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르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르치는 크림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기원전 7세기에 고대 그리스의 밀레토스에서 온 그리스인들이 건설한 판티카파이온을 기원으로 한다. 비잔티움 제국, 하자르 카간국, 키예프 대공국, 몽골 제국,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거쳤으며, 크림 전쟁 중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격전지였으며, 이후 소련의 영웅 도시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크림반도의 산업, 교통,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하며, 금속 가공, 조선업,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르치 - 케르치 해협
케르치 해협은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 사이의 좁은 해협으로, 고대 보스포루스 왕국부터 근대 러시아-튀르키예, 2차 세계 대전, 그리고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2018년 크림 대교 건설 이후 잦은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 케르치 - 투즐라섬
투즐라섬은 케르치 해협에 위치하며 폭풍으로 형성되어 우크라이나에 속했으나, 투즐라 분쟁과 크림반도 합병 이후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며 크림 대교 건설에 사용되고 있다. - 우크라이나의 유적 - 할리치
할리치는 우크라이나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89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쇠퇴하여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고, 1994년에 고대 할리치 보호 구역이 설립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유적 - 체르니히우
우크라이나 북부 데스나강 유역에 위치한 체르니히우는 9세기부터 정착지가 형성되어 체르니히우 공국의 수도로서 키예프와 경쟁했으며, 여러 국가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 체르니히우주의 주도이고, 2022년 러시아의 침공으로 피해를 입었으며, 다양한 건축 기념물과 수도원이 남아있는 도시이다. - 우크라이나의 해수욕장 - 오데사
오데사는 우크라이나 남부 흑해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오데사 주의 행정 중심지로, 1794년 건설되어 자유항으로 발전하며 러시아 제국 내 무역 중심지로 성장, 지중해풍 건축과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격변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우크라이나의 해수욕장 - 수다크
수다크는 크림반도 남동부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7세기 문헌에 처음 등장하여 다양한 민족과 세력의 지배를 거치며 복잡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흑해 무역의 중심지이자 실크로드의 중요한 거점으로 번성한 후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크림 타타르족 등이 거주하고 있다.
케르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케르치 |
원어 명칭 | |
옛 명칭 | 판티카파이온, 보스포루스, 보스포로, 코르체프, 체르키오 |
위치 | 크림반도 |
시간대 | MSK |
기후 | 온난 습윤 기후(Cfa) |
면적 | 108 km² |
고도 | 10 m |
인구 (2017년) | 149,566명 |
인구 밀도 | 1464.49명/km² |
우편 번호 | 298300 – 298399 |
지역 번호 | +7-36561 |
웹사이트 | горсовет-керчь.рф |
행정 구역 | |
국가 | 러시아(사실상), 우크라이나(법률상) |
공화국 | 크림 공화국(사실상), 크림 자치 공화국(법률상) |
라이온 | 케르치 라이온(법률상) |
지방 자치체 | 케르치 지방 자치체(사실상) |
자매 도시 |
2. 역사
케르치는 크림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가운데 한 곳으로, 기원전 7세기에 고대 그리스의 밀레토스에서 온 그리스인들이 세운 식민 도시였다.[1][2][3] 이후 비잔티움 제국(6세기), 하자르 카간국(7세기), 키예프 대공국(10세기 말), 몽골 제국(13세기), 오스만 제국(1475년 ~ 1774년), 러시아 제국(1774년 ~ 1917년)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케르치는 전략적 위치와 자원 등으로 인해 여러 제국들의 침략 대상이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여러 전쟁을 겪었다. 크림 전쟁 중이던 1855년에는 영국 군대의 공격으로 파괴되었지만, 19세기 말 기계, 시멘트, 통조림, 담배 공장이 들어서면서 재건되었다. 1900년에는 케르치 해협을 경유하는 철도 노선이 개통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으로 잠시 쇠퇴했지만, 1920년대에 산업 시설이 들어서면서 급속히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동부 전선에서는 격전지 중 한 곳이었으며, 소련의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2. 1. 고대
케르치는 크림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가운데 한 곳이다. 기원전 7세기에 고대 그리스의 밀레토스에서 온 그리스인들이 세운 식민 도시였다.[1][2][3] 케르치 인근 마야크 마을에서 이루어진 고고학 발굴 조사 결과, 기원전 17세기~15세기에 이미 이 지역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케르치가 도시로서 역사를 시작한 것은 기원전 7세기이다. 당시 밀레토스 출신 그리스 식민지 개척자들은 메렉체스메 강 하구 근처 미트리다트 산에 판티카파이온[4]이라는 도시 국가를 세웠다. 판티카파이온은 주변 도시들을 정복했고, 기원전 480년에는 보스포루스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이후 미트리다테스 6세 에우파토르 통치 시기에는 잠시 동안 훨씬 더 강력하고 광대한 폰투스 왕국의 수도가 되기도 했다.
이 도시는 스텝과 유럽을 잇는 무역로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빠르게 성장했다. 주요 수출품은 곡물과 염장 생선이었고, 포도주 생산도 활발했다. 판티카파이온은 자체 주화도 주조했다. 기존 문서에 따르면 현재는 작고 얕은 메렉체스메 강이 보스포루스 시대에는 배가 다닐 수 있었고, 해상 갤리선이 강으로 들어올 수 있었다고 한다. 도시 인구의 상당 부분은 스키타이족, 후에는 사르마티아족이었는데, 쿨오바의 대형 왕릉 (쿠르간)이 이를 증명한다.
서기 1세기, 판티카파이온과 보스포루스 왕국은 오스트로고트의 침략을 받았고, 서기 375년에는 훈족에 의해 파괴되었다.
미르메키온은 고대 판티카파이온에서 북동쪽으로 4km 떨어진 케르치 동부에 기원전 6세기 전반에 이오니아인들이 건설했다.[5]

2. 2. 중세
6세기부터 이 도시는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의 명령에 따라 보스포루스라는 이름의 성채가 건설되었다. 보스포루스는 보스포루스 주교구의 중심지였으며, 그리스 기독교의 영향 아래 발전했다. 576년에는 보칸이 이끄는 돌궐의 공격을, 우투르구르족(훈족의 일파)의 마지막 칸인 아나가이의 지원을 받아 막아냈다.
7세기에는 투르크계 튀르크인 카자르가 보스포루스를 장악했고, 도시 이름은 튀르크어로 "마주보는, 맞은편의"를 의미하는 "카르처(karşı)"에서 유래한 '''카르차'''로 바뀌었다. 카자르 시대 주요 지방 정부 관리직은 투둔이었다. 카자르 지배 시대 동안 케르치는 흑해 노예 무역을 통해 노예들이 수출되는 카자르 노예 무역의 주요 항구로 이용되었다.[6]
카자르 지배 시대 동안 케르치에서 기독교는 주요 종교였다. 케르치의 세례자 요한 교회는 717년에 설립되어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이다.[7]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의 저서 ''사도 안드레아의 생애''에 따르면, 8세기 후반과 9세기 초에 사도들의 교회가 존재했다고 한다.

10세기 후반 키예프 루스에 카자리아가 함락된 후, 케르치는 카자르의 후계 국가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 통치자 게오르기우스 츠울은 1016년 비잔티움-루스 원정대에 의해 폐위되었다.
10세기부터 이 도시는 코르체프라는 이름의 슬라브 정착지가 되었으며, 트무타라칸 공국에 속했다. 케르치는 러시아, 크림 반도, 카프카스 그리고 동방 사이의 무역 중심지였다.
13세기에는 몽골이 코르체프를 포함한 크림 반도를 침략했다. 몽골 이후, 이 도시는 1318년 제노바 공화국의 식민지 체르코(체르키오)가 되었고, 주민들이 소금 제조업과 어업에 종사하는 해항으로 기능했다.
1475년, 이 도시는 오스만 제국에 넘어갔다. 튀르크 지배하에서 케르치는 쇠퇴했고 노예 시장으로 기능했다.[8] 자포리자 코사크의 습격을 여러 차례 받았다.
2. 3. 근대
1706년, 아조프 해 지역에서 러시아 제국의 군사력이 증강되자, 오스만 제국은 케르치 해협 인근에 예니칼레 요새를 건설했다. 1771년, 러시아 제국군이 크림 반도에 침입했다(러시아-튀르키예 전쟁(1768년)). 1774년 쿠추크카이너르지 조약으로 케르치와 예니칼레는 러시아에 할양되었다. 그 결과, 튀르키예의 흔적은 거의 사라졌다.1790년 표도르 우샤코프 제독이 이끄는 러시아 해군이 케르치 해협 해전에서 튀르키예 함대를 격파했다.[9]
지리적 이점 덕분에 1821년 이후 케르치는 중요한 무역항이자 어항으로 발전했다. 또한 고고학 박물관과 많은 교육 시설이 세워졌다. 케르치 반도에 막대한 철광석이 매장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1846년부터 제철업도 시작되었다.
1855년 크림 전쟁 중에 이 도시는 영국군에 의해 유린당했다.
19세기 후반, 기계 및 시멘트 공장들이 건설되었고, 통조림 공장과 담배 공장들도 가동되기 시작했다.
1900년까지 케르치는 철도망에 편입되었고, 케르치 해협의 해상 교통도 증가했다. 인구는 3만 3천 명에 달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도시는 일시적으로 쇠퇴했지만, 1920년대 후반에는 철광석·야금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의 확장으로 다시 성장하기 시작했다. 1939년까지 인구는 10만 4500명으로 늘어났다.
2. 4. 현대
크림 전쟁 중이던 1855년에는 영국 군대의 공격으로 파괴되었지만, 19세기 말에 기계, 시멘트, 통조림, 담배 공장이 들어서면서 재건되었다. 1900년에는 케르치 해협을 경유하는 철도 노선이 개통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으로 인해 잠시 쇠퇴했지만, 1920년대에 산업 시설이 들어서면서 급속히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동부 전선의 격전지 가운데 한 곳이었으며, 소련의 영웅 도시 중 한 곳이다.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의 동부 전선에서 케르치는 소련군과 추축국 간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 1941년 11월 독일군이 도시를 점령했지만, 1941년 12월 31일 도시 남쪽 카미시 부룬에서 해상 상륙 작전을 수행한 제302 산악 소총 사단이 도시를 탈환했다.[10] 1942년 독일군이 다시 도시를 점령했고, 케르치 반도 전투에서 소련군은 16만 명 이상의 사상자 또는 포로를 냈다. 1943년 10월 31일 또 다른 소련군 해상 상륙 작전이 시작되었으며, 케르치는 1944년 4월 11일 소련의 통제하에 돌아왔다.
독일 점령군은 점령 기간 동안 약 1만 5천 명의 시민을 학살하고 1만 4천 명을 강제 이주시켰다. 케르치에서 자행된 독일군의 만행 증거는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제시되었다. 전쟁 후 이 도시는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도시 교외의 아즈히무슈카이 카타콤은 점령군에 대한 게릴라전이 벌어진 곳이었다. 수천 명의 군인과 난민들이 그곳에 피난처를 찾아 반격에 참여했다. 그들 중 많은 수가 지하에서 사망했는데, 그중에는 여러 차례의 독가스 공격으로 사망한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후 이곳에 기념비가 세워졌다.
2007년 11월 11일, 강력한 폭풍이 케르치 시를 강타하여 많은 피해와 환경 재앙을 초래했다. 유조선을 포함한 여러 척의 선박이 난파되어 케르치 해협을 막았다.
케르치는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점령 이후 러시아군에 의해 점령되어 있다.
2018년 10월 17일, 케르치 공과대학에서 한 학생이 20명을 살해하고 자살했다.
3. 지리
케르치는 아조프해, 흑해, 케르치 해협 연안과 접한 항구 도시로서 크림반도의 산업, 교통, 관광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한다. 도시의 주요 산업은 금속 가공, 조선업, 어업이다. 시내에는 다수의 철도역과 소규모 공항이 들어서 있다. 1953년에는 크림반도와 크라스노다르 지방을 연결하는 페리 노선이 개통되었다.
케르치는 온난 습윤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a)를 가지고 있으며,[11] 겨울은 서늘하거나 춥고 여름은 따뜻하거나 덥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15.6 | 17.8 | 23.4 | 27.6 | 30.6 | 35.2 | 37.7 | 37.9 | 35.5 | 30.9 | 23.2 | 19.4 | 37.9 |
평균 최고 기온 (°C) | 3.8 | 4.5 | 8.8 | 14.9 | 21.0 | 26.0 | 29.0 | 28.9 | 23.4 | 16.9 | 10.2 | 5.8 | 16.1 |
평균 기온 (°C) | 0.7 | 1.1 | 4.7 | 10.1 | 16.0 | 21.2 | 24.1 | 24.0 | 18.6 | 12.6 | 6.6 | 2.8 | 11.9 |
평균 최저 기온 (°C) | -2.0 | -1.9 | 1.2 | 5.8 | 11.3 | 16.3 | 19.1 | 19.2 | 13.9 | 8.7 | 3.5 | 0.1 | 7.9 |
최저 기온 기록 (°C) | -23.7 | -23.1 | -15.6 | -6.5 | -1.1 | 2.8 | 9.9 | 7.5 | 1.0 | -5.4 | -11.8 | -17.6 | -23.7 |
강수량 (mm) | 38 | 29 | 33 | 29 | 31 | 53 | 33 | 41 | 35 | 31 | 39 | 37 | 429 |
평균 적설 깊이 (cm) | 1 | 2 | 1 | 0 | 0 | 0 | 0 | 0 | 0 | 0 | 0 | 1 | 2 |
평균 상대 습도 (%) | 86 | 83 | 79 | 75 | 74 | 70 | 66 | 65 | 71 | 78 | 83 | 85 | - |
비 오는 날 | 10 | 9 | 11 | 11 | 9 | 10 | 6 | 6 | 8 | 9 | 11 | 11 | 111 |
눈 오는 날 | 8 | 8 | 5 | 0.2 | 0 | 0 | 0 | 0 | 0 | 0.1 | 2 | 7 | 30 |
일조 시간 | 64.5 | 96.9 | 142.7 | 207.2 | 282.3 | 307.7 | 349.0 | 322.3 | 246.7 | 172.5 | 92.9 | 59.9 | - |
4. 행정
케르치 시 행정구역은 넓은 지역에 걸쳐 있으며, 엘티겐(게로예프스코예), 카므시-부룬(아르쉰체보), 크림항, 아지무슈카이, 투즐라섬 등 여러 별개 지역을 포함한다.
5. 경제
케르치는 아조프해, 흑해, 케르치 해협 연안과 접한 항구 도시로서 크림반도의 산업, 교통, 관광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주요 산업은 금속 가공, 조선업, 어업이다.
오늘날 케르치는 야금술사, 조선업자, 어부들이 많이 거주하며, 관광업 또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건축 자재, 식품 가공, 경공업도 도시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케르치는 어선 기지이자 수많은 수산물의 중요한 가공 센터이기도 하다.
케르치 시의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
5. 1. 교통
케르치는 아조프해, 흑해, 케르치 해협 연안과 접한 항구 도시로서 크림반도의 산업, 교통, 관광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한다. 시내에는 다수의 철도역과 소규모 공항이 들어서 있다. 1953년에는 크림반도와 크라스노다르 지방을 연결하는 케르치 해협 페리 노선이 개통되었다.
케르치는 케르치 해협에 항구를 가지고 있어 아조프 해의 주요 거점이 된다. 케르치에는 여러 개의 철도 터미널과 소규모 공항이 있다. 케르치 해협 페리 노선은 1953년에 설립되어 크리미아 반도와 크라스노다르 지방(크림 항 - 카프카스 항 노선)을 연결한다. Таврида|타브리다ru 고속도로 공사는 케르치 철도(이중 레일) 고속도로(4차선) 다리를 따라 로스토프 크라스노다르와 크리미아 반도를 연결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케르치에는 케르치 해상 무역항, 케르치 해상 어항, 크림 항(페리 교차로), 카미시-부룬 항 등 여러 항구가 있다. 철도 터미널로는 케르치, 케르치 I, 케르치 공장, 아르쉰체보, 크림이 있다. 버스 노선은 케르치를 크리미아의 다른 도시와 크라스노다르 지방과 연결한다.


케르치에는 1935년에 건설되어 1941년에 파괴된 트램 시스템이 있었다. 2004년에 무선 트롤리버스 시스템이 건설되었으며, 노선은 하나이다.
2010년 4월 25일, 우크라이나 대통령 빅토르 야누코비치와 러시아 대통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는 케르치 해협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건설하기 위한 협정에 서명했다. 2015년 1월,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장악한 후, 다리 건설 계약은 아르카디 로텐베르크의 S.G.M. 그룹에 수주되었다. 2015년 5월 공사가 시작되어 2018년 5월 도로 구간이 개통되었다. 철도 구간은 2019년에 개통되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2월 23일 첫 열차를 이용했다.[16] 2022년 10월 8일 폭발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6. 문화
케르치는 매년 다음과 같은 축제들을 개최한다.
- 해방의 날 (4월 11일)
- 어부의 날 (7월 둘째 일요일)
- 도시의 날 (9월 둘째 토요일)
케르치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 기관들이 있다.
종류 | 수 |
---|---|
학교 | 28개교 |
대학교 분교 및 연구소 | 9개 |
조선 및 공과대학 | 1개 |
의과대학 | 1개 |
직업기술학교(PTU) | 6개교 |
유치원 | 여러 개 |
6. 1. 관광
아조프해와 흑해 연안에 위치한 케르치는 과거 소비에트 연방 시절 인기 있는 여름 휴양지였다. 또한, 케르치 근처에는 여러 개의 머드 팩 온천이 있다. 하지만 해안가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케르치의 관광 매력은 도시의 산업적 성격과 관련된 오염으로 인해 제한적이다.도시 지역에는 해변이 부족하지만, 버스, 기차 또는 택시로 20분 거리에 많은 해변이 있다.
케르치에는 인상적인 건축 및 역사 유적이 많다. 도시의 고대 역사 유산은 과학 관광에 매력적인 요소이다. 케르치의 가장 주목할 만한 명소는 다음과 같다.
- 판티카파이온 유적 (기원전 5세기~기원후 3세기)
- 차르스키 쿠르간 (기원전 4세기) – 보스포루스 왕국의 왕 중 한 명의 무덤
- 성 요한 세례자 교회 (기원후 717년)
- 예니칼레 요새 (18세기)
- 미트리다테스 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위대한 미트리다테스 계단은 428개의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833년부터 1840년까지 이탈리아 건축가 알렉산드로 디그비의 지휘 아래 건설되었다.
- 2차 세계 대전 후 건설된 미트리다테스 산의 영광의 오벨리스크
- 라피다리움
- 아지무슈카이 채석장의 영웅적인 게릴라전 기념관
- 케르치 요새 ; 소비에트 시대에는 출입이 제한되었지만 현재는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이 요새는 19세기 중반 러시아 군사 건축가 토틀레벤에 의해 건설되었다.
- 고대 도시 미르메키움, 티리타카, 님페이 유적. 지진으로 인해 수중에 잠긴 유적도 있다.
- 소위 데메트라의 묘소, 기원전 1세기의 수많은 프레스코화가 있는 묘소.




6. 2. 고고학
케르치 인근 마야크 마을의 고고학 발굴 조사 결과, 기원전 17세기~15세기에 이미 이 지역에 사람이 거주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케르치에서 출토된 많은 유물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 박물관과 현지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크림 전쟁 당시 영국군 군의관이었던 던컨 맥퍼슨이 다수의 고대 조각상, 부조, 청동 및 유리 제품, 도자기류, 보석류를 발굴하여 런던의 대영 박물관에 기증하기도 했다.[1][2][3]밀레토스 출신의 그리스 식민지 개척자들이 미트리다트 산에 판티카파이온[4]이라는 도시 국가를 건설하면서 케르치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판티카파이온은 인근 도시들을 정복하고 기원전 480년에는 보스포루스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이후 미트리다테스 6세 에우파토르 통치 시대에는 잠시 동안 폰투스 왕국의 수도가 되기도 했다.
미르메키온은 기원전 6세기 전반에 이오니아인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고대 판티카파이온에서 북동쪽으로 4km 떨어진 케르치 동부에 위치해 있다.[5]
케르치의 고고학 발굴은 19세기 중반 러시아의 후원 아래 시작되었다. 그 이후로 미트리다테산에 위치한 고대 도시 판티카파이온 유적지가 체계적으로 발굴되었다. 근처에는 여러 고대 무덤(쿠르간)과 발굴된 도시들이 있다. 케르치는 유네스코의 "실크로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케르치의 보물과 역사적 발견물은 라피다리움과 전 세계 주요 박물관들의 소장품을 장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에르미타주 박물관, 루브르 박물관, 대영박물관, 베를린 박물관, 모스크바 국립 미술관 등이 있다.
현재 케르치의 고대 요새 발굴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과학자들이 주도하고 있다.
-- | -- | ![]() |
케르치 요새 | 세례자 요한 교회 | 왕릉 입구 |
참조
[1]
웹사이트
British Museum Collection
https://www.britishm[...]
[2]
웹사이트
British Museum Collection
https://www.britishm[...]
[3]
웹사이트
Antiquities of Kertch, and Researches in the Cimmerian Bosphorus, with Remarks on the ethnological and physical History of the Crimea by Duncan MacPherson ( 1857 )
https://opacplus.bsb[...]
[4]
문서
Talk:Kerch#Meaning of Greek name?
[5]
웹사이트
Myrmekion
http://blacksea.ehw.[...]
Foundation of the Hellenic World
2008-07-29
[6]
서적
The World of the Khazars: New Perspectives. Selected Papers from the Jerusalem 1999 International Khazar Colloquium.
Brill
2007
[7]
서적
The Columbia Gazetteer of the World: A to G
https://books.google[...]
2008
[8]
서적
The Mutual Effects of the Islamic and Judeo-Christian Worlds: The East European Pattern
http://coursesa.matr[...]
Brooklyn College Press
1979
[9]
웹사이트
Black Sea Fleet (BSF) Morskoyo Flota ( Naval Force)
http://www.globalsec[...]
2018-10-29
[10]
서적
Where the Iron Crosses Grow
Osprey Publishing
2014
[11]
논문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http://www.schweizer[...]
2006-12-11
[12]
웹사이트
Климат Керчи
http://www.pogodaikl[...]
2021-11-08
[13]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Kerch-33983
https://www.nodc.no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2021-07-17
[14]
논문
Iron and Steel in the Soviet Union
1952-05-01
[15]
뉴스
Yushchenko says Ukraine to try quickly implement Kerch-Poti ferry route project
http://www.kyivpost.[...]
2009-11-19
[16]
뉴스
Putin takes first train across Crimea bridge
https://www.france24[...]
AFP
2019-12-23
[17]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Verlag
2003
[18]
웹사이트
http://starling.rine[...]
[19]
웹사이트
http://www.ua.emb-ja[...]
주 우크라이나 일본대사관
2007-11-20
[20]
웹사이트
Servile Labor in the Ottoman Empire
http://coursesa.matr[...]
[21]
웹사이트
Black Sea Fleet (BSF) Morskoyo Flota ( Naval Force)
http://www.globalsec[...]
[22]
웹인용
Климат Керчи
http://www.pogodaikl[...]
2015-11-29
[23]
웹인용
Kerc' (Kerch)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