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테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테로스(Pateros)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에 위치한 도시로, 오리 사육자들을 의미하는 타갈로그어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1900년 리잘 주의 일부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타구이그, 문틴루파와 통합되기도 했으나, 행정 구역 조정을 거쳐 독립적인 지위를 회복했다. 파테로스는 발루트(오리 배아를 삶은 음식)로 유명하며, 과거 오리 사육 산업이 발달했으나, 수질 오염으로 쇠퇴했다. 현재는 자매 도시 협정을 통해 미국 워싱턴주의 파테로스와 교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테로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 |
| 별칭 | 필리핀의 발룻 수도 큰 마음을 가진 작은 마을 | 
| 표어 | Isang Pateros | 
| 표어 번역 | 하나의 파테로스 | 
| 찬가 | Himno ng Pateros | 
| 찬가 번역 | 파테로스 찬가 | 
|  | |
| 일반 정보 | |
| 공식 명칭 | Bayan ng Pateros | 
| 로마자 표기 | Bayan ng Pateros | 
| 영어 명칭 | Municipality of Pateros | 
| 위치 | 필리핀 | 
| 소속 지역 | 마닐라 수도권 | 
| 구역 | 구역 타기그와 공유된 론 구역 | 
| 설립 | 1799년 | 
| 재조직 | 1900년 3월 29일 | 
| 인증 | 1909년 1월 1일 | 
| 정치 및 행정 | |
| 시장 | 미겔 "아이크" F. 폰세 3세 (악시욘 데모크라티코) | 
| 부시장 | 카를로 U. 산토스 (국민당) | 
| 하원의원 | 리카르도 "아딩" S. 크루즈 주니어 (국민당) | 
| 지방 의회 | | frame_style = border:none; padding: 0; | list_style = text-align:left;display:none;white-space:nowrap; | 
| 정부 형태 | 지방 자치 정부 | 
| 지리 | |
| 면적 | 1.76 km² | 
| 고도 | 14 m | 
| 최대 고도 | 136 m | 
| 최소 고도 | 0 m | 
| 인구 통계 | |
| 총 인구 (2020년) | 65,227명 | 
| 가구 수 | 13,393 가구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유권자 수 | 38,841 명 (2019년) | 
| 소득 등급 | 1등급 지방 자치 단체 | 
| 빈곤율 | 알 수 없음% | 
| 경제 | |
| 전기 공급 | 메랄코 | 
| 수입 | 알 수 없음 | 
| 자산 | 알 수 없음 | 
| 지출 | 알 수 없음 | 
| 부채 | 알 수 없음 | 
| 식별 정보 | |
| 시간대 | PHT (UTC+8) | 
| 우편 번호 | 1620–1622 | 
| PSGC | 137606000 | 
| 지역 번호 | +63 (0)02 | 
| 웹사이트 | 파테로스 공식 웹사이트 | 
| 언어 | |
| 모국어 | 타갈로그어 | 
| 종교 | |
| 주요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 가톨릭 교구 | 파시그 로마 가톨릭 교구 | 
| 수호 성인 | 성녀 마르타 | 
2. 어원
파테로스(Pateros)라는 이름은 오리 사육 산업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타갈로그어(Tagalog languagetl)로 "오리(duck)"를 뜻하는 단어는 스페인어(Spanish languagees)에서 온 ''pato''이며, ''pateros''는 "오리 사육자들"을 의미한다. 19세기 초 미국의 외교관 에드먼드 로버츠는 파테로스의 다른 이름인 "덕타운(Duck-town)"을 사용하여 한 곳에 이렇게 많은 오리를 본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3] 오리와 관련된 이 이름은 파테로스에 매우 적합한데, 파테로스의 인기 있는 요리 특산품으로는 발루트라는 길거리 음식이 있기 때문이다. 발루트는 수정된 오리 배아를 삶아 껍질째 먹는 음식이다. 여러 발루탄(balutans)들은 다양하고 독특한 요리를 제공하며, 길가에서 발루트를 파는 노점상들도 많다. 
1799년 이전 파테로스는 파시그의 작은 지역(바리오, barrio)이었다. 이 지역은 "아구호(Aguho)" 또는 "엠바르카데로(embarcadero)"(작은 항구라는 뜻)라고 불렸다. 파테로스는 항구로서 파시그뿐만 아니라 인근 마을들의 무역과 상업 중심지였으며, 파시그에서 가장 발전된 지역이었다. 스페인 필리핀 총독은 파테로스를 독립된 지방 자치체로 만드는 법령을 발표했다. 당시 이 마을은 아구호, 산 로케, 산타 아나, 산토 로사리오(산토 로사리오-실랑간과 산토 로사리오-칸루란), 마망캇(현재 포트 보니파시오의 일부)의 다섯 개 바리오(마을)로 구성되었다.[4]
3. 역사
1899년 3월 필리핀-미국 전쟁 당시, 워싱턴 출신 미국 자원병 최초 부대가 파테로스 마을에 도착했다. 미군은 결집하여 전투에서 승리하고 통제권을 장악, 임시 진지를 구축했다.[1] 미군들은 이 기간 동안 파테로스 주민들의 문화와 생활을 경험할 수 있었다. 전시 중에는 오리고기를 먹고, 파테로스의 엽서를 미국으로 보냈다.[5] 1900년, 미군 소속 장교인 찰스 노슬러(Charles Nosler) 중위는 필리핀의 파테로스를 본떠 미국 워싱턴주의 이브스 랜딩(Ive's Landing)이라는 도시의 이름을 파테로스로 바꾸었다. 워싱턴주 파테로스는 1913년 5월 1일 공식적으로 미국의 도시가 되었다.[5]
3. 1. 스페인 식민 시대

1799년 이전 파테로스는 파시그의 작은 지역(바리오, barrio)이었다. 이 지역은 "아구호(Aguho)" 또는 "엠바르카데로(embarcadero)"(작은 항구라는 뜻)라고 불렸다. 파테로스는 항구로서 파시그뿐만 아니라 인근 마을들의 무역과 상업 중심지였으며, 파시그에서 가장 발전된 지역이었다. 스페인 필리핀 총독은 파테로스를 독립된 지방 자치체로 만드는 법령을 발표했다. 당시 이 마을은 아구호, 산 로케, 산타 아나, 산토 로사리오(산토 로사리오-실랑간과 산토 로사리오-칸루란), 마망캇(현재 포트 보니파시오의 일부)의 다섯 개 바리오(마을)로 구성되었다.[4]
3. 1. 1. 필리핀 혁명

1899년 3월 필리핀-미국 전쟁 당시, 워싱턴 출신 미국 자원병 최초 부대가 파테로스 마을에 도착했다. 미군은 결집하여 전투에서 승리하고 통제권을 장악, 임시 진지를 구축했다.[1]
3. 2. 미국 식민 시대
미군들은 이 기간 동안 파테로스 주민들의 문화와 생활을 경험할 수 있었다. 전시 중에는 오리고기를 먹고, 파테로스의 엽서를 미국으로 보냈다.[5] 1900년, 미군 소속 장교인 찰스 노슬러(Charles Nosler) 중위는 필리핀의 파테로스를 본떠 미국 워싱턴주의 이브스 랜딩(Ive's Landing)이라는 도시의 이름을 파테로스로 바꾸었다. 워싱턴주 파테로스는 1913년 5월 1일 공식적으로 미국의 도시가 되었다.[5]
3. 3. 필리핀 독립 이후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4. 지리
파테로스는 마닐라 수도권(메트로 마닐라)에서 유일한 자치시(Municipality)이다. 인구와 면적은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작지만, 인구 밀도는 1km²당 약 37,000명으로 마닐라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28] 북쪽으로는 파시그, 서쪽으로는 마카티, 남쪽으로는 타기그와 인접해 있다.
파테로스 시 정부는 원래 면적이 현재의 2.1km2보다 넓었다고 주장하며, 타구이그, 마카티, 파시그의 일부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여러 차례 법적 분쟁에서 기각되었다.
4. 1. 기후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평균 최고 기온 (℃) | 29°C | 30°C | 32°C | 34°C | 33°C | 31°C | 30°C | 29°C | 29°C | 30°C | 30°C | 29°C | 
| 평균 최저 기온 (℃) | 20°C | 20°C | 21°C | 23°C | 24°C | 25°C | 24°C | 25°C | 24°C | 23°C | 22°C | 21°C | 
| 평균 강수량 (mm) | 7mm | 7mm | 9mm | 21mm | 101mm | 152mm | 188mm | 170mm | 159mm | 115mm | 47mm | 29mm | 
| 평균 강우 일수 | 3.3 | 3.5 | 11.1 | 8.1 | 18.9 | 23.5 | 26.4 | 25.5 | 24.5 | 19.6 | 10.4 | 6.4 | 
4. 2. 바랑가이
파테로스는 행정 구역상 10개의 바랑가이로 나뉜다.[14]
4. 3. 경계 분쟁

파테로스 시정부는 자체 원래 면적이 현재 면적 2.1km2이 아니라, 포트 보니파시오를 포함한 1040ha였다고 주장한다. 특히, 현재 타구이그(원래 마만캇, 마실랑,[16] 산 니콜라스,[17] 말라파드나바토[18] 등 파테로스의 이전 지역)에 속한 콤보, 펨보, 동 렘보, 서 렘보, 셈보, 남셈보, 피토고, 리살, 포스트 프로퍼 노스사이드, 포스트 프로퍼 사우스사이드 등 엠보 바랑가이를 포함한다. 이는 전 파테로스 의원 도미나도르 로살레스가 미국 미국 의회도서관과 미국 국립 기록원을 포함한 30개의 도서관과 사무실에서 얻은 문서와 공식 지도에 근거한다. 그 지도 중 하나는 토지청의 1968년 토지 분류 지도였다.[19] 또한 그들의 주장에는 현재 파시그의 부팅, 산 호아킨, 칼라와안 바랑가이도 포함된다.
파테로스의 영토 감소는 1978년 메트로 마닐라에서 실시된 지적 조사에 따른 것이다. 파테로스의 네스토르 폰스 시장은 1978년 6월 23일자 이의 제기 편지를 통해 해당 지도에 이의를 제기했다.[20] 그러나 1986년 1월, 당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포트 보니파시오가 마카티에 위치해 있으며 처분이 가능하다고 명시한 2475호 포고령을 발표했다.[21] 이 때문에 경계 분쟁이 발생하여 파테로스는 1990년 당시 마카티 시의회와의 대화를 요청했다. 파테로스는 또한 1996년 마카티 지방 법원에 마카티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법원은 관할권 부족으로 사건을 기각했다. 이 사건은 2003년 항소법원으로 넘겨졌지만 기각되었다. 같은 사건은 2009년 대법원으로 상고되었지만 다시 기각되었다.[19][22]
5. 인구
1818년 당시 인구는 약 3,840명으로 추산되었으며, 주민은 타갈로그족이었다. 1834년 에드먼드 로버츠가 방문했을 때, 그는 약 4,5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했다.[3]
파테로스는 마닐라 수도권에서 유일한 자치시(Municipality)이며, 인구와 면적 모두 가장 작지만, 인구 밀도는 1평방킬로미터당 약 37,000명으로 마닐라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다.
| 연도 | 인구 | 
|---|---|
| 1903 | 4,105 | 
| 1918 | 4,113 | 
| 1939 | 7,160 | 
| 1948 | 8,380 | 
| 1960 | 13,173 | 
| 1970 | 25,468 | 
| 1975 | 32,821 | 
| 1980 | 40,288 | 
| 1990 | 51,409 | 
| 1995 | 55,286 | 
| 2000 | 57,407 | 
| 2007 | 61,940 | 
| 2010 | 64,147 | 
| 2015 | 63,840 | 
| 2025 | 70,456 | 

6. 경제
파테로스라는 이름은 patotl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은 타갈로그어로 "오리"를 뜻하며, ''pateros''는 "오리 사육자들"을 의미한다. 19세기 초 미국의 외교관 에드먼드 로버츠는 파테로스를 "덕타운(Duck-town)"이라고 칭하며, 이렇게 많은 오리를 본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3] 파테로스의 대표적인 특산품은 발룻(Balut (food))이라는 길거리 음식인데, 수정된 오리 배아를 삶아 껍질째 먹는 음식이다. 발루탄(balutans)에서는 다양하고 독특한 요리를 제공하며, 길가에서 발루트를 파는 노점상들도 많다.
파테로스는 발룻으로 유명하며 오리 사육 산업이 발달했었다.[26] 1834년 초부터 파테로스는 오리를 사육하고 판매하며 어업 산업을 유지해 왔다.[3] 그러나 파시그 강과 연결된 파테로스 강의 수질 오염으로 인해 1970년대 또는 1980년대에 오리 사육 산업이 쇠퇴했다.[26]
오늘날 파테로스에서는 여전히 상인들이 발룻을 판매하며, 인근 칼라바르존 지역의 다른 지방에서 공급받은 오리알과 함께 마을과의 연관성을 활용하고 있다. 마을의 오리 사육 산업은 현재 미미하지만, 지방 정부는 발룻 산업의 성장을 장려하고 있으며, 마을의 발룻 판매업체에 세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2017년 현재 지방 정부는 마을의 크기(1.76km2)가 걸림돌이 되고 있지만,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과 같은 다른 산업의 성장을 장려하고 있다.[26]
2005년 분류 보고서에 따르면, 파테로스 토지 면적의 3.13%가 상업 지역, 0.39%가 공업 지역, 0.88%가 농업 지역으로 분류된다.[26] 파테로스는 오리 사육, 특히 필리핀의 별미인 발롯 생산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붉은색의 짭짤한 달걀과 현지 떡과자인 "이누탁(inutak)" 생산으로도 유명하며, "알폰브라(alfombra)"라고 불리는, 카펫과 같은 천으로 만든 신발 생산으로도 알려져 있다.
7. 교육

파테로스에는 교육부 타구이그시 및 파테로스 교육구(Department of Education – Schools Division of Taguig City and Pateros) 산하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그리고 필리핀 고등교육위원회에서 인정하는 커뮤니티 칼리지가 있다.
7. 1. 중등 공립 학교
- 심플리시오 마날로 국립 고등학교
- 마리아 콘셉시온 크루즈 고등학교
- 파테로스 국립 고등학교
7. 2. 고등 교육 기관
파테로스 기술대학교7. 3. 사립 학교
| 학교 이름 | 
|---|
| APEC 학교 - 파테로스 (산토 로사리오-실랑간) | 
| 파테로스 가톨릭 학교 | 
| 성 제네비에브 파테로스 학교 | 
| 마라나타 기독학교 | 
| SEP 기독학교 주식회사 | 
| 허클베리 몬테소리 학교 | 
8. 저명한 인물
- 펠라지아 멘도사 이 고티안퀸 (1867–1939) - 필리핀 최초의 여성 조각가이자 에스쿠엘라 데 디부호 이 핀투라(미술학교) 최초의 여학생이다.
- 소크라테스 비예가스 (1960년생) - 발라가 교구장(2004–2009), 링가옌-다구판 대교구장(2009년–현재), 전 필리핀 가톨릭 주교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 피트 라카바 (1945년생) - 시인, 작가, 언론인이다.
- 에마누엘 라카바 (1948–1976) - 시인, 작가, 운동가였다.
- 세사르 콘시오 (1907–2003) - 건축가, 필리핀 대학교 최초의 대학 건축가로서 필리핀 대학교 딜리만 캠퍼스의 많은 건물을 설계했다.
- 지미 산토스 (1951년생) - 필리핀 배우, 농구 선수, TV 진행자이다.
- 버팅 라브라 (1933–2009) - 배우, FPJ의 조연이었다.
- 데이지 레이스 - 미인 대회 우승자, 배우이다.
9. 자매 도시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 파테로스는 미국의 워싱턴주 패터러스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2013년 7월 23일, 자이메 C. 메디나 시장은 워싱턴주 패터러스를 방문하여 자매 도시 상호 이해 각서에 서명했다. 게일 호위 시장에 따르면, 두 도시는 문화 증진 및 교류를 목표로 이 관계를 맺었다.[27][12]
9. 1. 국내 자매 도시
- 따구이그
- 파시그
9. 2. 국제 자매 도시
2013년 7월 23일, 자이메 C. 메디나(Jaime C. Medina) 시장은 미국 워싱턴주 패터러스를 방문하여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 파테로스 시와 미국 워싱턴주 오카노건 군 파테로스 시 간의 자매 도시 상호 이해 각서(Sister City Memorandum of Understanding)에 서명했다. 게일 호위(Gail Howe) 시장에 따르면, 두 도시는 자매 도시 국제기구(Sister Cities International)를 통해 신청하지 않았지만, 문화 증진 및 교류라는 목표가 자매 도시 관계를 현실로 만들었다고 한다.[27][12]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웹사이트
 
2015 Census of Population - Final Results PATERO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National Capital Region
 
http://rssoncr.psa.g[...] 
2020-08-14
 
[3]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http://www.wdl.org/e[...] 
Harper & Brothers
 
[4] 
웹사이트
 
Santa Marta San Roque - Municipality of Pateros
 
https://www.dssm-srp[...] 
2024-03-19
 
[5] 
연설
 
Mayor's Speech
 
2013-07-23
 
[6] 
법률
 
An Act Extending the Provisions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Act to the Province of Rizal
 
https://lawyerly.ph/[...] 
Lawyerly
 
1901-06-11
 
[7] 
법률
 
An Act Reducing the Thirty-Two Municipalities of the Province of Rizal to Fifteen
 
https://lawyerly.ph/[...] 
Lawyerly
 
1903-10-12
 
[8] 
법률
 
An Act Amending Act Numbered Nine Hundred and Thirty-nine, Entitled "An Act Reducing the Thirty Municipalities of the Province of La Laguna to Nineteen," and Act Numbered Nine Hundred and Forty-two, Entitled "An Act Reducing the Thirty-two Municipalities of the Province of Rizal to Fifteen," and Providing That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Provinces of La Laguna and Rizal Be Changed So as to Include in La Laguna the Municipality of Muntinlupa Now Part of Rizal
 
https://issuances-li[...] 
Senate of the Philippines Legislative Digital Resources
 
1903-11-25
 
[9] 
법률
 
An Act providing for the return of the former municipality of Muntinlupa from the Province of La Laguna to the Province of Rizal, repealing paragraph (e) of section one and sections two and three of Act Numbered One thousand and eight, and changing the name of the municipality of Pateros, of the Province of Rizal, to Taguig
 
https://lawyerly.ph/[...] 
Lawyerly
 
1905-03-22
 
[10]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http://www.pateros.g[...] 
Municipal Government of Pateros
 
2012-12-05
 
[11] 
법률
 
Creating the Metropolitan Manila and the Metropolitan Manila Commission and for Other Purposes
 
http://www.chanroble[...] 
Chan Robles Virtual Law Library
 
1975-11-07
 
[12] 
뉴스
 
Pateros adopts 'sister city' in the Philippines
 
https://www.wenatche[...] 
2013-02-18
 
[13] 
웹사이트
 
Pateros: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5-13
 
[14] 
웹사이트
 
Street Directory of Pateros
 
https://philippines-[...] 
2019-02-03
 
[15]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https://pateros.gov.[...] 
[16] 
지도
 
Manila South, Philippine Islands, Manila City, Luzon
 
https://collections.[...] 
United States. Army Map Service
 
1945
 
[17] 
지도
 
Map of Manila and Vicinity
 
https://www.geograph[...] 
Office Engineer Officer, Philippine Division
 
1905-01
 
[18] 
웹사이트
 
Malapadnabato, Province of Rizal, Calabarzon, Philippines
 
https://www.mindat.o[...] 
2022-05-18
 
[19] 
간행물
 
Sanhi ng pagliit ng Pateros. Susi ng Pateros
 
2009-11
 
[20] 
뉴스
 
Documents back up Pateros' claim over 7 Makati villages
 
http://www.mb.com.ph[...] 
2009-10-08
 
[21] 
간행물
 
Isang katotohanang hindi matitinag. Susi ng Pateros
 
2000-01
 
[22] 
판례
 
Supreme Court Decision for Pateros' petition to claim Fort Bonifacio
 
http://sc.judiciary.[...] 
[23] 
뉴스
 
SC wants Ft. Bonifacio land dispute settled amicably
 
http://webarchive.lo[...] 
2009-06-22
 
[24] 
간행물
 
Update: Fort Bonifacio claim. Susi ng Pateros
 
2010-04
 
[25] 
뉴스
 
Supreme Court gives Pateros say in land row
 
https://businessmirr[...] 
2023-05-12
 
[26] 
뉴스
 
There are no more patos in Pateros
 
http://bworldonline.[...] 
2017-02-16
 
[27] 
뉴스
 
Pateros adopts 'sister city' in the Philippines
 
http://cloud.media.w[...] 
2013-02-19
 
[28] 
웹인용
 
Pateros: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