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요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요가는 고대 인도에서 기원한 수행법으로, 신체적, 정신적, 영적인 훈련을 포괄하며, 다양한 정의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요가라는 단어는 '결합', '연결'을 의미하며, 마음과 몸, 자아와 우주의 연결을 상징한다. 요가의 역사는 인더스 문명에서 기원했다는 설과 베다 및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 등 여러 가지 이론이 존재하며,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는 요가 철학의 핵심 경전으로 여겨진다. 요가는 불교, 자이나교 등 다른 종교와도 연관되어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현대에는 운동, 명상, 심리 치료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건강 개선 효과가 연구되고 있지만, 부상의 위험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교 수행 - 푸자
    푸자는 힌두교에서 신에게 경의를 표하고 숭배하는 중요한 의례로, 가정이나 사원에서 다양한 형태로 행해지며, 일상생활, 축제 등 여러 상황에서 다양한 종류로 진행된다.
  • 힌두 철학 - 요가 학파
    요가 학파는 기원전 1천년기 금욕적인 환경에서 발전한 힌두교 철학 학파로,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에 체계화되어 상키아 철학과 유사하지만 신의 개념을 수용하며, 윤리적 규칙을 강조하고 무지를 제거하여 해탈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힌두 철학 - 베단타 학파
    베단타 학파는 우파니샤드를 중요시하며 브라만과 아트만의 궁극적 동일성을 설하는 인도 철학의 한 학파로, 우파니샤드, 바가바드 기타, 브라마 수트라를 주요 경전으로 삼아 다양한 해석을 제시하며 여러 학파로 나뉜다.
  • 행법 - 명상
    명상은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수행되는 심신 수련 방법으로, 정신을 집중하고 내면을 성찰하며, 스트레스 감소, 불안 완화, 집중력 향상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행법 - 탄트라
    탄트라는 인도에서 기원한 종교적, 철학적 전통으로, 만트라, 만다라, 요가 등의 수행법을 포함하며, 힌두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나타난다.
요가
요가
아노스 베일 묘지에서 요가를 하는 모습 (잉글랜드 브리스톨)
아노스 베일 묘지에서 요가를 하는 모습 (잉글랜드 브리스톨)
로마자 표기Yoga
유형정신, 신체
기원고대 인도
주요 인물파탄잘리
티루말라이 크리슈나마차리아
철학적 측면
학파힌두 철학
요가 학파
특징
관련 용어아사나
프라나야마
명상
차크라
쿤달리니
만트라
기타 정보
관련 종교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2. 역사

요가의 연대기나 기원에 대해서는 고대 인도에서 발전했다는 것 외에는 합의된 내용이 없다. 요가의 기원을 설명하는 두 가지 이론이 있는데, 선형 모델은 요가가 베다 기원이며 불교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반면 종합 모델은 요가가 베다 요소와 토착 비베다 관행의 종합이라고 본다.

요가 수행은 기원전 900년경 자이나교 전통에서 나타났을 수 있으며, 기원전 1천년 전반기 초기 우파니샤드에 요가에 대한 추측이 기록되어 있다. 자이나교불교 텍스트에도 요가에 대한 설명이 나타난다. 기원전 200년에서 서기 500년 사이에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철학의 전통이 형성되었고, 가르침은 수트라로 수집되었으며, ''파탄잘리요가샤스트라''의 철학 체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36] 중세 시대에는 여러 요가 관련 전통이 발전했다.

마우리아 시대와 굽타 시대(기원전 200년 – 서기 500년경) 사이에 힌두교, 불교 및 자이나교의 인도 전통이 형성되었으며, 요가 체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36] 이 시대의 많은 텍스트는 요가 방법과 수행에 대해 논의하고 정리했으며, 주요 저작물로는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 ''요가-야지냐발키야'', ''요가차라부미-샤스트라'' 그리고 ''비숫디막가'' 등이 있다.

인더스 문명의 파슈파티 도장, 동물에 둘러싸인 물라반다아사나 자세의 좌상, 기원전 3300년, 인도


중세 시대에는 위성 요가 전통이 발전했으며, 이 시기에 하타 요가가 등장했다.[37] 중세 힌두교에서 박티 운동은 개인 신 또는 최고 인격의 개념을 옹호했다. 6세기에서 9세기 동안 남인도에서 알바르에 의해 시작된 이 운동은 12세기에서 15세기까지 인도 전역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72] 샤이바와 바이슈나바 ''박티'' 전통은 요가 수트라의 측면(명상 수련과 같은)을 헌신과 통합했다.[38] ''바가바타 푸라나''는 크리슈나에 대한 집중을 강조하는 ''비라하''(분리) ''박티''라고 알려진 요가 형태를 설명한다.[39]

탄트라는 5세기 경 인도에서 시작된 다양한 밀교 전통이다.[73] 탄트라 요가는 우주의 소우주로서 신체에 대한 명상을 포함하는 복잡한 시각화를 발전시켰다. 여기에는 만트라, 호흡 조절, 신체 조작 (나디 및 차크라 포함)이 포함되었다. 차크라와 쿤달리니에 대한 가르침은 후기 인도 요가의 핵심이 되었다.[40] 탄트라의 개념은 힌두교, 본교, 불교, 자이나교 전통에 영향을 미쳤으며, 탄트라 의례의 요소들은 동남아시아 중세 불교 및 힌두 왕국에서 국가 기능에 채택되어 영향을 미쳤다.[41] 서기 1000년 경 하타 요가탄트라에서 등장했다.[42]

숲에서 사색하는 수행 형태는 인도에서 기원전에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시대부터 행해졌다고 전해진다.[43] 카타 우파니샤드에서는 감각 기관의 견고한 제어를 요가라고 하며,[44] 요가를 간결하게 설명하면 호흡을 조절하면서 명상하고, 황홀 상태가 되어 대상과 합체하는 기법이라고 한다.[45] 요가는 기본적으로 의식을 한 점에 집중하는 명상의 기법이며, 마음의 작용을 정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46]

요가는 원래 육체의 훈련과 정신의 수련이 결합된 종교적 구제 기술이며, 해탈이나 종교적 행복을 목적으로 한다.[47] 심신의 훈련과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라는 성격이 강하지만, 처음에는 건강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았다.[48] 범아일여를 달성하고 윤회를 벗어나는 해탈은 전통적으로 특정 브라만만이 할 수 있는 제식의 힘에 의해 가능하다고 여겨졌지만,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수행, 고행, 요가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49] 요가의 전통은 기원전 7-6세기경에 싹이 보이지만, 요가라는 말 및 사상은 인도의 긴 역사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것이다.[50]

요가는 인도의 여러 종교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불교 각 파에서도 독자적인 수행법이 발전했다.[51] 기원전 4-6세기에는 불교붓다, 자이나교마하비라가 요가 전통에 따라 명상 수행을 하고 있었으며, 자이나교에서도 요가 수행은 필수적이다.[52] 불교에서 말하는 선정이나 지관, 만다라를 사용한 명상법 등도 광의의 요가라고 할 수 있으며, 요가의 행법은 중국, 일본에도 전해졌다.[53]

; 초기 불교 - 대승 불교에서의 요가

개체의 정신적 행복을 추구하는 요가의 행법은 초기 불교에서 중시되었다.[1] 불교가 탄생하고 쇠퇴하기까지의 5·6세기 - 10·13세기에는 인도의 요가에서 불교의 요가가 주류 혹은 대동맥 중 하나였다.[2] 초기에는 정통 브라만 계급은 해탈의 가능성은 제식에 의해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개인이 요가의 실천을 통해 지혜를 얻어 해탈하는 길은 불교와 같은 집단에서 먼저 중시되게 되었다.[3] 붓다는 요가를 만인에게 해방된 지혜에 의한 해탈의 길로 중시하고 재구성하여 대전환을 가져왔다.[4]

힌두교(브라만교)의 고전 요가의 발전에 선행하여, 3-5세기의 인도의 대승 불교에서는 요가의 실수를 통해 반야 사상과 수행자의 요가 체험을 바탕으로 주관적 관념론 철학 체계를 구축한 유가행유식파(유가행파, 요가차라)가 태어났다.[5] 이들은 인간이 경험하는 사상은 모두 마음이 만들어낸 이미지에 불과하며, 마음 자체는 존재하지 않고 근원적인 심식만이 유일한 실재(유식)라고 보았다. 이러한 유식관을 이해하고 깨달음에 도달하려면 요가에 의한 단계적인 실천이 필요하다고 했다.[6]

일본에는 불교의 수행법으로 요가가 전해져 긴 전통을 가지고 있지만, 일본인의 전통 정신이 인도의 요가와 통한다고 인식하는 일본인은 거의 없다.[7]

; 브라만교 (힌두교)의 고전 요가

쇠퇴하던 베다의 종교가 불교나 토착 신앙을 받아들여 생긴 브라만교(힌두교) 또한 개체의 정신적 행복 추구를 중시하게 되었다.[8] 정통 브라만교의 요가 (고전 요가)는 4-6세기경에 체계화된 것으로 생각된다.[9] 고전 요가에 의한 해탈을 목표로 하는 요가 학파(유가파)의 경전 『요가 수트라』가 현재 남아 있지만, 요가의 싹이 보인 기원전 6-7세기부터 1000년 이상 후에 성립하고 있다.[10] 요가 학파의 전통 속에는 다양한 명상 체계가 도입되어 불교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11] 불교 이론이 브라만교 요가 체계화에 도입되었다고 생각되며, 브라만교와 불교는 상호 영향이 강하고 불가분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12] 그러나, 『요가 수트라』가 불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은 인도의 요가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그다지 중시되지 않고 있다.[13]

『요가 수트라』 전후에 성립한 후기의 고 우파니샤드는 요가의 실천을 설하는 것이 큰 특징 중 하나이며, 정통 브라만교에서는 요가 학파에 한정되지 않고 요가가 행해졌다.[14] 우파니샤드의 범아일여 사상의 흐름을 잇는 해탈로의 길인 즈냐나 마르가(지혜의 길)에서는, 감각 기관을 억제하고 윤회의 근원이 되는 행위와 욕망을 끊을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감각 기관과 마음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요가는 해탈의 수단으로 중시되었다.[15] 요가 학파는 요가 자체를 해탈의 방법으로 보았지만, 힌두교 전반에서 요가는 해탈로 가는 길의 보조적인 수단에 불과하다.[16]

; 중세의 탄트라적 요가

힌두교 수행자는 고행을 했지만, 고행은 고행자뿐만 아니라 제사에서도 정화 등을 위해 행해졌기 때문에 제사를 통해 일반화되고 요가도 영향을 받아 후대에는 고행이 채용되게 되었다.[17]

힌두교에서의 구원의 길은 상위 카스트 남성에 한정되었고, 중세에는 하층민에게도 구제의 길을 열고자 인격신에 대한 열광적 신애인 박티, 현세를 긍정하고 욕망을 해탈의 에너지로 변환하려는 탄트라의 종교적 조류가 생겼다.[18] 탄트라화된 불교인 밀교에서는 상징을 이용하여 부처와 합일(요가)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8세기가 되자 힌두교 샤크타파와 샤크티(성력) 신앙의 영향을 받은 남성 원리와 여성 원리의 합일을 목표로 하는 탄트라 불교 (후기 밀교)가 등장하여 성 요가도 실천되었다.

탄트라의 조류 속에서 힌두교 요가도 탄트라화하여 성적 · 동적인 요소를 가진 요가가 되었다. 육체적 · 생리적인 단련 (고행)을 중시하고 기의 흐름을 논하며 육체의 능력 한계에 도전하고 대우주의 절대자 브라만과의 합일을 목표로 하는 하타 요가[19]와 그 변형이 나타났다.[20]「하타」는 "힘, 폭력, 완고함" 등을 의미한다.[21] 하타 요가는 시바와 샤크티, 태양과 달, 개체와 우주 등 이원을 통합하는 "속성" 요가이다.[22] 하타 요가는 요가의 밀교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11-12세기의 시바파 (나트파)의 고라크나트를 조상으로 하며,[23] 나트파는 반불교적, 반시바파적인 양자가 섞인 형태였다. 무드라 (인상)와 프라나야마 (조식, 호흡법), 샤트카르마 (정화법) 등의 신체적 수련을 중시하고, 육체야말로 해탈을 현증해야 할 성지이며 육체 단련이 유일한 의례라고 설파하여 정통파 힌두교의 신상 예배 의례와 성지 순례를 형식주의라고 비판했다.[24]

하타 요가의 주장은 힌두교의 시바파와 탄트라 불교 (후기 밀교)의 성전군 (탄트라), 『바르두 퇴 돌 (티베트 사자의 서')』의 설과 공통점이 많고, 프라나 (생명의 바람, ), 나디 (맥관), 차크라 (나디의 총)가 중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25] 하타 요가와 차크라의 이론이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는 반면, 고전 요가와 차크라의 이론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26][27] 불교도 탄트라를 받아들여 밀교 (불교 탄트라)가 생겼지만, 힌두교의 탄트라보다 밀교의 다양한 종파가 선행하여 발전하고 있어,[28] 하타 요가의 심신관은 밀교의 요가에서도 보인다. 성적 관념을 사용하는 밀교의 성 요가는 인도 밀교로부터 티베트 밀교로 계승되었다.

; 현대의 요가

오늘날 요가라고 불리는 것의 대부분은 동적인 요가이지만, 전통적인 하타 요가의 흐름과는 다르다. 1990년대 후반부터 신체적 자세(아사나)에 중점을 둔 요가가 미국, 영국 등 영어권을 중심으로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29] 현대에는 일반적으로 "요가" 또는 "하타 요가"라고 불리는 것의 대부분은 이 요가를 가리킨다. 이 근현대의 요가는 일본에서도 미국 등의 영향으로 금세기에 들어 폭발적인 확산을 보이고 있다. 그 특징은 "아사나(자세)"의 실천에 있다. 종교학자 엘리자베스 드 미셸리스는 이러한 요가를 "현대 체조 요가 (Modern Postural Yoga)"라고 부르고 있다.[30] 이 현대의 "요가 교실" 등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요가는 20세기 전반 인도에서 서양 체조나 보디빌딩 등의 외래 신체 단련을 받아들여 인도인을 위한 국산 운동을 만들려는 움직임에서 태어난 "창조된 전통"을 직접적인 기원으로 하며, 마크 싱글턴은 현대 요가와 원래 요가에서의 "yoga"는 비슷하지만 다른 "동음이의어"라고 평가한다.[31]

이 요가는 미국에서 "스피리츄얼한 실천"으로도 해석되고 있다.[32] 현대 요가는 유파에 따라 연습 내용이 다르더라도 "고대 인도의 수행법", "아사나 (자세) · 호흡 (프라나야마 = 조식) · 명상", "과학적으로 검증된 건강 효과"라는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33] 그러나 현대 요가의 차크라 이론은 서양인 오컬티스트에 의해 하타 요가의 심신론을 바탕으로 20세기에 어레인지된 것으로, 고대 인도의 개념은 아니다.[34] 요가의 역사는 옛날부터 이어져 온, 시대를 초월한 하나의 전통적인 수행법이라는 낭만적인 이야기로서 일반적으로 퍼져 있지만, 이러한 이야기는 서양인의 낭만적인 오리엔탈리즘이나 동양학의 영향을 받고 있다.[35] 원래 종교적 실천이었던 요가는 대가를 지불하고 배우는 "상품"은 아니었지만, 현대 요가는 전문 스튜디오나 피트니스 클럽에서 유료로 제공되는 "상품"이 되고 있다.[36]

근현대 요가 역사 연구는 엘리자베스 드 미셸리스, 조셉 알터, 마크 싱글턴 등의 학자에 의해 20년 사이에 발전해 왔다.[37] 이 연구는 주로 인도 영국 식민지 시대 최성기부터의 발전과 변용에 초점을 맞춰 18세기부터 21세기까지의 실천과 사상의 흐름을 탐구하여 현대 요가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밝혀왔다.[38] 헨리 토마스 콜브룩과 같은 동양학자, 비베카난다와 같은 인도 저명인사, 신지학 협회, 유럽 보디빌딩이나 체조 그룹까지 다양한 단체의 영향이 밝혀졌다.[39]

; 건강에 대한 효과와 위험성

현대 요가는 건강법으로서 많은 효과가 선전되는 한편, 심신에 대한 다양한 위험성도 지적되고 있다.[40]

; 현대 요가의 편리성과 위험성

현대에는 다양한 문헌이 번역 · 집필되어 쉽게 구할 수 있으므로 서적이나 영상으로 독학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요가를 도입했던 옴진리교 교조 아사하라 쇼코는 정규 구루에게 배우지 않고 문헌을 바탕으로 독학으로 수행했지만, 이것이 나중에 다양한 문제를 낳게 한 요인 중 하나라고도 전해진다.[41][42] 한편, 아누사라 요가나 비크람 요가와 같은 거대 요가 교실 톱이 성희롱, 파워하라, 성범죄로 고발되는 등 권력 남용도 있어, 상업화된 현대 요가에서 지도자에게 귀의하는 것이 타당한지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43]

; 서구 · 일본에서의 여성화

요가는 인도에서는 전통적으로 남성의 것이며 현재도 인도에서는 지도자 대부분이 남성이지만, 서구에서는 지도자도 실천자도 주로 여성으로, 여성적인 실천으로 수용되고 있다.[44] 일본에서는 옴진리교 사건 후 이미지를 일신하고자 피트니스적인 요가를 젊은 여성에게 타겟으로 넓혀 유행했기 때문에 이 경향이 더욱 현저하며, 도시보다 지방에서 여성 실천자가 많다.[45] 현대 일본 요가에서는 "미"의 관념이 강조되고, 마터니티 요가나 친자 요가 등 임신 · 출산이라는 생식을 중심으로 한 여성 신체에 대한 의미 부여를 둘러싼 실천이 활발하다.[46] 요가는 전통적으로 성과의 연결이 강하고 서구에서는 요가 실천으로 섹스가 향상된다는 생각이 자주 보이며 그것을 목적으로 요가를 하는 사람도 적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생식에 직결되는 문맥을 제외하고 성적인 요소는 거의 완전히 배제되어 있다.[47]

2. 1. 인더스 문명의 인장

인더스 문명(기원전 약 3300-1700년) 유적지에서 발굴된 여러 인장들 중 일부는 사람이 요가나 명상 자세를 취하고 있는 듯한 모양을 하고 있었다. 고고학자 그레고리 포셀은 이를 "요가의 시초가 되는 제의적인 운동의 형태"라고 보며, 이에 대한 증거가 모이고 있다고 말한다.[273] 그는 후기 하라파 유적지에서 발견된 16개의 요기(Yogi) 조각에 대해 "제의적인 수양과 집중"이라고 설명했으며,[274] 이 형상이 요가 자세로 "신들과 인간 모두가 행했던" 것이라고 본다.[273]

이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파슈파티 봉인(Paśupati 封印)이다.[275] 발견자인 존 마샬은 이것이 시바의 원형이라고 주장했다.[276] 현대의 많은 고고학 권위자들은 파슈파티(Paśupati: 동물의 왕)[277]시바루드라를 나타낸다고 본다.[278][279] 그러나 갤빈 플러드는 이것이 피상적인 결론이며, 파슈파티 봉인이 요가 자세로 앉아 있는 시바루드라, 또는 요기의 형상인지, 아니면 그냥 사람 형상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276][280]

기원전 2500-1500년경 조각상


요가의 기원은 불분명한 점이 많아, 그 성립 시기를 확정하기 어렵다. 요가의 기원을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보는 것은 기원전 2500년-1800년의 인더스 문명에서 그 먼 기원을 찾는 것으로, 이는 20세기 초 고고학자들에 의해 제시되었다. 1921년에 모헨조다로하라파 유적을 발굴한 존 마셜 등은 발굴된 인장에 새겨진 도상을 좌법을 행하고 있는 시바 신의 원형으로 해석했다. 종교학자 엘리아데도 이것을 "조형된 최초의 요가 수행자의 표상"이라고 했다. 마크 싱글턴은 이 인장이 나중에 요가라고 불린 것인지 상당히 의심스럽지만, 고대 요가의 기원으로 자주 인용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사호다 츠루지가 지적하듯이, 이러한 해석은 어디까지나 추론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한다. 인더스 문명에는 문자와 비슷한 것은 있었지만 해독되지 못했고, 문헌적으로 증명할 수 없는 고고학적인 자료이기에 모든 것은 "추측" 이상으로 나아갈 수 없다고 사호다는 말한다. 인도학자 도리스 스리니바산도 이 인장에 새겨진 상을 시바 신으로 하는 것은 무리가 있고, 이것을 요가 수행법의 기원으로 해석하는 것에 부정적이다. 종교 인류학자 제프리 사무엘은, 이러한 유물에서 인더스 문명 사람들의 종교적 실천이 어떠했는지 알 수 있는 단서는 거의 없으며, 현대에 행해지고 있는 요가 실천을 보는 눈으로 과거의 유물을 보고 있다고 비판하며, 구체적인 증거가 전혀 부족한 연구의 어려움을 이야기하고 있다.

2. 2. 요가 학파

인더스 문명(기원전 약 3300-1700년) 유적에서 발굴된 인장 중 일부는 요가나 명상 자세를 취하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고고학자 그레고리 포셀은 이를 "요가의 시초가 되는 제의적인 운동 형태"라고 보며, 후기 하라파 유적에서 발견된 16개의 요기(Yogi) 조각을 "제의적인 수양과 집중"이라고 설명한다.[274]

가장 잘 알려진 파슈파티 봉인(Paśupati 封印)[275]에 대해, 발견자 존 마샬은 시바의 원형이라고 주장했다.[276] 현대 고고학 권위자들은 파슈파티(Paśupati: 동물의 왕)[277]시바루드라를 나타낸다고 보지만,[278][279] 갤빈 플러드는 이것이 피상적 결론이며, 파슈파티 봉인이 요가 자세의 시바, 루드라, 요기 형상인지, 아니면 그냥 사람 형상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276][280]

2. 2. 1. 개요

'''요가 학파'''(Yoga學派) 또는 '''요가파'''(Yoga派)는 요가 수행을 통해 모크샤(해탈)에 이르는 것을 가르치는 학파로,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 하나이다. 요가 학파의 근본 경전은 《요가 수트라》이며, 파탄잘리가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요가 수트라》는 기원후 400∼450년경에 현재와 같은 형태로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281]

요가 학파의 철학은 삼키아 학파와 거의 동일하며, 불교의 영향도 인정된다.[282] 삼키아 학파와의 주요 차이점은 요가 학파가 절대자로서의 최고신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요가 학파는 일상생활의 상대적인 동요를 초월한 절대 고요(絶對靜)의 신비적 경지인 사마디(삼매) 상태가 있으며, 이 경지에 도달할 때 '''요가''', 즉 '''절대자와의 합일'''이 실현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수행을 요가라 부르고, 수행하는 사람을 '''요기'''(Yogi) 또는 '''요가행자'''(Yoga行者), 완성자를 '''무니'''(牟尼)라고 부른다. 사마디라는 신비적 경지는 다른 힌두 학파들의 해탈 경지와 일치하므로, 각 힌두 학파들이 요가 수행을 실천법으로 사용하고 있다.[281]

요가 학파는 "요가"라는 낱말의 의미를 "마음의 통일을 이루는 것"으로 정의하며, 요가는 "마음의 작용의 지멸(止滅)"이라고 규정한다.[283] 따라서 외부적인 속박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내부적인 마음의 동요를 가라앉혀야 한다.[283]

삼키아 학파와 요가 학파의 철학에 따르면, 마음의 작용푸루샤(Cosmic Spirit)가 프라크리티(Cosmic Substance)를 자신과 동일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삼키아 학파는 이러한 동일시가 있으면 우주와 현상이 전개되고("주관과 객관의 구별이 있는 상태"), 동일시가 사라지면 우주와 현상이 해체되어 사라진다("주관과 객관의 구별이 없는 상태")고 설명한다. 요가 학파의 철학은 이러한 우주적 전개와 해체의 과정을 개별적인 영혼에 적용한 것이다.[282]

요가 학파는 요가 수행의 전제로 행하지 않아야 할 것(① 야마)과 적극적으로 행해야 할 것(② 니야마)이라는 계율을 제시한다. 이 두 가지 계율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인 수행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먼저 한적하고 고요한 장소를 선택하여 좌법(③ 아사나)에 따라 다리를 여미고 앉아 호흡(④ 프라나야마)을 가라앉혀 마음의 산란을 막는다. 5관을 제어(⑤ 프라챠하라)하여 5감의 유혹을 피하고, 마음을 집중(⑥ 다라나와 ⑦ 디야나)시킨다. 그리하여 마침내 ⑧ 사마디(삼매)에 도달한다.[283]

요가 학파에 따르면 사마디에는 깊고 얕음의 구별이 있어 사비칼파 사마디(Savikalpa samādhi 유상삼매)와 니르비칼파 사마디(Nirvikalpa samādhi 무상삼매)로 나뉜다. 전자는 대상의 의식을 수반하는 사마디이며, 대상에 속박되어 제어되고 심작용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비자 사마디(Savija samādhi 유종자삼매)라고도 한다. 그러나 니르비칼파 사마디에서는 대상의식(對象意識)을 수반하지 않고 대상에 속박되지 않으며, 심작용의 여력마저 완전히 없어지기 때문에 니르비자 사마디(Nirbija samādhi 무종자삼매)라고도 한다. 니르비칼파 사마디 또는 니르비자 사마디의 경지가 '''참된 요가'''이며, 이 경지에서 푸루샤는 관조자로서 그 자체 속에 안주한다.[283]

후대에는 ① 야마니야마아사나 ④ 프라나야마 ⑤ 프라챠하라 ⑥ 다라나 ⑦ 디야나 ⑧ 사마디의 여덟 단계로 구성된 라자 요가(Raja Yoga) 대신에, 곡예와 같은 육체적 수행을 하는 하타 요가의 실천도 성행하였다.[283]

2. 2. 2. 라자 요가

요가 학파는 요가 수행을 통해 모크샤(해탈)에 이르는 것을 가르치는 학파로,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 하나이다. 이 학파의 근본 경전은 《요가 수트라》이며, 힌두교 전통에서는 파탄잘리가 편찬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형태의 《요가 수트라》는 기원후 400∼450년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281]

요가 학파의 철학은 삼키아 학파와 거의 동일하며, 불교의 영향도 인정된다.[282] 삼키아 학파와의 주요 차이점은 요가 학파가 절대자로서의 최고신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요가 학파는 일상생활의 상대적인 동요를 초월한 절대 고요의 신비적 경지인 사마디(삼매) 상태를 추구하며, 이 경지에 도달하면 '''요가''', 즉 '''절대자와의 합일'''이 실현된다고 믿었다. 이러한 수행을 하는 사람을 '''요기'''(Yogi) 또는 '''요가행자'''(Yoga行者)라 부르고, 그 완성자를 '''무니'''(牟尼)라고 부른다. 사마디라는 신비적 경지는 다른 힌두 학파들의 해탈 경지와 일치하므로, 여러 힌두 학파들이 요가 수행을 실천법으로 사용한다.[281]

요가 학파에서는 "요가"를 "마음의 통일을 이루는 것"으로 정의하며, "마음의 작용(심작용)의 지멸(止滅)"이라고 규정한다.[283] 따라서 외부적인 속박뿐만 아니라 내부적인 마음의 동요도 가라앉혀야 한다.[283]

삼키아 학파와 요가 학파에 따르면, 마음의 작용(심작용)은 푸루샤(Cosmic Spirit)가 프라크리티(Cosmic Substance)를 자신과 동일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삼키아 학파는 이러한 동일시가 있으면 우주와 현상이 전개되고("주관과 객관의 구별이 있는 상태"), 동일시가 사라지면 우주와 현상이 해체되어 사라진다("주관과 객관의 구별이 없는 상태")고 설명한다. 요가 학파는 이러한 우주적 전개와 해체의 과정을 개별적인 영혼에 적용한다.[282]

요가 학파는 요가 수행의 전제로 ① 야마 (하지 말아야 할 것)와 ② 니야마 (적극적으로 행해야 할 것)라는 계율을 제시한다. 이러한 계율을 바탕으로 실천적인 수행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먼저 한적하고 고요한 장소를 선택하여 좌법(③ 아사나)에 따라 다리를 모으고 호흡(④ 프라나야마)을 가라앉혀 마음의 산란을 막는다. 5관을 제어(⑤ 프라챠하라)하여 5감의 유혹을 피하고, 마음을 집중(⑥ 다라나와 ⑦ 디야나)시킨다. 그리하여 마침내 ⑧ 사마디(삼매)에 도달한다.[283]

요가 학파는 사마디에도 깊이에 따라 사비칼파 사마디(유상삼매)와 니르비칼파 사마디(무상삼매)로 구분한다. 전자는 대상의 의식을 수반하고 대상에 의해 제어되며, 심작용의 잠재력을 가지므로 사비자 사마디(유종자삼매)라고도 한다. 반면 니르비칼파 사마디는 대상의식을 수반하지 않고 대상에 속박되지 않으며, 심작용의 여력마저 완전히 사라진 상태이므로 니르비자 사마디(무종자삼매)라고도 한다. 니르비칼파 사마디 또는 니르비자 사마디가 '''참된 요가'''이며, 이 경지에서 푸루샤는 관조자로서 그 자체에 안주한다.[283]

후대에는 ① 야마니야마아사나 ④ 프라나야마 ⑤ 프라챠하라 ⑥ 다라나 ⑦ 디야나 ⑧ 사마디의 여덟 단계로 구성된 라자 요가(왕의 요가 또는 요가의 왕도) 대신, 육체적 수행을 강조하는 하타 요가가 성행하기도 했다.[283]

파탄잘리를 신성한 뱀 셰샤의 화신으로 묘사한 전통적인 힌두교 도상


브라만 요가 사상의 초기 표현 중 하나는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초기 서기, 원래 이름은 ''Pātañjalayogaśāstra-sāṃkhya-pravacana''(c. 325–425 CE)였을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그것이 수트라와 주석을 포함한다고 믿는다.)에서 찾아볼 수 있다. 텍스트의 형이상학적 기반은 삼키아이다. 이 학파는 카우틸리아의 아르타샤스트라에서 요가와 ''차르바카''와 함께 ''안빅시키스''(철학)의 세 가지 범주 중 하나로 언급된다.[54][55] 요가와 삼키아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요가는 인격신 개념을 받아들였고, 삼키아는 힌두 철학의 합리적이고 무신론적인 체계였다.[123] 파탄잘리의 체계는 때때로 "세스바라 삼키아"라고 불리며, 카필라의 니리바라 삼키아와 구별된다. 요가와 삼키아 사이의 유사성은 너무나 밀접해서 막스 뮐러는 "두 철학은 대중적인 말로 주님을 가진 삼키아와 주님이 없는 삼키아로 서로 구별되었다"라고 말한다. 카렐 베르너는 요가 우파니샤드의 중기와 초기 요가 우파니샤드에서 시작된 요가의 체계화는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에서 절정에 달했다고 썼다.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
파다 (장)영어 의미수트라
사마디 파다영혼에 몰두하는 것51
사다나 파다영혼에 몰입하는 것55
비부티 파다초자연적인 능력과 선물에 대한56
카이발리아 파다절대적인 자유에 대한34



《요가 수트라》는 불교와 자이나교의 스라마나 전통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러한 전통에서 요가를 채택하려는 브라만적 시도일 수도 있다. 라르손은 고대 삼키아, 요가, 아비달마 불교에서, 특히 기원전 2세기에서 서기 1세기까지 많은 유사점을 언급했다.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는 세 가지 전통의 종합이다. 삼키아에서 그들은 ''프라크리티''와 ''푸루샤''(이원론)의 "반영적 분별력"(''아드야바사야''), 형이상학적 합리주의, 지식을 얻는 세 가지 인식론적 방법을 채택한다. 라르손은 《요가 수트라》가 아비달마 불교의 ''니로다사마디''에서 의식의 변화된 상태를 추구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불교의 "무아 또는 영혼"과 달리 요가(삼키아와 마찬가지로)는 각 개인에게 자아가 있다고 믿는다. 《요가 수트라》가 종합하는 세 번째 개념은 산야사의 명상과 자기 성찰의 전통이다.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는 요가 철학의 최초의 집대성으로 여겨진다. 《요가 수트라》의 구절은 간결하다. 많은 후대 인도 학자들이 이들을 연구하고 ''비아사 바샤''(c. 350–450 CE)와 같은 해설서를 출판했다. 파탄잘리는 그의 두 번째 수트라에서 "요가"라는 단어를 정의하며, 그의 간결한 정의는 세 가지 산스크리트어 용어의 의미에 달려 있다. I. K. 타이미니는 이를 "요가는 마음(चित्त|cittasa)의 변형(वृत्ति|vṛttisa)의 억제(निरोधः|nirodhaḥsa)이다"라고 번역한다. 스와미 비베카난다는 그 수트라를 "요가는 마음의 물질(''Citta'')이 다양한 형태(''Vrittis'')를 취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라고 번역한다. 에드윈 브라이언트(작가)는 파탄잘리에게 "요가는 본질적으로 모든 활동적 또는 담론적 사고 방식에서 벗어난 의식 상태에 도달하고, 결국에는 의식이 그 자체 외부에 있는 어떤 대상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 즉 다른 어떤 대상과 혼합되지 않은 의식으로서 자신의 본성만을 인식하는 상태에 도달하는 명상 수행으로 구성된다"라고 쓴다.[56]

바바 하리 다스는 요가가 니로다(정신 통제)로 이해된다면, 그 목표는 "''니루다''의 무조건적인 상태(그 과정의 완성)"라고 쓴다. "요가(결합)는 이원성(두 가지 사물 또는 원리의 결합과 같이)을 의미한다. 요가의 결과는 비이원적 상태... 하위 자아와 상위 자아의 결합과 같다. 비이원적 상태는 개별성의 부재로 특징지어진다. 그것은 영원한 평화, 순수한 사랑, 자기 실현, 또는 해방으로 묘사될 수 있다."

파탄잘리는 《요가 수트라》 2.29에서 팔지 요가를 정의했다.

# 야마: (5가지 금지 사항): 아힘사 (불살생, 다른 생명체를 해치지 않음),[57] 사트야 (진실성, 거짓 없음),[58] 아스테야 (도둑질하지 않음),[59] 브라마차리야 (독신, 파트너에 대한 정절),[59] 및 아파리그라하 (비탐욕, 비소유).[58]

# 니야마: (5가지 "준수 사항"): Śauca (순수, 마음, 언어, 신체의 명료함),[60] 산토샤 (만족, 다른 사람과 자신의 상황을 받아들임),[61] 타파스 (끊임없는 명상, 끈기, 고행),[62] 스바드야야 (자신에 대한 연구, 자기 성찰, 베다 연구),[63] 및 이사바라-프라니다나 (신/최고 존재/참된 자아에 대한 묵상).[61]

# 아사나: 문자적으로 "자리"를 의미하며, 파탄잘리의 수트라에서는 명상에 사용되는 앉은 자세를 나타낸다.

# 프라나야마 ("호흡 운동"): ''프라나'', 호흡, "아야마", "늘이기, 확장, 억제, 중지"

# 프라티야하라 ("추상"): 외부 대상으로부터 감각 기관의 철회.

# 다라나 ("집중"): 단일 대상에 주의를 고정하는 것.

# 드야나 ("명상"): 명상의 대상의 본성에 대한 강렬한 묵상.

# 사마디 ("해방"): 의식을 명상의 대상과 융합시키는 것.

12세기 이후 힌두교 스콜라 철학에서 요가는 베다를 받아들이는 여섯 개의 정통 철학 학파 (다르사나) 중 하나였다.

고전 요가, 아슈탕가 요가 또는 ''라자 요가''라고 자주 불리는 것은 주로 이원론적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에 개략적으로 설명된 요가이다. 고전 요가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우파니샤드에서 이 용어에 대한 초기 논의가 나타난다. ''라자 요가''(왕의 요가)는 원래 요가의 궁극적인 목표를 나타냈으며, ''사마디''를 의미했다. 하지만, 비베카난다에 의해 아슈탕가 요가의 일반적인 이름으로 대중화되었는데, 요가 수트라에서 설명된 팔지를 통해 사마디를 달성한다. 요가 철학은 서기 1천년 후반에 힌두교의 독자적인 정통 학파 (''다르샤나'')로 간주되었다.

고전 요가는 인식론, 형이상학, 윤리적 실천, 체계적인 운동, 신체, 정신 및 정신의 자기 계발을 통합한다.[56] 그것의 인식론(''프라 마나'')과 형이상학은 삼키아 학파와 유사하다. 고전 요가의 형이상학은 삼키아의 형이상학과 마찬가지로 주로 두 가지 뚜렷한 현실을 가정한다. 즉, 세 개의 ''구나''로 구성된 물질 세계의 영원하고 활동적인 무의식적 근원인 ''프라크리티''(자연)와 세상의 지적인 원리인 복수의 의식인 ''푸루샤''(의식)이다.[122] 해탈(모크샤)은 ''프라크리티''로부터 ''푸루샤''의 고립(''카이발야)''의 결과이며, 명상을 통해, 생각의 파동(''citta vritti'')을 멈추게 하고 ''푸루샤''의 순수한 의식에 안주함으로써 달성된다.[122] 비신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는 삼키아와는 달리,[123] 힌두교의 요가 학파는 "개인적이지만 본질적으로 비활성적인 신" 또는 "개인 신"(이슈바라)을 받아들인다.[124]

3. 어원

산스크리트어 명사 योग|요가|yogasa는 어근 युज्|유즈|yujsa "붙이다, 잇다, 속박하다, 멍에를 씌우다"에서 파생되었다.[1] 존스와 라이언에 따르면, "요가"라는 단어는 "멍에를 씌우다"라는 의미의 어근 yuj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아마도 초기 수행이 감각을 억제하거나 "멍에를 씌우는" 데 집중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후 이 이름은 신이나 신성과의 "연결" 또는 "멍에를 씌우는" 것에 대한 은유로도 여겨졌다.[1]

버스웰과 로페즈는 "요가"를 "'결속', '억제'"로 번역하며, 더 나아가 "영적인 수련"으로 번역한다.[2] 플러드는 마음을 억제하는 것을 마음에 멍에를 씌우는 것으로 언급한다.[3]

''요가''는 둘 다 인도유럽어족 어근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에 영어 단어 "yoke"와 동족어 관계에 있다.[4] 마이클 벌리에 따르면, "요가"라는 단어의 어근이 처음 사용된 것은 리그베다의 찬가 5.81.1절로, 떠오르는 태양신에게 바치는 구절에서 "멍에" 또는 "통제"로 해석된다.[5]

파니니(기원전 4세기)는 "요가"라는 용어가 두 개의 어근, 즉 ''yujir yoga'' (멍에를 씌우다) 또는 ''yuj samādhau'' ("집중하다")에서 파생될 수 있다고 기록했다.[6] ''요가 수트라''의 맥락에서, 전통적인 주석가들은 어근 ''yuj samādhau'' (집중하다)를 올바른 어원으로 간주한다.[7] 파니니에 따르면, 바야사(''요가 수트라''에 대한 최초의 주석을 썼다)는 요가가 ''사마디''(집중)를 의미한다고 말한다.[8] 래르슨은 비아사 바스야에서 "사마디"라는 용어가 "마음의 모든 수준"(사르바우마), 즉 "가능한 모든 의식 상태, 일반적이든 특별하든"을 의미한다고 언급한다.[9]

요가를 수행하거나, 높은 수준의 헌신으로 요가 철학을 따르는 사람은 요기라고 불리며, 여성 요기는 요기니라고도 한다.[10]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요가"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지만, 산스크리트어에서는 "यो"(요)의 글자는 항상 장모음이므로 "요가"로 발음된다. 한역은 '''상합''', '''성''', '''섭''', '''성취''', '''정근수행''' 등, 음역은 '''유가'''(유가)이다.[11]

모리모토 타츠오에 따르면, 요가는 실천자가 스스로 숲속 나무 아래의 한적한 장소에 앉아, 소나 말에 멍에를 걸어 분방한 움직임을 제어하듯이, 자신의 감각 기관을 제어하고, 명상에 의해 정신을 집중하는 (결합하는) 것을 통해 "(일상적인) 마음의 작용을 소멸"시키는 것을 의미한다.[12]

4. 요가의 정의

인더스 문명(기원전 약 3300-1700년) 유적지에서 발굴된 인장들 중 일부는 요가나 명상 자세를 취하는 듯한 모양을 하고 있었다. 고고학자 그레고리 포셀은 이를 "요가의 시초가 되는 제의적인 운동 형태"라고 보았으며, 후기 하라파 유적지에서 발견된 16개의 요기(Yogi) 조각에 대해 "제의적인 수양과 집중"을 보여준다고 설명한다.[273][274]

가장 잘 알려진 파슈파티 봉인(Paśupati 封印)에 대해, 발견자 존 마샬은 시바의 원형이라고 주장했다.[275][276] 현대 고고학 권위자들은 파슈파티(Paśupati: 동물의 왕)가 시바루드라를 나타낸다고 보지만,[277][278][279] 갤빈 플러드는 파슈파티 봉인이 요가 자세의 시바루드라, 요기인지, 아니면 사람 형상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276][280]

숲에서 사색하는 수행 형태는 기원전부터 인도에서 행해졌다.[200] 카타 우파니샤드에서는 감각 기관(인드리야)의 견고한 제어를 요가라고 하며,[201] 요가를 호흡 조절, 사념 명상, 황홀 상태에서 대상과 합체하는 기법으로 설명하기도 한다.[202] 또한, 의식을 집중하는 명상 기법이며 마음 작용을 정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설명한다.[203]

요가는 원래 육체 훈련과 정신 수련이 결합된 종교적 구제 기술로, 해탈이나 종교적 행복을 목적으로 했다.[204] 심신 훈련과 건강 유지를 위한 "기술"적 성격이 강하지만, 처음부터 건강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았다.[205][206]

범아일여를 달성하고 윤회를 벗어나는 해탈은 특정 브라만만이 제식으로 가능하다고 여겨졌으나, 누구나 실천 가능한 수행, 고행, 요가(정적인 요가)로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207] 요가 전통은 기원전 7-6세기경에 싹텄지만, '요가'라는 말과 사상은 인도 역사에서 비교적 새로운 것이다.[208][209]

요가는 인도 여러 종교에서 행해졌고, 불교 각 파에서도 독자적인 수행법이 발전했다.[210] 기원전 4-6세기 붓다(고타마 싯다르타), 자이나교마하비라는 요가 전통에 따라 명상 수행을 했고, 자이나교에서도 요가 수행은 필수적이다.[211] 불교의 선정, 지관, 만다라 명상법도 광의의 요가이며, 중국·일본에도 전해졌다.[212]

에드워드 피츠패트릭 크랭글에 따르면 힌두 연구자들은 "아리아인의 기원에서 연속적인 성장을 통해 인도 명상 수행의 기원과 초기 발달을 해석하려는" 선형 이론을 선호해왔으며, 전통적인 힌두교는 베다를 모든 영적 지식의 근원으로 여긴다. 에드윈 브라이언트는 토착 아리아주의를 지지하는 저자들이 선형 모델도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고 썼다.

4. 1. 고전 문헌의 정의

요가 학파는 요가 수트라를 근본 경전으로 삼으며, 힌두교 전통에 따르면 파탄잘리가 그 편찬자이다. 그러나 《요가 수트라》가 현재와 같은 형태로 편찬된 것은 기원후 400∼450년경으로 여겨진다.[281]

요가 학파의 철학은 삼키아 학파와 거의 동일하며, 철학적인 면에서 삼키아 학파와의 차이점은 절대자로서의 최고신을 인정한다는 것뿐이다.[282] 요가 학파에서는 일상생활의 상대적인 동요를 초월한 절대 고요의 신비적인 경지인 사마디(삼매) 상태에서 '''요가''', 즉 '''절대자와의 합일'''이 실현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수행을 요가라고 부르고, 그 수행을 행하는 사람을 '''요기'''(Yogi) 또는 '''요가행자'''(Yoga行者)라고 하며, 그 완성자를 '''무니'''(牟尼)라고 부른다. 사마디라는 신비적 경지는 다른 여러 힌두 학파해탈 경지와 일치하므로, 각 힌두 학파들이 모두 요가 수행을 실천법으로 사용한다.[281]

요가 학파에 따르면 "요가"는 "마음의 통일을 이루는 것"으로, "마음의 작용(심작용)의 지멸(止滅)"이라고 정의된다.[283] 따라서 외부적인 속박을 떠남과 동시에 내부적인 마음의 동요를 가라앉게 해야 한다.[283]

삼키아 학파와 요가 학파의 철학에 따르면, 마음의 작용(심작용)은 푸루샤(Cosmic Spirit)가 프라크리티(Cosmic Substance)를 자기 자신으로 동일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삼키아 학파에 따르면 이러한 동일시가 있으면 우주와 현상이 전개되고("주관과 객관의 구별이 있는 상태"), 이러한 동일시가 사라지면 우주와 현상이 해체되어 사라진다("주관과 객관의 구별이 없는 상태"). 이러한 우주적 전개와 해체의 과정을 설명하는 삼키아 학파의 철학을 개별적인 영혼에 적용한 것이 요가 학파의 철학이다.[282]

요가 학파에서는 요가 수행의 전제로 행하지 않아야 할 것들(① 야마)과 적극적으로 행하여야 할 것들(② 니야마)을 제시한다. 이 두 범주의 계율을 바탕으로, 한적하고 고요한 장소에서 좌법(③ 아사나)에 따라 다리를 여미고 호흡(④ 프라나야마)을 가라앉게 하여 마음의 산란을 막고, 5관을 제어(⑤ 프라챠하라)하여 5감의 유혹을 피하고, 마음을 집중(⑥ 다라나와 ⑦ 디야나)시켜 ⑧ 사마디(삼매)에 도달해야 한다고 말한다.[283]

요가 학파에 따르면 사마디에는 얕고 깊음의 구별이 있어, 사비칼파 사마디(Savikalpa samādhi)(유상삼매)와 니르비칼파 사마디(Nirvikalpa samādhi)(무상삼매)로 나뉜다. 전자는 대상 의식을 수반하고 대상에 의해 제어되며 심작용의 잠재력을 가지므로 사비자 사마디(Savija samādhi)(유종자삼매)라고도 한다. 니르비칼파 사마디는 대상 의식을 수반하지 않고 대상에 속박되지 않으며, 심작용의 여력마저 완전히 없어지기 때문에 니르비자 사마디(Nirbija samādhi)(무종자삼매)라고도 한다. 니르비칼파 사마디 또는 니르비자 사마디가 '''참된 요가'''이며, 이 경지에서 푸루샤는 관조자로서 그 자체 속에 안주한다.[283]

후대에는 ① 야마니야마아사나 ④ 프라나야마 ⑤ 프라챠하라 ⑥ 다라나 ⑦ 디야나 ⑧ 사마디의 여덟 단계로 구성된 라자 요가(Raja Yoga) (왕의 요가 또는 요가의 왕도) 대신, 곡예와 같은 육체적 수행을 하는 하타 요가가 성행하기도 했다.[283]

"요가"라는 용어는 인도 철학 및 종교 전통에서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다음은 주요 문헌에 나타난 요가의 정의를 정리한 표이다.

요가의 정의
자료 텍스트대략적인 연대요가의 정의
마이트라야니 우파니샤드기원전 4세기경"호흡(프라나), , 그리고 다차원적인 우주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이 명상 과정을 요가(결합)라고 부른다. 호흡, 마음, 감각의 일치, 그리고 모든 개념의 포기가 요가이다."[6]
바이셰시카 수트라기원전 4세기경"쾌락과 고통은 감각 기관, 마음 및 대상의 결합으로 발생한다. 마음이 자아 안에 있을 때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으면 육체를 가진 사람에게는 쾌락이나 고통이 없다. 그것이 요가이다"(5.2.15–16)[7]
카타 우파니샤드기원전 마지막 세기"다섯 개의 감각이 마음과 함께 조용히 머물고 지성이 활동적이지 않을 때, 그것이 가장 높은 상태이다. 요가는 감각의 억제이며, 일어나고 사라지는 것이다"(6.10–11)[8]
바가바드 기타기원전 2세기경"성공과 실패에서 평등한 마음을 가지는 평정심을 요가라고 한다"(2.48)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서기 첫 세기경1.2. 요가스 치타 브리티 니로다하 – "요가는 마음의 동요를 진정시키는 것이다"
1.3. 그러면 관조자는 자신의 본질적인 본성에 확립된다.
1.4. 다른 상태에서는 (관조자)가 변형(마음의)과 동화된다.[10]
요가차라부미 샤스트라, 대승 불교의 요가차라 작품서기 4세기"요가에는 믿음, 열망, 끈기, 수단의 네 가지가 있다"(2.152)[11]
Kaundinya의 파슈파타 수트라에 대한 판차르타바샤서기 4세기"요가는 자아와 주님의 결합이다"(I.I.43)
자이나교 하리바드라 수리의 요가샤타카서기 6세기"확신을 가지고 요기들의 주님은 요가를 올바른 지식(사즈냐), 올바른 교리(사다르사나) 및 올바른 행위(사차리트라)를 포함하는 세 가지 [올바른 지식]의 일치(삼반다)로 정의했는데, [그로 인해] 해탈과의 결합이 발생한다....일반적인 용어에서 요가는 또한 이러한 [세 가지]의 원인과의 [자아의] 접촉을 나타낸다." (2, 4).[12]
링가 푸라나서기 7–10세기"요가라는 단어는 시바의 상태인 열반을 의미한다."(I.8.5a)[13]
아디 샹카라의 브라흐마 수트라-바샤서기 8세기경"요가에 관한 논문에서 요가는 현실을 인식하는 수단이다(atha tattvadarsanabhyupāyo yogah)"(2.1.3)[14]
말리니비자요타라 탄트라, 비이원론적 카슈미르 시바이즘의 주요 권위자서기 6–10세기"요가는 한 개체와 다른 개체의 일치이다." (4.4–8)[15]
샤이바 시단타 학자인 나라야나칸타의 므겐드라탄트라브리티서기 6–10세기"자기 통제력을 갖는 것은 요긴이 되는 것이다. 요긴이라는 용어는 연적으로 자신의 본성의 드러남과 "결합된" 사람...시바-상태(시바트밤')을 의미한다"(yp 2a)[16]
샥타 탄트라 작품인 락슈마나데시켄드라의 사라다틸라카서기 11세기"요가 전문가들은 요가가 개인 자아(지바)와 아트만의 일치라고 말한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시바와 자아를 다르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는 것이라고 이해한다. 아가마의 학자들은 그것이 시바의 힘의 본질인 지식이라고 말한다. 다른 학자들은 그것이 근원적인 자아에 대한 지식이라고 말한다." (25.1–3b)[17]
하타 요가 작품인 요가비자서기 14세기"아파나와 프라나, 자신의 라자스와 정액, 해와 달, 개인 자아와 최고 자아의 결합, 그리고 마찬가지로 모든 이원성의 결합을 요가라고 한다." (89)[18]


4. 2. 학술적 정의

요가 학파는 요가 수행을 통해 모크샤(해탈)에 이르는 것을 가르치는 학파로,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 하나이다. 요가 학파의 근본 경전은 《요가 수트라》이며, 파탄잘리가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형태의 《요가 수트라》는 기원후 400~450년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281]

요가 학파의 철학은 불교의 영향을 받았지만, 삼키아 학파의 철학과 거의 동일하다.[282] 삼키아 학파와의 차이점은 요가 학파가 절대자로서의 최고신을 인정한다는 점이다. 요가 학파는 일상생활의 동요를 초월한 절대 고요의 신비적 경지인 사마디(삼매) 상태가 있으며, 이 경지에 도달하면 '''요가''', 즉 '''절대자와의 합일'''이 실현된다고 믿었다. 이러한 수행을 요가라고 부르고, 수행하는 사람을 '''요기'''(Yogi) 또는 '''요가행자'''(Yoga行者), 완성자를 '''무니'''(牟尼성자)라고 부른다. 사마디는 다른 힌두 학파해탈 경지와 일치하므로, 여러 힌두 학파들이 요가 수행을 실천법으로 사용한다.[281]

요가 학파는 "요가"를 "마음의 통일을 이루는 것"으로 정의하며, 요가는 "마음의 작용(심작용)의 지멸(止滅)"이라고 규정한다.[283] 따라서 외부 속박을 벗어나는 동시에 내면의 마음의 동요를 가라앉혀야 한다.[283]

삼키아 학파와 요가 학파의 철학에 따르면, 마음의 작용은 푸루샤(신아Cosmic Spirit)가 프라크리티(자성Cosmic Substance)를 자신으로 동일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삼키아 학파는 이러한 동일시가 있으면 우주와 현상이 전개되고(주관과 객관의 구별이 있는 상태), 동일시가 사라지면 우주와 현상이 해체되어 사라진다(주관과 객관의 구별이 없는 상태)고 설명한다. 이러한 우주적 전개와 해체 과정을 개별 영혼에 적용한 것이 요가 학파의 철학이다.[282]

요가 학파는 요가 수행의 전제로 행하지 않아야 할 것(① 야마)과 적극적으로 행해야 할 것(② 니야마)이라는 계율을 제시한다. 이 두 가지 계율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 수행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먼저 한적하고 고요한 장소를 선택하여 좌법(③ 아사나)에 따라 다리를 여미고 호흡(④ 프라나야마)을 가라앉혀 마음의 산란을 막는다. 5관을 제어(⑤ 프라챠하라)하여 5감의 유혹을 피하고, 마음을 집중(⑥ 다라나와 ⑦ 디야나)시킨다. 그리하여 마침내 ⑧ 사마디(삼매등지)에 도달한다.[283]

요가 학파는 사마디에 깊고 얕음의 구별이 있다고 보았다. 사비칼파 사마디(Savikalpa samādhi유상삼매)는 대상의 의식을 수반하고 대상에 의해 제어되며, 심작용의 잠재력을 가지므로 사비자 사마디(Savija samādhi유종자삼매)라고도 한다. 반면 니르비칼파 사마디(Nirvikalpa samādhi무상삼매)는 대상의식을 수반하지 않고 대상에 속박되지 않으며, 심작용의 여력마저 완전히 없어진 상태이므로 니르비자 사마디(Nirbija samādhi무종자삼매)라고도 한다. 니르비칼파 사마디 또는 니르비자 사마디가 '''참된 요가'''이며, 이 경지에서 푸루샤는 관조자로서 자체에 안주한다.[283]

후대에는 ① 야마니야마아사나 ④ 프라나야마 ⑤ 프라챠하라 ⑥ 다라나 ⑦ 디야나 ⑧ 사마디의 여덟 단계로 구성된 라자 요가(Raja Yoga: 왕의 요가 또는 요가의 왕도) 대신, 곡예와 같은 육체적 수행을 하는 하타 요가가 성행하기도 했다.[283]

5. 다른 종교와의 관계

인더스 문명(기원전 약 3300-1700년) 유적에서 발견된 인장 중 일부는 요가나 명상 자세를 취하고 있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고고학자 그레고리 포셀은 이를 "요가의 시초가 되는 제의적 운동 형태"라고 보았다.[273] 그는 후기 하라파 유적에서 발견된 16개의 요기(Yogi) 조각에 대해서는 "제의적인 수양과 집중"이라고 설명하며, 이 형상이 요가 자세로 "신들과 인간 모두가 행했던" 것이라고 본다.[273]

이 중 가장 잘 알려진 파슈파티 봉인(Paśupati 封印)[275]에 대해, 발견자 존 마샬은 시바의 원형이라고 주장했다.[276] 현대 고고학 권위자들은 파슈파티(Paśupati: 동물의 왕)[277]시바루드라를 나타낸다고 보지만,[278][279] 갤빈 플러드는 이것이 피상적 결론이며, 파슈파티 봉인이 요가 자세의 시바, 루드라, 요기 형상인지, 아니면 그냥 사람 형상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276][280]

'''요가 학파'''(Yoga學派) 또는 '''요가파'''(Yoga派)는 요가 수행으로 모크샤(해탈)에 도달하는 것을 가르치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 하나이다. 근본 경전은 《요가 수트라》이며, 파탄잘리가 편찬자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형태는 기원후 400∼450년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281]

요가 학파 철학은 삼키아 학파와 거의 동일하며, 불교의 영향도 인정된다.[282] 유일한 차이점은 절대자로서의 최고신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요가 학파는 일상생활의 동요를 초월한 절대 고요의 신비적 경지인 사마디(삼매) 상태가 있으며, 이 경지에 도달할 때 '''요가''', 즉 '''절대자와의 합일'''이 실현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수행을 요가, 수행자를 '''요기'''(Yogi) 또는 '''요가행자'''(Yoga行者), 완성자를 '''무니'''(牟尼)라고 부른다. 사마디라는 신비적 경지는 다른 힌두 학파해탈 경지와 일치하여, 각 학파들이 요가 수행을 실천법으로 사용한다.[281]

요가 학파는 "요가"를 "마음의 통일을 이루는 것"으로, "마음의 작용(심작용)의 지멸(止滅)"이라고 정의한다.[283] 외부 속박을 떠나고, 내부 마음의 동요를 가라앉혀야 한다.[283]

삼키아 학파와 요가 학파에 따르면, 마음의 작용(심작용)은 푸루샤(Cosmic Spirit)가 프라크리티(Cosmic Substance)를 자신으로 동일시하는 것이다. 삼키아 학파는 이러한 동일시가 있으면 우주와 현상이 전개되고("주관-객관 구별 상태"), 사라지면 해체된다고 본다("주관-객관 무구별 상태"). 이러한 우주적 전개와 해체 과정을 개별 영혼에 적용한 것이 요가 학파 철학이다.[282]

요가 학파는 수행 전제로 행하지 않아야 할 것(① 야마)과 적극적으로 행해야 할 것(② 니야마)을 말한다. 이 계율을 바탕으로 실천적 수행을 해야 한다. 한적하고 고요한 장소에서 좌법(③ 아사나)에 따라 다리를 여미고, 호흡(④ 프라나야마)을 가라앉혀 마음의 산란을 막고, 5관을 제어(⑤ 프라챠하라)하여 5감 유혹을 피하고, 마음을 집중(⑥ 다라나와 ⑦ 디야나)시켜 ⑧ 사마디(삼매)에 도달한다.[283]

사마디에는 사비칼파 사마디(Savikalpa samādhi 유상삼매)와 니르비칼파 사마디(Nirvikalpa samādhi 무상삼매)의 구별이 있다. 전자는 대상 의식을 수반하고 대상에 속박되며 심작용 잠재력을 가지므로 사비자 사마디(Savija samādhi 유종자삼매)라고도 한다. 니르비칼파 사마디는 대상 의식, 속박이 없고 심작용 여력도 완전히 없어 니르비자 사마디(Nirbija samādhi 무종자삼매)라고도 한다. 니르비칼파 사마디 또는 니르비자 사마디가 '''참된 요가'''이며, 이 경지에서 푸루샤는 관조자로서 자체에 안주한다.[283]

후대에는 ① 야마니야마아사나 ④ 프라나야마 ⑤ 프라챠하라 ⑥ 다라나 ⑦ 디야나 ⑧ 사마디의 여덟 단계로 구성된 라자 요가(Raja Yoga) 대신, 육체적 수행을 하는 하타 요가도 성행하였다.[283]

요가는 모든 인도 종교에서 다양하게 수행된다. 힌두교에서는 지혜 요가, 바크티 요가, 카르마 요가, 쿤달리니 요가, 하타 요가 등이 있다.

자이나교 경전 타트바르타수트라(2세기에서 5세기)에 따르면, 요가는 마음, 말, 몸의 모든 활동의 총합이다.[71] 우마스와티는 요가를 업을 생성하는 것이자 해탈의 길에 필수적인 것이라고 말한다.[71] 쿤다쿤다는 '요가 박티'를 최고의 헌신 형태로 묘사한다. 하리바드라와 헤마찬드라는 요가에서 수행자의 다섯 가지 주요 서약과 재가 신도의 12가지 부수적인 서약을 언급한다. 로버트 J. 지덴보스에 따르면 자이나교는 종교가 된 요가적 사고 체계이다.[71]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의 다섯 가지 야마(제약)는 자이나교의 다섯 가지 주요 서약과 유사하여 상호 영향을 보여준다. 힌두교가 자이나 요가에 미친 영향은 하리바드라의 요가드리스티사무차야에서 볼 수 있으며, 이 책은 파탄잘리의 팔지 요가의 영향을 받은 팔지 요가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요가는 자이나교의 핵심 수행법이었다. 자이나교 영성은 비폭력(아힘사), ( 채식주의를 포함) 자선(다나), 삼보(三寶)에 대한 믿음, 타파스와 같은 고행, 단식 및 요가를 기반으로 한다.[115] 자이나교 요가는 업의 힘으로부터 자아를 해방시키고 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업은 자아를 윤회의 굴레에 묶는다. 요가 및 상키야와 마찬가지로 자이나교는 개별적인 업에 묶인 많은 개별적 자아를 믿는다.[116] 업의 영향을 줄이고 축적된 업을 소진해야만 정화되고 해방될 수 있다. 초기 자이나교 요가는 명상, 신체 포기 (카요트사르가), 관상, 성찰(바바나)을 포함하여 여러 유형으로 나뉘었던 것으로 보인다.[117]

요가와 베단타는 힌두교 전통에서 가장 큰 두 학파이다. 이 둘은 많은 원리, 개념, 자아에 대한 믿음을 공유하지만, 정도, 스타일,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요가는 지식을 얻는 세 가지 수단을 받아들이고, 불이원 베단타는 이를 받아들인다. 요가는 불이원 베단타의 일원론에 반박한다.[64] 요가는 해탈의 상태에서 각 개인이 독립적인 정체성으로서의 자신에 대한 행복하고 자유로운 감각을 발견한다고 믿는다. 반면 불이원 베단타는 해탈의 상태에서 각 개인이 모든 것, 모든 사람, 그리고 우주적 자아와의 일체성의 일부로서 자신에 대한 행복하고 자유로운 감각을 발견한다고 가르친다. 이들은 모두 자유로운 의식이 초월적이고 해방되었으며 자각적이라고 주장한다. 불이원 베단타는 또한 최고의 선과 궁극적인 자유를 추구하는 사람들을 위해 파탄잘리의 요가 수행과 ''우파니샤드''의 사용을 권장한다.[64]

요가 단체들은 시크교가 시작될 무렵인 15세기와 16세기에 펀자브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시크교 창시자 구루 나나크 작품에는 요가를 수행하는 힌두교 공동체인 요기들과 나눈 대화가 묘사되어 있다. 구루 나나크는 하타 요가와 관련된 고행, 의식, 의례를 거부하고, 대신 사하야 요가 또는 나마 요가를 옹호했다.[89]

5. 1. 요가와 불교

요가는 다른 인도의 종교들의 종교적 믿음과 수행에 영향을 주었으며[285], 불교에서도 그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286][287]

석가모니가 행한 명상법은 불교 이전 인도에 존재하던 유일한 명상법인 요가였다. 석가모니는 요가의 숨을 멈추는 쿰바카 대신, 짧게 들이쉬고 길게 내쉬는 안반념법을 주장했다. 불경에서는 석가모니를 "최고의 요가 수행자"라고 칭하기도 한다.

한국 불교 신자들이 반야심경과 함께 암송하는 천수경신묘장구대다라니에도 요가 관련 구절이 등장한다.

티베트라마교는 경전에 따른 수행인 '람림(Lamrim)'과 힌두 요가를 결합한 밀교 수행을 제시한다.[288]

중기 대승불교는 요가불교라고 불리며, 유가사지론이 대표적이다.

부처와 그의 시종, 말을 조각한 오래된 석조 조각
보로부두르의 부처가 전사 대신 방랑하는 은둔자가 되는 부조


제프리 사무엘에 따르면, 요가 수행은 "초기 śramaṇa 운동(불교, 자이나교, 아지비카교)과 같은 금욕주의 서클에서 기원했으며, 아마도 기원전 6세기와 5세기경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인도의 제2차 도시화 기간에 해당한다. 말린슨과 싱글턴은 이 전통들이 마음과 몸의 기술(''Dhyāna''와 ''tapas''로 알려짐)을 사용하여 윤회의 고통으로부터 해방을 추구한 최초의 전통이라고 말한다.

베르너는 "부처는 자신의 [요가] 체계의 창시자였으며, 비록 그가 당대의 다양한 요가 스승에게서 이전에 얻었던 경험의 일부를 사용했다는 것을 인정한다 하더라도"라고 언급했다.

초기 불교 경전은 요가 및 명상 수행을 설명하며, 이 중 일부는 부처가 śramaṇa 전통에서 차용했다.[29][30] 팔리 경전에는 부처가 혀를 입천장에 대어 배고픔이나 마음을 통제하는 것을 설명하는 세 구절이 있다.[31] 그러나 혀를 비인두에 삽입하는 것(khecarī mudrā)에 대한 언급은 없다. 부처는 현대 요가 자세와 유사하게 발꿈치로 회음에 압력을 가하는 자세를 사용했는데, 이는 쿤달리니를 일깨우기 위해 사용된다.[32] 요가 수행에 대해 논의하는 경전에는 ''사티팟타나 수트라''(4가지 마음챙김의 근원 수트라)와 ''아나파나사티 수트라''(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수트라)가 있다.

고대 힌두교 텍스트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요가 관련 초기 불교 텍스트의 연대는 불분명하다. 맛지마니까야와 같은 초기 불교 자료는 명상을 언급하고, 앙구타라니까야는 초기 힌두교의 ''무니''(muni)와 케신(Kesin), 명상하는 수행자를 닮은 ''지야인''(jhāyins, 명상자)을 묘사하지만,[33] 이러한 경전에서는 명상 수행을 "요가"라고 부르지 않는다. 현대적 맥락에서 이해되는 불교 문헌에서 요가에 대한 가장 초기의 논의는 후기 불교의 유가행파와 상좌부 학교에서 나타난다.

자이나 명상은 불교 학교보다 앞선 요가 체계이다. 그러나 자이나교 자료가 불교 자료보다 늦기 때문에 초기 자이나교 학교와 다른 학교에서 파생된 요소를 구별하기 어렵다. 우파니샤드와 일부 불교 경전에서 언급된 다른 동시대 요가 체계의 대부분은 사라졌다.[34][35]

Old sculpture of the scholar Asanga


아비달마의 불교 전통은 불교 이론과 요가 기술에 대한 가르침을 확장하는 논문을 낳았고, 이는 대승 불교와 상좌부 불교에 영향을 미쳤다. 굽타 시대 전성기(4~5세기)에 유가차라로 알려진 북방 대승 불교 운동이 불교 학자 무착과 세친의 저술을 통해 체계화되기 시작했다. 유가차라 불교는 보살이 깨달음과 완전한 불타에 이르게 하는 수행을 위한 체계적인 틀을 제공했다.[69] 이 가르침은 백과사전인 ''요가차라부미-샤스트라''(요가 수행자를 위한 논문)에서 발견되며, 동아시아 불교와 티베트 불교 전통에 영향을 미쳤다.[70] 맬린슨과 싱글턴은 유가차라 불교 연구가 요가의 초기 역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며, 그 가르침이 ''파탄잘리 요가 수트라''에 영향을 미쳤다고 적고 있다. 남인도와 스리랑카를 기반으로 한 상좌부 불교도 요가 및 명상 훈련을 위한 매뉴얼, 주로 ''Vimuttimagga''와 ''Visuddhimagga''을 개발했다.

은 산스크리트어 ''dhyāna''에서 중국어 ''ch'an''을 거쳐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요가가 핵심 요소인 대승 불교의 한 형태이다.[85]

부처의 명상 조각상
앉아서 명상하는 고타마 붓다, 갈 비하라, 스리랑카
불교 요가는 각성에 도움이 되는 37가지 요소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방법을 포괄한다. 궁극적인 목표는 보디 (각성) 또는 열반 (소멸)이며, 전통적으로 고통(두카)과 윤회의 영구적인 종말로 여겨진다. 불교 경전은 요가 외에도 정신적 실천에 대한 많은 용어를 사용하며, ''바바나'' ("개발")와 ''자나/드야나''가 대표적이다.

초기 불교에서 요가 수행에는 다음이 포함되었다.

  • 네 가지 ''선정'' (네 가지 명상 또는 정신적 몰입)
  • 네 가지 ''사띠팟타나'' (마음챙김의 기초 또는 확립)
  • ''아나파나사티''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 네 가지 무색계 (초자연적인 정신 상태)
  • ''브라흐마비하라스'' (신성한 거처)
  • ''아누사티'' (관조, 회상)


이러한 명상은 팔정도의 다른 요소(예: 윤리, 바른 노력, 감각 억제, 바른 견해)에 의해 지원되는 것으로 여겨졌다.[118] 불교에서 요가 수행에 필수적인 두 가지 정신적 자질은 ''사마타'' (고요함, 안정)와 ''위파사나'' (통찰, 명확한 봄)이다.[119] ''사마타''는 안정되고 편안한 마음이며, ''사마디'' (정신 통일, 집중) 및 ''자나'' (명상 몰입 상태)와 관련이 있다. ''위파사나''는 현상의 참된 본질에 대한 통찰 또는 관통적 이해이며, "사물이 실제로 보이는 대로 보는 것" (''야타부탕 다르샤남'')으로도 정의된다. 고전 불교의 독특한 특징은 모든 현상(''달마'')이 자아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120][121]

불교 전통의 후기 발전은 요가 수행의 혁신으로 이어졌다. 보수적인 상좌부는 후기 작품에서 명상과 요가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했으며, 가장 영향력 있는 작품은 ''청정도론''이다. 대승 명상 가르침은 4세기경에 편찬된 ''유가차라부미-샤스트라''에서 볼 수 있다. 대승은 만트라와 다라니 사용, 정토 또는 부처의 땅에서 환생을 목표로 하는 정토 수행, 시각화와 같은 요가 방법을 개발하고 채택했다. 중국 불교는 선의 공안 자기 성찰 수행과 화두를 개발했다. 탄트라 불교는 탄트라 방식을 개발하고 채택했으며, 이는 티베트 불교 요가 시스템의 기반이 되며, 본존 요가, 구루 요가, 나로파의 육법, 칼라차크라, 마하무드라, 조그첸을 포함한다.

부처의 조각상


부처는 당시 선정의 제일인자라고 불리던 두 명의 바라문에게서 무소유처정(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아무것도 구애받지 않는다는 선정)과 비상비비상처정(무언가를 마음속에 생각하는 것도 아니고, 생각하지 않는 것도 아닌 선정)을 배웠고, 곧 스승과 같은 수준에 도달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신 집중 요가는 명상 중에는 무욕 상태가 되지만, 명상이 끝나면 다시 마음이 동요하는 일시적인 것이었다. 부처는 이 방법으로는 안락의 경지(열반), 즉 깨달음에 도달할 수 없다고 느껴 스승 곁을 떠났다.

이후 6년 동안 선정과 함께 고행(타파스)을 행했다. 호흡 억제, 단식 등의 고행과 함께 명상도 했지만, 만족할 만한 경지에 이르지 못했다. 청년 시절 농경 축제 때 나무 아래에서 초선(몸과 마음이 안정된 상태)에 도달했던 것을 떠올리고, 몸을 치유한 후 보리수 아래에서 명상하여 깨달음에 이르렀다.

마음의 작용을 정지시키는 요가 명상을 "지(사마타)"라고 부르지만[174], 부처는 이 행법을 통해 인간의 "고"의 근본 원인이 "무명"임을 자각하고, "십이연기"를 순역으로 관조하는 "관(비파사나)"에 의해 "무명"에서 벗어났다고 한다.[174] 경장 중부의 『성구경』에 따르면, 부처가 깨달음에 이르기까지의 단계는 (성찰 작용)·(고찰 작용)·희(기쁨)·안락(안락)이 있는 명상에서 불고·불락·자연 청정에 이르는 4단계의 사선과, 무변한 허공을 생각하는 경지(허공무변처), 인식 작용의 무변함을 생각하는 경지(식무변처), 무소유를 생각하는 경지(무소유처), 비상비비상처정, 생각과 감각의 작용이 정지하고 지혜로 번뇌가 완전히 멸한 경지(상수멸)까지의 9단계로 정리된다. 부처의 깨달음 내용에는 여러 전승이 있지만, 히라키 코지는 지혜자비심을 획득하고 해탈에 이르렀다고 설명한다.

불교는 베다의 제사 사상을 개인화, 내면화한 후 성립되었다. 당시 수행자들은 주술력 획득, 천계 재생, 무한한 지복 획득과 같은 현실적이고 개인적인 목적을 가지고 수행을 시작했지만, 부처는 "선"이라는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것을 추구하며 출가했고, 거기에는 개인적 구제관을 넘어서는 보편성이 있었다. 이는 그가 왕자였다는 것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부처는 윤리성을 문제 삼지 않는 현세 이익이나 내세 이익을 추구하는 주술적인 요가를 배제했으며, 불교는 바라문교와 같은 제사를 인정하지 않고 제사 문헌을 계승하지 않았다(단, 후에 탄트라를 도입한 밀교는 제사를 행하게 되었다).

주술성이 강하고 집중의 행이었던 요가는 부처에 의해 철저한 관찰·고찰을 목표로 하는 지혜 획득을 위한 행으로 변화되었다. 불교의 유가행(요가)은 부처가 깨달은 "지"와 "관"이 동시에 행해지는 지관이다.[174] 요가 관법(명상법)을 도입하여 이 기도와 명상의 기술이 다양하게 발전한 것이 불교의 특징이다. 또한, 불교는 바라문교에 앞서 철학적 사색을 깊게 하고 교리 체계(논장=아비달마)를 만들었다.

불교에서 출가자는 일상생활에서 따라야 할 실천적 규율 "(시라)"를 지켜 몸과 마음을 구속하고 욕망의 제어를 배우며, 명상 즉 요가 관법 "(사마디, 선정, 선나, 선정, 사유수라고도 함)"을 실천하는 두 가지 "수행" 과정을 거쳐, 불교 철학의 이론 ""(반야, 반야)를 배운다. 이 "삼학"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불교에서는 깨달음으로 이끄는 지혜(문사수, 통찰)를 수행 단계에 따라 분류하며, 타인에게 가르침을 듣고 이해하는 지혜(문소성혜), 도리를 고찰하여 생기는 지혜(사소성혜), 명상의 실천을 통해 체득하는 올바른 지혜(수소성혜, 관상)의 3가지가 있다. 깨달음은 사고로 도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명상의 실천을 통해 생기는 지혜로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수소성혜가 가장 중시된다.

유가행유식파의 개조라고 불리는 미륵


기원전 3세기 중반부터 약 550년 동안, 근본 분열 후 생겨난 부파불교의 번영과 대승불교의 발전이 나타났다. 3~5세기 인도 대승불교에서는 요가를 실수하는 유가사(요가 수행자)에 의해 반야 사상과 수행자의 요가 체험, 외계 존재나 심상이 사라지고 근원적인 심식만이 유일한 실존으로 남는(유식) 체험을 교리 기반으로 한 사상 체계가 생겨났다.[174] 이 학파는 유가행유식파(유가행파, 요가차라)라고 불렸고(요가 학파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바라문교의 요가 학파와는 다르다), 중관파와 함께 대승불교 사상의 핵심이었다(중관파에서는 관행이라는 행법이 행해졌다). 유가행유식파의 기본 논서는 『요가차라부미 샤스트라(유가사지론)』이다.[188] 『요가차라부미 샤스트라』에서는 "신·욕·정진·방편"이 요가이며, 정행(깨달음을 얻기 위해 실천해야 하는 올바른 수행)의 요건이 모두 포함된다고 한다.[183]

유가행유식파는 외계 대상의 존재를 부정하고, 인간이 경험하는 사상은 모두 마음이 만들어낸 이미지(상)에 불과하며, 마음 자체는 존재하지 않고, 모든 것은 이미지를 만들고 만들어지는 구조로 환원된다는 주관적 관념론 철학 체계를 만들었다. 또한, 제사상을 현상하게 하는 원동력으로서 아라야식(아뢰야식, 근본장식)을 창안했다.[174][188] 유가행자의 지관행이 깊어지는 과정으로 "자량위"·"가행위"·"통달위"·"수습위"·"구경위"의 "오위"가 설해졌다.[189]

유가행유식파는 중국 현장·기를 통해 일본 법상종의 전통으로 이어진다.[174]

7세기 법상종 승려 원측(현장의 제자)은 『해심밀경소』에서 일체승(상좌부불교와 대승불교)의 경(대상)·행(방법)·과(결과) 모두가 광의의 요가에 포함되고, 협의에는 지관이라고 하였다.[183]

인도에서 단계적으로 발전한 불교는 중국으로 전해졌지만, 거리 차이로 인해 인도의 각 교단 사상이나 수행법이 수시로 전달되지 못하고, 시계열이나 맥락을 알 수 없는 상태로 전래되었다. 중국에서는 무질서하게 전해진 불교를 정리하고 이해하기 위해 재편성해야 했다. 문헌 중심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에 요가 행(, 수행법)이 얼마나 정확하게 전해지고 실천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불교의 기본은 계율(일상 실천 규율), 정(요가 행), 지혜(불교 철학 이론)의 삼학을 배우는 것이며, 정을 거치지 않으면 계율도 지혜도 의미가 없지만, 문헌에 따라 수행법의 통일성·일관성이 없어 정(선, 선정) 체계 확립이 중국 불교의 중요한 과제였다. 천태종의 개조 지자(538-597년) 등은 중국인의 사상을 통해 경전 가르침의 깊이를 헤아려 체계화하고 재통합( 교판)하여 중국 대승 불교 수행법을 체계화하고 정학을 발전시켰다.

지자는 요가나 선나, 삼매가 아닌 "지관"이라는 말을 중시하여 인도 불교의 실천적 수행법을 모두 지관으로 통합했기 때문에, 지관이 중국 불교에서 요가 명상을 상징하는 중요한 용어이자 동아시아 불교를 대표하는 명상(수행)법이 되었다. 불교는 중국에서 도교, 유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토착화되었으며, 열반의 목적은 불성을 얻는 것이라고 여겨졌다. 천태종 수행법은 중국에서 6세기까지 보급되었던 음양오행설에 근거한 의 생리학·신체관을 기반으로, 인도의 4대 이론(3대 이론)에 근거한 신체관이 통합되어 있다.

선종이 융성하면서 "선"이라는 용어도 동아시아 불교에서 명상과 깨달음의 경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말이 되었다. 선은 도교(노장사상)의 영향을 받아 인도적 요소를 기초로 하면서도 그 제약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발전했다. 선은 명상의 종파이며, 깨달음의 방법으로 직감을 신뢰하고 명상의 실수를 궁극의 진리에 이르는 수단으로 다른 종파보다 특히 중시한다. 선종에서는 열반의 목적인 불성은 언어 표현을 초월하며, 임의로 구해서 얻을 수 없다고 하며, 일체에 사려분별을 버린 선의 실수를 통해 궁극의 진리인 에 도달할 수 있다고 했다.

5. 2. 요가와 자이나교

자이나교 경전인 타트바르타수트라(2세기에서 5세기)에 따르면, 요가는 마음, 말, 몸의 모든 활동의 총합이다.[71] 우마스와티는 요가를 업을 생성하는 것이자 해탈의 길에 필수적인 것이라고 말한다.[71] 쿤다쿤다는 저서 니야마사라에서 해탈의 길에 대한 헌신인 '요가 박티'를 최고의 헌신 형태로 묘사한다. 하리바드라와 헤마찬드라는 요가에서 수행자의 다섯 가지 주요 서약과 재가 신도의 12가지 부수적인 서약을 언급한다. 로버트 J. 지덴보스에 따르면 자이나교는 종교가 된 요가적 사고 체계이다.[71]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의 다섯 가지 야마(제약)는 자이나교의 다섯 가지 주요 서약과 유사하여 이 전통들 간의 상호 영향을 보여준다. 힌두교가 자이나 요가에 미친 영향은 하리바드라의 요가드리스티사무차야에서 볼 수 있으며, 이 책은 파탄잘리의 팔지 요가의 영향을 받은 팔지 요가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요가는 자이나교의 핵심 수행법이었다. 자이나교 영성은 비폭력(아힘사), ( 채식주의를 포함) 자선(다나), 삼보(三寶)에 대한 믿음, 타파스와 같은 고행, 단식 및 요가를 기반으로 한다.[115] 자이나교 요가는 업의 힘으로부터 자아를 해방시키고 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업은 자아를 윤회의 굴레에 묶는다. 요가 및 상키야와 마찬가지로 자이나교는 개별적인 업에 묶인 많은 개별적 자아를 믿는다.[116] 업의 영향을 줄이고 축적된 업을 소진해야만 정화되고 해방될 수 있다. 초기 자이나교 요가는 명상, 신체 포기 (카요트사르가), 관상, 성찰(바바나)을 포함하여 여러 유형으로 나뉘었던 것으로 보인다.[117]

5. 3. 요가와 기독교

요가와 베단타는 힌두교 전통에서 가장 큰 두 학파이다. 이 둘은 많은 원리, 개념, 자아에 대한 믿음을 공유하지만, 정도, 스타일,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요가는 지식을 얻는 세 가지 수단을 받아들이고, 불이원 베단타는 이를 받아들인다. 요가는 불이원 베단타의 일원론에 반박한다.[64] 요가는 해탈의 상태에서 각 개인이 독립적인 정체성으로서의 자신에 대한 행복하고 자유로운 감각을 발견한다고 믿는다. 반면 불이원 베단타는 해탈의 상태에서 각 개인이 모든 것, 모든 사람, 그리고 우주적 자아와의 일체성의 일부로서 자신에 대한 행복하고 자유로운 감각을 발견한다고 가르친다. 이들은 모두 자유로운 의식이 초월적이고 해방되었으며 자각적이라고 주장한다. 불이원 베단타는 또한 최고의 선과 궁극적인 자유를 추구하는 사람들을 위해 파탄잘리의 요가 수행과 ''우파니샤드''의 사용을 권장한다.[64]

5. 4. 요가와 이슬람교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요가와 이슬람교'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현대의 요가

오늘날 요가라고 불리는 것의 대부분은 동적인 요가이지만, 전통적인 하타 요가의 흐름과는 다르다. 1990년대 후반부터 신체적 자세(아사나)에 중점을 둔 요가가 미국, 영국 등 영어권을 중심으로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179] 현대에는 일반적으로 "요가" 또는 "하타 요가"라고 불리는 것의 대부분은 이 요가를 가리킨다. 이 근현대의 요가는 일본에서도 미국 등의 영향으로 21세기에 들어 폭발적인 확산을 보이고 있다. 그 특징은 "아사나(자세)"의 실천에 있다. 종교학자 엘리자베스 드 미셸리스는 이러한 요가를 "현대 체조 요가 (Modern Postural Yoga)"라고 부르고 있다.[180]

20세기 전반, 인도에서는 서양의 체조나 보디빌딩 등의 신체 단련을 받아들여 인도인을 위한 운동을 만들려는 움직임에서 탄생한 "창조된 전통"이 현대 요가 교실 등에서 가르쳐지는 요가의 직접적인 기원이다. 마크 싱글턴은 현대 요가와 원래 요가에서의 "yoga"는 비슷하지만 다른 "동음이의어"라고 평가한다.[193]

이 요가는 미국에서 "스피리츄얼한 실천"으로도 해석된다.[179] 현대 요가는 유파에 따라 연습 내용이 다르더라도, "고대 인도의 수행법", "아사나 (자세) · 호흡 (프라나야마 = 조식) · 명상", "과학적으로 검증된 건강에 좋은 효과"라는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193] 그러나 현대 요가의 차크라 이론은 서양인 오컬티스트에 의해 하타 요가의 심신론을 바탕으로 20세기에 변형된 것으로, 고대 인도의 개념은 아니다.[193] 요가의 역사는 옛날부터 이어져 온 하나의 전통적인 수행법이라는 낭만적인 이야기로 퍼져 있지만, 이는 서양인의 오리엔탈리즘이나 동양학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193] 원래 종교적 실천이었던 요가는 대가를 지불하고 배우는 "상품"은 아니었지만, 현대 요가는 전문 스튜디오나 피트니스 클럽에서 유료로 제공되는 "상품"이 되고 있다.[193]

엘리자베스 드 미셸리스, 조셉 알터, 마크 싱글턴 등의 학자들은 근현대 요가 역사에 관한 연구를 통해, 18세기부터 21세기까지 요가의 실천과 사상의 흐름을 탐구하고, 오늘날 일반적으로 보이는 요가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해명해 왔다.[193] 이 연구들은 헨리 토마스 콜브룩과 같은 동양학자, 비베카난다와 같은 인도의 저명인사, 신지학 협회, 유럽의 보디빌딩이나 체조 그룹 등 다양한 단체의 영향을 밝혀냈다.[193]

비틀즈


믹 재거, 브라이언 존스, 마하리쉬 마헤쉬 요기


람 다스


근대 요가는 서양 문화의 영향을 받아 체조적인 의미가 강해졌지만, 미국으로 건너가 지나친 근대주의와 서양주의에 반발하여 동양적이고 영적인 실천을 추구하는 미국인의 영향을 받아 다시 영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1960년대 대항문화가 시작되면서 주류 문화에 반항하는 젊은이들은 동양 사상, 약물 사용을 통한 뇌의 각성, 고차원의 각성을 목표로 하는 사이키델릭에 기울었다. 캘리포니아의 에슬린 연구소 등 전위적인 "성장 센터"에서 심리극, 엔카운터 그룹, 게슈탈트 치료, 홀로트로픽 호흡법, 바디워크 등 심신 기법과 함께 명상과 요가가 개인 변용 및 자기 계발의 기술로 가르쳐졌고, 인간 잠재력 운동의 중심이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서 미국에서 "뉴에이지 운동"이 일어났다.[213] 뉴에이지 운동은 동양 사상, 신비주의, 생태학 등을 받아들여 정신성을 추구하고 평화와 조화를 내걸었다.[214]

티모시 리어리는 요가 훈련과 약물에 의한 신경 활성화를 통해 인류 의식의 잠자는 회로를 깨울 수 있으며, 완전한 각성을 위해서는 우주 이주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LSD 실험을 반복한 리어리는 『티베트 사자의 서』를 히피의 경전으로 만들었다. 리어리의 동료 리처드 알퍼트는 인도를 방랑하며 힌두교 구루 님 카롤리 바바에게 귀의, 람 다스라는 이름을 얻고 요가 수행 후 미국으로 돌아와 『비 히어 나우』를 출판하여 뉴에이지 사상의 성전으로 지지받았다. 히피와 뉴에이저에 의해 많은 공동체가 만들어진 인도에서는 다양한 성자와 카리스마가 숭배되었고, "구루는 인도의 주요 수출품이다"라고 조롱받기도 했다.

몬터레이 팝 페스티벌에서는 인도인 라비 샹카르가 시타르를 연주했고, 우드스톡 페스티벌은 그 규모를 확대했다. 비틀즈는 1968년 인도로 건너가 초월명상을 전파한 마하리쉬 마헤쉬 요기의 리시케시 아슈람(도장)에서 명상과 요가를 실천했다.[215] 이때 비틀즈는 많은 사람을 동반했으며, 인도에 간 미디어도 "요가"에 주목하여 유행을 부추겼다.[215] 1970년대에는 인도인 비크람 초드리가 미국 비벌리힐스에 비크람 요가 스튜디오를 개설했다. 1960-70년대는 서구의 제1차 요가 붐이었으며, 비틀즈와 미디어도 이를 부추겼다.

1980년 켄 윌버는 초개인 심리학 이론서 『아르만 프로젝트』를 출판했는데, 이는 융 심리학 체계와 신지학적 요가론을 융합한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 미국에 600만 명의 요가 인구가 있었고 영국 내 요가 교실은 전국에 걸쳐 수천 곳이었으며, 독일, 스위스, 프랑스에서도 성행했다.

요가는 인도에서는 전통적으로 남성의 것이었지만, 서구에서는 여성적인 실천으로 수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옴진리교 사건 후 이미지를 일신하고자 피트니스 요가를 젊은 여성에게 타겟으로 넓혀 유행했기에, 이 경향이 더욱 현저하며, 도시보다 지방에서 여성 실천자가 많다. 현대 일본 요가에서는 "미"의 관념이 강조되고, 마터니티 요가나 친자 요가 등 임신 · 출산 관련 실천이 활발하다. 요가는 전통적으로 성과 연결이 강하고, 서구에서는 요가로 섹스가 향상된다는 생각이 흔하지만, 일본에서는 생식 관련 외 성적인 요소는 거의 배제되어 있다.

6. 1. 서구 사회로의 도입

N. C. 폴이 1851년에 저서 ''요가 철학 논고''를 출판하면서, 19세기 중반 요가를 포함한 인도 철학은 서구 지식인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91] 1890년대에는 스와미 비베카난다가 유럽과 미국을 순회하며 요가를 전파했는데,[92] 랄프 왈도 에머슨을 포함한 초절주의 클럽 등 지식인들의 관심에 힘입어 수용되었다.[93] 신지학헬레나 블라바츠키 또한 서구 대중의 요가에 대한 관점에 영향을 미쳤다.[94]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저서 ''요가: 불멸과 자유''에서 탄트라 요가를 강조하며 요가에 새로운 요소를 가져왔다.[95]

6. 2. 운동으로서의 요가

운동으로서의 요가는 현대 요가 르네상스의 일부로, 20세기 서구 체조와 하타 요가의 융합으로, 쉬리 요겐드라와 스와미 쿠발라야난다가 개척했다. 1900년 이전에는 하타 요가에 서서 하는 자세가 거의 없었으며, 태양 경배는 1920년대에 아운드의 라자였던 바완라오 슈리니바스라오 판트 프라티니디에 의해 개척되었다.[99] 1930년대에서 1950년대 사이에 크리슈나마차르야는 체조에서 사용되는 많은 서서 하는 자세를 마이소르에서 요가에 통합했다. 그의 제자 중 몇몇은 요가 학교를 설립했다. 파타비 조이스는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를 만들었고, 이는 파워 요가로 이어졌으며,[100] B. K. S. 아이엥가는 아이엥가 요가를 창시하고 1966년 저서 ''요가, 삶의 빛''에서 아사나를 체계화했다. 인다라 데비는 할리우드 배우들에게 요가를 가르쳤고, 크리슈나마차르야의 아들인 T. K. V. 데시카차르는 첸나이에 크리슈나마차르야 요가 만다람을 설립했다.[101][102] 20세기에 설립된 다른 학교로는 비크람 초두리의 비크람 요가와 리시케시의 스와미 시바난다의 시바난다 요가가 있다. 운동으로서의 요가는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103][104]

뉴욕시 공원에서 열린 대규모 요가 강좌


서구 사회의 자세 요가는 아사나로 구성된 신체 활동으로, 종종 부드러운 동작으로 연결되며, 때로는 호흡 운동을 동반하고, 일반적으로 휴식이나 명상으로 끝난다. 오래된 힌두교 전통(일부는 ''요가 수트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감)에서는 아사나가 거의 또는 전혀 역할을 하지 않았고, 어떤 전통에서도 중심이 아니었기에, 종종 단순히 "요가"라고 불린다.[96]

요가에서 사용되는 아사나의 수는 1830년 ''조가 프라디피카''에 묘사된 84개에서, ''요가, 삶의 빛''에는 약 200개로 증가했고, 1984년에는 다르마 미트라가 900개 이상을 수행했다. 하타 요가의 목표(에너지를 통한 영적 해방)는 피트니스와 휴식의 목표로 대체되었으며, 그 기묘한 요소의 많은 부분이 줄어들거나 제거되었다. "하타 요가"라는 용어는 종종 여성을 위한 부드러운 요가를 지칭하기도 한다.

운동으로서의 요가는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발전하여, 강좌, 강사 자격증, 의류, 서적, 비디오, 장비, 휴가 등을 포함한다.[105] 연꽃 자세와 시드아사나는 요가의 널리 알려진 상징이다. 유엔 총회는 6월 21일을 국제 요가의 날로 정했으며,[106][107][108] 2015년부터 매년 전 세계적으로 기념되고 있다.[109][110] 2016년 12월 1일, 요가는 유네스코에 의해 무형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111]

구루가 야외 명상을 이끄는 모습
2016년 뉴델리에서 열린 국제 요가의 날


운동으로서의 요가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규칙적인 수련이 요통과 스트레스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가 있다.[112][113] 2017년, 코크레인 리뷰는 만성 요통을 위해 설계된 운동으로서의 요가 중재가 6개월 시점에서 기능을 증가시키고, 3~4개월 후에 통증을 약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 감소는 요통을 위해 설계된 다른 운동 프로그램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임상적으로 유의미하다고 간주할 만큼 충분히 크지는 않았다.[114]

7. 현대 요가의 건강 효과 및 위험성

운동으로서의 요가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12][113] 규칙적인 요가 수련은 요통 완화와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112][113] 2017년 코크레인 리뷰에 따르면, 만성 요통을 위해 고안된 요가 운동은 6개월 시점에서 기능을 향상시키고, 3~4개월 후에는 통증을 কিছুটা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14] 이러한 통증 감소 효과는 요통을 위해 고안된 다른 운동 프로그램과 유사했지만,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이라고 보기에는 충분히 크지 않았다.[114]

현대 요가는 건강법으로 많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심신에 대한 다양한 위험성 또한 지적되고 있다.[181]

참조

[1] 웹사이트 Rigveda Book 5, Chapter 81 http://sa.wikisource[...] 2017-05-11
[2] 서적 A Hymn to Savitri V.81, in The Secret of Veda
[3] 서적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4] 서적 Yoga Philosophy of Patanjali with Bhasvati University of Calcutta
[5] 문서 Yogi, One who practices yoga.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6] 서적 The Upanisad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7] 문서 Vaiśeṣika Sūtra
[8] 문서 Katha Upanishad
[9] 문서 Bhagavad Gita
[10] 문서 Yoga Sutras of Patanjali
[11] 문서 Yogācārabhūmi-Śāstra
[12] 문서 Yogaśataka
[13] 문서 Linga Purana
[14] 문서 Brahmasutra-bhasya
[15] 문서 Mālinīvijayottara Tantra
[16] 문서 Mrgendratantravrtti
[17] 문서 Śaradatilaka
[18] 문서 Yogabija
[19] 간행물 The Yogīs' Latest Tric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간행물 An Archaeology of Yoga
[21] 서적 Yoga Philosophy of Patanjali with Bhasvati University of Calcutta
[22] 간행물 God's Body, or, The Lingam Made Flesh: Conflicts over the Representation of the Sexual Body of the Hindu God Shiva https://www.jstor.or[...] 2011
[23] 서적 The Master of Animals in Old World Iconography Archaeolingua Alapítvány
[24] 서적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wikisource http://sa.wikisource[...] 2016-08-22
[26] 서적 Early Advaita Vedānta and Buddhism: the Mahāyāna context of the Gauḍapādīya-kārikā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7] 간행물 The Oral Transmission of the Early Buddhist Literature http://journals.ub.u[...] 2004
[28] 서적 Buddhist Scriptures Penguin Books
[29] 서적 Theravada Buddhism: A Social History from Ancient Benares to Modern Colombo. Routledge and Kegan Paul
[30] 서적 Yoga: Discipline of Freedom: the Yoga Sutra Attributed to Patanjali; a Translation of the Text, with Commentary, Introduction, and Glossary of Keyword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1] 서적 The Khecarīvidyā of Adinathā. Routledge
[32] 문서
[33] 서적 The Two Traditions of Meditation in Ancient India Motilal Banarsidass
[34] 간행물 Thinking Through The Body: The Conceptualization Of Yoga As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Eating Disorders http://web.ebscohost[...] 2013-02-19
[35]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devraj to jyoti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36] 웹사이트 Vedanta and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http://www.accesstoi[...] 2012-08-29
[37] 웹사이트 Shvetashvatara Upanishad https://web.archive.[...] 2011-03-04
[38] 간행물 Introducing Yoga's Great Literary Heritage 1988-01
[39] 뉴스 The Hindu Yoga System https://archive.org/[...] Harvard Theological Review
[40] 웹사이트 Geography https://penelope.uch[...] Strabo 2022-11-01
[41] 서적 Essence of the Bhagavad Gita Nilgiri Press
[42] 서적 The Bhagavad Gita
[43] 서적 The Bhagavad Gita Penguin Books 2005
[44] 서적 The Bhagavad Gita – A New Translation Shambhala 2011
[45] 서적 The Two Traditions of Meditation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46] 서적 Yoga, Karma, and Rebirth: A Brief History and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47] 서적 Unifying Hinduism: Philosophy and Identity in Indian Intellectual Histor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48] 서적 Shankara and Indian Philosoph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2
[49]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2002
[50] 서적 Perception. An Essay on Classical Indian Theories of Knowledg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51] 서적 Yoga, Karma, and Rebirth: A Brief History and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52] 서적 The Nyâya Sutras https://archive.org/[...] Bhuvaneshvar Asrama Press 1913
[53]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Indian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Volume 2 Motilal Banarsidass 2004
[54] 문서 Arthasastra Book 1, Chapter 2 https://archive.org/[...]
[55] 서적 King, Governance, and Law in Ancient India: Kautilya's Arthasastra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6] 웹사이트 The Yoga Sutras of Patanjali http://www.iep.utm.e[...] 2019-05-18
[57] 서적 Yama (2) Rosen Publishing
[58] 간행물 The dharma of ethics, the ethics of dharma: Quizzing the ideals of Hinduism 2002
[59] 서적 Comparative Religions And Philosophies : Anthropomorphism And Divinity 2008
[60] 서적 Indian Political Thought Atlantic Publishers
[61] 서적 Teaching Yoga for Life 2009
[62] 간행물 Tapas 1976
[63] 간행물 Yoga and Sustainability 2008
[64] 서적 Classical Indian Metaphysics: Refutations of Realism and the Emergence of "New Logic" https://archive.org/[...] Open Court Publishing
[65] 잡지 Guided Meditation https://books.google[...] 2006-03
[66] 서적 Yoga Yajnavalkya: A Treatise on Yoga as Taught by Yogi Yajnavalkya Bombay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67] 서적 Krishnamacharya: His Life and Teachings https://books.google[...] Shambhala Publications
[68] 서적 Asian Philosophies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69] 서적 Buddhist Phenomenology: A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Yogacara Buddhism and the Ch'eng Wei-shih Lun Routledge 2002
[70] 서적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South Asian studies 2013
[71] 문서 Tattvarthasutra
[72] 서적 Songs of Experienc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73] 서적 Genesis and Development of Tantrism University of Tokyo
[74] 문서 Banerjee, S.C. 1988
[75] 문서 John Powers Routledge
[76] 문서 Yoga in Practi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77] 문서 The Bliss of Inner Fire Wisdom Publications 1998
[78] 문서 The Lion's Roar: An Introduction to Tantra Shambhala 2001
[79] 문서 Pali and Its Significance 2007
[80] 문서 Yantra Yoga: The Tibetan Yoga of Movement Snow Lion 2008
[81] 문서 The Lion's Roar: An Introduction to Tantra Shambhala 2001
[82] 문서 Secret of the Vajra World: The Tantric Buddhism of Tibet Shambhala 2002
[83] 문서 Secret of the Vajra World: The Tantric Buddhism of Tibet Shambhala 2002
[84] 문서 The Buddhist Tradition in India, China, and Japan
[85] 문서 This phenomenon merits special attention since yogic roots are to be found in the Zen Buddhist school of meditation. 2005
[86] 서적 Philosophy of Gorakhnath with Goraksha-Vacana-Sangrah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87] 문서 The earliest references to hathayoga are scattered mentions in Buddhist canonical works and their exegesis dating from the eighth century onwards, in which it is the soteriological method of last resort. 2012
[88] 문서 In its earliest definition, in Pundarīka's eleventh-century Vimalaprabhā commentary on the Kālacakratantra, hathayoga is said to bring about the "unchanging moment" (aksaraksana) "through the practice of nāda by forcefully making the breath enter the central channel and through restraining the bindu of the bodhicitta in the vajra of the lotus of wisdom". While the means employed are not specified, the ends, in particular restraining bindu, semen, and making the breath enter the central channel, are similar to those mentioned in the earliest descriptions of the practices of hathayoga, to which I now turn. 2012
[89] 서적 Introduction To Sikhism https://books.google[...] Hemkunt Press
[90] 서적 Guru Nanak https://books.google[...] Indus Source Books
[91] 웹사이트 The Little Red Book of Yoga Wisdom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4-01-07
[92] 간행물 35 Moments Yoga Journal 2010
[93] 문서 Die Philosophie der Inder A. Kroener Verlag 1974
[94] 웹사이트 Fear of Yoga http://www.utne.com/[...] Utne.com 2013-08-28
[95] 문서 Body and Cosmology in Kashmir Saivism Mellen Research University Press 1993
[96] 논문 A Preliminary Survey of Modern Yoga Studies https://wzukusers.st[...]
[97] 간행물 Modern Yoga 2019-02-23
[98] 뉴스 Once Upon A Time: From 1918, this Yoga institute has been teaching generations, creating history http://indianexpress[...] 2016-07-03
[99] 뉴스 Bhawanrao Shrinivasrao Pant Pratinidhi: The man who promoted Surya Namaskar https://economictime[...] 2018-06-15
[10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ower Yoga https://poweryoga.co[...] Power Yoga 2019-01-01
[101] 웹사이트 The New Yoga http://www.yogajourn[...] 2011-02-05
[102] 서적 Health, healing and beyond: Yoga and the living tradition of Krishnamacharya Aperture, USA
[103] 웹사이트 What's Your Style? Explore the Types of Yoga https://www.yogajour[...] 2012-11-13
[104] 뉴스 Yoga: a beginner's guide to the different styles https://www.theguard[...] 2019-02-01
[105] 뉴스 The yoga industry is booming – but does it make you a better person? https://www.theguard[...] 2017-09-17
[10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Information Centre for India and Bhutan https://web.archive.[...]
[107] 뉴스 Narendra Modi calls for International Yoga Day http://timesofindia.[...] 2014-09-28
[108] 뉴스 UN declares June 21 as 'International Day of Yoga' | India News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14-12-11
[109] 웹사이트 Massive turnout on International Day of Yoga in India https://newsroom24x7[...] 2015-06-21
[110] 뉴스 PM Modi Leads Yoga Session, India Sets Guinness Records: 10 Developments http://www.ndtv.com/[...] 2015-06-21
[111] 뉴스 Yoga joins Unesco world heritage list https://www.theguard[...] 2016-12-01
[112] 논문 The Health Benefits of Yoga and Exercise: A Review of Comparison Studies
[113] 논문 Prescribing Yoga 2010-03
[114] 논문 Yoga treatment for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2017-01-12
[115] 서적 Jain Yog Aadarsh Saahitya Sangh
[116] 서적 Sambodhi https://web.archive.[...] Aadarsh Saahitya Sangh
[117] 간행물 Prekṣā meditation : history and methods SOAS, University of London 2017
[118] 간행물 Early Buddhist Meditation Studies Barre Center for Buddhist Studies 2017
[119] 문서 One Tool Among Many, The Place of Vipassana in Buddhist Practice 1997
[120]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2004
[121]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2008
[122] 웹사이트 Sankhya,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www.iep.utm.[...]
[123] 서적 Person Purity and Power in Yogasutra, in Theory and Practice of Yoga Motilal Banarsidass
[124] 서적 Yoga: Its Scientific Basis Dover 2002
[125] 서적 Vedanta Sutras Part 1,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Oxford University Press
[126] 서적 Advaita Vedanta: A Philosophical Reconstruction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8
[127] 서적 The Method of Early Advaita Vedānta: A Study of Gauḍapāda, Śaṅkara, Sureśvara, and Padmapāda Delhi: Motilal Banarsidass 2000
[128] 서적 Śabdapramāṇa: Word and Knowledge Springer 2012
[129] 서적 Advaita Vedanta : A Philosophical Reconstruction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0
[130] 논문 The question of the importance of Samādhi in modern and classical Advaita Vedānta 1993
[131] 잡지 T.K.V. Desikachar's English translation of a 700-year-old text introduces Westerners to one of the earliest hatha yoga manuals (Review of Yogayajnavalkya Samhita by T.K.V. Desikachar) https://books.google[...] 2001-03
[132] 서적 Tantra Yoga Secrets Weiser
[133] 서적 Haṭha Yoga in the Brill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3 Brill Academic
[134] 문서
[135] 문서
[136] 문서
[137] 문서
[138] 문서
[139] 문서
[140] 문서
[141] 서적 Indian Esoteric Buddh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142] 서적 Yoga: The Technology of Ecstasy J.P. Tarcher
[143] 서적 Yoga: Mastering the Secrets of Matter and the Universe Inner Traditions / Bear & Co
[144] 문서
[145] 서적 Meditation and Mantras Motilal Banarsidass
[146] 뉴스 Trying to Reconcile the Ways of the Vatican and the East https://www.nytimes.[...] 1990-01-07
[147] 뉴스 Inside the Growing World of Christian Yoga https://www.vice.com[...] 2021-09-03
[148] 뉴스 Mental and spiritual wellness in isolation https://www.abc.net.[...] 2021-09-03
[149] 서적 Selling Yoga : from Counterculture to Pop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50] 뉴스 Vatican warns against practicing Eastern meditation https://www.washingt[...]
[151] 뉴스 Vatican sounds New Age alert http://news.bbc.co.u[...] BBC 2013-08-27
[152] 서적 Catholicism in dialogue: conversations across traditions Rowman & Littlefield
[153] 서적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154] 웹사이트 1989 Letter from Vatican to Bishops on Some Aspects of Christian Meditation http://www.ewtn.com/[...] Ewtn.com 2012-11-28
[155] 서적 Encyclopedia of New Age Beliefs Harvest House Publishers
[156] 간행물 Al-Bīrūnī's Arabic Version of Patañjali's "Yogasūtra" https://www.jstor.or[...]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2017-03-12
[157] 간행물 A Concise Historiography of Classical Yoga Philosophy Sammlung de Nobili, Institut für Südasien-, Tibet- und Buddhismuskunde der Universität Wien
[158] 서적 Historiography, Religion, and State in Medieval India
[159] 논문 Situating Sufism and Yoga https://www.cambridg[...]
[160] 웹사이트 Situating Sufism and Yoga http://www.unc.edu/~[...] 2010-09-05
[161] 간행물 Persecution and Circumspection in Shattari Sufism http://www.unc.edu/~[...] Brill 2014-08-24
[162] 웹사이트 Sidang Media – Fatwa Yoga http://www.islam.gov[...] Islam.gov.my 2010-09-05
[163] 서적 Freedom of Religion Under Bills of Rights http://www.adelaide.[...] University of Adelaide Press 2015-12-22
[164] 뉴스 Top Islamic body: Yoga is not for Muslims https://www.nbcnews.[...] NBC News
[165] 웹사이트 Mixed reactions to yoga ban http://thestar.com.m[...] Thestar.com.my 2010-09-05
[166] 웹사이트 Badawi: Yoga for Muslims OK without chant http://www.saudigaze[...]
[167] 뉴스 Indonesian clerics issue yoga ban http://news.bbc.co.u[...] 2010-04-06
[168] 웹사이트 Why give yoga religious connotation: Deoband http://specials.redi[...] 2010-09-05
[169] 서적 Selling Yoga: From Counterculture to Pop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70] 뉴스 Find alternative to yoga, urges Jakim http://ddms.usim.edu[...]
[171] 잡지 The perils of yoga: Conservative clerics are wary of a popular pastime https://www.economis[...] 2014-05-17
[172] 웹사이트 It's OK to stretch, just don't believe http://www.hurriyet.[...] Hurriyet.com.tr 2010-09-05
[173] 뉴스 Meet Nouf Marwaai, the woman behind yoga becoming 'no more a deviant behaviour' in Saudi Arabia https://economictime[...] 2017-11-15
[174] 웹사이트 雑密修験から大乗瑜伽行思想へ http://www.mikkyo21f[...] 空海誕生 -エンサイクロメディア空海- 2020-08-14
[175] 웹사이트 唯識思想 8.悟りは、瑜伽行の実践によってはじめて可能 http://www.obpen.com[...] 企業OBペンクラブ 2020-08-14
[176] 서적 The Yoga s?tras of Patanjali: a new edi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with insights from the traditional commentators https://archive.org/[...] North Point Press
[177] 서적 The Subtle Body: The Story of Yoga in America https://archive.org/[...] Farrar, Straus and Giroux
[178] 웹사이트 チベット仏教のダーキニー http://mikiomiyamoto[...] NIERIKA 2020-08-16
[179] 간행물 現代ヨーガの系譜 : スピリチュアリティ文化との融合に着目して(第十二部会,<特集>第六十九回学術大会紀要) https://doi.org/10.2[...] 日本宗教学会 2011-03-30
[180] 문서 A History of Modern Yoga : Patanjali and Western Esotericism London:Continuum
[181] 뉴스 How Yoga Can Wreck Your Body(ヨーガはどのようにあなたの身体を破壊するのか) http://www.nytimes.c[...]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2012
[182] 뉴스 After sex scandal, a Bikram yogi asks whether it’s wise to put so much faith in a guru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5-04-09
[183] 웹사이트 瑜伽 http://jodoshuzensho[...] 新纂浄土宗大辞典 2020-08-14
[184] 문서 伊藤武 ヨーギン yogin योिगन्【伊藤武のちょこっとサンスクリット語】 バン・ボーラ!
[185] 웹사이트 http://www.yogini.jp
[186] 웹사이트 ブリハディーシュワラ寺院 http://www.kamit.jp/[...]
[187] 뉴스 奴隷状態から自立へ:南インド、ダリット女性たちの物語 https://www.internat[...] INPS International Press Syndicate
[188] 웹사이트 瑜伽行派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020-08-14
[189] 웹사이트 大乗の深層心理学を問う http://www.mikkyo21f[...] 空海誕生 -エンサイクロメディア空海- 2020-08-14
[190] 웹사이트 起源は4500年前。黒魔術と言われた「ヨガ」の語源とルーツを振り返る https://yogajournal.[...] ヨガジャーナルオンライン 2020-08-02
[191] 웹사이트 六派哲学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2020-08-23
[192] 서적 世界宗教百科事典 丸善出版
[193] 웹사이트 Timeless Yoga and Sinister Yogis: David Gordon White’s Brief History of Yoga https://www.religiou[...] The Religious Studies Project 2020-08-08
[194] 웹사이트 母タントラの宗教性 ?真理観と初期中世世界 https://www.l.u-toky[...] 東京大学文学部・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 2020-08-14
[195] 웹사이트 バクティ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0-08-16
[196] 웹사이트 チベット仏教のダーキニー http://mikiomiyamoto[...] NIERIKA 2020-08-16
[197] 웹사이트 インド仏教とマンダラ https://www.kongohin[...] 野口圭也 2020-08-14
[198] 웹사이트 インド仏教史16 仏教の変遷8 大乗仏教の思想的展開 http://tokuhou-ji.co[...] 徳法寺 2020-08-19
[199] 웹사이트 イスラームのインド侵入/インドのイスラーム教 https://www.y-histor[...] 世界史の窓 2020-08-16
[200] 문서 伊藤武 ヨガ・ボディ【伊藤武のかきおろしコラム】 バン・ボーラ! 2015.07.05
[201] 서적 秘められたインド 改訂版 日本ヴェーダーンタ協会
[202] 서적 あるがままに - ラマナ・マハルシの教え ナチュラルスピリット
[203] 웹사이트 A History of Modern Yoga by de Michelis https://www.traditio[...] Traditional Yoga Studies 2011-03-25
[204] 웹사이트 Thoreau the Yogi https://dailycup.yog[...] Daily Cup of Yoga
[205] 웹사이트 Henry David Thoreau, Yoga Master https://www.mentalfl[...] MENTAL FLOSS 2013-05-06
[206] 웹사이트 DHANURĀSANA: Two Versions of Bow Pose https://www.thelumin[...] The Luminescent
[207] 웹사이트 Yoga India Inscribed in 2016 (11.COM)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http://www.unesco.or[...] Intangible Heritage UNWSCO
[208] 웹사이트 「ヨガの日」を国連に採択させたインドのソフトパワー外交 https://www.tkfd.or.[...] 東京財団 2015-03-31
[209] 문서 "身体と医療" 世界思想社
[210] 웹사이트 スワミ・ラムデブ https://kotobank.jp/[...] 日外アソシエーツ「現代外国人名録2016」 2020-10-08
[211] 서적 現代オカルトの根源 - 霊性進化論の光と闇 筑摩書房 2013
[212] 서적 現代世界宗教事典 悠書館 2009
[213] 서적 精神世界のゆくえ 秋山書店 2007
[214] 서적 スピリチュアル市場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11
[215] 웹사이트 数々の名曲が生まれた「ビートルズ・アシュラム」。インド・リシケシでファンの聖地を訪ねてみよう https://www.travel.c[...]
[216] 간행물 スピリチュアル文化風にアレンジされたヨーガ・ブームとその背景 平凡社 2007
[217] 웹사이트 世田谷区「用賀」の由来って…まさか…! 日本史からふれてみるヨガの世界 https://intojapanwar[...] 2020-01-28
[218] 논문 近代日本における神智学思想の歴史(<特集>スピリチュアリティ) https://doi.org/10.2[...] 日本宗教学会 2010
[219] 간행물 癒しの見本市『すぴこん』 平凡社 2007
[220] 웹사이트 女性の下着を透視するなど楽しいヨガ・サークルだったオウム真理教が「殺戮集団」へと変化した決定的瞬間 https://news.infosee[...] TABLO 2020-09-06
[221] 웹사이트 東京のおすすめヨガ・ピラティススタジオ https://sparesortpre[...]
[222] 웹사이트 ヨガ男性が少ない理由と男女比 https://sparesortpre[...]
[223] 간행물 YOGINI TOPICS 1 枻出版社 2016
[224] 서적 現代オカルトの根源 - 霊性進化論の光と闇 筑摩書房 2013
[225] 웹사이트 1512夜『バガヴァッド・ギーター』 https://1000ya.isis.[...] 松岡正剛の千夜千冊 2020-09-13
[226] 웹사이트 密教瞑想法・阿字観(あじかん)について http://yakushiin.com[...]
[227] 웹사이트 別記11:「阿字観」について http://fumon.jp/mate[...]
[228] 웹사이트 阿字観とは? http://www.kongosanm[...]
[229] 웹사이트 おすすめのヨガマット https://sparesortpre[...]
[230] 웹사이트 おすすめのヨガホイール https://sparesortpre[...]
[231] 논문 ヨーガの方法とその潮流:心身一体となるための身体トレーニング法とは何か https://chikushi-u.r[...] 筑紫女学園大学
[232] 웹사이트 Krishnamacharya's Legacy. http://www.yogajourn[...] 2001-05
[233] 웹사이트 おすすめ大手ホットヨガスタジオ https://sparesortpre[...]
[234] 웹사이트 “女の園”脱皮を図るホットヨガ 稼働率アップのカギは? https://web.archive.[...] SankeiiBiz 2015-12-01
[235] 논문 マインド・コントロールとセルフ・コントロール : オウム真理教事件と関連して http://id.nii.ac.jp/[...] 桃山学院大学 1995-12-20
[236] 논문 オウム真理教の研究 : 科学と宗教の関係に関連して http://id.nii.ac.jp/[...] 桃山学院大学 1996-09-30
[237] 웹사이트 200時間のヨガ教師トレーニングコース https://india.yogavi[...] 2024-08-11
[238] 웹사이트 RYT200の難易度や合格率 https://sparesortpre[...]
[239] 웹사이트 たった200時間のトレーニングでヨガ指導者になれるのか?YTTの実態と問題に迫る https://yogajournal.[...] ヨガジャーナルオンライン 2019-01-13
[240] 웹사이트 ヨガインストラクターの給料や年収 https://sparesortpre[...]
[241] 웹사이트 性的虐待に終止符を!経験者が語るヨガ界の#Timesup https://yogajournal.[...] ヨガジャーナルオンライン 2019-01-12
[242] 웹사이트 Yoga's Culture of Sexual Abuse: Nine Women Tell Their Stories(ヨーガのカルチャーにおける性的虐待:9人の女性が語った彼女たちの話) https://thewalrus.ca[...] The Walrus 2019-01-12
[243] 웹사이트 Details of John Friend’s "Blazing Solar Flames" Coven Emerge http://www.patheos.c[...] Patheos 2012-04-16
[244] 웹사이트 ジョン・フレンドとアヌサラヨガの暗転からヨガコミュニティーが学べる事 https://loveliveyoga[...] 2012-02-16
[245] 웹사이트 アヌサラヨガ:混沌の光と影 http://blog.livedoor[...] 2012-02-15
[246] 웹사이트 Scandal contorts future of John Friend, Anusara yoga https://www.washingt[...] WashingtonPost 2012-03-28
[247] 웹사이트 Running Timeline of Anusara Controversy, Updates and Teacher Resignations http://yogadork.com/[...] YogaDark 2011-11-01
[248] 뉴스 ホットヨガのビクラム・チョードリー氏、レイプ疑惑で提訴 https://www.cnn.co.j[...] CNN.co.jp 2015-02-27
[249] 웹사이트 ホットヨガ創始者のご乱心!?──ヨガ教室の元生徒がセクハラ疑惑で次々と提訴 https://gqjapan.jp/c[...] GQ JAPAN 2015-10-10
[250] 웹사이트 ヨガ界に衝撃走る、ヨギのセクハラ#MeTooストーリー https://yogajournal.[...] ヨガジャーナルオンライン 2019-01-12
[251] 뉴스 Yoga: In Depth https://nccih.nih.go[...] 미국 국립보완통합위생센터 2018-10-01
[252] 웹사이트 Yoga could slow the harmful effects of stress and inflammation https://www.health.h[...] 2022-12-03
[253] 뉴스 How Yoga Can Wreck Your Bod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Magazine 2012-01-05
[254] hardcover The Science of Yoga The Risks and the Rewards Simon & Schuster 2012-02-07
[255] 뉴스 'Yoga can damage your body' article throws exponents off-balance: A $5bn industry is outraged over a New York Times article saying that the keep fit regime is bad for your bod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The Observer 2012-01-14
[256] 간행물 Yoga in Australia: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257] 웹사이트 ヨガインストラクターの資格種類 https://sparesortpre[...]
[258] 간행물 The Devastating Potential of Blunt Vertebral Arterial Injuries 2000-05-01
[259] 간행물 Non-atheromatous causes of cerebral infarction https://www.ncbi.nlm[...] 1984-06-01
[260] 웹사이트 椎骨動脈解離 https://www.saiseika[...] 済生会 2019-01-13
[261] 간행물 Acetabular Labral Tears in Patients with Sports Injury 2009-12-01
[262] 웹사이트 先生があなたに伝えたいこと / 【後藤 公志】老後まできれいな姿勢で、健康的に歩いてほしいと願って治療にあたっています。 https://www.kansetsu[...] 人工関節と関節痛の情報サイト 【関節が痛い.com】 2019-01-13
[263] 웹사이트 アジャストメントに潜む罠 現役ヨガ講師が大怪我を通して感じたこと https://yogajournal.[...] ヨガジャーナルオンライン 2019-01-13
[264] 웹사이트 ヨガで体が…急増するトラブル https://web.archive.[...] NHK NEWS WEB 2019-01-13
[265] 웹사이트 【衝撃】ホットヨガは “ホット” だからと言ってダイエットに対して特に何の効果もないという研究結果 http://news.livedoor[...] ロケットニュース24(参照元: Mail Online) 2015-12-03
[266] 웹사이트 ホットヨガをやめたほうがいい人・やってはいけない人 https://sparesortpre[...]
[267] 인용
[268] 인용
[269] 뉴스 <뉴욕스케치>도심 공원에서 요가 강습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7-08-09
[270] 뉴스 커버스토리 2002·가을·맨해튼 '패션피플'의 라이프 스타일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2-09-26
[271] 인용
[272] 인용
[273] 인용
[274] 인용
[275] 서적 Mohenjo Daro and the Indus Civilization London 1931
[276] 인용
[277] 인용
[278] 인용
[279] 인용
[280] 인용
[281] 백과사전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정통바라문 계통의 철학체계 > 요가파
[282] 서적
[283] 백과사전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정통바라문 계통의 철학체계 > 요가파 > 요가
[284] 서적 유가사지론
[285] 서적 The Yoga Tradition: its history, literature, philosophy and practice
[286] 웹사이트 Yoga http://encarta.msn.c[...] 2005-05-21
[287] 서적 Zen Buddhism: A History (India and China)
[288] 뉴스 여적 삼보일배 경향신문 2003-05-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