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로이군은 라그랑주 점 L4와 L5에 위치하여 중력적으로 안정된 천체 무리를 의미한다. 최초로 발견된 것은 목성 트로이군으로, 트로이 전쟁 등장인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후 해왕성, 화성, 지구, 천왕성, 금성 등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수성과 토성은 트로이군이 존재하지 않는다. 트로이군의 형성에 대한 두 가지 이론이 있으며, 트로이 위성은 위성의 라그랑주 점에 다른 위성이 위치하는 경우를, 트로이 행성은 행성의 라그랑주 점에 다른 행성이 위치하는 경우를 말한다. 트로이군의 안정성은 섭동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항성, 행성, 트로이군 천체의 질량 비율이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로이군 - 코르딜레프스키 구름
 코르딜레프스키 구름은 지구-달 라그랑주점 L4, L5 주변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희미한 먼지 구름으로, 관측이 어렵고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는 의문이 제기되지만, 히텐 탐사선과 헝가리 연구팀의 관측으로 존재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 트로이군 - 라그랑주 점
 라그랑주 점은 두 천체의 중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는 5개의 특정 지점으로, 레온하르트 오일러와 조제프 루이 라그랑주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우주 탐사 및 천문 관측에 유용한 위치이고 미래 우주 기지 건설 후보지로도 주목받는다.
- 태양계에 관한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태양계에 관한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 트로이군 | |
|---|---|
| 정의 | |
| 설명 | 더 큰 천체의 궤도를 공유하는 천체 그룹 | 
| 예시 | |
| 목성 트로이군 | 목성과 궤도를 공유하는 소행성군 | 
| 힐다족 | 목성과 3:2 궤도 공명을 하는 소행성군 | 
| 지구 트로이군 | 지구와 궤도를 공유하는 소행성군 (예: 2010 TK7) | 
| 해왕성 트로이군 | 해왕성과 궤도를 공유하는 소행성군 | 
| 특징 | |
| 안정적인 위치 | 라그랑주점 (L4 또는 L5) 부근에서 안정적인 궤도를 유지함 | 
| 궤도 공명 | 더 큰 천체와의 특정한 궤도 비율 (예: 3:2 궤도 공명)을 가짐 | 
| 관련 용어 | |
| 영어 | Trojan (트로이잔) | 
2. 트로이 소행성군
트로이 소행성군은 행성의 라그랑주 점 L4와 L5에 위치한 소행성군을 말한다.
"트로이군"이라는 용어는 원래 목성의 라그랑주 점 근처를 공전하는 "트로이 소행성"(목성 트로이군)을 지칭하며,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인물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목성의 L4 지점 근처를 공전하는 소행성은 그리스 측 인물의 이름을, L5 지점 근처는 트로이 측 인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다만, 624 헥토르와 617 파트로클로스는 이러한 명명 규칙이 정해지기 전에 이름이 붙여져 예외적으로 반대편에 속해 있다.[5]
이후 해왕성, 화성, 지구,[7] 천왕성, 금성의 라그랑주 점 근처를 공전하는 천체들이 발견되었다. 목성을 제외한 행성의 라그랑주 점에 있는 소행성을 라그랑주 소행성이라고 부를 수 있다.[8]
토성의 위성 사이에도 이와 유사한 관계를 가진 것(테티스를 따르는 텔레스트와 칼립소, 디오네를 따르는 헬레네와 폴리데우케스)이 발견되어 트로이 위성이라고 불린다.
2. 1. 트로이군의 정의와 발견
1772년, 수학자 겸 천문학자인 조제프루이 라그랑주는 제한된 삼체 문제에 대한 해를 연구하던 중, 라그랑주 점을 발견했다.[24] 이 중 L4와 L5 지점에 위치한 천체는 중력 작용에 의해 안정적으로 궤도를 돌 수 있으며, 이를 트로이군이라고 한다.
최초로 발견된 트로이군은 목성 트로이군이다. L4 지점의 소행성은 "그리스 측", L5 지점은 "트로이 측"으로 불리며, 트로이 전쟁 등장인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617 파트로클로스와 624 헥토르는 예외적으로 반대편에 위치한다.[25] 목성 트로이군에 속한 소행성의 수는 소행성대의 소행성 수와 비슷할 정도로 매우 많다.[26]
이후 해왕성, 화성, 지구,[27] 천왕성, 금성에서도 트로이군이 발견되었다.[28] 수성은 궤도이심률, 태양 복사압, 약한 중력, 야르콥스키 효과 때문에, 토성은 목성의 영향 때문에 트로이군이 존재하지 않는다.
2. 2. 각 행성별 트로이군
| 행성 | L4에서의 수 | L5에서의 수 | 목록 (L4) | 목록 (L5) | 
|---|---|---|---|---|
| 수성 | 0 | 0 | — | — | 
| 금성 | 1 | 0 | 2013 ND15 | — | 
| 지구 | 2 | 0 | 2010 TK7, (614689) 2020 XL5 | — | 
| 화성 | 1 | 13 | (121514) 1999 UJ7 | 다수 | 
| 목성 | 7508 | 4044 | 다수 | 다수 | 
| 토성 | 1 | 0 | 2019 UO14 | — | 
| 천왕성 | 2 | 0 | (687170) 2011 QF99, (636872) 2014 YX49 | — | 
| 해왕성 | 24 | 4 | 다수 | 다수 | 
트로이 소행성군의 형성에 관해서는 두 가지 이론이 있다. 첫 번째는 트로이군이 태양계 형성 초기에 목성 등 행성 근처에서 형성되어 행성 형성이 끝나기 전에 라그랑주 점에 진입했다는 것이다. 원시 행성계 원반이 두꺼웠던 시기 중력이 급격히 커져 소행성체가 대량으로 포획되었다는 이론이다.[37][38][39] 하지만 이 이론에는 이론상 예측되는 트로이군의 수가 현재 관측된 수의 4배가 넘고, 트로이군 천체들의 궤도 경사가 이론에서의 예측값보다 훨씬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40] 
트로이 위성은 트로이 소행성군 개념에서 항성이 행성이 되고, 행성이 위성이 된 상태로, 한 위성의 라그랑주 점에 다른 위성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현재까지 토성의 위성인 테티스와 디오네에서만 트로이 위성이 발견되었다.
트로이군 소행성은 2021년 10월 현재 10,553개(L4에 6,538개, L5에 4,018개)가 확인되었다. L4가 더 많은 이유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금성의 경우, 2013년에 발견된 준위성 2013 ND15가 금성 트로이군임이 확인되었다.[28] 다만 2013 ND15는 준위성 상태이기 때문에 궤도가 불안정해 500년 후쯤 트로이군 위치에서 벗어나리라 추정되고 있다.
지구에서는 2010 TK7이 최초로 발견된 지구 트로이군으로, L4에 위치한다.[29] (614689) 2020 XL5는 2021년에 발견된 또 다른 지구 트로이군으로, 역시 L4에 위치한다.
화성의 경우, 현재까지 알려진 화성 트로이군은 5261 유레카, (101429) 1998 VF31, (311999) 2007 NS2, (121514) 1999 UJ7 4개로, L4 지점에 위치한 천체는 (121514) 1999 UJ7 뿐이다.[30][31]
목성의 경우, 목성 트로이군에 속한 소행성의 수는 소행성대에 속한 소행성의 수와 비슷할 정도로 매우 많다.[26]
천왕성에서는 (687170) 2011 QF99와 (636872) 2014 YX49이 천왕성 트로이군으로, 둘 모두 L4에 위치한다.[32]
해왕성의 경우, 해왕성 트로이군은 현재까지 17개가 발견되었으며,[33] 큰 천체의 수로 따지면 목성 트로이군보다 해왕성 트로이군의 수가 더 많으리라고 추정되고 있다.[34][35]
세레스와 베스타에도 일시적으로 트로이군이 된 천체가 존재한다.[36]
3. 트로이군의 형성과 미래
두 번째 이론은 니스 모형을 기반으로 하며, 태양계 형성 5 ~ 6억 년 후쯤 행성이 이동할 때 카이퍼 대의 천체들이 대량으로 태양계 안쪽으로 들어왔으며, 이 천체들 중 일부가 현재의 트로이군을 형성한다고 추정한다.[41][42]
목성과 토성이 일으키는 궤도 공명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트로이군의 미래는 불명확하다.[43] 시뮬레이션 결과 현재까지 트로이군 소행성 중 17%가 트로이군을 이탈했으며, 앞으로도 충돌 등에 의해 트로이군 수는 계속 감소하리라고 추정된다.[44] 트로이군에서 이탈한 소행성들은 행성에 포획되면 일시적으로 위성이 되거나, 태양에 가깝게 접근하면 단주기 혜성이 될 것이다. 현재 지름 1 km가 넘는 트로이군 천체 약 200개가 태양계를 떠돌아다니고 있다고 추정되지만, 지구와 만날 가능성은 매우 낮다.[45]
4. 트로이 위성
5. 트로이 행성
행성의 라그랑주 점에 위치한 다른 행성을 가리키는 이론상의 개념이다. 현재까지 실제로 발견된 트로이 행성은 없으며, 케플러-223과 케플러-91b에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최종적으로 사실이 아님이 확인되었다.[46] 태양계 형성 초기 원시 행성 테이아는 지구의 트로이 행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6. 안정성
트로이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지는 트로이군에 가해지는 섭동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4] 경험적으로 트로이군은 ''m''1 > 100''m''2 > 10,000''m''3 (''m''1, ''m''2, ''m''3는 각각 항성, 행성, 트로이군 천체의 질량)을 만족할 때 안정적이다.[4]
좀 더 일반화하면, 천체들이 각각 원형 궤도를 도는 삼체계에서, 트로이군 천체들이 안정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27(''m''1''m''2 + ''m''2''m''3 + ''m''3''m''1) < (''m''1 + ''m''2 + ''m''3)2를 만족해야 한다.[4] 하지만 이 식은 천체가 3개만 있다고 가정했을 때로, 천체의 수가 많아진다면 만족해야 하는 비율값 또한 높아진다.[4]
참조
[1] 
서적
 
Dynamics of Small Solar System Bodies and Exoplanets
 
Springer
 
[2] 
저널
 
Size Distribution of Faint Jovian L4 Trojan Asteroids
 
2005-12
 
[3] 
저널
 
A Thick Cloud of Neptune Trojans and their Colors
 
2006-06
 
[4] 
저널
 
Essai sur le Problème des Trois Corps
 
http://www.ltas-vis.[...] 
1772
 
[5] 
저널
 
Planetary science: The Trojan is out there
 
2011-08-01
 
[6] 
저널
 
Size distribution of faint L4 Trojan asteroids
 
[7] 
저널
 
Earth's Trojan asteroid
 
2011-07-27
 
[8] 
저널
 
A CCD Search for Lagrangian Asteroids of the Earth–Sun System
 
1998-11
 
[9] 
웹사이트
 
List of Martian Trojans
 
http://www.minorplan[...] 
2015-07-03
 
[10] 
저널
 
Three new stable L5 Mars Trojans
 
2013-05-15
 
[11] 
웹사이트
 
List of Neptune Trojans
 
http://www.minorplan[...] 
2018-10-28
 
[12] 
저널
 
Neptune Trojans as a Testbed for Planet Formation
 
2005-07-20
 
[13] 
뉴스
 
Neptune May Have Thousands of Escorts
 
http://www.space.com[...] 
2007-01-30
 
[14] 
뉴스
 
First Asteroid Companion of Earth Discovered at Last
 
http://www.space.com[...] 
2011-07-27
 
[15] 
저널
 
The Second Earth Trojan 2020 XL5
 
2021-11
 
[16] 
저널
 
Trojan asteroid: Another object found that shares Earth's orbit
 
https://www.newscien[...] 
2021-11-22
 
[17] 
저널
 
Asteroid 2014 YX49: a large transient Trojan of Uranus
 
2017-05-21
 
[18] 
저널
 
A population of main belt asteroids co-orbiting with Ceres and Vesta
 
2012-01
 
[19] 
웹사이트
 
Saturn gets its 1st confirmed Trojan asteroid — but it might be stolen
 
https://www.space.co[...] 
2024-10-24
 
[20] 
웹사이트
 
地球のトロヤ群小惑星、初めて見つかる
 
https://natgeo.nikke[...] 
2011-07-29
 
[21] 
서적
 
https://books.google[...] 
[22] 
저널
 
http://www.dtm.ciw.e[...] 
2008-02-26
 
[23] 
웹인용
 
http://www.nasa.gov/[...] 
2018-01-18
 
[24] 
저널
 
http://www.ltas-vis.[...] 
2018-01-18
 
[25] 
저널
 
http://www.nature.co[...] 
2011-08-12
 
[26] 
저널
 
[27] 
저널
 
http://www.nature.co[...] 
2011-07-27
 
[28] 
저널
 
[29] 
웹인용
 
http://www.space.com[...] 
Space.com
 
2011-07-27
 
[30] 
웹인용
 
http://www.minorplan[...] 
2015-07-03
 
[31] 
저널
 
http://adsabs.harvar[...] 
[32] 
저널
 
http://adsabs.harvar[...] 
[33] 
웹인용
 
http://www.minorplan[...] 
2017-03-11
 
[34] 
저널
 
http://www.arxiv.org[...] 
2005-07-20
 
[35] 
웹인용
 
http://www.space.com[...] 
2007-03-08
 
[36] 
저널
 
A population of main belt asteroids co-orbiting with Ceres and Vesta
 
http://arxiv.org/pdf[...] 
2012-01
 
[37] 
저널
 
The growth of Jupiter and Saturn and the capture of Trojans
 
http://adsabs.harvar[...] 
1998
 
[38] 
저널
 
Capture of Trojans by a Growing Proto-Jupiter
 
1998-01
 
[39] 
저널
 
On the origin of the Trojan asteroids: Effects of Jupiter’s mass accretion and radial migration
 
https://www.scienced[...] 
Astronomy Department, University of Maryland
 
1996-06-16
 
[40] 
저널
 
Origin and Evolution of Trojan Asteroids
 
http://www.lpi.usra.[...] 
2009-12-18
 
[41] 
저널
 
Origin of the structure of the Kuiper belt during a dynamical instability in the orbits of Uranus and Neptune
 
http://adsabs.harvar[...] 
2018-01-14
 
[42] 
저널
 
Chaotic capture of Jupiter's Trojan asteroids in the early Solar System
 
http://www.oca.eu/mi[...] 
2009-12-19
 
[43] 
저널
 
The Observed Trojans and the Global Dynamics Around The Lagrangian Points of the Sun–Jupiter System
 
http://www.cds.calte[...] 
2009-07-31
 
[44] 
저널
 
Chaotic Diffusion And Effective Stability of Jupiter Trojans
 
2009-12-19
 
[45] 
저널
 
Dynamical evolution of Jupiter's Trojan asteroids
 
2009-12-19
 
[46] 
웹인용
 
Two planets found sharing one orbit
 
https://www.newscien[...] 
2011-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