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탈 풋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탈 풋볼은 1970년대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을 통해 널리 알려진 축구 전술로, 선수들이 특정 포지션에 얽매이지 않고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공격과 수비를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1930년대 오스트리아에서 초기 형태가 나타났으며, 1970년대 아약스를 이끌었던 리누스 미헬스와 요한 크라위프를 통해 완성되었다. 공간 활용, 전원 공격과 수비, 높은 위치에서의 압박, 오프사이드 트랩, 선수 간 좁은 간격 유지 등이 핵심 요소이며, 선수들의 뛰어난 기술, 전술 이해도, 체력이 요구된다. 1974년 월드컵에서 네덜란드는 토탈 풋볼을 통해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이후 크라위프와 같은 핵심 선수 부재로 인해 완벽하게 구현된 사례는 드물다. 토탈 풋볼의 개념은 현대 축구의 점유율 축구, 전방 압박 등 다양한 전술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구 전술 - 페널티킥
    페널티킥은 축구에서 수비수가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서 직접 프리킥 반칙을 범했을 때 페널티 스팟에서 주어지는 직접 프리킥으로, 키커와 골키퍼 외 모든 선수는 페널티 에어리어 밖에 위치해야 하며, 골키퍼는 킥 순간 최소 한 발이 골라인에 닿아 있어야 하고, 심판 휘슬 후 킥이 이루어지며, 성공 시 득점으로 인정되고 규칙 위반 시 다시 찰 수 있다.
  • 축구 전술 - 포메이션 (축구)
    포메이션(축구)은 골키퍼를 제외한 선수들의 위치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순으로 숫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방식이며, 현대 축구에서는 다양한 변형과 수비형/공격형 미드필더 구분을 포함한 4~5자리 표기가 사용되고, 선수 배치 형태를 설명한다.
  • 축구 용어 - 승부차기
    승부차기는 축구 경기에서 정규 시간 이후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승리 팀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각 팀이 5명의 키커를 정해 페널티킥을 시도하며, 5번의 시도 내 승부가 나지 않으면 서든데스 방식으로 진행된다.
  • 축구 용어 - 오프사이드
    오프사이드란 축구 경기에서 공격팀 선수가 특정 위치에서 플레이에 적극적으로 관여할 때 선언되는 반칙으로, 상대팀에게 간접 프리킥이 주어지며, 골키퍼 뒤에서 공을 받아 득점하는 것을 제한하여 경기의 균형을 유지하고 전술적인 플레이를 유도하는 규칙이다.
토탈 풋볼
개요
명칭토털 풋볼 (Total Football)
다른 명칭전체 축구
정의축구의 전술적 이론
특징선수들의 포지션 전환과 유동적인 움직임 강조
창시자리뉘스 미헐스
주요 국가네덜란드
파생 전술게겐프레싱
역사
기원1970년대 초 아약스네덜란드 국가대표팀
발전리뉘스 미헐스 감독 하에 발전
주요 선수요한 크라위프
영향현대 축구 전술에 큰 영향
전술적 특징
핵심포지션에 얽매이지 않는 선수들의 자유로운 움직임
압박 축구
오프사이드 트랩
역할 변화선수들은 경기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
공간 활용필드 전체를 활용하여 상대방을 압박하고 공격 기회 창출
수비높은 위치에서부터 압박을 시작하여 상대의 공격을 차단
주요 팀
아약스1970년대 초 토털 풋볼의 선구자
네덜란드 국가대표팀1974년 FIFA 월드컵에서 토털 풋볼을 선보임
기타FC 바르셀로나, 바이에른 뮌헨 등 현대 축구 클럽
영향 및 파생 전술
현대 축구현대 축구 전술에 큰 영향을 미침
게겐프레싱위르겐 클로프 감독이 발전시킨 토털 풋볼의 파생 전술
비판
체력 소모선수들의 높은 체력 요구
전술 이해도선수들의 높은 전술 이해도 요구
성공 가능성전술의 복잡성으로 인해 성공하기 어려움

2. 역사

토탈 풋볼의 개념적 기원은 1930년대 오스트리아 대표팀이나[32] 빌리 마이슬이 고안한 '소용돌이' 이론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이론은 선수 개개인이 높은 기술과 전술 이해도, 체력을 바탕으로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상상했지만, 이를 조율할 리더의 부재 등으로 실현되기 어려웠다.

본격적인 구현은 리누스 미헬스 감독이 이끈 아약스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을 통해 이루어졌다. 특히 1974년 FIFA 월드컵 당시 네덜란드 대표팀은 요한 크라위프를 중심으로 포지션에 얽매이지 않는 유기적인 플레이와 전방 압박, 오프사이드 트랩 등을 활용하며 강력한 모습을 보였다. 비록 월드컵 우승에는 실패했지만, 이들이 보여준 혁신적인 축구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

요한 크라위프와 같은 특출난 선수의 존재가 토탈 풋볼 구현에 필수적이었다는 평가도 있으며, 그 이후 이 전술을 완벽히 재현한 팀은 드물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토탈 풋볼이 제시한 공간 활용, 압박, 유기적인 움직임 등의 개념은 현대 축구의 존 프레싱이나 점유율 축구 등 다양한 전술 발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1. 1970년대 이전

1953년의 매직 마자르


1940년대 아르헨티나 팀 리버 플레이트의 별명인 ''라 마키나''


토탈 풋볼 개념의 초기 토대는 잉글랜드 번리 출신으로 조합 플레이(combination play)의 영향을 받은 지미 호건에 의해 마련되었다.[4][5][6] 1930년대 초, 호건은 그의 친구이자 오스트리아 대표팀 감독인 휴고 메이슬과 함께 일했다. 메이슬이 이끌던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당시 '분더팀(Wunderteam)'으로 불림)은 토탈 풋볼을 구사한 최초의 팀 중 하나로 여겨진다.[7][8][9] 호건의 영향력은 오스트리아를 넘어 헝가리에도 미쳤다. 약 20년 후 구스타브 세베스 감독이 이끄는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일명 '매직 마자르') 역시 비슷한 스타일의 축구를 구사했다.[5][10] 당시 헝가리 축구 협회 회장이었던 샨도르 바르치는 "지미 호건은 우리에게 축구에 대해 우리가 아는 모든 것을 가르쳤다"고 말하며 그의 영향을 인정했다.[5]

1940년대에는 이탈리아토리노 FC(당시 '그란데 토리노'로 불림) 역시 오스트리아와 유사한 스타일의 축구를 선보였다.[11] 같은 시기 아르헨티나의 클루브 아틀레티코 리버 플레이트는 '라 마키나(La Máquina, 기계)'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뛰어난 팀을 구축했다.[12] 카를로스 무뇨스, 호세 마누엘 모레노, 아돌포 페데르네라, 안헬 라브루나, 펠릭스 루스토로 구성된 공격진은 오늘날 가짜 9번 역할과[13][14] 공격수들의 끊임없는 위치 변경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를 선보이며 여러 국내외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1940년대에 잉글랜드 출신 감독 잭 레이놀즈는 네덜란드AFC 아약스에서 토탈 풋볼과 유사한 시스템을 도입하여 클럽의 성장을 이끌었다.[15]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잉글랜드번리 FC는 감독 해리 포츠의 지휘 아래 '모든 선수가 어떤 포지션에서도 뛸 수 있는' 시스템을 선보였다.[16] 이 시스템은 1959-60 시즌 잉글랜드 1부 리그 우승이라는 성과를 가져왔으며, 당대 최고의 공격수 중 한 명이었던 지미 그리브스를 비롯한 많은 전문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17]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AFC 아약스, FC 바르셀로나 등을 지도했던 빅 버킹엄 역시 토탈 풋볼의 선구자로 꼽힌다. 그가 아약스 시절 구축한 시스템과 유소년 육성 철학은 이후 리누스 미헬스와 요한 크루이프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크루이프는 버킹엄 감독에 의해 1군에 데뷔했다.[18][19]

2. 2. 토탈 풋볼의 구현과 발전 (1970년대)



토탈 풋볼의 개념 자체는 이전부터 존재했다. 리누스 미헬스 감독 자신도 "1930년대에는 오스트리아가 토탈 풋볼을 플레이했다"고 언급했으며[32], 1950년대오스트리아 출신 빌리 마이슬이 고안한 '소용돌이(The Whirl)' 이론은 토탈 풋볼의 원형으로 여겨진다. 이는 선수들이 자유롭게 포지션을 바꾸며 팀 전체가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방식이었으나, 모든 선수의 높은 기술, 전술 이해도, 체력, 그리고 팀을 조율할 뛰어난 리더가 필요했기에 당시에는 실현 불가능한 이상으로 간주되었다.

본격적인 토탈 풋볼의 구현은 1965년 AFC 아약스의 감독으로 부임한 리누스 미헬스에 의해 시작되었다. 미헬스는 1970년대에 들어 토탈 풋볼 전술을 구체화했는데, 특히 공격수 요한 크라위프의 영입과 활용이 핵심이었다.[20] 크라위프는 명목상 중앙 공격수였지만, 미헬스는 그가 경기장 전체를 자유롭게 누비며 상대의 약점을 공략하고 기회를 창출하도록 독려했다. 다른 선수들 역시 크라위프의 움직임에 맞춰 유기적으로 포지션을 변경하며 빈 공간을 메웠다.[21]

토탈 풋볼의 핵심은 공간의 창출과 활용이었다. 전 아약스 수비수 바리 훌쇼프는 "우리가 항상 논의했던 것은 공간이었다. 크라위프는 항상 어디로 달려가고, 어디에 서 있어야 하며, 언제 움직이지 않아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회상했다.[22] 그는 이러한 유기적인 포지션 변경이 선수들의 뛰어난 공간 인식 능력을 바탕으로 가능했다고 설명했다.[23] 또한, 토탈 풋볼은 공을 되찾기 위해 상대에게 강한 압박을 가하는 전방 압박오프사이드 트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선제적인 전술이었다.[24]

한편, 오스트리아 출신 코치 에른스트 하펠ADO 덴하흐와 페예노르트를 이끌며 토탈 풋볼에 '강인함'을 더했다. 그는 선수들에게 더욱 적극적이고 강한 플레이를 요구하며 전술을 발전시켰고, 페예노르트를 1970년 유러피언컵 우승으로 이끌었다.

미헬스와 크라위프가 이끈 AFC 아약스는 토탈 풋볼을 통해 전례 없는 성공을 거두었다. 8번의 에레디비시 우승, 3번의 유러피언컵 연속 우승(1971-1973), 그리고 1972년 인터컨티넨탈컵 우승을 차지했다.[25] 이러한 성공은 1960년대 헬레니오 에레라의 인테르가 구사했던 수비 중심의 전술인 '카테나치오'의 시대가 저물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기도 했다.[26]

토탈 풋볼의 위력은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도 발휘되었다.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네덜란드는 아약스와 페예노르트의 핵심 선수들을 중심으로 막강한 전력을 구축했다. 그들은 대회 내내 상대를 압도하며 결승까지 단 1실점(자책골)만을 허용하고 14골을 넣는 경이로운 경기력을 선보였다. 특히 2차 리그에서 브라질을 상대로 펼친 경기는 토탈 풋볼의 진수를 보여준 명승부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토탈 풋볼에도 약점은 존재했다. 197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서독을 만난 네덜란드는 베르티 포그츠의 효과적인 대인 방어에 크라위프가 묶이면서 공격의 활로를 찾지 못했다.[27] 프란츠 베켄바워, 울리 회네스, 볼프강 오베라트가 중원을 장악한 서독에 결국 1-2로 패하며 우승컵을 내주었다.[28]

이후 에른스트 하펠 감독이 이끈 네덜란드는 1978년 FIFA 월드컵에서도 결승에 올랐으나 개최국 아르헨티나에 패하며 다시 한번 준우승에 머물렀다. 많은 전문가들은 1970년대 네덜란드의 토탈 풋볼이 요한 크라위프라는 비범한 선수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특별한 전술이었다고 평가한다.

비록 크라위프 이후 토탈 풋볼을 완벽하게 재현한 팀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공간 창출과 압박, 유기적인 포지션 변화라는 핵심 개념은 현대 축구의 지역 압박이나 점유율 축구 등 다양한 전술에 큰 영향을 미치며 계승되고 있다.

2. 3. 현대 축구에 미친 영향

토탈 풋볼의 철학은 현대 축구 전술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초반, FC 바르셀로나 (특히 펩 과르디올라 감독 체제)와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은 토탈 풋볼의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술 시스템을 개발했는데, 이는 Juego de Posición|후에고 데 포시시온es 또는 티키타카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9]

토탈 풋볼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공간'의 활용과 창출은 현대 축구의 주요 전술 흐름에도 영향을 주었다. 선수들이 자유롭게 움직이며 상대의 공간을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하는 존 프레싱은 토탈 풋볼의 특징인 적극적인 볼 탈취(전방 압박)와 오프사이드 트랩 전술이 결합되어 발전한 형태이다. 또한, 후방이나 중원에서 공을 소유하며 전방 선수들이 효과적인 '공간'을 만들어 공격 기회를 창출하는 점유율 축구 역시 토탈 풋볼의 공간 개념에서 파생된 전술로 볼 수 있다.

리누스 미헬스 감독이 이끌었던 1974년 FIFA 월드컵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토탈 풋볼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당시 아약스와 페예노르트의 핵심 선수들로 구성된 네덜란드 대표팀은 높은 기술 수준과 전술 이해도를 바탕으로 포지션에 얽매이지 않는 유기적인 축구를 선보였다. 특히, 팀의 중심이었던 요한 크라위프의 존재는 토탈 풋볼 완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크라위프가 있었기에 토탈 풋볼이 가능했으며, 그 이후 이 전술을 완벽하게 재현한 팀은 찾기 어렵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3. 특징

토탈 풋볼의 핵심은 경기장을 특정 포지션에 얽매이지 않고 공간을 중심으로 사고하는 데 있다. 이는 기존의 고정된 포지션 개념에서 벗어나, 선수들이 끊임없이 위치를 바꾸며 공간을 만들고 활용하는 유동적인 축구를 가능하게 했다.

주요 특징으로는 높은 위치에서부터 시작하는 강한 압박 ('볼 헌팅'), 수비 라인을 높게 끌어올려 사용하는 오프사이드 트랩, 선수 간의 좁은 간격 유지, 윙을 활용한 측면 공격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문자 그대로 '전원 공격, 전원 수비'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당시 네덜란드 대표팀에게 포지션이란 단지 "킥오프 시 서 있는 위치"에 불과했을 정도였다.

이 전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선수 개개인의 높은 기술 수준, 뛰어난 전술 이해도, 엄청난 체력, 그리고 강한 수비 의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토탈 풋볼은 매우 이상적인 전술로 평가받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비효율적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그러나 이후 여러 팀에 의해 수정, 발전되어 현대 축구 전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공간 활용

토탈 풋볼의 주요 구성 요소는 공간의 활용이며, 핵심 개념은 지속적으로 공간을 창출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경기장을 '''포지션이 아닌 공간에서 생각하는''' 특징으로 나타난다. 토탈 풋볼 이전까지 축구는 각 포지션에서의 역할 수행이 조직 플레이의 핵심으로 여겨졌지만, 토탈 풋볼에서는 공간을 만드는 움직임만들어진 공간으로 침투하는 움직임이 중요해졌다. 이러한 '공간'에 대한 사고방식은 선수들이 격렬하게 위치를 바꾸며 전원 공격과 전원 수비에 참여하는 유동적인 축구의 기초가 되었다.

아약스 수비수 바리 훌쇼프는 공간 활용에 대해 "우리가 항상 논의했던 것"이라며, "크루이프는 항상 어디로 달려가고, 어디에 서 있어야 하며, 언제 움직이지 않아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회상했다.[22] 그는 또한 선수들의 포지션 변경은 적절한 공간 인식을 통해서만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23]

또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윙을 중심으로 한 측면 공격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경기장을 넓게 쓰는 공격을 전개했다.

3. 2. 전원 공격, 전원 수비

토탈 풋볼은 경기장을 '''포지션이 아닌 공간에서 생각하는''' 것을 중요한 특징으로 삼는다. 이전까지 축구는 각 포지션의 역할을 중시하는 조직 플레이가 기본이었지만, 토탈 풋볼에서는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으로 침투하는 움직임이 핵심이다. 이러한 공간 중심 사고는 격렬한 포지션 변경을 동반하는 '전원 공격, 전원 수비'라는 유동적인 축구의 기초가 되었다.

또한, 높은 위치에서부터 시작하는 강한 압박도 특징이다. '볼 헌팅'(Ball hunting)이라 불린 이 압박은, 공을 가진 상대 선수 주위를 여러 선수가 에워싸 압박하여 높은 위치에서 공을 빼앗아 즉시 공격으로 전환할 수 있었다.

높은 위치에서의 압박은 동시에 수비(DF) 라인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가져왔고, 이는 상대를 오프사이드 트랩에 빠뜨리는 전술로 이어졌다. 이 오프사이드 트랩 자체는 1910년대에 유행했던 전술이지만, 토탈 풋볼의 중요한 요소로 다시 활용되었다. 또한, 수비 라인을 끌어올려 최전방 공격수(FW)와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선수 간 거리가 가까워졌다. 이는 격렬한 포지션 변경 시 선수들의 체력 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무엇보다 가장 큰 특징은 '''정해진 포지션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당시 네덜란드 대표팀에게 포지션은 단지 "킥오프 시 서 있는 위치"에 불과했다. 경기가 시작되면 공격 시 모든 선수는 적극적으로 공을 가진 동료를 추월해 전방으로 나아갔고, 수비 시에는 공격수(FW)까지 커버링에 가담했다. 예를 들어, 측면 수비수(사이드 백)가 공격에 가담하면 측면 공격수(윙)가 그 빈자리를 메우러 내려오는 식이었다. 이것이 바로 '전원 공격, 전원 수비'의 모습이다.

또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윙을 중심으로 한 측면 공격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경기장을 넓게 쓰는 공격을 펼쳤다.

이러한 축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선수 전원의 높은 기술 수준, 전술 이해도, 뛰어난 체력이 필수적이었으며, 모든 선수가 높은 수비 의식을 갖추고 있어야 했다.

한편, 토탈 풋볼은 매우 이상적인 전술이지만 비효율적이라는 평가도 있었다. 역할을 완전히 분담하여 포지션을 고정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후 여러 팀에 의해 수정되고 발전되어 현대 축구 전술에 깊숙이 스며들게 되었다.

3. 3. 높은 위치에서의 압박 (볼 헌팅)

토탈 풋볼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높은 위치에서부터 시작하는 강한 압박이다. 이는 '볼 헌팅(Ball hunting)'이라고도 불렸는데, 공을 가진 상대 선수에게 여러 명의 선수가 동시에 달려들어 에워싸며 압박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수비 라인을 높은 지점까지 끌어올려 상대 진영에서 공을 빼앗으면, 곧바로 공격으로 전환하여 득점 기회를 만들 수 있었다.[24]

이러한 높은 위치에서의 압박은 자연스럽게 수비 라인 전체를 끌어올리는 효과를 가져왔다. 상대 공격수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걸리기 쉽게 만드는 오프사이드 트랩 전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오프사이드 트랩 자체는 1910년대에 처음 유행했지만, 토탈 풋볼은 이를 전술의 핵심 요소로 적극 활용했다.

또한, 수비 라인을 높게 유지함으로써 최전방 공격수부터 최후방 수비수까지의 간격, 즉 필드 플레이어 전체가 활동하는 공간이 매우 좁아졌다. 선수들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선수들이 서로의 위치를 끊임없이 바꾸는 격렬한 포지션 체인지를 하더라도 이동 거리가 줄어들어 체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3. 4. 오프사이드 트랩

토탈 풋볼은 높은 위치에서부터 상대를 강하게 압박하는 전술을 사용하는데, 이는 자연스럽게 DF의 최종 수비 라인을 높은 위치까지 끌어올리는 결과를 낳았다. 이렇게 높은 수비 라인은 상대의 오프사이드를 유도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되었으며, 이 오프사이드 트랩도 토탈 풋볼의 특징이다. 다만, 오프사이드 트랩 전술 자체는 1910년대에 이미 유행했던 방식이다.

최종 수비 라인을 끌어올림으로써 FW 라인과의 간격이 좁아져 선수들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효과도 있었다. 이는 선수들이 격렬하게 위치를 바꾸며 움직일 때 필요한 체력 소모를 줄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

3. 5. 선수 간의 좁은 간격

토탈 풋볼에서는 수비의 최종 라인을 높게 끌어올리는 전술을 사용한다. 이는 공격수(FW) 라인과의 거리를 좁혀 전체 선수 간의 간격을 밀집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선수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격렬한 포지션 변경 시 이동 거리가 줄어들어 선수들의 체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토탈 풋볼의 특징인 유기적인 포지션 변화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3. 6. 측면 공격

토탈 풋볼은 경기장을 특정 포지션의 역할보다는 활용 가능한 공간으로 인식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러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사고방식의 일환으로, 윙을 중심으로 한 측면 공격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경기장을 넓게 활용하는 와이드한 공격을 전개했다.

3. 7. 높은 기술, 전술 이해도, 체력

토탈 풋볼의 핵심은 포지션이 아닌 공간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선수들은 끊임없이 위치를 바꾸며 공간을 만들고 침투하며, 전원 공격과 전원 수비에 참여한다. 높은 위치에서 여러 선수가 상대를 에워싸 압박하는 이른바 '볼 헌팅'과 수비 라인을 끌어올려 상대의 오프사이드 트랩을 유도하는 것도 특징이다. 이를 통해 공을 빼앗아 빠르게 공격으로 전환하고, 선수 간 간격을 좁혀 포지션 변경 시 체력 소모를 줄인다. 윙을 활용한 측면 공격으로 경기장을 넓게 사용하는 것도 공간 활용 전략의 일부이다.

이러한 유기적인 축구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든 선수에게 높은 수준의 개인 기술, 뛰어난 전술 이해도, 그리고 엄청난 체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단순히 기술이나 체력만으로는 부족하며, 경기 흐름을 읽고 동료와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전술적 안목, 그리고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적극적으로 수비에 가담하는 높은 수비 의식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이드 백이 전방으로 돌진하면 윙이 그 공간을 메우기 위해 내려오는 식의 커버링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4. 비판과 한계

토탈 풋볼 시스템은 이상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약점을 가졌고, 이는 특히 네덜란드서독이 맞붙은 197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드러났다.[27] 이 경기에서 리누스 미헬스 감독과 핵심 선수 요한 크루이프는 상대 팀 베르티 포그츠의 효과적인 대인 방어에 막혀 경기 후반으로 갈수록 플레이 메이킹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 이는 프란츠 베켄바워, 울리 회네스, 볼프강 오베라트와 같은 서독 선수들이 미드필드를 장악하는 결과로 이어졌고, 결국 네덜란드는 서독에 1-2로 패배하며 토탈 풋볼의 한계를 드러냈다.[28]

또한 토탈 풋볼은 매우 이상적이지만 비효율적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모든 선수가 모든 포지션을 소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위치를 바꾸는 것보다, 각자 정해진 포지션에서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 전술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선수 전원의 높은 기술 수준, 뛰어난 전술 이해도, 엄청난 체력, 그리고 강력한 수비 의식이 필수적이었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모든 팀이 갖추기 어려운 조건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비판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토탈 풋볼의 혁신적인 개념들은 이후 여러 팀에 의해 연구되고 개량되어 현대 축구 전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서적 Planet Football Lulu.com
[2] 웹사이트 Rinus Michel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3-08-07
[3] 서적 Contested Fields: A Global History of Modern Football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 간행물 Eurocopa 2012 2012-06
[5] 뉴스 How total football inventor was lost to Hungary https://www.theguard[...] 2020-05-17
[6] 웹사이트 Best teams never to win a World Cup: Netherlands 1974 https://www.espn.in/[...] ESPN 2023-08-04
[7] 서적 Who Invented the Stepover? Profile Books
[8] 뉴스 The Dutch Look Great Again. Oh, No. https://www.nytimes.[...] 2023-08-07
[9] 웹사이트 When Austria were good at football https://www.bbc.co.u[...] 2020-05-17
[10] 뉴스 Jimmy Hogan: The Englishman who inspired the Magical Magyars https://www.bbc.com/[...] 2020-05-17
[11] 웹사이트 Great Calcio Sides: Il Grande Torino https://forzaitalian[...] 2020-05-17
[12] 웹사이트 What if River Plate's La Máquina, Il Grande Torino had played one another? https://www.si.com/p[...] 2015-04-27
[13] 웹사이트 The Question: Why are teams so tentative about false nines? - Jonathan Wilson https://www.theguard[...] 2009-10-27
[14] 웹사이트 Pedernera, the twinkle-toed engine driver https://www.fifa.com[...] 2015-05-12
[15] 서적 Total Football - A graphic history of the world's most iconic soccer tactics Aurum Press
[16] 서적 Never Had it So Good: Burnley's Incredible 1959/60 League Title Triumph Pitch Publishing
[17] 문서 Quelch (2015), p. 11
[18] 웹사이트 Rinus Michels and the Total Football rebellion http://www.thesefoot[...] 2019-09-17
[19] 뉴스 Johan Cruyff: 'Johan Cruyff: 'Everyone can play football but those values are being lost. We have to bring them back'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9-12
[20] 웹사이트 Classic Coach: Rinus Michels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08-06-13
[21] 웹사이트 FIFA Classic Player: The Netherlands' Grand Master https://web.archive.[...] FIFA.com 2014-07-14
[22] 뉴스 Johan Cruyff: The Total Footballer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03-12-10
[23] 웹사이트 Ground Breaking Team: Ajax 1973 http://www.britishco[...] The British Council in Japan 2008-06-13
[24] 뉴스 World Cup 2010: Dutch were pioneers of Total Football, but after exporting it to Spain must now stop opponents at their own game http://sport.scotsma[...] 2010-07-24
[25] 뉴스 We are the champions https://www.fifa.com[...] FIFA.com 2016-03-24
[26] 웹사이트 Season 1971-72 http://www.europeanc[...] European Cup History 2008-06-13
[27] 웹사이트 1974 FIFA World Cup Germany: Dutch take plaudits but Germany take the prize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08-06-13
[28] 웹사이트 World Cup Final, 1974: West Germany vs. The Netherlands http://www.dw-world.[...] Deutsche Welle 2008-06-13
[29] 뉴스 World Cup final: Johan Cruyff sowed seeds for revolution in Spain's fortunes https://www.telegrap[...] 2010-07-13
[30] 뉴스 【W杯タイムスリップ】「トータルフットボール」 http://www.sanspo.co[...] sanspo.com 2010-04-09
[31] 문서 서부(7~8頁目)
[32] 문서 서부(6~7頁目)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