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즐라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즐라 섬은 1925년 폭풍으로 타만 반도가 침식되어 형성된 섬으로, 케르치 해협에 위치한다. 고대에는 타만 반도의 일부였으며, 1941년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전까지 크림주의 일부였다. 1954년 우크라이나에 편입되었고,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 영토가 되었다. 2003년 러시아와의 영토 분쟁(투즐라 분쟁)이 있었으나, 2005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임을 인정하며 해결되었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러시아의 실효 지배 하에 있으며, 크림 대교 건설에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섬 - 즈미이니섬
    즈미이니섬은 흑해 북서부에 위치한 우크라이나의 섬으로, 과거 아킬레우스 신전이 있었던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등대가 있고 유일한 정착지인 빌레가 설립되었으며 해양 경계 획정 분쟁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략적 요충지로서의 중요성을 지닌다.
  • 흑해의 섬 - 즈미이니섬
    즈미이니섬은 흑해 북서부에 위치한 우크라이나의 섬으로, 과거 아킬레우스 신전이 있었던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등대가 있고 유일한 정착지인 빌레가 설립되었으며 해양 경계 획정 분쟁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략적 요충지로서의 중요성을 지닌다.
  • 케르치 - 케르치 해협
    케르치 해협은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 사이의 좁은 해협으로, 고대 보스포루스 왕국부터 근대 러시아-튀르키예, 2차 세계 대전, 그리고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2018년 크림 대교 건설 이후 잦은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투즐라섬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위치케르치 해협
면적2.1 제곱킬로미터
지리
케르치 해협과 크림 대교 위성 사진, 중앙에 투즐라 섬 위치
케르치 해협과 크림 대교 위성 사진, 중앙에 투즐라 섬 위치
인구
2012년0명
행정
소속 국가분쟁 지역: (사실상)}}| (법적)}}}}
언어

2. 지리

크림 반도에 위치한 우크라이나 도시 케르치의 관할 하에 있다. 섬은 종종 침식되는 이나 모래사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적은 3km2이며, 길이는 6.5km, 폭은 500m에 불과하다.

투즐라 섬은 1925년폭풍에 의해 침식되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크라스노다르 지방의 타만 반도에서 이어지는 좁은 곶 형태가 되었다.

3. 역사

투즐라 섬은 1925년 타만 반도가 침식되면서 형성되었다.[4]

1941년 소련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전에는 크림주의 일부였다가 1954년 2월 19일 우크라이나 SSR에 속하게 되었고,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의 영토가 되었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사이의 여러 영토 분쟁 중 하나였으며, 2003년부터 시작된 투즐라 분쟁은 2005년 7월 러시아가 투즐라 섬과 그 해역이 우크라이나에 속한다는 것을 승인하면서 해결되는 듯 했다. 그러나 2012년 7월 12일 양국 정상 회담에서 섬의 영유권이 우크라이나에 있다는 것이 재확인되었다.[7]

2014년 크림 위기로 인해 러시아가 일방적으로 크림 반도를 병합하면서, 2014년 3월 21일 러시아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 장관은 케르치 해협 영토 문제는 더 이상 우크라이나와의 협상 대상이 아니라고 발표하며 투즐라 섬의 러시아 귀속을 암묵적으로 선언했다.[8][9] 2015년 10월 1일, 케르치와 타만을 잇는 크림 대교 건설로 러시아 본토와 연결되었으며,[10] 현재도 러시아의 실효 지배 하에 있다.

3. 1. 형성 과정

투즐라 섬은 1925년 대규모 폭풍으로 타만 반도가 침식되면서 형성되었다.[4] 고대(2,500년 전)에는 해수면이 현재보다 4미터 낮았는데, 이는 현대 투즐라 위치에 타만 반도의 일부인 광대한 지역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시 타만 반도 자체는 쿠반 삼각주의 일부였으며, 아조프해흑해로 흘러드는 강줄기에 의해 나머지 육지와 분리되어 있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투즐라를 고대 작가들이 언급한 아로페카 섬으로, 킴메리안 보스포러스 해역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 섬이 주기적으로 보스포러스의 아시아 해안과 연결될 때, 그 결과물인 땋은머리가 아로페코이와 보스포러스의 유럽 해안 사이의 좁은 부분을 통과하는 통로의 입구로 사용되었다고 본다. 다른 역사가들과 지질학자들은 고대에는 섬도 투즐라 사취도 존재하지 않았다고 믿으며 이러한 가설을 거부한다.

3. 2. 소련 시기

투즐라 섬은 1925년 대규모 폭풍으로 타만 반도가 침식되면서 형성되었다.[4] 고대(2,500년 전)에는 해수면이 현재보다 4미터 낮았는데, 이는 현대 투즐라 위치에 타만 반도의 일부인 광대한 지역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시 타만 반도 자체는 쿠반 삼각주의 일부였으며, 아조프 해와 흑해로 흘러드는 강줄기에 의해 나머지 육지와 분리되어 있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투즐라를 고대 작가들이 언급한 아로페카 섬으로, 킴메리안 보스포러스 해역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 섬이 주기적으로 보스포러스의 아시아 해안과 연결될 때, 그 결과물인 땋은머리가 보스포러스의 유럽 해안 사이의 좁은 부분을 통과하는 통로의 입구로 사용되었다고 본다. 다른 역사가들과 지질학자들은 고대에는 섬도 투즐라 사취도 존재하지 않았다고 믿으며 이러한 가설을 거부한다.

1941년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전, 이곳은 크림주의 일부였다. 1954년 2월 19일 우크라이나 SSR의 일부가 되었고,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가 되었다.

3. 3.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1941년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전, 이곳은 크림주의 일부였다. 1954년 2월 19일 우크라이나 SSR의 일부가 되었고,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가 되었다.[4] 크림 반도에 위치한 우크라이나 도시 케르치의 관할 하에 있다. 섬은 종종 침식되는 이나 모래사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적은 3km2이며, 길이는 6.5km, 폭은 500m에 불과하다.

1941년 1월 7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회의의 결정에 따라 크림주에 편입되었다. 이후 1954년 2월 19일에는 크림주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1991년, 우크라이나가 주권 선언을 하고 독립하면서 크림주의 투즐라 섬은 독립한 우크라이나의 영토가 되었다.

소련 붕괴 후, 독립한 러시아 연방우크라이나 사이에는 여러 영토 분쟁이 발생했는데, 이 섬도 분쟁 지역이 되었다. 특히, 2003년부터 시작된 투즐라 분쟁은 큰 문제가 되었지만, 2005년 7월에 러시아가 투즐라 섬과 그 해역이 우크라이나에 속한다는 것을 승인하여 해결되었다. 2012년 7월 12일에는 양국 정상 회담에서 섬의 영유권이 우크라이나에 있다는 것이 재확인되었다.[7]

3. 4. 2003년 투즐라 섬 분쟁

1954년 크림반도 할양 당시 크림반도의 대륙 부분만 포함되었다고 러시아 당국이 주장했지만, 투즐라 섬은 1941년부터 행정적으로 크림반도의 일부였다.[2]

러시아 측은 우크라이나 정부와 사전 협의 없이 타만 반도에서 섬 방향으로 둑길을 건설하기 시작했다.[3] 3.8km 길이의 둑길 건설은 정확히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에서 중단되었고, 둑길과 섬 사이의 거리는 1200m였다. 둑길 건설은 해협의 흐름 강도를 증가시켜 섬의 침식을 악화시켰다.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정부는 해협 바닥을 깊게 하는 토목 공사를 지원했다. 우크라이나는 2003년까지 케르치 해협을 양국의 내수로 인정하는 것을 거부했다.

2003년 10월 21일, 우크라이나 국경 경비대는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 섬의 사진 및 비디오 감시를 수행한 러시아 예인선 ''트루제니크''를 잠시 구금했다. 2003년 10월 23일, 우크라이나 의회는 "러시아 연방의 케르치 해협 댐 건설로 인해 나타난 우크라이나 영토 보전에 대한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결의안을 발표했다. 이 사건을 더 철저히 조사하기 위해 임시 특별 의회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2003년 10월 30일부터 31일까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회담이 시작되어 둑길 건설이 중단되었다.[4] 분쟁으로 인해 2003년 12월 2일, 우크라이나 국경 초소가 섬에 설치되었다. 2003년 12월 5일, 우크라이나 내각은 섬을 보호하기 위한 긴급 조치와 관련하여 명령 #735p를 발령했다. 2004년 7월 4일, 우크라이나 내각은 해안 강화 구조물 건설 및 침수 지역으로부터의 인구 이전을 예상하는 명령 #429p를 발령했다.

2003년 분쟁 이후, 크림 자치 공화국 최고 의회는 섬에 새로운 정착촌을 건설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2006년 9월 6일, 케르치 시 당국은 도시의 행정-영토 구성과 충돌한다는 이유로 정착촌 건설을 거부했다.[5]

타만 반도에서 뻗어 나온 미완성 둑길까지의 거리는 약 100m이며, 이전 얕은 곳의 수심은 60cm에 불과했다.

통과 권리에 대한 분쟁은 2003년 아조프해 및 케르치 해협의 이용에 관한 양자 간 협정에 의해 해결되었으며,[6] 이 조약은 이 수역을 양국의 공유된 내수로 만들었다. 그러나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및 세바스토폴 합병 이후 새로운 긴장이 발생했다.

3. 5.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러시아가 2014년 3월 크림반도를 합병한 이후, 투즐라섬은 새롭게 설립된 크림 당국에 의해 러시아 중앙 정부의 소유로 이전되었으며,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를 연결하는 새로운 다리의 교두보로 사용되었다.

2014년 크림 위기 결과, 러시아의 일방적인 크림반도 병합이 선언되었다. 2014년 3월 21일, 러시아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 장관은 케르치 해협 영토 문제는 더 이상 우크라이나와의 협상 대상이 아니라고 말하며 투즐라섬의 러시아 귀속을 암묵적으로 선언했다.[8][9] 2015년 10월 1일, 케르치와 타만을 잇는 크림 대교의 중계 지점으로 러시아 본토와 연결되었다.[10] 현재도 섬은 러시아의 실효 지배 하에 있다.

4. 기반 시설

공식적으로 이 섬에는 영구적인 거주지가 없지만, 심페로폴 부대(우크라이나 국경 서비스)의 국경 초소, 몇 개의 개인 정원 부지가 있는 작은 어촌, "알바트로스"와 "투 시스"라는 두 개의 휴양 시설이 있었다. 섬의 전력은 두 대의 디젤 발전소에서 공급되었다. 섬에는 부두와 헬리콥터 착륙장도 있었다. 어촌 근처에 위치한 두 번째 부두는 심각한 상태여서 사용되지 않았다. 섬을 따라 두 개의 콘크리트 포장 도로가 뻗어 있다. 5월부터 10월까지 "투 시스" 휴양 시설에서 상점이 운영되었다.

이 섬은 2018년 5월에 개통되어 크림 반도와 타만 반도를 연결하는 크림 대교 건설에 사용되었다.

5. 갤러리

투즐라 섬 (중앙). 미트리다트 산 (크림반도 케르치)에서 본 모습.

참조

[1] 웹사이트 Земли острова Тузла, через который проходит Крымский мост, переданы в собственность РФ https://tass.ru/ekon[...] ТАСС 2019-04-04
[2] 서적 '[https://books.google.dk/]' https://books.google[...]
[3] 뉴스 Russia-Ukraine Ties Founder on the Shore of Tiny Isle https://www.latimes.[...] 2018-08-03
[4] 뉴스 Russian-Ukrainian dispute over Tuzla escalates http://www.ukrweekly[...] 2018-08-03
[5] 웹사이트 How Putin's Crimean bridge grew over 2016–2017 – satellite images https://euromaidanpr[...] 2024-06-09
[6] 간행물 The Kerch Strait and the Azov Sea 2018-11-22
[7] 뉴스 ロシアとウクライナ、国境画定で基本合意 http://www.yomiuri.c[...] 2012-07-14
[8] 문서 Стенограмма 349 (внеочередного) заседания Совета Федерации http://council.gov.r[...]
[9] 뉴스 Лавров: Керченский пролив больше не может являться предметом переговоров с Украиной http://itar-tass.com[...] ИТАР-ТАСС 2014-03-27
[10] 문서 Завершено строительство первого рабочего моста в Керченском проливе http://www.kp.ru/da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