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라야누스 욕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라야누스 욕장은 고대 로마 시대에 건설된 대규모 공중 목욕탕 단지로, 현재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해 있다. 네로 황제의 도무스 아우레아 부지에 건설되었으며, 에스퀼리누스 언덕의 오피우스 언덕에 자리 잡았다. 330 x 340 m 크기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배치되었으며, 주요 시설은 북동쪽 벽에 위치했다. 트라야누스 욕장은 다양한 부속 시설과 함께, 나타티오, 프리기다리움, 테피다리움, 칼다리움 등의 주요 목욕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중세 시대에는 티투스 욕장과 혼동되기도 했지만, 19세기 후반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별개의 건축물임이 밝혀졌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건축가들의 연구 대상이 되었으며, 1997년에는 욕장 아래에서 프레스코화로 된 도시 조감도가, 2011년에는 모자이크가 발견되는 등, 현재까지도 고고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고대 목욕탕 - 카라칼라 욕장
    카라칼라 욕장은 카라칼라 황제 시대에 건설된 고대 로마의 대규모 공중 목욕탕 유적으로, 목욕 시설 외에도 도서관, 휴식 공간 등으로 활용되었으며 로마의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여겨졌고 현재는 유적지로 남아 발굴 및 복원 작업을 통해 과거의 웅장함을 엿볼 수 있다.
  • 로마의 고대 목욕탕 - 디오클레티아누스 욕장
    디오클레티아누스 욕장은 막시미아누스 황제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를 기리기 위해 306년경 완공한 고대 로마의 대규모 공중 목욕탕으로, 비미날레 언덕에 위치해 3,000명까지 수용 가능했으며, 현재 유적 일부는 성당과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건축 양식은 후대 건축에 영향을 주었다.
  • 트라야누스 - 트라야누스 포룸
    트라야누스 포룸은 트라야누스 황제가 다키아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한 고대 로마의 광장으로, 바실리카 울피아, 트라야누스 원주, 도서관, 신전 등을 포함한 복합 건축물이었으나 현재는 일부만 남아있다.
  • 트라야누스 - 알칸타라 다리
    알칸타라 다리는 루시타니아 속주 시대에 건설되어 전쟁으로 파괴된 후 재건되었으며, 현재 181.7m 길이의 6개 아치로 구성되었고 로마 비문과 설계자를 기리는 신전이 존재한다.
  • 2세기 완공된 건축물 - 트라야누스 포룸
    트라야누스 포룸은 트라야누스 황제가 다키아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한 고대 로마의 광장으로, 바실리카 울피아, 트라야누스 원주, 도서관, 신전 등을 포함한 복합 건축물이었으나 현재는 일부만 남아있다.
  • 2세기 완공된 건축물 - 판테온 (로마)
    판테온은 고대 로마 건축물로, 돔과 주랑 현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18년부터 128년 사이에 하드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재건되었고, 로마의 모든 신들을 위한 신전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가톨릭 성당으로 사용된다.
트라야누스 욕장
개요
트라야누스 욕장의 남서쪽 엑세드라, 한때 그리스어와 라틴어 도서관 중 하나가 있었다.
트라야누스 욕장의 남서쪽 엑세드라, 한때 그리스어와 라틴어 도서관 중 하나가 있었다.
위치로마, 이탈리아
위치 정보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로마 내 위치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로마 내 위치
지도 설명지도를 클릭하면 전체 화면으로 볼 수 있음
위치에스퀼리누스 언덕
상세 정보
유형로마 욕장
건설 연도109년
건설 주체로마 황제 트라야누스

2. 위치

트라야누스 욕장은 에스퀼리누스 언덕 남쪽의 오피우스 언덕에 세워졌다. 네로의 궁전 위에 지어진 단에 만들어진 트라야누스 욕장 단지는 대략 330 x 340 m를 차지하며 고대 로마 기준에서 거대했다. 이곳 단지는 북동–남서쪽 축으로 놓여있었고, 주요 시설은 북동쪽 벽에 붙어 있었다.[32]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명으로 서기 96년경부터 건설이 시작된 이 목욕탕 단지는, 당시 도시의 주요 개발 지역 외곽에 위치한 오피안 언덕 남쪽에 자리를 잡았으며, 세르비우스 성벽 경계 안에 있었다. 이 단지의 건축가는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로 알려져 있다.[3]

이 목욕탕은 5세기 초까지 로마 시민들, 남녀 모두에게 휴식과 사교의 중심지로 주로 활용되었다.[6] 5세기에 제작된 묘지가 북동쪽 엑세드라 앞에서 발견되었고(7세기까지 사용됨), 이 단지는 곧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7]

2. 1. 도무스 아우레아와의 관계

오피우스 언덕에 트라야누스 욕장이 있던 곳에는 네로의 사치스러운 저택인 도무스 아우레아의 에스퀼리누스 부속 건물이 있었다. 네로 사후, 오피우스 언덕에 있던 네로의 저택은 플라비우스 왕조 출신 황제들한테 계속 사용되다가, 서기 104년에 화재로 파괴되었다.[31] 트라야누스 황제는 이 지역의 일부를 욕탕이 세워진 단(壇, platform)으로 덮었다.

티투스 욕장과 도무스 아우레아를 포함한 트라야누스 욕장의 평면도


트라야누스 욕장의 배치는 도무스 아우레아와 티투스 욕장과 약 30도 어긋났는데, 이 두 건물은 남북 축의 자오선을 따라 놓여 있었다.[32] 건축자들은 이러한 배치를 통해 욕탕 사용자들이 바람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고 동시에 햇볕 노출량을 최대한 늘리고자 했다.

3. 묘사

트라야누스 욕장은 오피안 언덕, 에스퀼린 언덕의 남쪽 연장선에 세워졌다. 낮은 경사면은 네로 황제 소유의 화려한 저택인 ''돔스 아우레아''의 에스퀼린 날개에 의해 점유되었다. 네로의 죽음 이후, 오피안 언덕의 저택은 플라비우스 왕조의 황제들이 사용하다가 서기 104년 화재로 파괴되었다.[9] 돔스 아우레아는 지면을 평평하게 하고 그 위에 욕장이 건설된 플랫폼을 지지하기 위해 지하 회랑으로 사용되었다.

단지는 북동-남서 축에 놓여 있었다. 이는 돔스 아우레아와 티투스 욕장과 약 30° 벗어난 각도였는데, 둘 다 자오선 상에 북-남 축으로 놓여 있었다.[10] 이러한 비정통적인 방향은 건축가들이 바람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면서 햇빛 노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선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로마 기준으로 트라야누스 욕장은 거대하여, 그 면적이 약 330 x 340미터에 달했다.

단지의 현대식 재건축
.

thumb

3. 1. 주요 시설

트라야누스 욕장 단지 내 모든 시설들과 공터는 외벽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이 외벽은 정문이 있는 북동쪽에서 욕장 벽과 만났다.[33] 단의 남서쪽에는 좌석이 늘어선 거대한 반원형 공간이 튀어나와 있었는데, 이곳은 운동 경기에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34] 욕장 벽과 접하는 외벽 북동쪽 모서리에는 기념비적 분수였을 것으로 생각되는 작은 반구형 공간 두 개가 있었다.[34] 구획벽의 남서쪽과 북서쪽 모서리에는 엑세드라가 있었는데, 이곳에는 장서들이 보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층 구조로 된 남서쪽 모서리의 엑세드라는 현재까지 남아있다.[34]

욕장의 설계는 대체적으로 29년 전에 건설된 인접한 티투스 욕장의 원형을 따랐으며, 이 방식은 서기 3세기와 4세기의 대규모 욕장들에서 반복되었다.[33] 그러나 티투스 욕장은 트라야누스 욕장 크기의 3분의 1도 안 되는 범위에 해당했다. 주 시설들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향하는 축을 따라 ''나타티오''-''프리기다리움''-''테피다리움''-''칼다리움'' 순서로 배치되었고, 서로 완전하게 대칭을 이룬 방들과 공터들이 주 시설 양옆으로 나열되어 있었다. 방문객들은 북동쪽의 베스티뷸을 통해 들어가 네 면이 콜로네이드로 둘러싸인 넓은 야외 수영장인 ''나타티오''로 향했을 것이다. 그 다음에는 동일하게 생긴 측면에 위치한 부속 건물들 중 하나가 위치했는데, 이곳에는 레슬링 및 신체 관리에 쓰인 공터인 직사각형 모양의 팔라이스트라로 이어지는 로툰다가 있었다.[35][34]

곁방을 지난 뒤, 진정한 욕탕들은 건물의 남서쪽에 있는 칼다리움(열탕)으로 시작된다. 이 직사각형의 방은 벽면마다 애프스가 있었고 정오의 햇볕을 잘 흡수하기 위해 주요 블록에서 앞쪽으로 튀어나와 있었다.[33] 칼다리움의 양쪽에 위치했던 방들은 덜 뜨거운 열탕이었다.[34] 그 다음을 지나면 테피다리움(온탕)이 있었는데 커다란 냉탕과 열탕 사이의 완충 공간 역할을 하였다. 이 공간을 지나가면 모든 공간 중에 가장 넓은 공간인 프리기다리움(냉탕)이 위치했다. 이곳은 건물 전체의 중앙 홀 역할을 하였고, 두 개의 다른 축을 지닌 방들과 공터가 교차하였다.[33] 벽을 따라 배열된, 거대한 8개 기둥이 지지하고 있는 교차 궁륭 3개가 지붕을 떠받치고 있었고, 시설의 가장자리 네 쪽에는 차가운 목욕통이 위치했었다. 욕장 이용객들은 나타티오에서 다시 한번 입욕을 하며, 욕장을 처음 시작했던 곳으로 돌아가 이용을 마쳤다.[36]

대중들이 사용하는 욕장 단지 시설 외에도, 시설을 작동하고 유지 보수하는 노예 및 작업자들이 사용하던 지하 통로들과 구조물들이 있었다. 또한 오늘날까지도 남아있는 ‘7개의 방’이라는 뜻의 사테 살레라고 하는 지하에 위치한 대규모 시스턴이 욕장에 사용된 물의 대부분을 담고 있었으며 최소한 800만L의 물을 저장할 수 있었을 것이다. 전부는 아니라도 시설에 쓰인 대부분의 급수는 아쿠아 트라이아나에서 얻었을 것이다.[34]

3. 2. 부속 시설

트라야누스 욕장 단지 내 건축물은 삼면이 풀로 덮인 지역에 둘러싸여 있었다. 모든 욕장과 공터는 외벽으로 둘러져 있었고, 이 외벽은 정문이 있는 북동쪽에서 욕장의 벽과 만났다.[33] 단(壇)의 남서쪽에는 거대한 반원형 공간이 튀어나와 있었고 좌석이 늘어서 있었는데, 이는 운동 경기에 쓰였음을 나타낸다.[34] 욕장 벽과 접하는 외벽 북동쪽 모서리에는 작은 반구형 공간 두 개가 있었는데, 기념비적 의미로 세워진 분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34]

구획벽의 남서쪽과 북서쪽 모서리에는 엑세드라가 있었는데, 이곳에는 장서들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2층 구조로 된 남서쪽 모서리의 엑세드라는 현재까지 남아있다.[34]

욕장의 설계는 건설 29년 전 티투스 욕장의 원형을 대체로 따랐으며, 이 방식은 서기 3세기와 4세기의 대규모 욕장들에서 반복되었다.[33] 하지만 티투스 욕장은 트라야누스 욕장 크기의 3분의 1도 안 되는 범위였다. 주 시설들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향하는 축을 따라 ''나타티오''-''프리기다리움''-''테피다리움''-''칼다리움'' 순서로 배치되었고, 서로 완전하게 대칭을 이루는 방들과 공터들이 주 시설 양옆에 나열되어 있었다. 방문객들은 북동쪽의 베스티뷸을 통해 들어가 네 면이 콜로네이드로 둘러싸인 넓은 야외 수영장인 ''나타티오''로 향했을 것이다. 그 다음에는 동일하게 생긴 측면에 위치한 부속 건물들 중 하나가 위치했는데, 이곳에는 레슬링 및 신체 관리에 쓰인 공터인 직사각형 모양의 팔라이스트라로 이어지는 로툰다가 있었다.[35][34]

곁방을 지난 뒤에는 남서쪽에 있는 칼다리움(열탕)이 시작된다. 이 직사각형 방은 벽면마다 애프스가 있었고 정오의 햇볕을 잘 흡수하기 위해 주요 블록에서 앞쪽으로 튀어나와 있었다.[33] 칼다리움 양쪽에 위치했던 방들은 덜 뜨거운 열탕이었다.[34] 그 다음에는 테피다리움(온탕)이 있었는데, 커다란 냉탕과 열탕 사이의 완충 공간 역할을 하였다. 이 공간을 지나가면 가장 넓은 공간인 프리기다리움(냉탕)이 있었다. 이곳은 건물 전체의 중앙 홀 역할을 하였고, 두 개의 다른 축을 지닌 방들과 공터가 교차하였다.[33] 벽을 따라 배열된 거대한 8개 기둥이 지지하고 있는 교차 궁륭 3개가 지붕을 떠받치고 있었고, 시설 가장자리 네 쪽에는 차가운 목욕통이 있었다. 욕장 이용객들은 나타티오에서 다시 한번 입욕을 하며, 욕장을 처음 시작했던 곳으로 돌아가 이용을 마쳤다.[36]

대중들이 사용하는 욕장 단지 시설 외에도, 시설을 작동하고 유지 보수하는 노예 및 작업자들이 사용하던 지하 통로들과 구조물들이 있었다. 또한 사테 살레라고 하는 지하의 대규모 시스턴에는 최소 800만 리터의 물을 저장할 수 있었으며, 욕장에 사용된 물의 대부분을 담고 있었다. 시설에 쓰인 대부분의 급수는 아쿠아 트라이아나에서 얻었을 것이다.[34]

3. 3. 지하 시설

대중이 사용하는 욕장 시설 외에도, 시설을 작동하고 유지 보수하는 노예 및 작업자들이 사용하던 지하 통로들과 구조물들이 있었다. 또한 오늘날까지도 남아있는 ‘7개의 방’이라는 뜻의 사테 살레라고 하는 지하에 위치한 대규모 시스턴이 욕장에 사용된 물의 대부분을 담고 있었으며 최소한 800만L의 물을 저장할 수 있었다.[34] 전부는 아니라도 시설에 쓰인 대부분의 급수는 아쿠아 트라이아나에서 얻었을 것이다.[34]

4. 후기 역사

트라야누스 욕장은 5세기 초까지 로마 시민들이 휴식과 사교를 위해 사용했다. 하지만 537년 동고트 왕국의 로마 포위 당시 로마 수도교가 파괴되면서 버려졌다.[8]

4. 1. 르네상스 시대의 재발견

트라야누스 욕장 단지 유적은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대부분 ‘테르메 트라이아니’ (Thermae Traiani, 트라야누스 욕장)로 제대로 알려져 있었지만, 16세기에는 인접한 티투스 욕장과 혼동되어 ‘테르메 티타니’(Thermae Titiani)로 알려지게 되었다.[37] 트라야누스 욕장이 독립적인 건축물로 존재했는지에 대한 의구심도 제기되었다. 이 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티투스 욕장만이 오피우스 언덕에 있었으며, 트라야누스가 보수 작업을 했기 때문에 트라야누스라는 이름이 후대에 티투스 욕장에 붙여졌다고 주장하였다. 19세기 후반, 고고학자 로돌포 란차니가 욕장들의 개별적인 정체를 밝혀내었고, 트라야누스 욕장이 별도의 건축물이며 티투스 욕장보다 훨씬 큰 건축물임을 확립했다.[38][34] 포르마 우르비의 몇몇 파편들은 트라야누스 욕장의 평면도를 묘사하고 있으며, 파편 중 하나에는 욕장 단지를 나타내는 문구 ‘THERMAE TRAIANI’ (테르메 트라이아니) 중 세 글자(AIA)가 남아 있다.[39]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의 수도사들이 대리석과 벽돌을 재사용하거나 모르타르를 만들 목적으로 석회석을 태우려던 석공들에게 팔아넘기면서 트라야누스 욕장은 수 세기 동안 서서히 허물어졌다.[40] 16세기 초, 안드레아 팔라디오 같은 건축가들이 욕장 유적을 연구하고 평면도를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부분들이 여전히 남아있었다. 1506년에 세테 살레 인근 포도밭 밑의 한 공간에서 발견된, 유명한 조각상인 라오콘 군상을 포함해, 많은 예술품들이 르네상스 기간에 욕장 가까운 곳에서 발굴되었다. 라오콘상이 있었던 공간이 어떤 건물에 있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도무스 아우레아와 트라야누스 욕장 둘 다 가능성이 있다.[41][42]

5. 도시 프레스코와 모자이크

1997년 발굴에서 욕장보다 일찍 지어졌지만 네로의 도무스 아우레아 이후에 지어진, 욕장 단지 아래에 지하 회랑 혹은 크립토포르티쿠스에서 현재까지 남아있는 주제로 드물었던, 프레스코화로 된 벽으로 둘러싼 항구 도시의 거대한 조감도가 발견되었다. 이 조감도가 실제 항구를 재현한 것인지 상상으로 그린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43][22]

2011년 7월에는 16 m 높이의 모자이크 발견이 알려졌는데, 여전히 발굴 중에 있고, 예술의 탄생에 영감을 주는 여신들에게 헌정된 곳인 무사이온으로 여겨지며, 님파이온 (분수대)이 등장하는데, 위로 욕장을 짓기 위해 묻혔다고 한다. 테세레의 일부는 사라졌으며, 트라야누스 작업자들이 떼내어 새 건축물에 재사용되었다. 가까운 곳에서 발견된 또다른 모자이크에서는 포도를 수확하는 장면들을 보여주고 있다.[44][23] 현재까지 확인된 모자이크에 등장하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 음악, 시, 예언, 빛, 치료의 그리스 신이자 뮤즈들의 지도자인 아폴로
  • 갈런드 식물들로 장식된 주두와 기둥들
  • 뮤즈들 몇 명.

참조

[1] 문서 Fasti Ostienses
[2] 문서 Anderson, J. C. 1985. “The Date of the Thermae Traiani and the Topography of the Oppius Mons.”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89, 507
[3] 논문 The Date of the Thermae Traiani and the Topography of the Oppius Mons 1985-07
[4] 서적 Palladio's Rome https://books.google[...]
[5] 문서 Anderson, J. C. 1985. “The Date of the Thermae Traiani and the Topography of the Oppius Mons.”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89, 507
[6] 논문 When [[Felix Campanianus]], the city prefect, had statues erected in them
[7] 문서 F. Carboni, Scavi all'esedra Nord-orientale delle Terme di Traiano in Bollettino della Commissione archeologica comunale di Roma, pp. 65-80.
[8] 문서 Procopius, De Bello Gothico, V, 19
[9] 서적 Rome and Environs: An Archaeological Guid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Roman Architecture Cornell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Stanford Digital Forma Urbis Romae Project https://formaurbis.s[...] Standford University 2020-12-19
[13] 문서 Coarelli, 2014; p. 187
[14] 문서 Coarelli, 2014; p. 188
[15] 문서 Anderson, J. C. 1985. “The Date of the Thermae Traiani and the Topography of the Oppius Mons.”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89, 508
[16] 문서 Lanciani, 1897; p. 363-364
[17] 문서 Richardson, 1992; p. 398
[18] 웹사이트 Stanford Forma Urbis Romae Project: Fragment 13S https://formaurbis.s[...] Stanford University 2020-12-19
[19] 문서 Lanciani, 1897; p. 365
[20] 뉴스 Thermae Traiani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21] 문서 Lanciani, 1897; p. 366
[22] 문서 La Rocca 2001.
[23] Webarchive Apollo Mosaic Found in Rome Tunnel http://news.discover[...] Rossella Lorenzi, discovery.com 2012-10-17
[24] 논문 5世紀初頭、都市長官 Felix Campanianus がここに自身の彫像を設置している。 Imago Mundi
[25] 문서 La Rocca 2001.
[26] 논문 The Date of the Thermae Traiani and the Topography of the Oppius Mons https://archive.org/[...] 1985-07
[27] 논문 로마의 프라이펙투스인 [[펠릭스 캄파니아누스]]가 이곳에 조각상들을 세웠다 (
[28] 문서 F. Carboni, Scavi all'esedra Nord-orientale delle Terme di Traiano in Bollettino della Commissione archeologica comunale di Roma, pp. 65-80.
[29] 문서 Procopius, De Bello Gothico, V, 19
[30] 서적 Palladio's Rome https://books.google[...]
[31] 서적 Rome and Environs: An Archaeological Guid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2]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Roman Architecture Cornell University Press
[34] 웹인용 Stanford Digital Forma Urbis Romae Project https://formaurbis.s[...] Standford University 2020-12-19
[35] 문서 Coarelli, 2014; p. 187
[36] 서적 Coarelli, 2014
[37] 서적 Lanciani, 1897
[38] 서적 Richardson, 1992
[39] 웹인용 Stanford Forma Urbis Romae Project: Fragment 13S https://formaurbis.s[...] Stanford University 2020-12-19
[40] 서적 Lanciani, 1897
[41] 뉴스 Thermae Traiani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Lanciani, 1897
[43] 서적 La Rocca 2001
[44] 뉴스 Apollo Mosaic Found in Rome Tunnel http://news.discover[...] discovery.com 2011-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