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비나토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르비나토르(Parvinatator)는 트라이아스기 초중기에 북아메리카 일대에 서식했던 1m 미만의 소형 어룡이다. 작은 물고기나 두족류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캐나다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두개골은 작고, 앞지느러미는 수생 생활에 적응된 형태를 보인다. 파르비나토르의 정확한 계통 분류학적 위치는 연구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초기 어룡류 또는 진정한 어룡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라이아스기의 어룡 - 스켈로코무스
스켈로코무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동남아시아 서부 태평양에 서식했던 멸종된 해양 파충류로, 좁고 긴 몸통, 작은 머리, 뾰족한 이빨을 지녔으며 흡입 섭식 방식으로 먹이를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코부리류 어룡이다. - 트라이아스기의 어룡 - 쇼니사우루스
쇼니사우루스는 후기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어룡으로, 긴 주둥이와 좁은 지느러미, 톱니 모양의 치아를 가지고 있으며, 네바다 주 화석으로 지정되어 있다. - 199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스피노에쿠알리스
스피노에쿠알리스는 석탄기 후기에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약 30cm 길이의 파충류로, 대칭적인 척추, 물갈퀴가 있는 다리, 삼각형 모양의 이빨을 가진 것이 특징이며 1995년 미국에서 화석이 처음 발견되었다. - 199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콜리코돈
콜리코돈은 중생대에 살았던 몸길이 최대 1미터의 비교적 큰 포유류로, 빵 롤과 유사한 어금니 형태를 가지며 단단한 음식을 부수도록 특화되어 조개류를 먹거나 초식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파르비나토르 | |
|---|---|
| 기본 정보 | |
| 학명 | Parvinatator Nicholls and Brinkman, 1995 |
| 속 | 파르비나토르 |
| 명명자 | Nicholls and Brinkman, 1995 |
| 모식종 | Parvinatator wapitiensis |
| 모식종 명명자 | Nicholls and Brinkman, 1995 |
| 속 상위 분류군 | McGowan and Motani, 2003 |
| 시대 | 트라이아스기 전기 ~ 중기 |
2. 특징
파르비나토르는 몸길이가 1m 미만인 소형 어룡으로, 뱀장어와 비슷한 유선형 몸체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2] 등지느러미의 존재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턱 크기와 치아 형태를 통해 작은 물고기와 두족류를 먹이로 삼았을 것으로 보인다.[3] 다른 초기 어룡들과 마찬가지로, 파르비나토르는 뱀장어형으로 알려진 뱀장어와 같은 측면 몸통 운동을 추진력으로 사용했을 것이다.[4]
2. 1. 두개골
료스케 모타니에 의해 재구성된 파르비나토르의 두개골은 작으며, 너비 약 15cm, 높이 약 10cm이다. 두개골은 발견 당시 분리되고 부서진 상태였으나, 재구성 결과 비늘뼈, 네모관골의 존재, 앞이마뼈와 뒤이마뼈 사이 접촉 부재 등 기존에 알려진 특징과 다른 점들이 확인되었다.[3]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특징 | 설명 |
|---|---|
| 후관절 돌기 | 관절뼈, 상각뼈, 각뼈로 구성, 잘 발달됨. 모든 어룡에 대한 파생 형질로 추정.[1][6] |
| 네모관골 | 높고 좁으며, 사각뼈를 옆으로 덮음.[7][6] |
| 광대뼈와 네모관골 사이 | 깊은 노치, 아래쪽 측두 창문이나 아래쪽 관골궁이 없음.[7][6] |
| 안와후골 | 확대되어 안와의 뒤쪽을 따라 광대뼈와 겹쳐짐.[8][3] |
| 안와 | 타원형, 높이보다 길다.[3] |
| 외부 콧구멍 | 전상악골, 상악골 및 비골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잘 발달된 누골과는 분리.[1][6] |
2. 2. 앞지느러미

일부 기저 어룡과 달리, 파르비나토르는 수생 생활에 잘 적응되어 있었다. 파르비나토르의 앞지느러미는 이동보다는 몸의 균형을 잡는 피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9] 파르비나토르의 왼쪽 앞지느러미는 잘 보존되어 있는데, 척골은 길이와 너비가 모두 줄어들었고 요골보다도 작다. 손가락 4와 5의 여러 뼈도 융합되었다.[1][3]
3. 생존 시기 및 서식지
파르비나토르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전기에서 중기(약 2억 5100만 년 전 ~ 2억 3500만 년 전)에 북아메리카를 중심으로 동부 태평양과 서부 대서양에서 서식했던 어룡이다.[2] 화석은 캐나다의 트라이아스기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정확한 지질학적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다.[2] 근처에서 그리피아, 우타츠사우루스, 팔라로돈을 포함한 다른 작은 어룡들도 발견되었다.
4. 화석 발견
1995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유황산층(Sulfur Mountain Formation)에서 엘리자베스 니콜스(Elisabeth Nicholls)와 돈 브링크만(Don Brinkman)이 파르비나토르 화석을 발견했다. 발견된 화석은 부분적인 두개골과 두 개의 앞지느러미로 구성되어 있다.[1] 두개골은 지각 변동으로 인해 변형되어 부분적으로 분리되고 부서졌으며, 후방 부분은 안와(눈구멍) 안으로 회전했다. 왼쪽 앞지느러미는 약간 겹치고 파손된 부분이 있지만 잘 보존되어 있는 반면, 오른쪽 앞지느러미는 심하게 겹치고 부서졌다.[3]
5. 분류
파르비나토르의 정확한 계통 분류학적 위치는 아직 논쟁 중이다. 초기 연구에서는 우타츠사우루스와 함께 기저 어룡으로 분류되었으나,[2] 이후 연구에서는 우타츠사우루스, 그립피아보다 더 진화된 어룡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0]
5. 1. 계통도 (모타니, 2000)
모타니(Motani)의 계통도에 따르면, 파르비나토르는 우타츠사우루스와 함께 기저 어룡으로 분류되지만, 진정한 어룡으로는 분류되지 않는다.[2]{| class="wikitable"
|-
! 어룡류
|-
|
{| class="wikitable"
|-
| 우타츠사우루스
|-
| '''파르비나토르'''
|-
! 초기 어룡류
|-
|
{| class="wikitable"
|-
! 그립피디아
|-
|
| 차오후사우루스 |
| 그립피아 |
|-
! 어룡
|-
|
{| class="wikitable"
|-
| 킴보스폰딜루스
|-
|
{| class="wikitable"
|-
| 믹소사우루스
|-
! 메리아모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샤스타사우루스
|-
! 진어룡류
|-
|
{| class="wikitable"
|-
| 토레토크네무스
|-
|
{| class="wikitable"
|-
| 캘리포르노사우루스
|-
! 파르비펠비아
|-
|
{| class="wikitable"
|-
| 맥고와니아
|-
|
{| class="wikitable"
|-
| 허드슨엘피디아
|-
|
{| class="wikitable"
|-
| 수에볼레비아탄
|-
|
{| class="wikitable"
|-
| 유르히노사우루스
|-
| 템노돈토사우루스
|-
! 툰노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스테노프테리지우스
|-
|
| 어룡 |
| 안룡류 |
|}
|}
|}
|}
|}
|}
|}
|}
|}
|}
|}
|}
5. 2. 계통도 (마이쉬 & 마츠케, 2000)
마이쉬(Maisch)와 마츠케(Matzke)에 따르면, 파르비나토르는 진정한 어룡이며, 우타츠사우루스와 그립피아보다 더 진화했다.[10]{| class="wikitable"
|-
! '''어룡'''
|-
|
{| class="wikitable"
|-
| 타이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우타츠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그립피디아
|-
|
| 차오후사우루스 |
| 그립피아 |
|-
|
{| class="wikitable"
|-
| '''파르비나토르'''
|-
|
{| class="wikitable"
|-
| 콰시아노스테오사우루스
|-
! 후네오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믹소사우루스
|-
! 롱기핀나티
|-
|
{| class="wikitable"
|-
| 토레토크네미데
|-
|
| 킴보스폰딜리데 |
| 메리아모사우루스 |
|}
|}
|}
|}
|}
|}
|}
|}
|}
|}
참조
[1]
논문
A new ichthyosaur from the Triassic Sulphur Mountain formation of British Columbia
London (Gordon & Breach)
1995
[2]
논문
Phylogeny of the Ichthyopterygia
1999
[3]
학위논문
Phylogeny of the Ichthyosauria (Amniota: Reptilia) with special reference to Triassic forms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1997
[4]
논문
Eel-like swimming in the earliest ichthyosaurs
1996
[5]
논문
Large eyes in deep diving ichthyosaurs
1999
[6]
논문
Phylogeny, systematics, and origin of the Ichthyosauria – the state of the art
2010
[7]
논문
The skull of a large Lower Triassic ichthyosaur from Spitzbergen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the Ichthyosauria
2002
[8]
논문
Cranial morphology and relationships of a new grippidian (Ichthyopterygia) from the Vega-Phroso Siltstone Member (Lower Triassic) of British Columbia, Canada
2013
[9]
간행물
Differential growth in three ichthyosaurs: Ichthyosaurus communis, I. breviceps, and Stenopterygius quadriscissus (Reptilia, Ichthyosauria)
1973
[10]
간행물
The Ichthyosauria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