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르치 해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르치 해협은 흑해와 아조프해를 연결하는 해협으로, 고대에는 킴메리안 보스포루스로 불렸다. 역사적으로 케르치 해협은 케르치 해협 해전의 주요 전장이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격렬한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냉전 이후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영토 분쟁 및 군사적 충돌의 대상이 되었으며,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러시아가 실질적으로 통제하게 되었다. 현재는 크림 대교가 건설되어 육상 교통이 가능하며, 2022년과 2023년에는 크림 대교에서 폭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2. 역사

케르치 해협은 고대부터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해상 교통로 역할을 해왔다. 주요 항구로는 크림반도 측의 케르치, 러시아 측의 노보로시스크 등이 있다.

2. 1. 고대 시대



이 해협은 길이가 약 35km이며 가장 좁은 곳의 폭은 3.1km이다.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은 이 해협을 Κιμμέριος Βόσπορος|키메리오스 보스포로스grc 또는 Cimmerius Bosporus|킴메리우스 보스포루스la라고 불렀는데,[2] 이는 해협 인근 초원에 살았던 기마 유목민인 킴메르인을 기리기 위한 이름이었다.[3] 고대에는 해협 근처의 저지대를 마에오티스 늪이라고 불렀으며,[4][5] 쿠반강(고대명 히파니스)의 지류와 여러 해협들이 교차하는 섬들이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흙으로 메워진 것으로 추정된다.[1]

기원전 438년경, 해협 주변의 그리스 식민 도시들이 발전하여 보스포루스 왕국이 세워졌다.

고대 시대에는 트라키아 보스포루스(현재의 보스포루스 해협)처럼 킴메리안 보스포루스도 유럽아시아를 나누는 지리적 경계로 여겨졌다.[6] 하지만 정확한 경계선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달랐다. 포세이도니우스, 스트라보(''지리학'' 11.7.4), 프톨레마이오스 등 대부분의 고대 지리학자들은 북쪽에서 아조프해로 흘러 들어가는 타나이스강(현재의 돈강)을 두 대륙의 경계로 보았다. 반면 시인 코르넬리우스 갈루스는 동쪽에서 아조프해로 흘러 킴메리안 보스포루스 근처로 들어가는 히파니스강(현재의 쿠반강)을 경계로 생각했다.[7]

2. 2. 중세 및 근대

에드워드 대니얼 클라크가 그린 케르치 해협, 또는 타만 해협의 모습 (1801년경)


케르치 해협은 러시아-튀르크 전쟁 (1787-1792) 중인 1790년에 벌어진 대규모 해전인 케르치 해협 해전의 주요 무대였다. 이 해전은 러시아의 승리로 끝났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케르치 반도는 소련붉은 군대나치 독일 군대 사이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 현장이었다. 특히 해협이 얼어붙어 얼음 위로 병력 이동이 가능해지는 겨울철에 전투가 더욱 치열해졌다.[8]

1943년 초 동부 전선이 안정되자, 히틀러는 코카서스에 대한 새로운 공세를 지원하기 위해 케르치 해협을 가로지르는 4.8km 길이의 도로 및 철도 교량 건설을 1943년 봄에 명령했다. 이에 앞서 1943년 6월 14일에는 하루 1,000톤의 수송 능력을 갖춘 케이블 철도(공중 케이블카)가 가동되었으나, 이는 쿠반 교두보에 주둔한 독일 제17군의 방어적 필요만을 겨우 충족시키는 수준이었다. 교량 건설에는 빈번한 지진 때문에 막대한 양의 고강도 강철 거더가 필요했고, 이를 수송하는 것은 크림반도로의 군수 물자 수송을 제약하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교량은 완공되지 못했고, 독일 국방군은 1943년 9월 쿠반 교두보에서 철수를 완료했다.[9]

1944년, 소련군은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자재를 이용하여 해협을 가로지르는 임시 철도 교량인 케르치 철도교를 건설했다. 이 교량은 1944년 11월에 개통되었으나, 이듬해인 1945년 2월 유빙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이후 재건되지 않았다.[10][43]

2. 4. 냉전 시대 이후

1954년 해협을 가로지르는 페리 수송이 시작되어 크림반도와 크라스노다르 지방(크림 항구 - 코카서스 항구 노선)을 연결했다. 처음에는 4척의 열차 페리 선박이 운행되었고, 이후 3척의 자동차-페리 선박이 추가되었다. 열차를 이용한 수송은 거의 40년 동안 계속되었으나, 1980년대 후반 노후화된 열차 페리는 운행이 중단되었다. 2004년 가을, 새로운 선박이 도입되어 열차 수송이 재개되었지만, 페리 노선은 2020년 말에 운행을 멈췄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서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1997년 양국 간 우호 조약이 체결되어 해협에 있는 투즐라 섬은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해협의 주요 항로를 실효 지배하는 우크라이나에 대해 러시아 측은 불만을 가졌고, 2003년 러시아가 투즐라 섬에 제방을 건설하려 하자 우크라이나 측이 군대를 파견하는 등 투즐라 곶 분쟁이 발생했다.[47] 같은 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해협과 아조프 해를 공동 내부 수역으로 간주하는 조약에 합의했다.

2010년 4월 25일, 러시아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의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케르치 해협에 다리를 건설하는 합의서에 서명했다.[48] 2012년 7월 12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회담하여, 투즐라 섬의 영유권이 우크라이나 측에 있음을 재확인하고 해협에서의 선박 통항을 양국이 공동 관리하는 데 합의했다.[49]

2. 5.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2014년 투즐라 섬에서 북서쪽으로 바라본 모습. 크림 항구 방향. 해협의 폭은 이 지점에서 약 5km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되고 러시아 연방의 크림 합병이 이루어진 2014년 이후, 러시아는 기존의 2003년 해군 조약에도 불구하고 해협에 대한 통제권을 강제로 확보하였다.[47][50] 이로 인해 케르치 해협은 사실상 러시아의 통제 하에 놓이게 되었다.

2019년 크림 대교


러시아는 합병한 크림반도에 대한 실효 지배를 강화하기 위해 2016년 2월부터 크림 대교 건설을 시작했다.[44] 총 2.28조러시아 루블의 공사비가 투입된 이 다리는 길이 19km에 달하며, 왕복 4차선 자동차 도로는 2018년 5월 15일에 개통되었고[44], 복선 철도교는 2019년 12월 23일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19][45] 러시아 정부 지원 언론은 다리 건설로 인해 해역의 영양분과 플랑크톤이 증가하여 어류와 흑해 큰돌고래가 몰려들었다고 주장했지만[20], 우크라이나 측은 건설과 군사 훈련으로 인한 소음 및 오염이 오히려 돌고래 폐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반박했다.[21]

2018년에는 흑해에서 아조프해로 진입하려던 우크라이나 해군 군함 3척이 러시아 해안 경비대의 발포 후 나포되는 케르치 해협 사건이 발생하여 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51]

2021년 4월, 러시아는 케르치 해협에서 타국 군함의 무해 통항을 6개월간 제한하겠다고 발표하여 우크라이나의 강한 반발을 샀다.[52][53]

2022년 10월 8일에는 크림 대교에서 폭발이 발생하여 도로 일부가 붕괴되고 철도교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등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31] 이듬해인 2023년 7월 17일에는 무인 수상정에 의한 추가 공격으로 다리의 도로 부분이 다시 손상되었다.

3. 지리

케르치 해협은 길이가 약 35km이며 가장 좁은 곳의 폭은 3.1km이다. 이 해협은 크림 반도의 동쪽 끝과 타만 반도(캅카스 산맥의 서쪽 끝)를 나눈다. 고대에는 쿠반강(히파니스)의 지류와 여러 해협들이 교차하는 섬들이 있었으나, 이후 흙으로 메워진 것으로 보인다.[1]

로마인들은 이 해협을 그리스어 이름인 '''킴메리안 해협'''(Κιμμέριος Βόσπορος|키메리오스 보스포로스grc)에서 유래한 '''킴메리우스 보스포루스'''(Cimmerius Bosporus|킴메리우스 보스포루스la[2])라고 불렀는데, 이는 해협 인근 초원에 살았던 기마 유목민인 킴메르인을 기리기 위한 이름이었다.[3] 고대에는 해협 근처의 저지대를 마에오티스 늪이라고 불렀다.[4][5]

고대 시대에는 킴메리안 보스포루스가 트라키아 보스포루스처럼 유럽과 아시아를 구분하는 경계로 여겨졌다.[6] 포세이도니우스, 스트라보(지리학 11.7.4), 프톨레마이오스와 같은 대부분의 고대 지리학자들은 아조프해로 흘러 들어가는 타나이스강(돈강)을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로 보았다. 반면 시인 코르넬리우스 갈루스는 아조프해 동쪽에서 흘러 킴메리안 보스포루스 근처로 유입되는 히파니스강(쿠반강)을 경계로 생각했다.[7]

주요 항구로는 크림반도 쪽의 케르치와 러시아 쪽의 노보로시스크 등이 있다.

4. 교통



케르치 해협은 흑해와 아조프 해를 연결하는 중요한 해상 교통로이다. 과거 러시아우크라이나는 2003년 해군 조약을 통해 양국 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을 보장하기로 합의했었다.

그러나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한 이후, 러시아는 일방적으로 해협의 통제권을 장악하여 현재 사실상 유일한 통제 주체가 되었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주요 갈등 요인 중 하나이다.

해협을 통한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과거 오랫동안 운영되었던 페리와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이후 건설된 크림 대교가 있다. 또한, 해협의 얕은 수심 때문에 대형 선박의 통행을 위해 케르치-예니칼 운하가 준설되어 운영 중이다. 이 운하는 해상 교통의 핵심 통로 역할을 하지만, 통항 조건이 까다로워 케르치 선박 교통 통제소의 엄격한 관리 하에 운영된다.

4. 1. 페리

해협을 가로지르는 페리 수송은 1954년에 시작되어 크림반도의 크림 항구와 크라스노다르 지방의 코카서스 항구를 연결했다. 처음에는 4척의 열차 페리 선박이 운행되었고, 이후 3척의 자동차 페리 선박이 추가되었다. 열차 페리를 이용한 수송은 거의 40년 동안 이어졌으나, 1980년대 후반에 선박 노후화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2004년 가을, 새로운 선박이 도입되면서 열차 페리 수송이 다시 시작되었지만, 이 페리 노선은 2020년 말에 운행을 중단했다.

4. 2. 교량



해협을 가로지르는 교통 수단으로는 1953년 확립된 페리 운송이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으며, 이는 크림반도와 크라스노다르 지방을 연결했다. 초기에는 기차-페리 노선이 있었으나 나중에는 자동차-페리 노선 위주로 운영되었고, 노후화 문제로 1980년대 말 중단되었다가 2004년 새로운 선박으로 기차 운송이 재개되기도 했다.

그러나 페리 운송을 대체하기 위해 해협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건설하려는 시도는 여러 차례 있었다. 하지만 이 지역의 지리적, 지질학적 어려움으로 인해 번번이 좌절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부 전선이 안정된 1943년 초, 나치 독일의 히틀러는 코카서스 방면 공세를 지원하기 위해 4.8km 길이의 도로 및 철도 교량 건설을 명령했다. 1943년 6월에는 케이블 철도(공중 케이블카)가 가동되어 쿠반 교두보의 독일 제17군을 지원했으나, 빈번한 지진과 건설에 필요한 막대한 강철 거더 수송 문제 등으로 교량은 완공되지 못했고, 독일 국방군은 1943년 9월 쿠반 교두보에서 철수했다.[9]

전후인 1944년, 소련은 독소전 중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자재를 이용하여 임시 철도 교량(케르치 철도교)을 건설했다. 이 다리는 1944년 11월 개통되었으나, 불과 3개월 뒤인 1945년 2월 떠다니는 유빙에 의해 파괴되었고 재건되지 않았다.[10][43]

이후에도 모스크바 시장 유리 루시코프가 고속도로 교량 건설을 추진하는 등 다양한 교량 건설 프로젝트가 제안되거나 시도되었지만, 어려운 지질 및 지리 조건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2003년에는 접근로 확보를 위해 3.8km 길이의 댐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이는 우크라이나와의 투즐라 섬 분쟁을 야기하기도 했다.[18]

상황이 바뀐 것은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하면서부터였다. 러시아 정부는 크림반도에 대한 실효 지배를 강화하기 위해[43] 케르치 해협을 가로지르는 다리 건설을 결정하고 2016년 2월 착공했다. 총 공사비 2280억 루블( 2.28조러시아 루블 )이 투입된 19km 길이의 크림 대교는 2018년 5월 15일 왕복 4차선 자동차 도로가 먼저 개통되었고,[19][44] 2019년 12월 23일에는 복선 철도교가 개통되어 운행을 시작했다.[45]

크림 대교 건설 이후 환경 영향에 대한 논란이 있다. 러시아 정부 지원 언론은 다리 건설로 해역의 영양분과 플랑크톤이 증가하여 물고기와 멸종 위기종인 흑해 큰돌고래가 몰려들었다고 주장한다.[20] 반면, 우크라이나는 다리 건설 및 이와 관련된 군사 훈련으로 인한 소음 공해와 오염 때문에 오히려 흑해 돌고래들이 죽어가고 있을 수 있다고 우려를 표하고 있다.[21]

크림 대교는 우크라이나 전쟁 중 주요 공격 목표가 되기도 했다. 2022년 10월 8일 오전, 다리의 도로 부분에서 폭발이 발생하여 도로 일부가 붕괴되고 병렬 철도 교량을 지나던 유조 열차에 불이 옮겨붙는 큰 피해가 발생했다.[31] 또한 2023년 7월 17일에는 자폭 해상 드론 두 대의 공격으로 도로 구간이 손상되었다.

4. 3. 운하

케르치 해협은 가장 좁은 지점의 수심이 상당히 얕아 대형 선박의 항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케르치-예니칼 운하가 준설되었다. 이 주요 항로는 최대 길이 215m, 최대 8m의 흘수를 가진 선박까지 수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도선사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

운하는 직선이 아니며 기하학적 구조로 인해 안전한 항해가 복잡하다. 좁은 폭과 제한된 수심, 주요 항로의 굴곡, 그리고 예측하기 어려운 바람과 안개 같은 시야 제한 요소는 해협 통과에 엄격한 절차를 요구하게 만든다. 이 때문에 대형 선박의 통과는 한 방향씩 교대로 이루어지는 단체 호송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통과 절차는 과거 소련, 우크라이나, 러시아 관할 하에서도 큰 변동 없이 유지되어 왔다. 모든 교통 통제와 감독은 케르치에 위치한 선박 교통 통제소에서 담당한다.

5. 환경

케르치 해협의 크림반도 해안, 특히 케르치 반도 쪽에는 여러 어류 가공 공장이 위치해 있다. 어업 시즌은 늦가을에 시작되어 2~3개월 동안 지속되며, 이 기간 많은 선망 어선들이 조업을 위해 해협으로 출항한다. 타만 만은 주요 어장이며, 해안을 따라 많은 어촌이 흩어져 있다.

그러나 해협에서는 여러 차례 환경 관련 사고가 발생했다.


  • 2007년 유류 유출 사고: 2007년 11월 11일, 흑해에서 발생한 매우 강한 폭풍으로 인해 케르치 해협 일대에서 큰 피해가 발생했다. 선박 4척이 침몰하고 6척이 모래톱에 좌초되었으며, 유조선 2척이 파손되었다. 이 사고로 23명의 선원이 사망했으며, 대규모 기름 유출이 발생했다.[13] 러시아 국적의 유조선 ''Volgoneft-139''는 폭풍을 피해 해협에서 피항하던 중 선체가 두 동강 나면서 2000ton 이상의 벙커유가 유출되었다.[14][15] 또한, 폭풍으로 침몰한 다른 4척의 배에서는 유황 화물이 유출되었고, 악천후는 선원 구조 작업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15][16] 같은 날 을 싣고 있던 러시아 화물선 ''Volnogorsk''도 포트 카프카즈 항구 근처에서 침몰했다.[17]

  • 2019년 액화 천연 가스 유조선 화재: 2019년 1월 21일, 탄자니아 선적의 액화 천연 가스(LNG) 유조선인 ''Kandy''호와 ''Maestro''호 2척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2024년 유류 유출 사고: 2024년 12월 15일, 러시아 유조선 ''볼고네프-212''호와 ''볼고네프-239''호가 폭풍으로 인해 손상 및 좌초되어 기름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약 4900ton의 기름을 싣고 있던 ''볼고네프-212''호는 선체가 반으로 갈라져 선미 부분이 침몰했으며, 승무원 1명이 저체온증으로 사망하고 나머지 12명은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약 4300ton의 기름을 싣고 있던 ''볼고네프-239''호는 통제 불능 상태로 표류하다가 크라스노다르 지방의 타만 항구 근처에 좌초되었다.[33][34][35] ''볼고네프-239''호의 승무원 구조는 악천후로 인해 일시 중단되었다가 다음 날 완료되었으며,[36][37] 좌초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기름 유출이 시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38][39] 다행히 당일 두 선박에서의 기름 유출은 멈췄다.[40] 유출된 기름은 투즐라 모래톱과 파나기야 곶 사이의 타만 항구 북서쪽 해안으로 표류하기 시작했다.[41][42]

6. 분쟁



러시아우크라이나는 2003년 해군 조약에서 양국 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을 보장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되고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병합이 이루어진 이후, 러시아군은 무력을 통해 해협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하며 사실상 해협을 단독으로 통제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합의를 무시하고 새로운 현상을 강제적으로 구축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갈등 상황 속에서 크림 대교는 전략적 요충지이자 분쟁의 상징이 되었다. 2022년 10월 8일과 2023년 7월 17일에는 크림 대교에서 폭발이 발생하여 다리가 심각하게 손상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2022년 폭발은 도로 부분에서 발생하여 인근 열차의 유조차까지 화재가 번졌으며, 도로 교량 일부가 붕괴되었다.[31] 2023년에는 무인 수상정 공격으로 도로 교량이 추가로 손상되었다.

6. 1. 영토 분쟁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1997년에는 양국 간 우호 조약이 체결되어 해협에 있는 투즐라 섬은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해협의 주요 항로를 실효 지배하는 우크라이나에 대해 러시아 측은 불만을 키웠고, 2003년에는 러시아가 투즐라 섬 방향으로 제방 건설을 시도하자 우크라이나 측이 군대를 파견하는 투즐라 곶 분쟁이 발생했다[47]. 2003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해협과 아조프 해를 공동 내부 수역으로 간주하는 협정을 맺었다.

2010년 4월 25일, 러시아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의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케르치 해협에 다리를 건설하는 합의서에 서명했다[48]. 2012년 7월 12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야누코비치 대통령과 회담하여, 투즐라 섬의 영유권이 우크라이나에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해협에서의 선박 통항을 양국이 공동으로 관리하기로 합의했다[49].

6. 2. 군사적 충돌



러시아우크라이나는 2003년 해군 조약을 통해 양국 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을 보장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및 2014년 러시아 연방의 크림 합병 이후, 러시아는 무력을 통해 해협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하며 사실상 해협을 단독으로 통제하게 되었다.

2018년 11월에는 케르치 해협 사건이 발생했다. 우크라이나 해군 함선 3척이 흑해에서 아조프해로 진입하며 크림 대교 밑을 통과하려 하자, 러시아군은 대형 컨테이너선으로 해협 통과를 막았다. 우크라이나 함선들이 회항을 시도하자 러시아 해안경비대가 발포하여 함선들을 나포했다.[22][23][24][51]

2021년 4월 15일, 러시아는 군사 훈련을 명분으로 4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케르치 해협을 통한 "군함 및 기타 국가 선박"의 무해 통항을 제한한다고 발표했다.[25][52][53] 이 조치로 우크라이나의 베르댠스크마리우폴 항구가 흑해로부터 부분적으로 차단되었다.[26]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이 결정이 "해안 국가로서 우크라이나의 주권을 침해하려는 또 다른 시도"라며 강하게 항의했고,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에 따른 항행의 자유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25][52][53]

이러한 해협 통항 제한 결정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에 군사력을 증강하던 시기에 이루어졌다. 당시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긴장 완화를 위해 구축함 2척(USS 루스벨트와 USS 도널드 쿠크[27])을 흑해에 파견할 계획이었으나, 러시아는 이에 대해 경고하며 파견 보류를 압박했다.[28] 결국 미국이 구축함 파견을 보류하자, 러시아는 케르치 해협 통항 제한 조치를 실행에 옮겼다.[27][29]

6. 3. 크림 대교



과거 모스크바 시장 유리 루시코프는 해협을 가로지르는 고속도로 교량 건설을 추진한 바 있다. 1944년 이후 여러 차례 교량 건설 프로젝트가 제안되거나 시도되었으나, 복잡한 지질 및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2003년에는 교량 접근로 건설의 일환으로 3.8km 길이의 댐 건설이 시작되었고, 이는 투즐라 섬을 둘러싼 분쟁을 촉발하기도 했다.[18]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이후, 러시아 정부는 케르치 해협을 가로지르는 다리 건설을 결정했다. 총 길이 19km의 크림 대교는 2018년 차량 통행을 시작했으며, 2019년에는 철도 구간이 개통되었다.[19] 이 다리는 러시아 본토와 병합한 크림반도를 직접 연결하는 통로가 되었다.[50]

크림 대교 건설 이후 케르치 해협은 사실상 러시아의 통제 하에 놓이게 되었다. 2018년에는 흑해에서 아조프 해로 진입하려던 우크라이나 해군 군함 3척이 러시아 해안 경비대의 공격을 받고 나포되는 케르치 해협 사건이 발생했다.[51] 2021년 4월, 러시아는 케르치 해협에서 타국 군함의 무해 통항을 6개월간 금지한다고 발표했고, 이에 우크라이나는 강하게 반발했다.[52][53]

러시아 측 언론은 다리 건설로 해역의 영양분과 플랑크톤이 증가해 어족 자원이 풍부해지고 멸종 위기종인 흑해 큰돌고래 1,000여 마리가 모여들었다고 주장한다.[20] 반면, 우크라이나는 다리 건설과 주변 군사 활동으로 인한 소음 공해와 환경 오염이 오히려 흑해 돌고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고 반박한다.[21]

2022년 10월 8일 오전 6시 7분(모스크바 시간), 크림 대교의 도로 구간에서 폭발이 발생하여 다리가 심각하게 파손되었다. 폭발의 영향으로 인근을 지나던 화물 열차의 유조차 7량에 불이 옮겨 붙으면서 철도 교량에서도 큰 화재가 발생했고, 도로 교량의 일부 구간이 붕괴되었다.[31] 이후 2023년 7월 17일에는 무인 수상정 2척을 이용한 추가 공격이 발생하여 도로 교량 일부가 손상되었다.

참조

[1] 서적 Bosporus Cimmerius
[2] 문서 Nat.
[3]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Containing an Account of the Principal Proper Names Mentioned in Ancient Authors https://books.google[...] 1872
[4] 웹사이트 Hun http://everything2.c[...] 2016-03-01
[5] 웹사이트 Etruscan_Phrases, research providing new insight into Indo-European languages http://www.maravot.c[...] 2009-02-13
[6] 논문 What did Ancient Greeks mean by the “Cimmerian Bosporus”? https://www.academia[...] 2014
[7] 논문 The rivers called Phasis https://www.research[...] 2016
[8] 서적 Hitler's Army: The Evolution and Structure of German Forces Da Capo Press 2003
[9] 서적 Inside the Third Reich 1969
[10] 웹사이트 Мост через пролив http://www.kerch.com[...] KERCH.COM.UA 2014-03-22
[11] 웹사이트 Agreement between the Russian Federation and the Ukraine on cooperation in the use of the sea of Azov and the strait of Kerch https://www.ecolex.o[...] 2018-11-27
[12] 웹사이트 Russia – Ukraine Boundary in the Sea of Azov and Kerch Strait http://people.ucalga[...]
[13] 웹사이트 Marée noire: plus de 33.000 t de déchets pétroliers ramassés sur les plages du détroit de Kertch http://fr.rian.ru/ru[...] 2007-11-28
[14] 뉴스 Russia Tries to Contain Oil Spill, Save Seamen https://www.reuters.[...] 2007-11-12
[15] 뉴스 Fuel spill disaster reported in waters near Russia http://www.cnn.com/2[...] 2007-11-11
[16] 뉴스 Russian oil tanker splits in half http://news.bbc.co.u[...] 2007-11-11
[17] 웹사이트 В порту "Кавказ" затонул сухогруз c серой http://lenta.ru/news[...] 2007-11-11
[18] 문서 The Columbia Encyclopedia, Sixth Edition
[19] 웹사이트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74/17 "Problem of the militarization of the Autonomous Republic of Crimea and the city of Sevastopol, Ukraine, as well as parts of the Black Sea and the Sea of Azov" https://undocs.org/e[...] 2019-12-13
[20] 웹사이트 Crimean bridge construction boosts dolphin population in Kerch Strait http://rbth.com/poli[...] 2017
[21] 웹사이트 Ukrainian scientist: Dolphins in the Black Sea are dying becau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Kerch Strait bridge and military exercises http://www.uawire.or[...] 2018-11-26
[22] 뉴스 Explaining the naval clash between Russia and Ukraine https://www.economis[...] 2018-12-01
[23] 뉴스 Ukraine–Russia clash: MPs back martial law https://www.bbc.co.u[...] BBC News 2018-11-27
[24] 뉴스 Ukraine accuses Russia of firing on its ships near Crimea https://www.irishtim[...] 2018-11-25
[25] 웹사이트 Ukraine protests against Russia's restrictions on freedom of navigation in Black Sea https://www.ukrinfor[...] Ukrinform 2021-04-15
[26] 웹사이트 Rosjanie dokręcają śrubę, a świat się przygląda [ANALIZA] https://www.onet.pl/[...] Onet 2021-04-18
[27] 웹사이트 Putin closes off access to Black Sea after Biden's about-face on Ukraine https://nypost.com/2[...] 2021-04-15
[28] 웹사이트 Royal Navy: Reports Russia is closing Kerch Strait in Black Sea as Ukraine tensions escalate https://www.plymouth[...] 2021-04-15
[29] 웹사이트 Putin closes off access to Black Sea after Biden's about-face on Ukraine https://nypost.com/2[...] 2021-04-15
[30] 웹사이트 Корабль ВМС Украины движется в сторону Керченского пролива, сообщили в ФСБ https://ria.ru/20211[...] 2021-12-09
[31] 웹사이트 Crimean bridge fire: Blaze erupts on only bridge linking peninsula to Russia https://www.bbc.com/[...] 2022-10-08
[32] 뉴스 Russian and Chinese executives discuss Russia-Crimea tunnel project https://www.washingt[...] 2023-11-25
[33] 웹사이트 Russian tankers damaged in Kerch Strait were carrying 62,000 barrels of oil products, TASS says https://www.voanews.[...] 2024-12-16
[34] 웹사이트 Preparations underway to address oil spill in Kerch Strait https://tass.com/eme[...] 2024-12-16
[35] 웹사이트 Sailors Rescued From Second Russian Oil Tanker Damaged in Storm https://www.themosco[...] 2024-12-16
[36] 웹사이트 Oil spill near Black Sea after two Russian tankers seriously damaged in storm https://www.france24[...] 2024-12-15
[37] 웹사이트 All 14 crew members of second stricken Russian oil tanker rescued in Kerch Strait https://novayagazeta[...] 2024-12-16
[38] 웹사이트 All 14 crew members of second stricken Russian oil tanker rescued in Kerch Strait https://novayagazeta[...] 2024-12-16
[39] 웹사이트 Preparations underway to address oil spill in Kerch Strait https://tass.com/eme[...] 2024-12-16
[40] 웹사이트 All 14 crew members of second stricken Russian oil tanker rescued in Kerch Strait https://novayagazeta[...] 2024-12-16
[41] 웹사이트 All 14 crew members of second stricken Russian oil tanker rescued in Kerch Strait https://novayagazeta[...] 2024-12-16
[42] 웹사이트 Preparations underway to address oil spill in Kerch Strait https://tass.com/eme[...] 2024-12-16
[43] 뉴스 ロシア、クリミアへ橋建設(ボーダー 国境でいま3) 2014-10-10
[44] 웹사이트 クリミア大橋完成、最初のトラックドライバーはプーチン大統領 https://www.logi-tod[...] LOGISTICS TODAY 2018-05-16
[45] 뉴스 ロシア本土とクリミア結ぶ鉄道橋開通 併合の既成事実化狙う 2019-12-23
[46] 뉴스 露、クリミア本土化着々 併合から3年 海峡越えの大橋 読売新聞 2017-03-19
[47] 뉴스 海峡国境画定で基本合意 ロシアとウクライナ https://web.archive.[...] 2012-07-13
[48] 뉴스 Azarov creates group for bridging the Kerch Strait http://www.kyivpost.[...] 2010-08-09
[49] 뉴스 ロシアとウクライナ、国境画定で基本合意 http://www.yomiuri.c[...] 2012-07-13
[50] 웹사이트 Крымский мост открыт для движения легкового и пассажир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а https://www.gazeta.r[...]
[51] 뉴스 Russia fires on and seizes Ukrainian ships near annexed Crimea https://www.reuters.[...] 2018-11-25
[52] 웹사이트 Міністерство закордонних справ України - Заява МЗС України у зв’язку із обмеженням Російською Федерацією свободи судноплавства в Чорному морі https://mfa.gov.ua/n[...]
[53] 웹사이트 Ukraine Accuses Russia of Shutting Off Black Sea Access, Harassing Ships https://www.themosco[...] 2021-04-16
[54] 웹사이트 Marée noire: plus de 33.000 t de déchets pétroliers ramassés sur les plages du détroit de Kertch http://fr.rian.ru/ru[...] 2007-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