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진 교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톈진 교안은 1870년 톈진에서 발생한 반기독교 폭동 사건이다. 1858년 톈진 조약 이후 기독교 선교가 허용되면서, 중국 전통 사상과 충돌하고, 선교사들의 토지 매입, 유아 납치 및 살해 루머 등이 퍼지면서 민중의 반감이 커졌다. 1870년, 유아 실종 사건과 전염병 발생, 프랑스 영사의 개입이 폭동의 도화선이 되었고, 프랑스 영사, 수녀, 신자 등 다수가 살해당했다. 청나라는 증국번을 파견하여 조사 및 협상, 배상, 관련자 처벌을 했지만, 반외세 감정은 더욱 심화되었고, 1900년 의화단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톈진 교안은 조선에도 영향을 미쳐 서구 열강의 침략에 대한 경계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안 - 금단도
금단도 사건은 1891년 청나라 시대 내몽골에서 발생한 몽골족과 한족 간 갈등으로, 금단도가 반란을 일으켜 몽골족을 공격하고 청나라가 진압군을 파견한 사건으로, 민족적 정체성 강화와 민족 갈등 심화의 계기가 되어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적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톈진 교안 | |
---|---|
지도 | |
사건 정보 | |
사건명 | 톈진 교안 |
다른 이름 | 천진 학살 |
발생 시기 | 1870년 6월 21일 |
발생 장소 | 청나라 톈진 |
원인 | 프랑스 가톨릭교회의 아동 학대 의혹 프랑스에 대한 중국인들의 불만 |
공격 대상 | 프랑스 영사관 프랑스 가톨릭 교회 프랑스인 및 외국인 |
사망자 | 20명에서 60명 사이의 외국인 다수의 중국인 기독교도 |
주요 관련자 | |
청나라 | 증국번 이홍장 |
프랑스 | 앙리 빅토르 폰타니에 |
사건 결과 | |
결과 | 청나라의 사과 및 배상금 지불 프랑스 영사관 파괴 중국 내 프랑스 세력 약화 프랑스 가톨릭교회의 입지 축소 |
영향 | 중국 내 반외세 감정 고조 중국과 서양 열강 간의 관계 악화 이후 의화단 운동의 배경 |
추가 정보 | |
관련 사건 | 톈진 조약 의화단 운동 |
참고 문헌 | 《중국 근대사》 《톈진 교안 연구》 |
2. 배경
1858년 톈진 조약으로 청나라에서 기독교 선교가 허용되면서, 선교사들은 각지에서 교회를 건설하고 선교를 시작했다. 이들은 ‘관용조관’(寛容条款)에 의해 치외법권을 인정받았다.[1]
1860년경, 라자르회(Congregation of the Mission) 소속 조셉 치우(Joseph Tsiou) 신부가 톈진에서 선교를 시작했다. 그는 숙련된 의사였으며, 치료가 어려운 중병에 걸린 유아들에게 세례를 주는 것을 관례로 삼았다. 이 때문에 세례가 사망의 원인이라는 인식이 퍼져 민중의 반발을 샀다. 치우 신부는 1861년에 사망했고, 프랑스 선교사와 성 빈첸시오 드 폴 자선 수녀회 수녀들이 그를 대신했다. 당시 유행하던 성소년회(Association of the Holy Childhood) 프로그램에 따라, 선교 활동은 병들고 버려진 아이들을 가르치고 세례를 베푸는 활동을 계속했다.[1][2]
선교사들이 값비싼 약을 만들기 위해 아이들의 눈을 적출한다는 허위 소문이 수년 동안 퍼져나갔다.[3] 1870년 6월, 고아원에 버려지거나 원치 않는 아이들을 데려온 사람들에게 소액의 현금을 주던 가톨릭 수녀들에 대한 소문이 중국 전역에 퍼졌다. 이 때문에 불법적인 아동 브로커들이 유괴에 가담하게 되었다. 1870년 내내 질병 발생으로 인해 이러한 고아원에서 사망자가 증가하면서, 톈진의 중국인들과 서양 선교사들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어 톈진 대학살(Tianjin Massacre)로 알려진 폭동이 발생했다.[4][5]
2. 1. 청나라의 개방과 기독교 선교
1858년 톈진 조약으로 청나라에서 기독교 선교가 허용되면서, 선교사들은 각지에서 활발하게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 이들은 교회를 세우고, '관용조관'에 의거하여 치외법권을 누렸다. '관용조관'은 "중국인 기독교도에게 청나라 법률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으로, 이로 인해 각지의 유민들이 교회로 몰려들어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 또한 외국인 선교사들이 중국의 토지와 건물을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얻게 되면서, 선교사들의 토지 매점과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간의 충돌이 자주 발생했다.2. 2. 치외법권과 민중의 반감
1858년 톈진 조약으로 청나라에서 기독교 선교가 승인되면서, 선교사들은 각지에서 교회를 건설하고 선교를 시작했다. 이들은 ‘관용조관’(寛容条款)에 의해 치외법권을 인정받았다.‘관용조관’은 “중국인 기독교도에게 청나라 법률을 적용하지 않는다”라는 내용으로 교회에 부여된 권한이었다. 이 때문에 각지의 유민들이 교회에 몰려들어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 또한, 외국인 선교사들이 중국의 토지와 건물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얻게 되면서, 각지에서 선교사들이 토지를 매점하여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간의 충돌이 자주 발생했다.
기독교는 전통 사상, 신앙, 풍습과 상반되는 것이었다. 선교사들은 조상 공경과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것에 반대했고, 도교와 불교를 사교로 규정했기 때문에 민중의 반감을 샀다. 이러한 민중의 반항에는 향신들의 지원이 있었으며, 초기의 충돌은 많은 관료와 향신들이 일으킨 것이었다.
2. 3. 문화적, 종교적 갈등
기독교는 조상 숭배, 제사 등 중국 전통 사상, 신앙, 풍습과 상반되는 점이 많았다. 선교사들은 도교와 불교를 사교로 규정하여 민중과 향신들의 반감을 샀다. 민중의 반항에는 향신들의 지원이 있었는데, 초기의 충돌은 많은 관료와 향신들이 일으킨 것이었다.[1]1860년경, 라자르회(Congregation of the Mission) 소속 사제인 조셉 치우(Joseph Tsiou) 신부가 톈진에서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 치우 신부는 숙련된 의사였으며, 치료할 수 없는 중병에 걸린 유아들에게 세례를 베푸는 것을 관례로 삼았다. 이로 인해 세례 자체가 사망의 원인이라는 인상이 퍼지면서 민중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1][2]
선교사들이 값비싼 약을 만들기 위해 아이들의 눈을 적출한다는 허위 소문이 수년 동안 퍼져나갔다.[3] 1870년 6월, 고아원에 버려지거나 원치 않는 아이들을 데려온 사람들에게 소액의 현금을 주던 가톨릭 수녀들에 대한 소문이 중국 전역에 퍼졌다. 이로 인해 불법적인 아동 브로커들이 유괴에 가담하게 되었다. 1870년 내내 질병 발생으로 인해 이러한 고아원에서 사망자가 증가했다.[4][5]
3. 톈진 교안의 전개
1870년 톈진에서는 유아 실종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고, 전염병으로 인해 고아원에서 많은 아이들이 사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아원의 수녀들이 아이들을 살해하여 약재로 사용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민심이 흉흉해졌다.
6월 20일, 유괴범이 체포되었으나 조사 결과 이는 거짓으로 밝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분노한 군중들은 교회를 둘러싸고 시위를 벌였다. 프랑스 영사 앙리 퐁타니에는 청나라 당국에 진압을 요구했지만, 만족스러운 답변을 얻지 못하고 오히려 총격 사건을 일으켜 민중의 분노를 더욱 키웠다.
결국 분노한 군중들은 프랑스 영사관을 비롯한 외국 시설과 교회를 공격하고, 수녀, 신부, 외국인, 중국인 신자 등 많은 사람들을 살해했다. 이 사건으로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 열강은 청나라 정부에 강력하게 항의했다.[12]
3. 1. 유언비어 확산
1870년 4월부터 5월까지 톈진에서 유아가 실종되는 사건이 잇따라 일어났다. 6월에 전염병이 유행하고 육영당(育嬰堂, 고아원)에서 30~40명의 아이들이 병사했다. 민중들 사이에서는 육영당의 수녀가 유아를 살해하고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게 퍼져 있었다.[12] 6월 20일, 납치범 무난진(武蘭珍)이 체포되었는데, 교회 신자인 왕삼(王三)이 공범이라고 진술했다. 다음날 톈진 지현(知縣) 유걸(劉傑)은 무난진과 함께 육영당을 조사했지만 왕삼이라는 인물은 존재하지 않았고, 무난진의 진술은 엉터리인 것으로 밝혀졌다.[12] 북양통상대신 숭후는 신부에게 사과하고, 뒷수습을 위한 협의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때 이미 수천 명의 군중이 교회를 둘러싸고 말다툼을 벌였고, 결국 벽돌을 던지며 주먹다짐을 벌였다.3. 2. 유괴범 체포와 오해
1870년 4월부터 5월까지 톈진에서 유아가 실종되는 사건이 잇따라 일어났다. 6월에 전염병이 유행하고 육영당(育嬰堂, 고아원)에서 30~40명의 아이들이 병사하면서, 민중들 사이에서는 육영당의 수녀가 유아를 살해하고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져 있었다.[12] 6월 20일, 납치범 무란진(武蘭珍)이 체포되었는데, 교회 신자인 왕삼(王三)이 공범이라고 진술했다.[6] 다음날 톈진 지현(知縣)인 류걸은 무란진과 함께 육영당을 조사했지만 왕삼이라는 인물은 존재하지 않았고, 무란진의 진술은 엉터리인 것으로 밝혀졌다.[12] 삼구통상대신인 숭후는 신부에게 사과를 하고, 뒷수습을 위한 협의에 들어갔으나, 이미 수천 명의 군중이 교회를 둘러싸고 말다툼을 벌였고, 결국 벽돌을 던지며 주먹다짐을 벌였다.[12]3. 3. 프랑스 영사의 개입과 민중의 분노
1870년 4월부터 5월까지 톈진에서 유아가 실종되는 사건이 잇따라 일어났다. 6월에 전염병이 유행하고 육영당(育嬰堂, 고아원)에서 30~40명의 아이들이 병사하자, 민중들 사이에서는 육영당의 수녀가 유아를 살해하여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 6월 20일, 납치범 무난진(武蘭珍)이 체포되었는데, 교회 신자인 왕삼(王三)이 공범이라고 진술했다. 다음날 톈진 지현(知縣) 유걸은 무난진과 함께 육영당을 조사했지만 왕삼이라는 인물은 존재하지 않았고, 무난진의 진술은 엉터리인 것으로 밝혀졌다. 삼구통상대신 숭후는 신부에게 사과하고, 뒷수습을 위한 협의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때 이미 수천 명의 군중이 교회를 둘러싸고 말다툼을 벌였고, 결국 벽돌을 던지며 주먹다짐을 벌였다.프랑스 주 톈진 영사 앙리 퐁타니에(Henri Fontanier)는 숭후에게 파병하여 진압할 것을 요구했지만, 만족스러운 답변을 얻지 못했다. 퐁타니에는 교회 앞 노상에서 유걸과 말다툼하다가 총을 쏴 유걸의 시종을 살해했다. 민중들은 분개했고, 퐁타니에와 비서를 때려죽였다.[12]
3. 4. 폭동의 확산
1870년 4월부터 5월까지 톈진에서 유아가 실종되는 사건이 잇따라 일어났다. 6월에 전염병이 유행하고 육영당(育嬰堂, 고아원)에서 30~40명의 아이들이 병사했다. 민중들 사이에서는 육영당의 수녀가 유아를 살해하고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게 퍼져 있었다. 6월 20일, 납치범인 무난진(武蘭珍)이 체포되었는데, 교회 신자인 왕삼(王三)이 공범이라고 진술했다. 다음날 톈진 지현(知縣)인 유걸은 무란진과 함께 육영당을 조사했지만 왕삼이라는 인물은 존재하지 않았고, 무란진의 진술은 엉터리인 것으로 밝혀졌다. 삼구통상대신인 숭후는 신부에게 사과를 하고, 뒷수습을 위한 협의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때 이미 수천 명의 군중이 교회를 둘러싸고 말다툼을 벌였고, 결국 벽돌을 던지며 주먹다짐을 벌였다.[12]프랑스의 주 톈진 영사 앙리 퐁타니에는 숭후에게 파병하여 진압할 것을 요구했지만, 만족스러운 답변을 얻지 못했다. 퐁타니에는 교회 앞 노상에서 유걸과 말다툼하다가 총을 쏴 유걸의 시종을 살해했다. 민중들은 분개했고, 퐁타니에와 비서를 때려죽였다.[12] 또한 10명의 수녀, 2명의 신부, 2명의 프랑스 영사관 직원, 2명의 프랑스인, 3명의 러시아인, 30명 이상의 중국인 신자들을 살육하고, 프랑스 영사관과 프랑스와 영국 교회를 방화했다.
폭동은 톈진 대성당을 비롯한 여러 가톨릭 시설과 외국 건물, 그리고 영국과 미국의 교회 네 곳이 불타 없어진 후에야 끝났다. 두 명의 프랑스 영사관 관계자 외에도 두 명의 라자르회 사제와 약 40명의 중국 기독교인이 살해되었고, 폭도들에게 프랑스인으로 오인된 세 명의 러시아 상인도 사망했다.[7] 발견된 절인 양파 단지는 아이들의 눈알이라고 주장되었다.[1] 자선 수녀회 수녀 열 명은 폭도들에게 강간당하고 훼손된 후 살해당했다.[8] 폭동으로 인한 최종 사망자 수는 약 60명으로 집계되었다.
4. 톈진 교안의 결과 및 영향
톈진 교안은 단순한 종교적 충돌을 넘어, 당시 중국 사회의 내재된 문제점들과 국제 관계의 복잡성을 드러낸 사건이었다. 청나라 정부는 외세의 압력에 굴복하여 자국민을 희생시키는 모습을 보였고, 이는 민중의 불만을 증폭시켰다.
증국번은 프랑스와의 전쟁을 원하지 않았고, 먼저 영국, 미국, 러시아와의 배상금 협상을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프랑스와 협상에 임했다.
톈진 사건은 정치적, 문화적으로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1870년 이전 프랑스와 중국은 서양 선교사들을 중국 불교 및 도교 종교 기관과 동일한 지침 아래 두는 조항에 대해 협상을 진행했는데, 이는 톈진에서 발생한 것과 같은 상황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이후 프랑스와 미국은 중국이 자국 내 기독교 전파에 대한 통제나 보호를 하는 것을 거부했다. 청나라 정부는 외국 선교사들을 금지하거나 지지하지 않겠다고 맞섰다. 유럽인들에게 있어 이 폭동과 인명 피해는 중국 정부가 외국인이나 그들의 투자를 보호할 수 없다는 추가적인 증거였다.[9]
4. 1. 청나라 정부의 대응
청나라는 직례총독 증국번을 파견하여 조사와 협상을 진행했다. 증국번은 프랑스와의 전쟁을 피하고자 영국, 미국, 러시아와 먼저 배상금 협상을 타결하고, 프랑스와 협상했다.[9]조사 결과 육영당에서 유아 유괴 및 부상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래서 소동의 주모자인 마굉료, 최복생, 빙가자 등 18명을 처형하고, 25명을 유배시켰으며, 톈진지사 장광조와 지현 유걸을 면직했다. 은 46만 냥(46만위안)을 외국인에게 손해 배상으로 지불하고, 숭후를 사과 사절로 프랑스에 파견했다. 당시 프랑스는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이 발발하여 동양에 신경 쓸 여유가 없었기에 사과를 수용했다.[9]
조정과 민중은 협상 결과에 불만을 품었고, 증국번의 명성은 크게 손상되었다. 이 사건의 소식은 각지에 영향을 미쳐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충돌이 빈번하게 일어났다.[9]
4. 2. 처벌과 배상
청나라는 톈진 교안의 주모자 마굉료, 최복생, 빙가자 등 18명을 처형하고, 25명을 유배 보냈으며, 톈진 지사 장광조와 지현 유걸을 파면했다.[9] 또한, 외국인에게 46만의 배상금을 지불하고, 숭후를 사과 사절로 프랑스에 파견했다. 당시 프랑스는 보불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동양에 신경 쓸 여유가 없어 사과를 수용했다.[9]이 사건의 협상 결과에 대해 청나라 조정과 민중은 불만을 품었고, 증국번의 명성은 크게 손상되었다.[9]
4. 3. 부정적 여론 확산
증국번이 주도한 톈진 교안의 사후 처리는 온건하게 진행되었으나, 이는 청나라 조정과 민중 모두에게 큰 불만을 야기했다. 조사 결과 육영당에서 유아 유괴나 상해는 없었다는 것이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소동 주모자 18명이 처형되고 25명이 유배되었으며, 톈진 지사와 지현이 면직되었다.[9] 또한, 외국인에게 460000CNY의 손해 배상금을 지불하고, 숭후를 사과 사절로 프랑스에 파견하는 등의 조치가 취해졌다.[9]이러한 조치는 당시 보불전쟁으로 인해 동양에 신경 쓸 여유가 없었던 프랑스가 사과를 수용하는 결과로 이어졌지만, 청나라 조정과 민중은 협상 결과에 불만을 품었다. 결과적으로 증국번의 명성은 크게 실추되었으며, 이 사건은 각지에서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간의 충돌을 빈번하게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9]
4. 4. 반기독교 정서 심화
이 사건은 각지에서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간의 충돌을 빈번하게 만들었다. 조정과 민중은 협상 결과에 불만을 품었고, 증국번의 명성은 크게 손상되었다.[9] 이 사건은 반기독교, 반외세 정서를 더욱 심화시켰다. 많은 중국인들에게 유럽인들과 선교사들이 계속해서 중국 법의 영역 밖에 있는 엘리트처럼 보였고, 군사력을 통해 행동하면서도 심각한 결과를 겪지 않는 것처럼 보였던 점은 반외세 감정으로 이어져 1900년 의화단 운동의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9]4. 5. 외교적, 정치적 영향
톈진 교안은 중국 내 기독교 선교 방식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프랑스와 미국은 중국 내 기독교 전파에 대한 청나라의 통제를 거부했고, 청나라는 외국 선교사들을 금지하거나 지지하지 않겠다고 맞섰다.[9] 이는 불평등 조약 체제하에서 청나라의 외교적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였다.많은 중국인에게 유럽인과 선교사는 중국 법의 영역 밖에 있는 엘리트로 남아 군사력을 통해 행동에 나서고도 심각한 결과를 겪지 않는 것처럼 보였고, 이는 반외세 감정으로 이어져 1900년 의화단 운동으로 이어졌다.[9]
참조
[1]
서적
The Martyrs of Tien Tsin
1926
[2]
논문
"'A Penny for the Little Chinese': The French Holy Childhood Association in China, 1843–1951."
https://dash.harvard[...]
2008
[3]
서적
Correspondence Respecting Anti-foreign Riots in China
https://books.google[...]
Great Britain. Foreign Office
1891
[4]
서적
Rise of modern China
1975
[5]
논문
"Patterns behind the Tientsin Massacre."
1957
[6]
웹사이트
Tianjin Massacre - Chonghou's report
http://spendelow.geo[...]
2023-01-03
[7]
뉴스
The Tianjin Massacre
https://cdnc.ucr.edu[...]
San Francisco Bulletia
1870-08-13
[8]
서적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Revolution and Protest
https://onlinelibrar[...]
2009
[9]
서적
Rise of modern China
1975
[10]
서적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Revolution and Protests
John Wiley & Sons, Ltd.
[11]
간행물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2]
웹사이트
Chonghou. Report of Tianjin Massacre
http://faculty.georg[...]
1870-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