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르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르니는 고대 부족으로, 그리스 및 라틴 자료에서 언급되지만, 이란어 자료에서는 명확한 증거가 없다. 카스피해 남동쪽에 위치했으며, 파르티아어의 동부 기층 언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247년 안드라고라스가 셀레우코스 제국에서 독립을 선포한 후, 아르사케스 1세가 이끄는 파르니족은 파르티아를 침략하여 정복하고 아르사케스 왕조를 시작했다. 아르사케스 왕조는 점차 주변 왕국을 정복했으나, 224년 사산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파르니라는 이름은 사산 시대 문서에서 다시 등장하며, 파르나우 언덕의 이름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적 이란족 - 캄보자
    캄보자는 베다 시대 후기 인도아리아어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 부족 또는 왕국으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이란어와 언어적 연관성을 갖고 말 사육 기술이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역사적 이란족 - 사카
    사카는 고대 페르시아에서 유래된 용어로 유라시아 유목민을 지칭하며,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는 카스피해와 흑해 북쪽의 이란계 유목 민족, 고대 그리스에서는 스키타이인을 가리켰고, 현대에는 유라시아 대초원과 타림 분지의 이란 민족을 지칭한다.
  • 파르티아 제국 - 니사 (투르크메니스탄)
    니사는 기원전 3세기경 파르티아 왕국의 주요 무역 중심지이자 초기 수도였던 유적으로, 지진으로 파괴되었으나 발굴을 통해 헬레니즘 미술품과 유물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파르티아 제국 - 엑바타나
    엑바타나는 고대 메디아 왕국의 수도로서, 여러 제국을 거치며 동서 문명 교류에 기여했고, 현재 하마단 지역에 위치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적인 도시이다.
  • 이란족 유목민 - 마사게타이족
    마사게타이족은 기원전 8세기부터 3세기까지 아무다리야 강과 시르다리야 강 유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유목 민족으로, 스키타이족과 관련이 있으며 키루스 2세와의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알렉산드로스 3세 이후 여러 부족과 융합되어 사라졌다.
  • 이란족 유목민 - 파슈툰인
    파슈툰인은 아프가니스탄 최대 민족이자 파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으로, 파슈토어를 사용하며 강력한 부족 시스템과 파슈툰왈리 관습법에 기반한 문화를 가지고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정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파르니
민족 정보
파르티아의 깃발
파르티아의 깃발 (추정)
다른 이름아파르니 (Áparni)
파르니 (Parni)
역사적 배경
기원중앙아시아
주요 활동 지역히르카니아
관련 민족다하에족
스키타이
파르티아인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이란어파 (추정)
상세 정보
파르니족고대 이란 민족으로, 다하에족의 일파이다.
위치옥수스강 (현재의 아무다리야강) 남동쪽 지역에 거주했다.
아르사케스 왕조기원전 3세기 중반에 아르사케스 1세의 지도하에 파르티아를 침공하여 파르티아 왕국을 세웠다.
파르티아 왕국파르니족의 지배하에 번성했으며, 이후 파르티아인으로 불리게 되었다.

2. 역사적 정체성과 위치

파르니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이란어 자료에는 없으며, 이들에 대한 모든 언급은 그리스 및 라틴 자료에서 나온다. 이러한 자료들은 반드시 동시대에 기록된 것은 아니며, 그리스/라틴 명칭 및 음역의 일관성이 없고, 스파르니 또는 아파르타니, 에파르노이 또는 아스파리오이와 같은 다른 부족의 이름과 유사하기 때문에 파르니에 대한 언급을 명확하게 식별하기 어렵다.[1] 파르니는 이러한 다른 부족 중 하나 이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그들의 원래 고향은 다른 스키타이 부족과 함께 이주한 남부 러시아였을 수 있다."[1]

파르니 다하에의 위치는 카스피해의 남동쪽으로, 스트라보의 《지리학》(기원전 1세기, 제11권)에 의해 유추되었다. 다하에의 민족명은 이후 지명 다헤스탄 또는 디히스탄의 어근이었으며, 이는 현재 투르크메니스탄이란 지역에 걸쳐 있는 지역이다. A. D. H. 비바르에 따르면, 파르니를 포함하여 다하에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어서, 그들의 수도의 위치와 이름조차도 "만약 그들이 수도를 가지고 있었다면" 알려져 있지 않다.[2] 이 지역의 후기 고고학 유적인 데히스탄/미슈리안은 투르크메니스탄의 발칸 주에 위치해 있다.

3. 언어

파르니의 언어는 직접적으로 증명되지 않았지만, 파르니가 결국 채택한 파르티아어의 동부 기층 중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입된 파르니에게는 동이란 요소가 강하게 나타나는 언어 형태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그들이 동이란 사카족과 스텝에서 인접해 있었기 때문이다." 아르메니아에서 파르티아의 영향으로 파르니어의 흔적은 "아르메니아어에 차용어로" 남아있다.

파르니의 언어는 Justin에 의해 '스키타이와 메디아 사이'이며 '둘 다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고 묘사되었다.(41.1.10). 유스티누스의 후기 (3세기) 견해는 "의심할 여지 없이 다소 과장된 것"이며, 명칭의 모호성을 고려할 때 어떤 경우에도 진실성이 의심스럽다.

4. 파르티아 정복과 아르사케스 왕조

기원전 247년, 안드라고라스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파르티아 총독(사트라프)이었다. 그는 안티오코스 2세가 사망하고, 프톨레마이오스 3세가 셀레우코스 제국의 수도인 안티오크를 장악하면서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했다.[1]

그동안 스키타이 또는 박트리아 출신의 아르사케스가 파르니 부족의 지도자로 선출되었다.[2] 파르티아가 셀레우코스 제국에서 분리되면서 셀레우코스 제국의 군사적 지원을 상실한 안드라고라스는 국경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기원전 238년경 아르사케스와 그의 형제 티리다테스의 지휘 하에 파르니족은 파르티아를 침략하여 그 영토의 북부 지역인 아스타베네(아스타와)를 장악했으며, 행정 수도는 카부찬(통용어로는 쿠찬)이었다.

얼마 후, 파르니족은 안드라고라스로부터 파르티아의 나머지 지역을 빼앗았고, 그 과정에서 안드라고라스를 죽였다. 셀레우코스 2세가 이끄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초기 징벌 원정은 성공하지 못했지만, 안티오코스 3세 치하의 셀레우코스 제국은 기원전 209년 라부스 산 전투 이후 아르사케스 2세로부터 아르사케스/파르니족이 지배하던 영토를 재탈환했다. 아르사케스 2세는 평화를 간청하며 종속 상태를 받아들였으며, 아르사케스/파르니족이 다시 독립을 주장하기 시작한 것은 아르사케스 2세의 손자(또는 조카)인 프라아테스 1세 때였다.

5. 유산

238년 기원전 아스타베네 점령은 명목상 아르사케스 왕조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데, 이는 아르사케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모든 파르티아 왕들이 채택한 이름이다.[1] 아르사케스 왕조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의 후손임을 주장했다. 아스타베네와 파르티아(이후 현재의 시스탄 대부분을 포함하도록 남쪽으로 확장됨)에서 시작하여 아르사케스 왕조는 점차 많은 인접 왕국을 정복했으며, 이후 대부분은 봉신으로 통제되었다. 아르다시르 1세(그리스어로 다시 "아르사케스"/"아르타크세르크세스"[2])라는 스타크르의 전 봉신이 224년 성공적으로 반란을 일으킨 이후, 아르사케스/파르티아의 헤게모니는 사산/페르시아의 헤게모니에 굴복하기 시작했다.

"파르니"라는 이름은 사산 시대 문서에서 사산 왕조 궁정에 동맹한 일곱 개의 파르티아 봉건 가문 중 하나를 식별하기 위해 다시 등장한다. 그러나 이 가문은 아르사케스 시대부터 증명되지 않았으며, "파르니"라는 이름에 대한 주장은 (여섯 가문 중 다른 네 가문과 마찬가지로) "아마도 현실과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 중 구성원들이 가문의 고대성을 강조하기 위해 자체 족보를 만들었을 수 있다."

파르나우 언덕(''Paran Koh'')이 파르니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는 주장이 있다.

참조

[1] 간행물 APARNA (Gk. Aparnoi/Parnoi, Lat. Aparni or Parni), an east Iranian tribe established on the Ochos (modern Taǰen, Teǰend) and one of the three tribes in the confederation of the Dahae http://www.iranicaon[...] Encyclopedia Iranica
[2] 서적 The Age of the Parthians https://books.google[...] 2010-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