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야누스 포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라야누스 포룸은 로마에 있는 고대 로마의 포룸으로, 트라야누스 황제의 명으로 다키아 정복의 전리품으로 지어졌다. 105년에서 107년 사이에 건설이 시작되어 112년에 준공식을 올렸으며, 113년에는 트라야누스 원주가 세워졌다. 이 포룸은 퀴리날레 언덕과 카피톨리노 언덕 사이의 능선을 깎아내어 건설되었으며,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가 설계를 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실리카 울피아, 두 개의 도서관, 트라야누스 원주, 트라야누스 신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콘스탄티우스 2세가 방문했을 때 그 웅장함에 감탄했다는 기록이 있다. 현대에는 시장 부분과 트라야누스 원주가 남아 있으며, 9세기 이후 석재가 재사용되고, 16세기에는 개선문이 철거되는 등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라야누스 포룸 - 트라야누스 원주
트라야누스 원주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원정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기념 기둥으로, 나선형 부조로 그의 업적을 묘사하며 내부 계단을 통해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다. - 트라야누스 포룸 - 트라야누스 시장
트라야누스 시장은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가 설계하고 트라야누스 황제의 포룸 건설 계획의 일부로 100년에서 110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중세 시대 변화와 복원을 거쳐 현재는 박물관으로 사용되며, 상점들과 특히 비베라티카 거리의 선술집 및 식료품점이 있었던 혁신적인 건축물이다. - 로마의 광장 - 캄피돌리오 광장
캄피돌리오 광장은 로마 카피톨리노 언덕에 위치한 광장으로, 미켈란젤로의 설계로 현재 모습을 갖추었으며 콘세르바토리 궁전, 세나토리오 궁전, 누오보 궁전으로 둘러싸여 있고 중앙에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기마상이 있다. - 로마의 광장 - 성 베드로 광장
성 베드로 광장은 바티칸 시국 성 베드로 대성전 앞에 있는 광장으로, 교황의 강복을 보기 위한 군중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베르니니의 열주랑과 이집트 오벨리스크가 특징적인 명소이다. - 트라야누스 - 알칸타라 다리
알칸타라 다리는 루시타니아 속주 시대에 건설되어 전쟁으로 파괴된 후 재건되었으며, 현재 181.7m 길이의 6개 아치로 구성되었고 로마 비문과 설계자를 기리는 신전이 존재한다. - 트라야누스 - 폼페이아 플로티나
폼페이아 플로티나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아내이자 하드리아누스 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에피쿠로스 학파를 후원하고 황제 숭배 대상이 된 로마 황후이다.
트라야누스 포룸 | |
---|---|
개요 | |
![]() | |
위치 | 레기오 VIII 포룸 로마눔 |
좌표 | 41°53′51″N 12°29′04″E |
건설 시기 | 서기 106년–112년 |
건설 주체 | 트라야누스 황제 |
유형 | 황제들의 포룸 |
명칭 | |
라틴어 | Forum Traiani |
이탈리아어 | Foro di Traiano |
상세 정보 | |
설명 | 로마, 이탈리아의 랜드마크인 고대 로마 제국의 포룸 |
2. 역사
트라야누스 황제의 명으로 106년에 종결된 다키아 정복에서 나온 전리품으로 트라야누스 포룸이 지어졌다.[14] 건설은 105년과 107년 사이에 시작되었으며,[15] ''파우스티 오스티엔세스''에 의하면, 트라야누스 포룸은 112년에 준공식을 올렸고, 트라야누스 원주는 113년에 지어지고 준공식을 하였다.
포룸 건설을 위해 퀴리날레 언덕과 카피톨리노 언덕 (캄피돌리오)을 연결하는 능선의 높이를 높이는 대규모 기초 공사가 진행되었다. 300000m3가 넘는 흙과 바위들이 파헤쳐졌고 포르타 콜리나 밖으로 버려졌다.[15][16] 포룸의 계획은 다키아 전쟁에서 트라야누스와 동행했던 건축가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가 맡았지만, 기초공사는 도미티아누스 황제 때 이미 시작되었을 수도 있다. 건설 기간 동안 트라야누스 시장,[14] 카이사르 포룸 (바실리카 아르젠타리아에 지어짐)과 베누스 제네트릭스 신전의 보수 등 다른 계획들도 함께 진행되었다.
콘스탄티우스 2세는 357년에 로마를 방문했을 때,[23] 거대한 트라야누스의 기마상과 주변 건물들에 경탄하였다.
9세기 중반, 포룸 광장의 대리석 조약돌은 석회질이 좋았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해 체계적으로 가져다 쓰였다. 콘크리트로 대체되어 광장이 여전히 공공 장소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10세기까지 황제들의 포룸은 반농촌 지역이 되었고, 트라야누스 포룸의 이전 광장에는 도로가 교차하는 집들과 농지가 있었다.[25] 16세기 후반, 당시 지하 3~4미터 아래에 있던 황제들의 포룸 전체 지역은 도시 확장의 물결 속에 건설되었고, 그 지역은 알레산드리노 지구로 알려지게 되었다.[25]
1526년 로마의 도로 위원회인 '마에스트리 디 스트라데'가 포룸 입구를 형성했던 아치를 철거했는데, 이로 인해 로마 보존관(Conservatore) 프란체스코 첸치가 로마 시정부에 파괴에 대한 구제를 요구하는 보고서를 제출하게 되었다. 플라미노 바카의 설명에 따르면, 그 세기 후반에 다키아 전쟁의 장면을 묘사한 프리즈를 포함한 아치의 잔해가 발견되었다.[18]
현대에는 시장의 일부와 트라야누스 원주만 남아 있다. 역사적으로 울피아 바실리카를 형성했던 여러 기둥들이 현장에 남아 있었고, 다시 세워졌다. 1933년 비아 데이 포리 임페리알리 건설로 이 기둥들 중 일부가 덮였는데, 이 기둥들은 도로가 지나는 아치 아래에서 볼 수 있다.
2. 1. 건설 배경
트라야누스 포룸은 트라야누스 황제의 명으로 106년에 종결된 다키아 정복에서 나온 전리품으로 지어졌다.[14] 건설은 105년과 107년 사이에 시작되었으며,[15] ''파우스티 오스티엔세스''에 의하면, 트라야누스 포룸은 112년에 준공식을 올렸다. 트라야누스 원주는 113년에 지어지고 준공식을 하였다.이 포룸을 짓기 위해선 대규모 기초 공사가 이뤄져야 했으며, 작업자들은 퀴리날레 언덕과 카피톨리노 언덕(캄피돌리오)을 연결하는 능선의 높이를 높였다. 300,000 입방미터가 넘는 흙과 바위들이 파헤쳐졌고 포르타 콜리나 밖으로 버려졌다.[15][16]
포룸의 계획이 다키아 전쟁에서 트라야누스와 동행하기도 했던 건축가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한테 비롯되었다고 하는 반면에,[14] 이 기초공사가 도미티아누스 황제 때 실시되었을 수도 있다.
건설되던 동안에 트라야누스 시장,[14] 카이사르 포룸(바실리카 아르젠타리아에 지어짐)과 베누스 제네트릭스 신전의 보수 등의 몇몇 다른 계획들도 시행되었다.


2. 2. 건설 과정
트라야누스 황제의 명으로, 106년에 종결된 다키아 정복에서 나온 전리품으로 트라야누스 포룸이 지어졌다.[14] 건설은 105년과 107년 사이에 시작되었으며,[15] ''파우스티 오스티엔세스''에 의하면, 트라야누스 포룸은 112년에 준공식을 올렸다. 트라야누스 원주는 113년에 지어지고 준공식을 하였다.이 포룸을 짓기 위해선, 대규모 기초 공사가 이뤄져야 했었으며, 작업자들은 퀴리날레 언덕과 카피톨리노 언덕 (캄피돌리오)을 연결하는 능선의 높이를 높였다. 300000m3가 넘는 흙과 바위들이 파헤쳐졌고 포르타 콜리나 밖으로 버려졌다.[15][16]
포룸의 계획이 다키아 전쟁에서 트라야누스와 동행하기도 했던 건축가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한테 비롯되었다고 하는 반면에,[14] 이 기초공사가 도미티아누스 황제 때 실시되었을 수도 있다.
건설되던 동안에, 트라야누스 시장,[14] 카이사르 포룸 (바실리카 아르젠타리아에 지어짐)과 베누스 제네트릭스 신전의 보수 등의 몇몇 다른 계획들도 시행되었다.
2. 3. 로마 제국 시대
트라야누스 황제의 명으로, 106년에 종결된 다키아 정복에서 나온 전리품으로 지어졌다.[14] 건설은 105년과 107년 사이에 시작되었으며,[15] ''파우스티 오스티엔세스''에 의하면, 트라야누스 포룸은 112년에 준공식을 올렸다. 트라야누스 원주는 113년에 지어지고 준공식을 하였다.이 포룸을 짓기 위해선, 대규모 기초 공사가 이뤄져야 했었으며, 작업자들은 퀴리날레 언덕과 카피톨리노 언덕 (캄피돌리오)을 연결하는 능선의 높이를 높였다. 300,000 입방미터가 넘는 흙과 바위들이 파헤쳐졌고 포르타 콜리나 밖으로 버려졌다.[15][16]
포룸의 계획이 다키아 전쟁에서 트라야누스와 동행하기도 했던 건축가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한테 비롯되었다고 하는 반면에,[14] 이 기초공사가 도미티아누스 황제 때 실시되었을 수도 있다.
건설되던 동안에, 트라야누스 시장,[14] 카이사르 포룸 (바실리카 아르젠타리아에 지어짐)과 베누스 제네트릭스 신전의 보수 등의 몇몇 다른 계획들도 시행되었다.
2. 4. 로마 제국 이후
9세기 중반, 트라야누스 포룸 광장의 대리석 조약돌은 석회질이 좋았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해 체계적으로 가져다 쓰였다. 이들은 콘크리트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광장이 여전히 공공 장소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10세기까지 황제 포럼은 반농촌 지역이 되었고, 트라야누스 포럼의 이전 광장에는 도로가 교차하는 집들과 농지가 있었다.[25] 16세기 후반, 당시 지하 3~4미터 아래에 있던 황제 포럼 전체 지역은 도시 확장의 물결 속에 건설되었고, 그 지역은 알레산드리노 지구로 알려지게 되었다.[25]1526년 로마의 도로 위원회인 '마에스트리 디 스트라데'가 포룸 입구를 형성했던 아치를 철거했는데, 이로 인해 로마 보존관(Conservatore) 프란체스코 첸치가 로마 시정부에 파괴에 대한 구제를 요구하는 보고서를 제출하게 되었다. 플라미노 바카의 설명에 따르면, 그 세기 후반에 다키아 전쟁의 장면을 묘사한 프리즈를 포함한 아치의 잔해가 발견되었다.[18]
현대에는 시장의 일부와 트라야누스 원주만 남아 있다. 역사적으로 울피아 바실리카를 형성했던 여러 기둥들이 현장에 남아 있었고, 다시 세워졌다. 1933년 비아 데이 포리 임페리알리 건설로 이 기둥들 중 일부가 덮였는데, 이 기둥들은 도로가 지나는 아치 아래에서 볼 수 있다.
3. 구조
트라야누스 포룸은 열린 공간과 닫힌 공간이 연속되는 구조로, 포르티코식으로 정렬된 광장, 바실리카 울피아, 도서관, 트라야누스 원주, 트라야누스 신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룸의 주 입구는 광장 남쪽에 있는 개선문이며, 다키아 전쟁을 기념하는 조각상들로 장식되었다.[17]
광장 양쪽에는 에크세드라가 있었고, 바깥쪽에는 트라야누스 시장이 있었다. 광장 북쪽에는 바실리카 울피아가, 그 위쪽에는 작은 광장과 트라야누스 신전이 있었다. 바실리카와 신전 사이에는 두 개의 도서관과 트라야누스 원주가 있었다.[14]
콘스탄티우스 2세는 357년 로마 방문 시 트라야누스 포룸의 거대한 규모와 아름다움에 감탄했다는 기록이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의 저서에 남아있다.[23]
3. 1. 광장
트라야누스 포룸은 양쪽에 에크세드라가 있고 길이 300m, 너비 185m에 이르는 포르티코식으로 정렬된 광장으로 시작하여, 열린 공간과 닫힌 공간의 연속으로 구성된다. 주 입구는 이 광장의 남쪽에 있었고, 다키아 전쟁을 기념하는 가운데에 있던 개선문을 통해, 다키아 포로들의 프리즈와 조각상들로 장식되었다.[17] 이 개선문은 완전히 대리석으로 덮인 페페리노 응회암의 벽돌로 지어진 높은 벽들이 떠받쳤으며, 이 벽은 3면으로 포룸을 감쌌다.[18]광장을 동서로 둘러싼 응회암 벽에는 에크세드라가 있었으며, 거리로 분리된 바깥쪽의 에크세드라에는 동심원 모양의 시장이 있었다. 트라야누스 시장이라고도 알려진 3층으로 된 동쪽의 시장은 퀴리날레 언덕의 파해쳐진 경사면을 지지했다.[15][17] 포룸의 트인 공간은 대략 91m × 120m이며, 전체가 카라라 대리석으로 포장되었다.[19][15] 포룸의 최동쪽 벽면에 있는 출입구를 통하여, 사람들은 포르티코로 된 트인 앞마당으로 들어갔으며, 여기에서 인접한 아우구스투스 포룸과 연결되어 있었다.[15]
광장의 북쪽에는 바실리카 울피아가 있었고, 그 위쪽은 작은 광장이 있었으며, 북쪽 끝에 있는 트라야누스에게 헌정된 신전이 안쪽을 향하고 있었다. 트라야누스에게 헌정된 신전의 정확한 위치는 고고학자들 간, 그중에서도 특히 James E. Packer와 Roberto Meneghini 사이에서 지속되고 있는[20] 뜨거운 논쟁거리이다. 신전을 포함하고 있는 바실리카 울피아와 끝쪽에 있는 광장 사이는 두 개의 도서관이 있으며, 하나는 라틴어 문서를, 다른 한 쪽은 그리스어 문서를 보관했었다. 도서관 사이에는 38m 높이의 트라야누스 원주가 서 있었다.[14] 도서관들은 트라야누스 및 프라이토르들의 칙령들을 포함한 공문서들도 보관했다.[21]
트라야누스의 후임자인 하드리아누스는 트라야누스 신전이 있는 광장 가까이에 철학 교육 시설을 설치했다. 이 건물은 별관으로 분리된 세 개의 평행하는 홀들로 이뤄졌고 ''아테나이움''(Athenaeum)이라 알려졌다. 이 시설은 교육 시설, 사법 절차를 위한 공간, 이따금 원로원을 위한 회담 장소 등 여러 기능을 수행했다.[22]
3. 2. 바실리카 울피아
광장 북쪽에는 바실리카 울피아가 있었고, 그 위쪽은 작은 광장이었으며, 북쪽 끝에는 트라야누스에게 헌정된 신전이 안쪽을 향하고 있었다. 트라야누스 신전의 정확한 위치는 고고학자들 간에 뜨거운 논쟁거리인데, 그중에서도 특히 James E. Packer와 Roberto Meneghini 사이에서 이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20] 바실리카 울피아와 신전이 있는 광장 사이에는 두 개의 도서관이 있었는데, 하나는 라틴어 문서를, 다른 하나는 그리스어 문서를 보관했다. 도서관 사이에는 38m 높이의 트라야누스 원주가 서 있었다.[14] 도서관들은 트라야누스 및 프라이토르들의 칙령들을 포함한 공문서들도 보관했다.[21]
바실리카 북쪽에는 두 개의 도서관이 나란히 있었는데, 각각 라틴어와 그리스어 문서를 소장하고 있었다. 도서관 사이에는 높이 38m의 트라야누스 기념주가 우뚝 서 있었다.[13] 바실리카 북쪽에는 소규모 광장과 신격화된 트라야누스에게 바쳐진 신전이 있었다.
3. 3. 도서관
바실리카 울피아와 신전이 있는 종착 광장 사이에는 두 개의 도서관이 있었는데, 하나는 라틴어 문서를, 다른 하나는 그리스어 문서를 소장하고 있었다. 도서관 사이에는 트라야누스 원주가 서 있었다.[14] 도서관에는 황제의 행위와 집정관의 칙령을 포함한 국가 기록 보관소가 있었다.[21]하드리아누스는 트라야누스 신전이 있는 광장 옆에 철학 학교를 추가했다. 이 건물은 부속 건물로 분리된 세 개의 평행한 홀로 구성되었으며, 아테나이움(Athenaeum)으로 알려져 있었고, 학교, 사법 절차 장소, 상원의 비정기적 회의 장소로 다양하게 기능했다.[22]
3. 4. 트라야누스 원주
트라야누스 원주는 트라야누스 포룸에 있는 두 개의 도서관 사이에 있었다. 높이는 38m였다.[14] 한 도서관은 라틴어 문서를, 다른 하나는 그리스어 문서를 보관했다.[14] 이 도서관들은 프라이토르들의 칙령을 포함한 공문서도 보관했다.[21]3. 5. 트라야누스 신전
트라야누스에게 헌정된 신전의 정확한 위치는 고고학자들 간의 뜨거운 논쟁거리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제임스 E. Packer와 Roberto Meneghini 사이에서 지속되고 있는 논쟁이다.[20] 신전이 있던 바실리카 울피아와 끝쪽 광장 사이에는 두 개의 도서관이 있었는데, 하나는 라틴어 문서를, 다른 하나는 그리스어 문서를 보관했다. 도서관 사이에는 38m 높이의 트라야누스 원주가 서 있었다.[14] 도서관들은 트라야누스와 프라이토르들의 칙령을 포함한 공문서도 보관했다.[21]
트라야누스의 후임자인 하드리아누스는 트라야누스 신전이 있는 광장 가까이에 철학 교육 시설을 설치했다. '아테나이움'(Athenaeum)이라 알려진 이 건물은 별관으로 분리된 세 개의 평행하는 홀들로 이루어졌으며, 교육 시설, 사법 절차를 위한 공간, 이따금 원로원 회담 장소 등 여러 기능을 수행했다.[22]
4. 현대의 트라야누스 포룸
9세기 중반, 포룸 광장의 대리석 조약돌은 석회질이 좋아 재활용을 위해 체계적으로 가져다 쓰였다. 이 조약돌은 콘크리트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광장이 여전히 공공 장소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10세기까지 황제 포룸은 반농촌 지역이 되었고, 트라야누스 포룸의 이전 광장에는 도로가 교차하는 집들과 농지가 있었다.[25] 16세기 말, 당시 지하 3~4미터 아래에 있던 황제 포룸 전체 지역은 도시 확장의 물결 속에 건설되었고, 그 지역은 알레산드리노 지구로 알려지게 되었다.[25]
1526년 로마의 도로 위원회인 ''마에스트리 디 스트라데''가 포룸 입구를 형성했던 아치를 철거했는데, 이로 인해 로마 보존관(Conservatore) 프란체스코 첸치가 로마 시정부에 파괴에 대한 구제를 요구하는 보고서를 제출하게 되었다. 플라미노 바카의 설명에 따르면, 그 세기 후반에 다키아 전쟁의 장면을 묘사한 프리즈를 포함한 아치의 잔해가 발견되었다.[18]
현대에는 시장의 일부와 트라야누스 원주만 남아 있다. 역사적으로 바실리카 울피아를 형성했던 여러 기둥들이 현장에 남아 있었고, 다시 세워졌다. 1933년 비아 데이 포리 임페리알리 건설로 이 기둥들 중 일부가 덮였는데, 이 기둥들은 도로가 지나는 아치 아래에서 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Understanding Architecture: Its Elements, History and Meaning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2]
서적
Atlas of Ancient Ro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Ruins and Excavations of Ancient Rome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4]
서적
Rome & Environs: An Archaeological Guid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서적
The Ruins and Excavations of Ancient Rome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6]
서적
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Prentice-Hall
[7]
논문
Templum Divi Traiani Parthici et Plotinae: a debate with R. Meneghini
[8]
뉴스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Atlas of Ancient Ro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서적
Archaeological Guide to Rome
Electa
[11]
웹사이트
Ammianus Marcellinus Roman Antiquities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2010-12-01
[12]
서적
Atlas of Ancient Ro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서적
Understanding Architecture: Its Elements, History and Meaning
Westview Press
[14]
서적
Understanding Architecture: Its Elements, History and Meaning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15]
서적
Atlas of Ancient Ro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Ruins and Excavations of Ancient Rome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7]
서적
Rome & Environs: An Archaeological Guid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서적
The Ruins and Excavations of Ancient Rome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9]
서적
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Prentice-Hall
[20]
논문
Templum Divi Traiani Parthici et Plotinae: a debate with R. Meneghini
[21]
뉴스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Atlas of Ancient Ro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서적
Archaeological Guide to Rome
Electa
[24]
웹인용
Ammianus Marcellinus Roman Antiquities
http://penelope.uchi[...]
penelope.uchicago.edu
2010-12-01
[25]
서적
Atlas of Ancient Ro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