 심각한 비상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4. 4. 사고 유형 및 통계

테크니컬 다이빙 관련 사고 통계는 신뢰할 만한 데이터가 부족하여 잠정적인 결론만 내릴 수 있다. 2003년 DAN(Divers Alert Network) 보고서에 따르면, 감압병 및 다이빙 사망 사고의 9.8%, 미국 내 다이빙 사망 사고의 20%가 테크니컬 다이버에게서 발생했다. 정확한 테크니컬 다이빙 횟수는 알 수 없지만, 테크니컬 다이버가 더 큰 위험에 노출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일반적인 단일 실린더 개방 회로 스쿠버 다이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개발되었기 때문에, 관련 기술과 장비가 복잡하고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다. 또한, 테크니컬 다이빙은 위험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오류나 장비 고장 발생 시 결과가 더욱 심각할 수 있다. 테크니컬 다이버는 레크리에이션 다이버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과 훈련을 받지만, 전반적으로 더 높은 위험에 처해 있으며, 특히 폐쇄 회로 재호흡기 다이빙은 위험성이 더 높을 수 있다는 징후가 있다.

일부 재호흡기 다이빙 안전 문제는 훈련을 통해 해결할 수 있지만, 테크니컬 다이버 문화의 변화가 필요한 문제도 있다. 많은 다이버들이 장비에 익숙해지면서 안전 불감증이 생겨 장비 조립 및 사용 전 점검 목록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모든 리브리더 훈련 프로그램에서 공식적으로 다루는 중요한 절차이다. 다이빙 후 유지 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시스템에 이중화 설계가 되어 있다는 이유로 장비에 기능적 문제가 있음에도 다이빙을 강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중화는 수중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다이빙을 안전하게 종료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미 고장난 장비로 다이빙을 하는 것은 단일 고장 지점을 만드는 것과 같으며, 다른 부분에서 추가 고장이 발생하면 생명을 위협하는 비상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위험이 몇 배로 증가할 수 있다.

4. 5. 운영

상대적으로 복잡한 테크니컬 다이빙 작전은 탐험 또는 전문 다이빙 작전처럼 계획되고 운영될 수 있으며, 수면 및 수중 지원 인력이 탐험 다이버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제공하거나 대기 상태로 지원할 수 있다. 수면 지원에는 수면 대기 다이버, 보트 승무원, 운반 인력, 응급 의료 인력 및 가스 블렌더가 포함될 수 있다. 수중 지원은 보충 호흡 가스를 제공하고, 긴 감압 정지 중 다이버를 모니터링하며, 수면 팀과 탐험 다이버 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위험 평가에 따라 다이빙 팀이 ROV 모니터링이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스테이지 또는 웻 벨 사용, 수면에서 감압 챔버 이용 가능 등 전문 다이빙에서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장비를 사용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 비상시 지원팀은 구조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수색 및 인양 지원을 제공한다.

5. 훈련 및 자격증

테크니컬 다이빙은 특수 장비와 훈련이 필요하다. 다양한 테크니컬 다이빙 교육 기관은 다이버 자격증 기관 목록의 테크니컬 다이빙 부분을 참조하면 된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1950년대부터 동굴(해중 종유굴, 등도 포함)이나 침선 등의 오버헤드 환경(수면으로 바로 나올 수 없는 환경) 잠수 기술 및 지식을 기반으로 발전했다. 1980년대에는 NOAA(미국 국립해양대기청) 등에서 연구해 온 혼합 기체 잠수 기술을 이용하여, 감압 정지를 수반하는 심해 잠수(수심 40m~100m 정도)를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레저 다이빙을 가리킨다. 1990년대에 잡지에서 소개된 이후 테크니컬 다이빙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스쿠버 다이빙의 한 종류이며, 레크리에이셔널 다이빙과는 구별된다. 모든 레저 다이빙의 안전 관리 기초가 되고 있으며, 케이브 다이버는 각 레크리에이셔널 다이빙 지도 단체의 트레이닝 부서에 소속되거나 고문을 맡고 있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분류되는 것 이외에도, 시스템 잠수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도의 장비를 사용하여 레크리에이셔널 다이빙의 잠수 영역에 잠수하는 레저 다이빙도 테크니컬 다이빙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technical diving'의 'technical'은 고도의 다이빙 장비만을 가리키는 형용사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것들을 사용하기 위한 기술을 일반적으로 'technical diving'이라고 부르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교량이나 유전 등 수중 공사에서 하는 잠수나, 자위대나 해상보안청 등이 하는 잠수와는 이론 등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별개의 것이다. 침선 등 수중 구조물의 내부나 물이 찬 동굴 내부에 진입하는 상급 스쿠버 다이빙을 오버헤드 환경 다이빙이라고 부르는 다이버도 있다.

테크니컬 다이빙을 실시할 때는 스몰 스텝 프로그램이 확립되어 있으며, 시니어 세대에 테크니컬 다이버가 많다. 해외 테크니컬 다이버는 정신의 안정과 신체의 유연성을 기르기 위해 요가를 도입하는 사람도 많다.

테크니컬 다이빙 훈련


테크니컬 다이빙의 역사(케이브 다이빙 포함):

  • 1946년 - CDG(영국 동굴 잠수 그룹) 설립
  • '''1950년대''' - 동굴 탐험가와 보물 사냥꾼에 의한 잠수
  • '''1960년대''' - 레크리에이션 단체 설립 급증
  • * 1968년 - NACD(미국 동굴 잠수 협회) 설립. NAUI의 Tec 부서 신설
  • '''1970년대''' - 케이브 다이빙 단체 설립 급증
  • * 1973년 - CDAA(호주 동굴 잠수 협회) 설립. NSS(미국 동굴 학회)의 동굴 잠수 부서 신설
  • '''1980년대''' - 혼합 기체 잠수 기술이 레저 분야로 진출. 케이브 다이버에 의해 레저용 혼합 기체 잠수 확립.
  • * 1985년 - IAND(현 IANTD, 국제 나이트록스 테크니컬 다이빙 협회) 설립
  • * 1987년 - PSA(현 PSAI, 국제 프로페셔널 잠수 협회) 설립
  • '''1990년대''' - 테크니컬 다이빙 단체 설립 급증
  • * 1991년 - ANDI(미국 나이트록스 잠수 협회) 설립
  • * 1992년 - 잡지에서 케이브 등에 혼합 기체 잠수를 도입한 분야를 테크니컬 다이빙으로 소개.
  • * 1994년 - TDI(국제 테크니컬 다이빙) 설립
  • * 1996년 - PADI 상품 개발 부서 DSAT(잠수 과학 기술)을 테크 레크 단체로 업무 변경(※레크리에이션과 테크니컬의 중간 위치)
  • * 1997년 - IART(국제 리브리더 트레이너 협회) 설립. TDI, IANTD, ANDI의 각 일본 지부 설립
  • * 1998년 - GUE(전 세계 수중 탐험회) 설립. DiveRite-Japan 설립
  • '''2000년대''' - 리브리더 다이빙 단체 설립 급증
  • * 2004년 - ITDA(국제 테크니컬 다이빙 협회) 설립. Halcyon-Japan 설립.

5. 1. 훈련 기관

테크니컬 다이빙 인터내셔널(TDI), 글로벌 언더워터 익스플로러스(GUE), 프로페셔널 스쿠바 어소시에이션 인터내셔널(PSAI), 국제 나이트록스 및 테크니컬 다이버 협회(IANTD), 국립 수중 강사 협회(NAUI)는 2009년 기준으로 인기가 많았다. 프로페셔널 테크니컬 앤 레크리에셔널 다이빙(ProTec)은 1997년에 추가되었다. 최근 시장에 진출한 기관으로는 [https://indiaguardian.in/split-face-diving-accident-a-cautionary-tale-of-danger-and-preparedness/ 스플릿-페이스 다이빙](UTD), 이너스페이스 익스플로러스(ISE), 다이빙 과학 및 기술(DSAT)(프로페셔널 다이버 인스트럭터 협회(PADI)의 테크니컬 부문)이 있다. 스쿠바 스쿨 인터내셔널(SSI) 테크니컬 다이빙 프로그램(TechXR – Technical eXtended Range)은 2005년에 시작되었다.

영국 수중 클럽(BSAC)은 훈련에 항상 고급 자격에 해당하는 테크니컬 요소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최근에는 모든 훈련 계획에 더 많은 테크니컬 레벨 기술 개발 과정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가장 낮은 레벨 자격인 오션 다이버에 테크니컬 인식을 도입하고, 나이트록스 훈련을 의무화하는 방식이다. 또한 최근에는 트라이믹스 자격을 도입했고, 폐쇄회로식 훈련을 계속 개발하고 있다.

테크니컬 다이빙 교육 기관들은 교육 과정과 철학에 있어 다소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일부 기관(NAUI Tec, GUE, ISE, UTD 등)은 약 30.48m에서 약 39.62m 이상 깊이에서 공기를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여기며, 헬륨이 포함된 혼합 가스 사용을 권장한다. 반면, TDI, IANTD, DSAT/PADI 등은 최대 60m 깊이까지 공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교육하며, 헬륨 혼합 가스 과정도 제공한다.

1990년대 초반, 동굴탐험가가 동굴 내 지하호수를 조사하기 위해 테크니컬 다이빙을 도입했다. 1990년대 후반, 프로샵에 의해 TDI가 도입되었고, 장비 제조업체의 판촉 목적으로 ANDI와 IANTD가 도입되었다.

5. 2. 자격증

테크니컬 다이빙 자격증은 여러 레크리에이션 다이버 교육 기관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발급하며, 교육 내용이 상당 부분 중복되거나 수심 범위에 따라 구분되기도 한다. 자격증 명칭은 기관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고급 나이트록스 다이버 (Advanced nitrox diver): 대기압에서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는 개방 회로 질소 기반 가스 혼합물을 사용하여 수중에서 다이빙을 할 수 있음을 인증한다. 또한, 다이버가 휴대하는 산소 또는 산소가 풍부한 나이트록스를 이용하여 승인된 감압 일정에 따라 감압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 정압 트리믹스 다이버 (Normoxic trimix diver): 대기압에서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는 개방 회로 트라이믹스 가스를 사용하여 수중 다이빙을 할 수 있음을 인증한다. 다이버는 휴대하는 산소 또는 산소가 풍부한 나이트록스를 사용하여 승인된 감압 일정에 따라 감압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 저산소 트리믹스 다이버 (Hypoxic trimix diver) 또는 고급 트리믹스 다이버 (Advanced trimix diver): 대기압에서 안전하게 호흡할 수 없는 개방 회로 트리믹스 가스를 사용하여 수중 다이빙을 할 수 있음을 인증한다. 수심이 얕아져 바닥 가스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이동 가스를 사용해야 하며, 다이버가 휴대하는 산소 또는 산소가 풍부한 나이트록스를 사용하여 승인된 감압 일정에 따라 감압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 리브리더 자격증: 다양한 종류의 다이빙 리브리더 사용에 대한 훈련을 받는다. 리브리더 훈련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 일반 훈련: 리브리더 종류에 따른 작동 원리와 일반적인 절차를 다룬다.
  • 특정 모델 훈련: 특정 리브리더 모델의 준비, 테스트, 사용자 유지보수, 문제 해결, 정상 작동 및 비상 절차 등을 상세히 다룬다.
  • 한 모델에서 다른 모델로 전환하는 훈련은 장비의 설계와 작동이 유사한 경우, 일반적으로 특정 모델 훈련만 받으면 된다.

  • 나이트록스 반폐쇄식 리브리더 다이버
  • 나이트록스 폐쇄식 리브리더 다이버
  • 혼합 가스 리브리더 다이버: 정압 및 저산소 수심 범위를 구분할 수 있다.

  • 케이브 다이버: 다양한 등급이 있다.

  • 침선 침투 다이버: 다양한 등급이 있다.


테크니컬 다이빙은 1990년대 초반, 동굴 탐험가들이 동굴 내 지하 호수를 조사하기 위해 도입하였다. 1990년대 후반에는 프로샵에 의해 테크니컬 다이빙 인터내셔널(TDI)이 도입되었고, 장비 제조업체의 판촉 목적으로 미국 나이트록스 다이버 협회(ANDI)와 국제 나이트록스 및 테크니컬 다이버 협회(IANTD)가 도입되었다.

6. 오버헤드 환경

오버헤드 환경이란 다이버가 수면으로 직접 올라갈 수 없는 환경을 말한다. 동굴 다이빙, 빙하 다이빙, 난파선 다이빙과 같이 물리적인 장벽이 존재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출구까지 가이드 라인 또는 생명줄을 사용하여 길을 잃을 위험을 줄인다.

오버헤드 환경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지식, 훈련, 장비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진입로 확보, 퇴적물 발생 방지, 퇴적물로 시야가 가려졌을 때 탈출 기술, 신뢰성 높은 장비 사용 등이 중요하다.

이러한 주의사항을 숙지하지 않거나, 알면서도 한계를 넘는 다이빙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6. 1. 케이브 다이빙

동굴 내 이동 작업 중


케이브 다이빙(cave diving, 케이브)은 빛이 닿지 않는 동굴에서 잠수하는 것으로, 커번(cavern, 빛이 닿는 동굴)과 구분된다. 오버헤드 환경 다이빙의 하나이다.

주로 다이버는 샘이나 해저 종유동에 잠수하고, 케이버(동굴 탐험가)는 동굴 내부에 있는 샘이나 지하호에 잠수한다.

장비로는 두 개의 호흡기(레귤레이터), 릴과 스풀, 세 개의 라이트, 표식에 사용하는 라인 애로우나 쿠키가 최소한으로 필요하다. 때로는 탱크를 겨드랑이에 장착하거나, 헬멧을 착용하고 잠수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동굴 잠수를 참조하십시오.

6. 2. 어드밴스드 렉 다이빙

테크니컬 다이빙에서 어드밴스드 렉 다이빙(wreck)은 침몰선(군함/전몰선 등)과 같이 해저에 가라앉은 인공 구조물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난파선 다이빙은 다이버가 수면으로 직접 올라가는 것을 막는 물리적 장벽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환경적" 한계가 있는 다이빙에 속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출구에서 다이버까지 이어지는 가이드 라인 또는 생명줄을 사용하여 길을 잃을 위험을 줄이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오버헤드 다이빙에서 어드밴스드 렉은 케이브 다이버에 해당하는 초급 코스이다.

7. 혼합 기체 잠수

테크니컬 다이빙은 일반 공기 대신 다른 호흡 가스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러한 혼합 기체는 잠수병이나 산소중독 같은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혼합 기체 잠수는 1980년대 NOAA 등에서 연구되었으며, 이를 통해 이전에는 잠수할 수 없었던 깊은 수심(40m~100m)에서도 안전하게 잠수할 수 있게 되었다.

감압 중


사람이 수중에 깊이 잠수할 때, 질소가 혈액에 녹아들어 부상 시 문제를 일으키는 잠수병과 질소 마취 등의 위험이 발생한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잠수 이론과 장비, 특수한 흡입 가스를 사용하는 잠수를 혼합 기체 잠수라고 한다.

혼합 기체에는 헬륨과 산소를 혼합한 헬리옥스, 헬륨, 질소, 산소를 혼합한 트리믹스 등이 있다.

스테이지 병을 장착한 다이버

7. 1. 나이트록스

나이트록스는 질소(nitrogen)와 산소(oxygen)의 혼합 기체를 가리키며, 잠수 시 감압병 발생 가능성 및 질소 마취를 줄이고 무감압 한계를 연장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산소 농도를 공기보다 높인 질소-산소 혼합 기체(enriched air nitrox)를 나이트록스(nitrox)라고 부른다. 나이트록스는 산소 농도를 높여 이점을 얻을 수 있지만, 동시에 산소중독의 위험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최대 잠수 깊이에서 산소의 분압이 일정 이하(일반적으로 140kPa, 최대 160kPa)가 되도록 산소 농도를 제한해야 한다.

나이트록스의 표기는 예를 들어 산소 40%, 질소 60%의 경우 “나이트록스 40”, “EAN40”과 같이 한다.

7. 2. 헬리옥스

헬리옥스는 헬륨(He)과 산소(O₂)의 혼합 기체이다. 헬륨은 질소에 비해 마취 작용이 훨씬 작아, 질소 마취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헬리옥스는 다음과 같은 단점들을 가진다.

  • 헬륨의 분자량은 작아 신체 조직에 대한 흡수 및 배출이 질소보다 빠르므로, 헬륨량에 따른 특수한 감압표가 필요하다.
  • 헬리옥스 내에서는 성대가 고주파로 진동하여 목소리가 가늘고 듣기 어려운, 소위 '도널드 덕 보이스'로 변한다. 이는 헬륨의 점성이 공기보다 훨씬 낮기 때문이다.
  • 헬륨은 열전도율이 공기보다 높아 체온이 쉽게 빼앗겨 저체온증의 위험이 커진다.
  • 헬륨은 가격이 비싸다.
  • 깊이 130m 이하에서는 고압 신경 증후군을 일으켜 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질소가 포함되어도 분압 320kPa 이하라면 문제가 없으므로, 트라이믹스가 더 많이 사용된다.

7. 3. 트리믹스



트라이믹스(Trimix)는 헬륨, 질소, 산소 세 가지 기체를 혼합한 호흡 기체이다. 주로 심해 잠수에서 산소 중독과 질소 중독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트라이믹스는 산소 비율(xx%)과 헬륨 비율(yy%)을 "트라이믹스 xx/yy" 형태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산소 10%, 헬륨 50%, 질소 40%인 혼합 기체는 "트라이믹스 10/50"으로 표기한다.

일반 공기는 질소 분압이 320kPa 이상이면 질소 중독 위험이 있고, 나이트록스는 산소 분압이 160kPa 이상이면 산소 중독 위험이 있다. 따라서 트라이믹스는 호흡 기체 압력이 480kPa(수심 약 48m) 이상인 깊은 잠수에서 사용된다.

헬리옥스와 트라이믹스는 산소 함량이 낮아 얕은 물에서는 산소결핍증 위험이 있으므로, 얕은 수심용 호흡 기체를 별도로 준비해야 한다.

7. 4. 감압 잠수



장시간 또는 심해 다이빙 후 다이버는 감압병(잠수병)을 예방하기 위해 감압 정지를 해야 할 수 있다. 다이버의 호흡 가스에 있는 대사적으로 불활성 기체인 질소헬륨은 고압 상태에서 호흡할 때, 주로 다이빙의 심해 단계에서 신체 조직에 흡수된다. 이러한 용해된 기체는 기포 형성과 성장을 제한하기 위해 상승 속도를 조절하여 신체 조직에서 서서히 방출되어야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수면으로 상승하는 동안 다양한 수심에서 일시 정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테크니컬 다이버는 장시간 감압 중에 산소가 풍부한 호흡 가스 혼합물(예: 나이트록스)과 순수 산소를 사용하는데, 이는 불활성 기체 제거 속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불활성 기체의 제거는 수면 간격(다이빙 사이에 수면에서 보내는 시간) 동안에도 계속되므로, 후속 다이빙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한다.

목표 잠수를 종료하고 수면으로 부상할 때 다양한 혼합 기체 또는 순수 산소를 사용하여 감압하는 잠수를 가리킨다. 대부분 나이트록스(산소 농도 50% 이상 포함)나 순수 산소를 병용하여 감압한다.

다음은 여러 테크니컬 다이빙 단체의 감압 잠수 관련 등급을 나타내는 표이다.

IANTDPSALevelANDITDIDSAT(PADI)LevelGUEPTA
딥 다이버(Deep Diver) GAS컴플릿 세이프에어 유저(Complete SafeAir User)어드밴스드 이엔 다이버(Advanced EAN Diver)테크 다이버 1(Tec Diver1)GAS테크니컬 다이버 1(Technical Diver1)감압(Decompression)
어드밴스드 이엔 다이버(Advanced EAN Diver) 
 감압(Dec)테크니컬 세이프에어 다이버(Technical SafeAir Diver)감압 절차(Decompression Procedures)테크 딥 다이버(Tec Deep Diver)감압(Dec)
테크니컬 다이버(Technical Diver) 익스텐디드 레인지 다이버(Extended Range Diver)익스텐디드 레인지 다이버(Extend Range Diver)테크니컬 다이버 2(Technical Diver2)
노르목식 트라이믹스 다이버(Normoxic Trimix Diver) 트라이믹스(Trimix)테크니컬 트라이믹스 다이버(Technical Tri-Mix Diver)엔트리 트라이믹스 다이버(Entry Trimix Diver)테크 트라이믹스 다이버(Tec Trimix Diver)트라이믹스(Trimix)테크니컬 에어(Technical Air)
트라이믹스 다이버(Trimix Diver) 인터미디어트 트라이믹스 다이버(Intermediate Tri-Mix Diver)어드밴스드 트라이믹스 다이버(Advanced Trimix Diver)테크니컬 다이버 3(Technical Diver3)테크니컬 트라이믹스(Technical Trimix)
 트라이믹스 다이버(Tri-Mix Diver)익스텐디드 테크니컬(Extended Technical)


8. 특수 장비

테크니컬 다이버는 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 다이버가 사용하는 단일 실린더 개방 회로 스쿠버 장비 외에 추가적인 다이빙 장비를 사용한다. 테크니컬 다이브는 보통 레크리에이션 스쿠버 다이브보다 시간이 길고, 감압 의무 때문에 다이버가 즉시 수면으로 올라올 수 없으므로 호흡 장비의 이중화가 필요하다. 테크니컬 다이버는 일반적으로 각각 고유한 가스 공급 시스템을 갖춘 두 개 이상의 독립적인 호흡 가스 공급원을 가진다. 한 세트가 고장나면 백업 시스템으로 다른 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백업 시스템은 다이버가 계획된 다이브의 어떤 지점에서든 안전하게 수면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하지만, 팀의 다른 다이버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스테이지 실린더는 나중에 출수 시 또는 다른 다이브를 위해 가이드라인을 따라 내려놓을 수 있다. 스테이지 실린더는 다양한 종류의 호흡용 가스로 채워진 추가적인 실린더이다.[7] 스테이지 실린더는 테크니컬 다이버의 수중 시간을 연장하거나 감압 과정을 가속화하는 데 사용된다.[8] 또한 수중에서 리프트 백(lift bags)을 채우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9]

주요 기체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구성은 매니폴드 방식 또는 독립적인 트윈 백 마운트 실린더, 여러 개의 사이드 마운트 실린더이다. 비상용 및 감압 기체는 이러한 구성에 포함될 수도 있고, 사이드 마운트 스테이지 및 감압 실린더로 별도로 휴대될 수도 있다. 실린더는 언제 어디서 사용될지에 따라 다양한 기체를 담을 수 있으며, 잘못된 수심에서 사용하면 생명을 유지할 수 없을 수도 있으므로 내용물을 명확히 식별하기 위해 표시가 되어 있다. 더 많은 수의 실린더를 관리하는 것은 다이버에게 추가적인 작업 부담이 된다. 실린더에는 일반적으로 기체 혼합물이 표시되며 최대 작동 수심과 해당되는 경우 최소 작동 수심도 표시된다.

테크니컬 다이빙에서는 장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장비를 선택한다. 안전성은 고장 시 교체 가능성이나 견고함 등을 의미한다. 주요 특수 장비는 다음과 같다.


  • 매니폴드를 사용한 더블 탱크 또는 사이드 마운트와 같은 이중 호흡 시스템
  • 백플레이트, 하네스, 블래더(bladder)를 이용한 부력 조절 장치(BCD)
  • 캐니스터 라이트(Canister Light)를 사용한 장시간 사용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비상용 백업 조명
  • 릴(Reel) 또는 스풀(Spool), 서피스 마커 부이(Surface Marker Buoy), 리프트 백(Lift Bag)
  • 폭이 넓고 짧은 핀 (스쿠버 프로 제트 핀 등)


이러한 장비들은 동굴 다이빙(케이브 다이빙), 난파선 다이빙(렉 다이빙), 심해 다이빙 등의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장비 구성을 변경하여 사용한다.

8. 1. 리브리더

CCR 리브리더 다이버


리브리더는 호흡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산소를 보충하여 재사용하는 순환식 호흡 장치로, 일반적인 스쿠버 탱크를 대체하는 장비이다. 폐쇄식(*CCR*: Closed Circuit Rebreather)과, 항상 일정량(호흡으로 소모되는 산소량의 몇 배의 산소를 포함하는)의 혼합 기체를 공급하고 여분의 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는 반폐쇄식(*SCR*: Semi-Closed Rebreather)이 있다.

9. 대한민국의 테크니컬 다이빙

대한민국에서 테크니컬 다이빙은 아직 대중화되지 않았지만, 동호인을 중심으로 점차 확산되는 추세이다.

9. 1. 사고 사례


  • 오키나와현에서 인스피레이션(Inspiration) CCR 리브리더를 사용한 초보 다이버가 단독 잠수 중 실종된 사고가 발생했다.[1]
  • 시즈오카현에서 인스피레이션(Inspiration) CCR 리브리더를 사용한 초보 다이버에게 프리다이빙 지원을 시킨 결과 실종 사고가 발생했다.[2]

참조

[1] 서적 Advanced Wreck Diving 1989
[2] 문서 Some recreational diving agencies recommend diving no deeper than 30 m (98 ft), and suggest an absolute limit of 40 m (131 ft).
[3] 서적 The Bühlmann Deep-Stop System Handbook Sub-Aqua Association 2008-03
[4] 문서 There is a reasonable body of professional opinion that considers decompression diving to be the sole differentiator for "technical" diving, but another body of professional opinion that considers all dives to be decompression dives.
[5] 문서 Some certification agencies prefer to the term "cavern diving" to cave penetration within recreational diving limits.
[6] 웹사이트 What is Technical Diving? https://vikingdives.[...] 2024-03-15
[7] 웹사이트 STAGE CYLINDER https://teclinedivin[...] 2024-11-27
[8] 웹사이트 STAGE CYLINDER https://teclinedivin[...] 2024-11-27
[9] 웹사이트 STAGE CYLINDER https://teclinedivin[...] 2024-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