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굴은 껍데기가 둥글거나 네모꼴이며, 암초 등에 붙어 사는 조개이다. 잿빛 갈색의 껍데기 표면에는 잔비늘이 있으며, 유생은 어미 조개 안에서 자란다.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해역에 분포하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발견된다. 과거에는 식용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 어획량 감소로 인공 채묘를 통한 개체 수 회복이 시도되고 있으며, 조개 껍데기는 그림 물감, 한방 약, 사료 등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무척추동물 - 왕지네
    왕지네는 붉은 머리와 암록색 몸통을 가진 8~15cm의 대형 지네로, 습한 환경에서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 육식 곤충이며, 독샘을 이용해 먹이를 제압하고, 긴 수명을 가지며, 한약재 오공으로 사용되고, 항균 펩타이드가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져 화장품 개발에 활용된다.
  • 일본의 무척추동물 - 이슬거미
    이슬거미는 구북구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암컷은 녹색 머리가슴과 줄무늬 배를, 수컷은 짙은 녹색 올리브색을 띠고, 숲 가장자리나 초원 등에서 위장술로 곤충을 사냥하는 주행성 거미이다.
  • 굴 - 참굴
    참굴은 서북태평양이 원산지인 이매패류로, 전 세계적으로 양식되는 중요한 수산물이며, 껍질 형태는 서식 환경에 따라 다르고, 암반에 부착하여 생활하며,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전 세계로 확산되었고, 한국에서는 남해안과 서해안을 중심으로 양식된다.
  • 굴 - 골웨이 국제 굴 축제
    1954년 아일랜드 골웨이에서 호텔리어 브라이언 콜린스가 관광 시즌 연장과 호텔 홍보를 위해 시작한 골웨이 국제 굴 축제는 기네스 아일랜드 굴 따기 챔피언십 등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선데이 타임스》에 의해 세계 5대 축제로 선정되기도 했다.
토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라이덴 국립 자연사 박물관의 표본
학명Ostrea denselamellosa
명명자Lischke, 1869
한국어 이름토굴
상태멸종 위기 I류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Animalia
연체동물문 Mollusca
이매패류 Bivalvia
아강익형아강 Pteriomorphia
굴목 Ostreoida
아목이타보가키아목 Ostreina
상과굴상과 Ostreoidea
굴과 Ostreidae
토굴속 Ostrea
이명
이명 목록Ostraea auriculata G. B. Sowerby II
Ostraea multicostata G. B. Sowerby II
Ostraea multiradiata G. B. Sowerby II
Ostraea tubercularis G. B. Sowerby II
Ostrea cristatella Lamy
Ostrea jubata Lamy

2. 특징

껍데기는 둥글거나 네모꼴이며 왼쪽이 오른쪽보다 깊다.[7] 표면에는 잔비늘이 포개져 있으며, 잿빛 갈색을 띠고 안쪽은 희다.[7] 암초 등에 붙어 살며, 유생은 어미 조개 안에서 자란다.[7]

3. 분포

토굴은 한국, 일본, 중국을 비롯하여 남중국해 연안의 베트남, 말레이시아, 타이완 등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연안 지역에 분포한다.[7][5] 서식 환경은 주로 조하대에서 수심 30m 전후의 얕은 바다이지만, 때로는 간조선 바로 아래에서도 발견된다.[5]

3. 1. 한국

한국을 포함하여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7] 한국에서는 조하대에서 수심 30m 전후의 얕은 바다에 많이 서식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간조선 아래 수 m의 곳에서도 발견된다.[5]

3. 2. 일본

일본에도 분포하며,[7] 태평양 쪽으로는 보소반도 이남, 동해 쪽으로는 홋카이도 남부 이남 지역에서 발견된다.[4]

3. 3. 중국 등 기타 국가

토굴은 중국을 비롯하여,[7] 남중국해 연안의 베트남, 말레이시아, 타이완 등지에도 분포한다.[5]

4. 이용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4. 1. 식용

과거에는 흔하게 채취되어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하지만 최근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어, 인공적으로 종자를 생산하여 개체 수를 회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4. 2. 기타 용도

조개 껍데기는 일본화의 그림 물감, 한방 약 및 사료로 이용된다.

5. 보존 노력

과거에는 흔하게 채취되어 식용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인공 채묘를 통해 개체 수를 회복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難訓辞典 中山泰昌編 東京堂出版
[2] 웹사이트 Ostrea denselamellosa Lischke, 1869 http://www.marinespe[...] WoRMS 2017-03-18
[3] 웹사이트 板甫牡蠣(イタボガキ)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7-03-18
[4] 웹사이트 絶滅が危惧されるイタボガキ http://umdb.um.u-tok[...] 東京大学総合研究博物館ニュース 2017-09-25
[5] 웹사이트 国際貝庫:密鱗牡蛎 http://shell.sinica.[...] 台湾貝類資料庫 2009-08-11
[6] 웹인용 "''Ostrea denselamellosa'' Lischke, 1869" http://www.marinespe[...] 2018-08-30
[7] 웹인용 토굴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8-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