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지피복지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지피복지도는 지표면의 피복 상태를 나타내는 지도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해상도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로 나뉘며, 대한민국은 환경부 주도로 전국 토지피복지도를 제작해왔다. 토지피복지도는 물 환경, 자연 환경, 대기/기후, 기타 분야에서 활용되며, 제작에는 위성영상, 수치지형도 등 다양한 자료가 사용된다. 토지피복지도는 감독 분류, 비지도 분류, 식생 지수 분류 등 다양한 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제작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도 - 웨이즈
    웨이즈는 사용자 참여형 실시간 교통 정보 기반 내비게이션 앱으로, 정확한 길 안내와 다양한 기능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정보 공유 논란, 개인 정보 문제, 보안 취약성 및 국가 안보 우려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지도 - 대한지질도
    제공된 본문이 없어 "대한지질도"에 대한 위키백과 개요를 요약할 수 없습니다.
토지피복지도
토지 피복 지도 정보
유형지도
목적토지 피복 정보 제공
데이터 소스원격 감지 (위성 이미지, 항공 사진 등)
분석 방법수동 해석
자동 분류
혼합 접근 방식
정확도 평가현장 조사
검증 데이터 활용
활용 분야환경 모니터링
도시 계획
농업 관리
자원 관리
일반적인 분류 체계코린 랜드 커버 (CORINE Land Cover)
글로벌 랜드 커버 (Global Land Cover)
국가 토지 피복 지도
관련 용어토지 이용
지표 피복
원격 탐사
중요성지속 가능한 개발 및 환경 보호를 위한 중요한 도구
상세 정보
토지 피복 (Land cover)지구 표면의 물리적, 생물학적 덮개
토지 이용 (Land use)인간 활동과 관련된 토지 관리 및 사용 방식
토지 피복 지도 제작 과정



분류 시스템계층적 구조 (예: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준화된 분류 기준 (예: FAO Land Cover Classification System (LCCS))
지도 정확도사용자 정확도 (User's accuracy)
생산자 정확도 (Producer's accuracy)
전체 정확도 (Overall accuracy)
카파 계수 (Kappa coefficient)
지도 활용기후 변화 연구
생물 다양성 평가
자연 재해 관리
농지 관리 및 생산성 예측
예시MAD-MEX (멕시코의 자동 토지 피복 모니터링 시스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토지 전환 및 생물 다양성 보전 간의 잠재적 갈등 지역 식별
참고 문헌
참고 문헌 목록Wessels, Konrad J. et al. (2003).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95(1), 157–178.
Gebhardt, Steffen et al. (2014). Remote Sensing, 6(5), 3923–3943.
Cracknell, Matthew J., & Reading, Anya M. (2014). Computers & Geosciences, 63, 22–33.

2. 토지피복지도의 개념 및 특징

토지피복지도는 지표면을 덮고 있는 다양한 물질(식생, 물, 인공 구조물 등)의 종류와 분포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지도 기반 분류는 사용자가 다양한 토지 피복(LULC) 클래스를 나타내는 훈련 데이터 세트나 스펙트럼 시그니처를 구축하고, 이를 기계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LULC 패턴을 예측하고 공간적으로 분류하는 시스템이다. 비지도 분류는 사용자가 시그니처 파일이나 훈련 데이터를 적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가 자동 분류하며, 식생 지수 분류는 둘 이상의 분광 밴드를 결합하여 식생 피복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는 시스템이다.[18][19]

2. 1. 토지피복지도의 특징

지표면의 현상을 가장 잘 반영하기 때문에 지표면의 투수율(透水率)에 의한 비점오염원 부하량 산정, 비오톱 지도작성에 의한 도시계획, 댐 수문 방류 시 하류지역 수몰피해 시뮬레이션, 기후대기 예측 모델링, 환경영향평가 등에 폭넓게 활용된다.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환경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로서 위상을 가지고 있고 관련 학계의 다양한 연구자료로 활용되고 있다.[18][19]

3. 토지피복지도의 분류 체계

토지피복지도는 해상도에 따라 대분류(30m급), 중분류(5m급), 세분류(1m급)의 세 가지 위계로 나뉜다. 대분류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7가지 토지피복으로 구성되며, 중분류와 세분류는 대분류를 더 자세하게 나눈 것이다.

토지피복지도의 분류 체계는 크게 지도 기반 분류, 비지도 분류, 식생 지수 분류로 나눌 수 있다.


  • 지도 기반 분류: 사용자가 다양한 토지 피복(LULC) 클래스를 나타내는 훈련 데이터 세트나 스펙트럼 시그니처를 구축하고, 이를 기계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LULC 패턴을 예측하고 공간적으로 분류하여 정확도를 평가한다.
  • 비지도 분류: 사용자가 시그니처 파일이나 훈련 데이터를 적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가 픽셀을 자동으로 분류한다. 사용자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통해 유사한 픽셀을 묶어 자동 생성할 클래스 수를 정의한다. 이 방법은 현장 관측이나 사용 가능한 토지 피복 유형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 식생 지수 분류: 둘 이상의 분광 밴드를 통계 알고리즘으로 결합하여 식생 피복의 공간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지수들은 대부분 위성 영상의 적색 및 근적외선(NIR) 밴드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식생 특성을 생성한다. 여러 식생 지수가 개발되어 원격 감지를 통해 산림 피복 및 토지 이용 패턴을 효과적으로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분광 지수는 둘 이상의 밴드를 사용하여 토지 특징의 지표 반사율을 정확하게 얻어 분류 정확도를 높인다.[18][19]

3. 1. 대분류 (해상도 30m급)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7가지 토지피복은 시가화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습지, 나지, 수역으로 구성된다.[1]

3. 2. 중분류 (해상도 5m급)

토지피복지도의 중분류(해상도 5m급)는 대분류를 22~23개 항목으로 세분화한다.

3. 3. 세분류 (해상도 1m급)

대분류는 41개 항목으로 더욱 세분화된다.

4. 토지피복지도 제작 방법

토지피복지도는 사용자가 다양한 토지 피복 클래스를 나타내는 훈련 데이터 세트나 스펙트럼 시그니처를 구축하고, 이를 기계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토지피복 패턴을 예측, 분류하고 정확도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비지도 분류는 사용자가 별도의 데이터를 적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가 자동 분류하는 방식이다. 유사한 픽셀을 자동으로 묶어 분류하며, 현장 관측이나 사전 지식이 없는 지역에 주로 사용된다.

식생 지수 분류는 둘 이상의 분광 밴드를 결합하여 식생 피복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한다. 위성 영상의 적색 및 근적외선(NIR) 밴드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식생 특성을 생성하며, 이를 통해 산림 피복 및 토지 이용 패턴을 효과적으로 분류한다.[18][19]

4. 1. 대분류 제작 방법

자료 수집에는 위성영상(Landsat TM 등), 축척 1/25,000 수치지형도, 아리랑 2호 위성영상 등이 사용된다.[1] 영상 처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1]

  • 좌표 변환: 기준 좌표계에 맞춰 좌표변환을 실시한다.(WGS84 UTM → GRS80 TM)
  • 오차 검증: 수치지형도를 기준으로 영상의 위치오차(35m이내)를 검증한다.
  • 색상 보정: 색상보정을 실시하여 전체적인 색상톤을 통일한다.
  • 영상 집성: 영상을 하나의 파일로 통합한다.


토지피복분류는 영상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분류 방법을 이용하여 대분류 7가지 항목으로 분류한다.[1] 분류 결과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수정 및 보완된다.[1]

  • 분류결과 합성 및 수정: 영상단위(씬, scene)로 분류된 피복분류 결과를 하나의 파일로 합친 후, 인접 부분 등 오류를 수정한다.
  • 현지조사: 필요시 남한지역에 한해 현지조사를 실시한다.
  • 분류정확도 평가: 아리랑 2호 영상자료 및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분류 정확도를 평가한다.


최종 분류 결과물을 하나의 파일로 통합하고, 인터넷 서비스용 PDF형식 도면, 메타데이터 등 최종 산출물을 제작한다.[1]

4. 2. 중분류 및 세분류 제작 방법

자료 수집에는 항공정사영상, 아리랑 위성영상 등 영상자료와 수치지형도 Ver1.0, 연속수치지도, KLIS 지적도, 용도지역지구도, 정밀임상도, 습지보호지역, 갯벌GIS-DB 등의 참조자료가 활용된다.

토지피복 분류는 영상자료를 기준으로 경계 및 속성을 분류하며, 육안 판독법(on-screen digitizing)을 통해 시각적으로 구분이 가능한 것을 중분류 22개, 세분류 41개 항목으로 분류한다. 분류가 모호한 지역은 참조자료를 활용한다.

품질 검수는 토지피복분류 결과물과 영상자료를 비교하여 오류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기본검수, 기하구조검수, 인접검수, 내용검수 등 4개 항목 준수 여부를 총 3회에 걸쳐 검수한다.

영상자료 판독 및 참조자료로 확인이 어려운 지역은 현지조사를 통해 토지피복 현황을 확인한다.

분류 정확도 평가는 아리랑 2호 영상자료 및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분류 항목별 샘플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토지피복 분류 결과와 기본 영상과의 일치 정도를 참조자료 또는 현지조사를 통해 확인한다.

최종 산출물로는 인터넷 서비스용 PDF 형식 도면, 메타데이터 등이 제작된다.

5. 토지피복지도 제작 현황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환경부 주도로 1998년부터 전국 토지 피복(LULC)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구축 단계, 고도화 단계, 2019년 현행화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5. 1. 구축 단계별 현황

구분사업기간사업범위사용영상구축물량
대분류중분류세분류대분류중분류세분류
구축단계1차1998년 11월~1999년 1월남한(1990년대)--Landsat TM239도엽--
2차2000년 12월~ 2001년 6월남·북한(1980~90년대)수도권-Landsat TM/IRS-1C737도엽119도엽-
3차2002년 1월~2002년 12월-한강/금강-Landsat ETM+/IRS-1D/IKONOS-321도엽-
4차2003년 2월~2003년 12월-낙동강-SPOT-5-226도엽-
5차2004년 6월~2005년 4월-영산강/제주-SPOT-5-173도엽-
1차 갱신2006년 6월~2007년 12월-전국-SPOT-5-814도엽-
2차 갱신2009년 3월~2009년 11월-수도권, 충청 일부-아리랑 2호-152도엽-
3차 갱신2013년 6월~2014년 1월-전국(경상 제외)-항공정사영상/아리랑 2호-584도엽-
8차 수도권2018년 1월~2018년 12월-수도권---122도엽-


5. 2. 고도화 단계별 현황

구분사업기간사업범위사용영상구축물량
대분류중분류세분류
고도화1차2010년 2월 ~ 2010년 12월남ㆍ북한(2000년대)DMZ북한강/남한강Landsat7, 아리랑 2호/항공정사영상488도엽36도엽760도엽
2차2011년 2월 ~ 2011년 12월--낙동강상류항공정사영상--1,622도엽
3차2012년 4월 ~ 2012년 11월--낙동강중ㆍ하류항공정사영상--1,359도엽
4차2013년 6월 ~ 2014년 1월--낙동강미구축지역항공정사영상--2,726도엽
4-2차2013년 9월 ~ 2014년 3월--한강수계일부항공정사영상--217도엽
5차2014년 4월 ~ 2014년 12월--한강중·하류항공정사영상--1,500도엽
1차 갱신2014년 4월 ~ 2014년 12월--북한강/남한강항공정사영상--760도엽
6차2015년 4월 ~ 2015년 12월--충남권항공정사영상--1,774도엽
6차세종시2015년 4월 ~ 2015년 12월--세종시아리랑 2호--109도엽
7차2016년 4월 ~ 2016년 12월--전라북도/제주특별자치도항공정사영상--1,745도엽
7차전북2016년 4월 ~ 2016년 12월--전라북도아리랑 2호/아리랑 3호/아리랑 3A호--1,368도엽
8차강원,충북2017년 3월 ~ 2017년 12월--강원도/충청북도항공정사영상,아리랑 2호,아리랑 3호,아리랑 3A호--3,823도엽
8차광주,전남2018년 1월 ~ 2018년 12월--전라남도/광주광역시항공정사영상,아리랑 2호,아리랑 3호--2,875도엽


5. 3. 현행화 (2019년)

구분사업 기간사업 범위사용 영상구축 물량(대분류)
현행화2019년2019.06 ~ 2019.12남·북한 (2010년대)Landsat 8, 아리랑 2호, 아리랑 3A호488도엽


6. 토지피복지도의 활용 분야

토지피복지도는 지표면의 현상을 가장 잘 반영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환경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환경정책 수립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관련 학계의 다양한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1]

구분내용
물환경수질 비점오염 부하량 산정, 오염총량 관리, 유역 및 하구 관리·복원, 유역건정성지표 개발, 홍수 취약 위험지역 파악, 수변구역 설정
자연 환경환경영향평가, 생태 축 설정, 보전/복원 지역 설정,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비오톱 지도, 생태자연도,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작성, 공원 구역 조성
대기/기후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대기 모델링, 오염총량 관리,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전자기후도 작성
기타대축척 주제도 제작, 환경 통계, 토사 유실 평가, 소음 지도 작성, 토지적성평가, 국토·지역 계획 수립, 산사태 위험 방지 및 산지 이용 실태 파악



지도 기반 분류는 사용자가 다양한 토지 피복(LULC) 클래스를 나타내는 훈련 데이터 세트나 스펙트럼 시그니처를 구축하고, 이를 기계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LULC 패턴을 예측하고 공간적으로 분류하는 시스템이다. 비지도 분류는 사용자가 별도의 데이터를 적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픽셀을 분류하는 시스템으로, 현장 관측이나 사전 지식이 없는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식생 지수 분류는 둘 이상의 분광 밴드를 결합하여 식생 피복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분광 지수는 토지 특징의 지표 반사율을 정확하게 획득하여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18][19]

6. 1. 물 환경

수질 비점오염 부하량 산정, 오염총량 관리, 유역 및 하구 관리·복원, 유역건정성지표 개발, 홍수 취약 위험지역 파악, 수변구역 설정 등에 활용된다.

6. 2. 자연 환경

환경영향평가, 생태 축 설정, 보전/복원 지역 설정,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에 활용된다.[1] 또한 비오톱 지도, 생태자연도,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작성, 공원 구역 조성에도 활용된다.[1]

6. 3. 대기/기후

기후변화의 영향 및 취약성을 평가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개발한다. 대기 모델링을 통해 오염 총량을 관리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추정하며, 전자기후도를 작성한다.[1]

6. 4. 기타

토지피복지도는 대축척 주제도 제작, 환경 통계, 토사 유실 평가, 소음 지도 작성, 토지적성평가, 국토 및 지역 계획 수립, 산사태 위험 방지 및 산지 이용 실태 파악 등에 활용된다.[1]

7. 토지피복 분류 알고리즘 (영문 Wikitext 참고)

토지피복 분류 알고리즘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 감독 분류: 사용자가 제공한 훈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지 피복을 분류한다. 최대 우도 분류, 최소 거리 추정, 마할라노비스 거리, 서포트 벡터 머신, 랜덤 포레스트 등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 비지도 분류: 훈련 데이터 없이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토지 피복을 분류한다. 주로 현장 관측이나 사전 지식이 없는 지역에서 사용되며, 반복적 자기 조직적 데이터 분석 기법(ISODATA), K-평균 군집화 등의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 식생 지수 분류: 분광 밴드를 조합하여 식생 피복의 특성을 파악한다. 정규 식생 지수(NDVI), 강화된 식생 지수(EVI), 토양 보정 식생 지수(SAVI) 등 다양한 식생 지수가 활용된다.

7. 1. 감독 분류 (Supervised Classification)

감독 분류는 훈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지 피복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다양한 토지 피복 클래스를 나타내는 훈련 데이터 세트 또는 스펙트럼 시그니처를 구축하고, 이를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토지 피복 패턴을 예측하고 공간적으로 분류하며 분류 정확도를 평가한다.

7. 1. 1. 사용 알고리즘

지도 기반 분류는 사용자가 다양한 토지 피복(LULC) 클래스를 나타내는 훈련 데이터 세트 또는 스펙트럼 시그니처를 구축하고, 이를 기계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LULC 패턴을 예측 및 분류하며,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는 시스템이다. 감독 분류를 위해 개발된 여러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 최대 우도 분류(MLC)[4]: 이미지 픽셀이 특정 토지 피복 유형에 해당할 확률을 추정하여 중첩된 시그니처를 분류한다. 훈련 데이터 세트의 평균 및 공분산 행렬에 의존하며 이미지 픽셀의 통계적 유의성을 가정한다.[4]
  • 최소 거리(MD)[4]: 이미지 픽셀 간의 의사 결정 경계를 정의하여 토지 피복을 분류한다.[4] 의사 결정 경계는 클래스 픽셀 간의 평균 거리를 계산하고 생성된 훈련 데이터 세트의 표준 편차를 사용하여 평행육면체 상자를 생성하여 형성된다.
  • 마할라노비스 거리[5]: 유클리드 거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훈련 데이터 세트 집합에서 토지 피복 클래스를 할당한다.[5]
  • 스펙트럼 앵글러 매퍼(SAM)[6]: 각도 측정을 사용하여 두 스펙트럼 간의 관계를 결정하는 분광 영상 분류 접근 방식이다. ''q'' 차원 공간에서 벡터로 처리하며, 여기서 ''q'' 차원은 밴드 수를 나타낸다.[6]
  • 판별 분석(DA): 분류 알고리즘이 밀접하게 관련된 이미지 픽셀 그룹을 클래스로 분리하여 클래스 내 분산을 최소화하고 최대 우도 판별 규칙에 따라 클래스 간 분산을 최대화한다.
  • 유전 알고리즘[7]: 유전 원리를 적용하여 적절한 훈련 데이터 클러스터를 선택하고 예측자(위성 이미지 밴드)의 영향을 받아 분류한다.[7]
  • 부분 공간[8][9]: 훈련 지점 클러스터에서 선택한 각 토지 피복 클래스의 저차원 부분 공간을 생성한다. 차원 부분 공간 생성은 훈련 지점에 대해 주성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8][9] 토지 피복 분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클래스 특징 정보 압축(CLAFIC)[10] 및 평균 학습 부분 공간 방법(ALSM)[11]이 있다.
  • 평행육면체 분류[12]: 각 이미지 밴드 내에서 각 토지 피복 클래스에 대한 값 범위를 할당하고 각 토지 피복 클래스의 픽셀이 분류기 훈련을 위해 선택되는 바운딩 박스를 생성한다.[12]
  • 다중 퍼셉트론 인공 신경망(MP ANNs)[13][14]: 신경망 또는 노드를 사용하여 훈련 샘플의 역전파를 기반으로 토지 피복을 분류한다.
  • 서포트 벡터 머신(SVM)[15]: 서포트 벡터를 사용하여 둘 이상의 토지 피복 클래스를 분리하는 최적의 의사 결정 경계를 얻는다.
  • 랜덤 포레스트(RF)[16]: 여러 위성 이미지 밴드를 기반으로 훈련 데이터 세트를 분류하는 여러 의사 결정 트리를 생성하기 위해 부트스트랩을 사용한다.[16]
  •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kNN)[15]: 훈련 데이터 세트에서 ''k''개의 가장 가까운 샘플을 추출하고 이러한 샘플 간의 거리를 기반으로 토지 피복을 분류한다.
  • 의사 결정 트리(DT)[13]: RF와 마찬가지로 DT는 훈련 샘플을 일련의 토지 피복 클러스터로 분할하는 연결된 노드 집합으로 구성된다.[13] 빠르고, 구성하고 해석하기 쉬우며, 작은 데이터에 적합하고, 배경 또는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제외하는 데 능숙하다는 장점이 있다. 단점은 특히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 대해 과적합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 퍼지 클러스터링(FZ)

7. 2. 비지도 분류 (Unsupervised Classification)

비지도 분류는 훈련 데이터 없이 자동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시그니처 파일이나 훈련 데이터를 적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가 픽셀을 자동으로 분류한다. 사용자는 컴퓨터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유사한 픽셀을 단일 범주로 그룹화하여 자동으로 생성할 클래스 수를 정의한다. 이러한 분류는 현장 관측이나 사용 가능한 토지 피복 유형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7. 2. 1. 사용 알고리즘

비지도 분류는 사용자가 시그니처 파일이나 훈련 데이터를 적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가 단일 또는 그룹 픽셀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컴퓨터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유사한 픽셀을 단일 범주로 그룹화하여 자동으로 생성할 클래스 수를 정의한다. 이 분류 시스템은 현장 관측이나 사용 가능한 토지 피복 유형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 반복적 자기 조직적 데이터 분석 기법(ISODATA) – 이 방법에서 분류기는 여러 개의 밀접하게 관련된 이미지 픽셀을 자동으로 클러스터로 그룹화한 다음, 일련의 반복을 통해 평균 클러스터를 계산하고 토지 피복을 분류한다.
  • ''K''-평균 군집화[17] – 컴퓨터가 위성 이미지에서 ''k''개의 토지 피복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의 계산된 평균을 기반으로 전체 이미지를 분류하는 방식이다.

7. 3. 식생 지수 분류 (Vegetation Indices Classification)

식생 지수 분류는 둘 이상의 분광 밴드를 정의된 통계 알고리즘을 통해 결합하여 식생 피복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분광 지수는 토지 특징의 지표 반사율을 정확하게 획득함으로써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18][19]

7. 3. 1. 사용 식생 지수

식생 지수는 둘 이상의 분광 밴드를 특정 통계 알고리즘으로 결합하여 식생 피복의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는 체계이다.[18][19]

대부분의 식생 지수는 위성 영상의 적색 및 근적외선(NIR) 밴드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식생의 특성을 나타낸다. 여러 식생 지수가 개발되었으며, 과학자들은 원격 감지를 통해 이러한 지수를 적용하여 산림 피복 및 토지 이용 패턴을 효과적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분광 지수는 둘 이상의 밴드를 사용하여 토지 특징의 지표 반사율을 정확하게 획득함으로써 분류 정확도를 높인다.[18][19]

식생 지수설명공식
정규 식생 지수(NDVI)[20][21]위성 영상의 적색 및 근적외선(NIR) 밴드의 비율로 정의된다. 식생의 녹색 정도를 측정하며, 값은 -1에서 1 사이이다. 높은 NDVI 값은 조밀한 식생 피복을, 중간 NDVI 값은 희소한 식생 피복을, 낮은 NDVI 값은 비식생 지역(예: 황무지 또는 나지)을 나타낸다.[22]\text{NVDI} = {(\text{NIR} - \text{Red}) \over (\text{NIR} + \text{Red})}
강화된 식생 지수(EVI)[23]적색, NIR 및 청색 밴드의 비율로 정의되며, 게인 계수(G), 토양 밝기 보정 계수(L) 및 대기 에어로졸 보정 계수(C)가 사용된다.[24][25] (일반적으로 L = 0.5 및 G = 2.5의 기본값을 사용)G \times {(\text{NIR}-\text{Red}) \over (\text{NIR} + C_1 \times \text{Red} - C_2 \times \text{Blue} + L)}
토양 보정 식생(SAVI)[26]토양 밝기 보정 계수(L)를 사용하여 적색 및 NIR 값의 비율로 정의된다.\text{SAVI} = (1 + L) \times {(\text{NIR} - \text{Red}) \over (\text{NIR} + \text{Red} + L)}
캐노피 음영 지수(SI)위성 영상의 적색 및 녹색 밴드의 제곱근으로 정의된다. 이는 숲 캐노피의 나이, 구조 및 구성에 따라 다양한 음영 패턴을 평가하며, 조밀한 숲과 풀, 나지를 쉽게 구별한다.[27][28] (여기서 적색과 녹색은 모두 0에서 256 사이)\text{SI} = \sqrt[]{(256-\text{Green}) \times (256-\text{Red})}
고급 식생 지수(AVI)숲 피복을 초원 및 나지 지역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적색은 0에서 256 사이)\text{AVI} = \sqrt[3]{(\text{NIR} + 1) \times (\text{256} - \text{Red}) \times (\text{NIR} - \text{Red})}
나지 지수(BSI)[29][27]위성 영상의 NIR, 적색 및 청색 밴드의 비율로 정의된다. 나지의 양을 측정하며, 숲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한다.[27][28]\text{BSI} = {(\text{NIR}+\text{Green})- \text{Red} \over (\text{NIR}+\text{Green})+ \text{Red}}
정규 차이 수분 지수(NDWI)[30]단파 적외선(SWIR)을 사용하여 식물 및 기타 지구 시스템 특징의 수분 함량을 정량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text{NDWI} = {\text{NIR} - \text{SWIR} \over \text{NIR} + \text{SWIR}}
정규 차이 시가지 지수(NDBI)[31]위성 영상에서 시가지 면적을 정량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text{NDBI} = {\text{SWIR} - \text{NIR} \over \text{SWIR} + \text{NIR}}


참조

[1] 논문 Identification of potential conflict areas between land transforma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north-eastern South Africa http://dx.doi.org/10[...] 2003-04
[2] 논문 MAD-MEX: Automatic Wall-to-Wall Land Cover Monitoring for the Mexican REDD-MRV Program Using All Landsat Data 2014-04-30
[3] 논문 Geological mapping using remote sensing data: A comparison of fiv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eir response to variation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raining data and the use of explicit spatial information 2014-02
[4] 논문 Analysis of Supervised Image Classification Method for Satellite Images https://www.academia[...]
[5] 서적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Technologies (ICET) IEEE 2015-12
[6] 논문 The spectral image processing system (SIPS)-interactive visualization and analysis of imaging spectrometer data http://dx.doi.org/10[...] AIP 1993
[7] 논문 Genetic algorithm-based clustering technique http://dx.doi.org/10[...] 2000-09
[8] 논문 A Poisson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method with parameter subspace clustering constraint for endmember extraction in hyperspectral imagery http://dx.doi.org/10[...] 2017-06
[9] 논문 Quantifying Sub-Pixel Surface Water Coverage in Urban Environments Using Low-Albedo Fraction from Landsat Imagery 2017-05-01
[10] 논문 The common vector approach and its comparison with other subspace methods in case of sufficient data http://dx.doi.org/10[...] 2007-04
[11] 간행물 Subspace dimension selection and averaged learning subspace method in handwritten digit classification http://link.springer[...]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21-04-13
[12] 서적 Proceedings. 2005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2005. IGARSS '05 IEEE 2005
[13] 논문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decision tree classification for predicting soil drainage classes in Denmark http://dx.doi.org/10[...] 2019-10
[14] 논문 Modeling land cover change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a semiarid river basin in northeastern Brazil 2020-03
[15] 논문 A hybrid approach to urban land use/cover mapping using Landsat 7 Enhanced Thematic Mapper Plus (ETM+) images http://dx.doi.org/10[...] 2004-07
[16] 논문 The Performance of Random Forests in an Operational Setting for Large Area Sclerophyll Forest Classification 2013-06-04
[17] 문서 Abbas, A.; Minalla, N.; Ahmad, N.; Abid, S.; Khan, M. K-means and ISODATA clustering algorithms for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remote sensing. Sindh Univ. Res. J. SURJ (Sci. Ser.) 2016, 48, 315–318
[18] 서적 Classification Methods for Remotely Sensed Data http://dx.doi.org/10[...] Taylor & Francis 2001
[19] 논문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in urban areas by the use of textural features: The case study of Lucknow city, Uttar Pradesh http://dx.doi.org/10[...] 2001-01
[20] 논문 Using the satellite-derived NDVI to assess ecological responses to environmental change http://dx.doi.org/10[...] 2005-09
[21] 논문 Using a proxy of plant productivity (NDVI) to find key periods for animal performance: the case of roe deer http://dx.doi.org/10[...] 2006-03
[22] 문서 Wegmann M, Leutner B, Dech S (2016) Remote sensing and GIS for ecologists: using open source software. Pelagic Publishing, Exeter, UK
[23] 논문 Development of a two-band enhanced vegetation index without a blue band http://dx.doi.org/10[...] 2008-10-15
[24] 논문 A feedback based modification of the NDVI to minimize canopy background and atmospheric noise http://dx.doi.org/10[...] IEEE 1995-03
[25] 논문 Significant Remote Sensing Vegetation Indices: A Review of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2017-05-23
[26] 논문 A soil-adjusted vegetation index (SAVI) http://dx.doi.org/10[...] 1988-08
[27] 논문 Tropical forest cover density mapping 2002
[28] 논문 Assessing forest canopy density in a highly variable landscape using Landsat data and FCD Mapper software http://dx.doi.org/10[...] 2004-01
[29] 문서 Rikimaru, A., 1999. The concept of FCD mapping model and semi-expert system. FCD mapper user’s guide. International Tropical Timber Organization and Japan Overseas Forestry Consultants Association. Pp 90.
[30] 논문 NDWI—A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for remote sensing of vegetation liquid water from space http://dx.doi.org/10[...] 1996-12
[31] 논문 Use of normalized difference built-up index in automatically mapping urban areas from TM imagery http://dx.doi.org/10[...] 20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