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치노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치노강은 스위스 발베드레토에서 발원하여 마조레 호수를 거쳐 이탈리아로 흘러 포강과 합류하는 강이다. 길이는 약 248km이며, 제2차 포에니 전쟁의 티키누스 전투가 벌어진 역사적 장소이다. 중세 시대에는 파비아가 티치노강 덕분에 베네치아와 포 계곡 사이의 무역 중심지였으며, 비스콘티 가문이 다리를 건설하기도 했다. 현재는 수력 발전을 위해 댐으로 막혀 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관개용으로 사용된다. 유역에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며,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주요 지류로는 브레노강, 모에사강 등이 있으며, 벨린초나, 로카르노, 비제바노, 파비아 등의 도시가 티치노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티치노강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로마자 표기 | Ticino (영어) |
발음 | IPA(en): /tɪˈtʃiːnoʊ/ |
기타 이름 | Tesin (롬바르디아어) Tessin (독일어) Ticīnus (라틴어) |
지리 정보 | |
발원지 | 스위스, 티치노주, 발 베드레토 |
하구 | 이탈리아, 파비아 남동쪽 포강 |
국가 | 스위스, 이탈리아 |
길이 | 248 km |
발원지 고도 | 약 2,478 m |
유역 면적 | 7,228 km² |
수문 정보 | |
벨린초나 유량 | 최소: 14.5 m³/s (1Q) 평균: 70 m³/s (MQ) 최대: 906 m³/s (mHQ), 1500 m³/s (HHQ) |
평균 유량 | 348 m³/s |
최소 유량 | 54 m³/s |
최대 유량 | 5000 m³/s |
기타 정보 | |
유네스코 | 티치노, 발 그란데 베르바노 (유네스코) |
2. 이름
티치노라는 이름은 인도유럽조어 '*tekʷ-ino-s*'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이는 다시 "*tekʷ- (“흐르다, 달리다”)"에서 파생되어 "달리는 자"를 의미했을 수 있다.[4][5]
전설적인 갈리아의 지도자 벨로베수스는 기원전 600년경 이곳에서 에트루리아를 물리쳤다고 한다. 티키누스 전투는 제2차 포에니 전쟁의 첫 번째 전투로, 기원전 218년 11월 한니발이 이끄는 카르타고 군대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휘하의 로마 공화국 군대가 티치노에서 격돌했다.
3. 역사
중세 시대에 파비아는 (롬바르드 왕국의 첫 번째 수도이자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 티치노강 덕분에 베네치아와 포 계곡 사이의 통신 및 무역의 핵심 거점이었다. 또한 파비아에는 19세기까지 마조레 호수에서 포강까지 티치노강을 건너는 유일한 벽돌 다리(폰테 코페르토)가 있었다.[6] 비스콘티 가문이 14세기 초 비제바노에 나무 다리를 건설했지만 1315년 파비아 함대에 의해 불탔고, 루치노 비스콘티에 의해 재건되었으나 1356년 파비아에 의해 다시 파괴되어 재건되지 않았다.[7]
티치노강은 후기 중세 및 초기 근대 시대의 대부분 기간 동안 밀라노 공국 영토에 속해 있었지만, 1500년에는 벨린초나까지, 1513년에는 마조레 호수의 기슭까지의 상류 지역은 이탈리아 전쟁에서 구 스위스 연방의 스위스 원정의 결과로 구 스위스 연방에 속하게 되었다.
3. 1. 고대
전설적인 갈리아의 지도자 벨로베수스는 기원전 600년경 이곳에서 에트루리아 문명을 물리쳤다고 전해진다. 티치노는 제2차 포에니 전쟁의 첫 번째 전투인 티키누스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기원전 218년 11월 한니발이 이끄는 카르타고 군대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휘하의 로마 공화국 군대가 격돌했다.[6]
3. 2. 중세 및 근대
전설적인 갈리아의 지도자 벨로베수스는 기원전 600년경 이곳에서 에트루리아 문명을 물리쳤다고 전해진다. 티치노는 제2차 포에니 전쟁의 첫 번째 전투인 티키누스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기원전 218년 11월 한니발이 이끄는 카르타고 군대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휘하의 로마 공화국 군대가 격돌했다.[6]
중세 시대에 파비아는 (롬바르드 왕국의 첫 번째 수도이자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 티치노강 덕분에 베네치아와 포 계곡 사이의 통신 및 무역의 핵심 거점이었다. 또한 파비아에는 19세기까지 마조레호에서 포강까지 티치노강을 건너는 유일한 벽돌 다리(폰테 코페르토)가 있었다.[6]
비스콘티 가문이 14세기 초 비제바노에 나무 다리를 건설했지만 1315년 파비아 함대에 의해 불탔고, 루치노 비스콘티에 의해 재건되었으나 1356년 파비아에 의해 다시 파괴되어 재건되지 않았다.[7]
티치노강은 후기 중세 및 초기 근대 시대의 대부분 기간 동안 밀라노 공국 영토에 속해 있었지만, 1500년에는 벨린초나까지, 1513년에는 마조레 호수의 기슭까지의 상류 지역은 이탈리아 전쟁에서 구 스위스 연방의 스위스 원정의 결과로 구 스위스 연방에 속하게 되었다.
4. 지리
티치노강은 발레주와 티치노주 사이의 경계에 있는 스위스 발베드레토에서 발원하여, 알프스 빙하에서 물을 불려 마조레 호수를 거쳐 이탈리아로 들어간다. 파비아에서 몇 킬로미터 하류에서 포강과 합류하며, 길이는 약 248km이다. 배수 분지의 가장 높은 지점은 4618m의 그렌츠깁펠(몬테로사의 하위봉) 정상이다. 그 아래에는 티치노강의 우안 지류인 안자강이 흐른다.
티치노강은 스위스에서 수력 발전을 위해 댐으로 막았고, 이탈리아에서는 주로 관개용으로 사용된다.
마조레 호수의 약 6분의 1만이 스위스에 위치해 있다. 네 개의 주요 지류가 마조레 호수에서 티치노강과 합류한다. 베르자스카와 마지아는 각각 테네로와 로카르노/아스코나에서 스위스에 있는 호수로 들어간다. 트레사강은 루가노 호수에서 물을 빼내 루이노에서 마조레 호수로 흘러 들어간다. 토체강은 마조레 호수 북서쪽의 많은 계곡에서 물을 빼내 페리올로 근처에서 호수와 합류한다. 토체강은 평균 방류량에서 티치노강을 능가하며 티치노강 수계의 유역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몬테로사 산괴의 그렌츠지펠 (4617m)을 포함한다.
4. 1. 발원지 및 상류

발 베드레토는 베드레토 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좁은 고산 계곡으로, 누페넨 고개(Passo della Novenait, Nufenen Passde)에 위치하며, 북쪽의 피초 갈리나와 남쪽의 누페넨스톡 사이에 있다. 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도로는 고개에 접근하기 전까지는 비교적 직선으로 뻗어 있으며, 그곳에서 9개의 헤어핀 커브가 시작된다.
티치노강은 누페넨스톡의 북쪽과 남쪽 모두에서 발원한다. 작은 지류는 누페넨스톡 남쪽, 피콜로 코르노 그리 북쪽, 파소 델 코르노 아래의 작은 산악 호수에서 발원한다. 20세기 초까지 발레의 그리스 빙하는 여전히 코르노 고개를 넘어 발 코르노로 흘러들었다.
두 개의 발원지는 동쪽 고갯길의 헤어핀이 시작되는 곳에서 약 700m 고도에서 합류한다. 고개와 누페넨스톡을 통해 스위스 칸톤의 발레주와 티치노주의 경계가 지나간다.
1964년에 건설된 포장 도로는 파소 델라 노베나를 지나 서쪽으로 약 500m 고도 아래로 10개의 헤어핀을 지나 아게넨탈을 거쳐 북동쪽 방향으로 뻗어 오버곰스, 즉 론강 최상류 계곡의 상부를 향한다. 발레의 하부는 프랑스어를 사용하지만, 상부는 특유의 최고 알레만어 방언인 발리저 독일어를 사용하며, 티치노의 주민들은 이탈리아어를 사용한다.
이후 티치노강은 계곡을 따라 알콰(All'Acqua) 또는 알콰 오스피치오(All'Acqua Ospizio)의 작은 마을(1614m)까지 곧장 흐르는 산간 개울이 된다. 이 마을은 과거 수 세기 동안 차량으로 접근 가능한 도로의 이전 종착지 근처에 여행자를 위한 호스텔이 위치해 있어 그 이름을 따왔다. 현재는 스키와 하이킹의 기지이다. 동쪽으로 더 내려가면 론코(1476m)의 작은 마을과 마지막으로 베드레토(1402m), 빌라 베드레토가 나타난다.[8]
베드레토 아래에서 발 토르타에서 오는 우안 지류인 리 디 크리스탈리나(Ri di Cristallina, "크리스탈리나 개울")가 오사스코에서 티치노강과 합류하며, 계곡 아래로 내려가면 폰타나가 발 베드레토에서 가장 낮은 마을이다. 이 지역 전체에는 하이킹 코스와 산장이 얽혀 있다. 계곡은 눈사태가 발생하기 쉽고, 눈이 9월까지 남아 있을 수 있다.
4. 2. 중류 (스위스)
티치노강은 누페넨 고개 동쪽 산비탈을 따라 흐르는 많은 급류에서 발원한다. 여기서 강은 아이롤로(1127m)까지 발 베드레토를 통과하여 북동쪽으로 흐른다. 이곳에는 고트하르트 고개 남쪽 경사로와 고트하르트 철도 터널, 고트하르트 도로 터널의 남쪽 입구가 있다. 그런 다음 레벤티나 계곡으로 들어가면서 천천히 남동쪽으로 방향을 튼다. 레벤티나에서 티치노강은 두 개의 좁은 협곡(''몬테 피오티노 협곡'' 및 ''비아스키나'')으로 구분된 세 개의 지형 단계를 거쳐 약 320m 지점의 보디오 근처에 있는 주의 평원으로 흘러 들어간다. 얼마 지나지 않아 비아스카(286m)에서 이 강은 첫 번째 주요 지류인 브레노와 합류하는데, 브레노는 루코마뇨 고개에서 출발하여 발레 디 블레니오를 통과한다.[8]티치노강이 주의 수도인 벨린초나의 서쪽을 지나기 전에 강은 산 베르나르디노 고개 아래에서 발원하여 메솔치나 계곡을 통과하는 두 번째 큰 왼쪽 지류인 모에사와 합류한다. 발레 메솔치나(및 발 칼란카)는 지리적으로 문화적으로 티치노에 속하지만 정치적으로는 그라우뷘덴 주에 속한다. 비아스카와 벨린초나 사이의 강 계곡 부분은 ''리비에라''라고 불린다. 강은 벨린초나 이후에 댐으로 막혀 있다. 이제 티치노강은 거의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완벽하게 평평한 ''마가디노 평원''을 통과한다. 이 평원은 강이 만 년 이상 자체 퇴적물로 형성한 중요한 경작지이자 자연 보호 구역으로, 라고 마조레로 흘러 들어가기 전에 스위스에서 가장 낮은 지점인 193m에 이른다.[8]
4. 3. 하류 (이탈리아)
세스토 칼렌데에서 피우메 티치노라고 불리는 강은 마조레 호를 나와 남쪽으로 구불구불 흐르며 동쪽의 밀라노 말펜사 공항을 지나간다. 이후 천천히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강은 동쪽으로 약 20km 떨어진 곳에서 밀라노를 우회한다. 밀라노 남쪽에서 포강과 합류하기 직전에 강은 북쪽 강둑의 파비아를 지나간다.
티치노강 유역에는 습지와 하천 숲이 많으며, 유라시아수달, 쿠스시뱀, 알락개구리매, 붉은발말똥가리 등이 서식하고 있다. 마조레 호에서 포강과의 합류점에 이르는 티치노강의 계곡은 롬바르디아주와 피에몬테주를 가로지르는 "티치노 계곡 자연 공원(it:Parco naturale della Valle del Ticino)"을 이룬다. 2002년에는 주변의 "라고니 디 메르클라고 자연 공원(it:Parco naturale dei Lagoni di Mercurago)", "칸네티 디 돌멜레토 특별 자연 보호구역(it:Riserva naturale speciale dei Canneti di Dormelletto)", "보스코 소리보 자연 보호구역(it:Riserva naturale orientata di Bosco Solivo)", "폰도 토체 자연 보호구역(it:Riserva naturale di Fondo Toce)"을 포함한 지역이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9]
5. 생태
티치노강 유역에는 습지와 하천 숲이 많으며, 유라시아수달, 쿠스시뱀, 알락개구리매, 붉은발말똥가리 등이 서식하고 있다. 마조레 호에서 포강과의 합류점에 이르는 티치노강의 계곡은 롬바르디아주와 피에몬테주를 가로지르는 티치노 계곡 자연 공원(it:Parco naturale della Valle del Ticino)을 이루며, 2002년에는 주변의 라고니 디 메르클라고 자연 공원(it:Parco naturale dei Lagoni di Mercurago), 칸네티 디 돌멜레토 특별 자연 보호구역(it:Riserva naturale speciale dei Canneti di Dormelletto), 보스코 소리보 자연 보호구역(it:Riserva naturale orientata di Bosco Solivo), 폰도 토체 자연 보호구역(it:Riserva naturale di Fondo Toce)을 포함한 지역이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9]。 또한, 마조레 호에 흘러드는 하구는 람사르 협약 등록지이다.[10]。
6. 주요 지류
티치노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하류를 바라볼 때 R은 우안, L은 좌안).[8]
지류 이름 | ! 방향 | ! 비고 |
---|---|---|
브레노 | L | |
모에사 | L | |
베르자스카 | R | 마조레호 |
마자 | R | 마조레호 |
칸노비노 | R | 마조레호 |
지오나 | L | 마조레호 |
트레사 | L | 마조레호 |
보에시오 | L | 마조레호 |
산 베르나르디노 | R | 마조레호 |
토체 | R | 마조레호 |
스트로네타 | R | 마조레호 |
바르델로 | L | 마조레호 |
아르노 | L | |
로자 베르나볼라 | L |
7. 주요 도시
참조
[1]
서적
A Handbook for Travellers in Switzerland, and the Alps of Savoy and Piedmont
Outlook
2002
[2]
서적
Integrated and Participatory Water Resources Management - Practice
Elsevier Science
[3]
웹사이트
Ticino, Val Grande Verbano
https://www.unesco.o[...]
Unesco
2024-07-07
[4]
서적
L'onomastica dell'Italia antica: aspetti linguistici, storici, culturali, tipologici e classificatori
École fran-caise de Rome
2009
[5]
웹사이트
Ticinus
https://en.wiktionar[...]
2021-06-29
[6]
간행물
Guerra e navi sui fiumi dell'Italia settentrionale (secoli XII- XIV)
https://www.academia[...]
2023-02-01
[7]
서적
La guerra d’acqua dolce. Navi e conflitti medievali nell’Italia settentrionale
https://www.academia[...]
Clueb
2023-04-27
[8]
서적
Walking in Ticino, Switzerland: A Walking Guide
Cicerone Press Limited
[9]
웹사이트
Ticino Val Grande Verbano Biosphere Reserve, Italy
https://en.unesco.or[...]
2023-03-08
[10]
웹사이트
"Bolle di Magadino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7-03-29
[11]
서적
Walking in Ticino, Switzerland: A Walking Guide
Cicerone Press Limit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