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룻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룻은 부화 직전의 오리알을 삶아 먹는 동남아시아의 음식이다. 필리핀에서 유래되어 베트남, 캄보디아 등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도 즐겨 먹으며, 닭알을 이용한 유사 음식도 존재한다. 발룻은 부화 기간에 따라 맛과 식감이 다르며, 14~21일 정도 부화한 알을 주로 먹는다. 삶은 후 소금, 칠리소스, 마늘, 식초 등을 곁들여 먹으며, 껍질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섭취한다. 발룻은 영양가가 높지만 위생 및 윤리적인 문제도 있으며, 필리핀의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으로 문화적 의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 요리 - 스카치 에그
    스카치 에그는 삶은 달걀을 소시지 소로 감싸 튀겨 만든 영국의 간식으로, 차갑게 먹는 것이 일반적이며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즐기고 최근에는 채식주의자를 위한 변형과 한국적인 레시피도 개발되고 있다.
  • 알 요리 - 코들
    코들은 중세 영어에서 유래된 향신료와 술을 섞은 따뜻한 음료로, 산후 회복 식품이나 출산 축하 행사 음료로 사용되었으며 특별한 코들 컵에 담겨 선물로 주어지기도 했다.
  • 필리핀 요리 - 엠파나다
    엠파나다는 "빵을 입히다"라는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구운 또는 튀긴 패스트리로,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와 맛으로 발전하여 지역 고유의 재료와 조리법을 반영하고 있다.
  • 필리핀 요리 - 시니강
    시니강은 필리핀의 전통적인 신맛 수프로, 다양한 재료와 신맛을 내는 재료를 사용하여 조리하며, 필리핀 요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베트남 요리 - 땅콩 소스
    땅콩 소스는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요리에서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사용되며 딥, 소스, 드레싱 등으로 활용되는 소스이다.
  • 베트남 요리 - 해선장
    해선장은 된장을 주재료로 녹말류와 다양한 재료를 섞어 발효시킨 중국식 소스로, 해산물은 포함되지 않지만 베이징덕이나 스프링롤 등의 소스로 널리 쓰이며, 베트남 요리에서도 쌀국수와 함께 즐겨 먹는다.
발룻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발룻 알, 그 중 하나는 부분적으로 껍질이 벗겨져 노른자, 태아 및 그 안을 흐르는 정맥을 보여줌
발룻 알, 그 중 하나는 부분적으로 껍데기가 벗겨져 노른자, 태아 및 그 안을 흐르는 정맥을 보여줌
종류
기원필리핀
영양 정보
1회 제공량100g
기타

2. 역사

발룻은 수정된 조류 알(보통 오리)을 부화시켜 만든 음식으로, 껍질째 먹는다. 부화 기간이 길수록 오리의 형체가 나타나며, 부분적으로 발달된 뼈는 부드럽다. 주로 청둥오리를 사용한다.[2][3] 발룻은 익힘 정도에 따라 다양한 맛을 내는데, 풍미, 고기 맛, 풍부한 특성이 어우러진다.[3]

발룻은 필리핀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길거리 음식으로, 저렴하게 단백질과 칼슘을 섭취할 수 있다.[4] 1565년[5] 또는 1885년경에 중국인이 필리핀에 전파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필리핀인들의 이주와 함께 세계 각지로 퍼져나갔다.[6] 하지만 수정된 배아를 먹는다는 점에서 윤리적인 논란이 있다.[7]

2. 1. 필리핀

필리핀에서는 주로 발룻을 소금, 칠리소스, 마늘이나 식초를 곁들여 먹는다.[40] 발룻은 부화 직전의 오리 알을 삶아 껍질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먹는 음식이다.

발룻은 수정된 오리 알을 현지 문화에 따라 14일에서 21일 동안 부화시킨 후 찐 음식으로, 껍질째로 바로 먹는다. 부화 기간이 길수록 배아가 발달하여 오리의 특징을 알아볼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발달된 뼈는 부드러워 씹어 먹을 수 있다. 청둥오리는 발룻을 만드는 데 자주 사용된다.[2][3]

발룻은 필리핀 등지에서 흔한 길거리 음식이며, 상점과 쇼핑몰에서도 판매된다. 비교적 저렴한 단백질과 칼슘 공급원이다.[4] 1565년[5] 또는 1885년경 중국인에 의해 필리핀에 소개된 이후 문화의 전통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6] 필리핀인들이 일자리를 찾아 이주하는 곳마다 발룻 시장이 형성되었다.

파테로스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의 1급 자치구로, 오리 사육 산업과 발룻 생산으로 유명하다. 발룻은 필리핀의 국민 음식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길거리 음식으로 흔히 판매될 뿐만 아니라 레스토랑에서는 애피타이저로 제공되기도 한다.

동남아시아, 특히 필리핀베트남에서는 자양강장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포장마차나 서민적인 식당에서 판매되며, 필리핀에서는 자전거 등을 타고 다니며 파는 모습도 볼 수 있고 술집에서 술안주로 나오기도 한다.

부화 전의 알을 삶기 때문에 껍질 안에는 병아리의 깃털이나 부리가 형성되어 있기도 하다.

2. 2. 기타 국가

발룻과 유사한 음식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즐겨 먹는다. 베트남에서는 메추라기 알을 사용한 '홋 깟 론(Hột cút lộn|홋 깟 론vi)'을 먹는다. 중국 광저우시에서는 의 알을 이용한 '계자단(광둥어: gai1zai2daan2, 가이자이단)'이 있다.[6]

3. 종류 및 조리법

발룻은 수정란을 햇볕이나 모래에 묻어 따뜻하게 보관하여 부화시키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때 배아의 정상적인 발달을 위해 적절한 온도를 유지해야 하며, 고온에 민감하여 쉽게 죽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8]

발룻은 부화 기간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대표적으로 부화 초기 단계의 흰색 발룻인 '발룻 사 푸티'(balut sa puti)는 배아가 덜 발달되어 부리, 깃털, 발톱, 뼈 등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며,[9] 부화 14~16일 정도 된 '마마통'(mamatong)은 배아가 액체 위에 떠 있다.[6]

조리 과정에서 발룻은 음식 화학적 변화를 겪는다. 배아액 내 물 분자의 졸 분산 현상이 발생하며, 이 액체는 오리 부위의 고형물을 위한 국물 역할을 한다.[11] 발룻은 주로 단백질로 구성되지만 지방도 존재하며, 조리 후에는 단백질 겔 상태가 된다.[11] 온도, 소금 첨가 등은 발룻의 맛과 질감에 영향을 미치며, 가공 후에는 아미노산, 수용성 비타민, 미네랄의 양이 약간 감소한다.[13]

중국에서는 의 알을 이용한 '계자단(가이자이단)'이 있으며, 베트남에서는 메추라기 알을 사용한 홋 깟 론(Hột cút lộn)도 먹는다. 발룻은 부화 직전 병아리의 부리 때문에 새우 껍질과 같은 바삭한 식감을 가지며, 일반적인 삶은 달걀에 비해 농후한 풍미가 특징이다.

3. 1. 필리핀

필리핀에서는 부화한 지 14~18일 정도 된 발룻을 선호하며, 17일 된 것을 최상으로 친다.[6] 부화 초기 단계의 알은 '발룻 사 푸티'라고 불리는데, 흰색을 띠며 배아가 덜 발달되어 부리, 깃털, 발톱, 뼈 등이 아직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9] 부화 14~16일 정도 된 알은 '마마통'이라고 불리며, 이때 배아는 액체 위에 떠 있다.[6]

식초와 향신료로 요리한 15일 된 발룻


마닐라 남동부에 위치한 파테로스에서는 병아리의 형태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유정란을 '아브노이', 형태가 만들어진 것을 '발룻', 껍질을 깨고 나오기 직전의 것을 '우코보'라고 부른다. 아브노이는 깨면 냄새가 나며, 발룻은 주로 삶아서 먹는다. 반면 우코보는 꼬치구이나 철판구이로 조리하기도 한다.

3. 2. 베트남

베트남에서는 ''쯩빗론''(trứng vịt lộn)이라고 불리는 발룻을 선호하며, 부화 기간은 19~21일 정도이다. 이 시기의 배아는 아기 오리로 인식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발달하며, 요리했을 때 뼈는 단단하지만 부드러운 상태가 된다.[10] 일부 남성들은 더 많이 발달된 배아를 먹는 것을 선호하기도 하는데, 이는 남성다움을 증명하는 방법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10]

베트남에서는 메추라기 알을 사용한 홋 깟 론(Hột cút lộn)도 먹는다.

3. 3. 캄보디아

캄보디아에서는 '퐁티콘'(ពងទាកូន|퐁티콘km)이라고 불리는 발룻을 18~20일 정도 부화시켜 먹는다.[10] 베트남의 '쯩빗론'(trứng vịt lộn|쯩 빗 론vi)은 19~21일 동안 부화시켜, 요리했을 때 단단하지만 부드러운 를 가진, 아기 오리로 인식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오래된 배아를 먹는다는 점에서 캄보디아의 발룻과 유사하다.[10]

부분적으로 깨진 껍질 속의 발룻

3. 4. 기타



전통적으로 수정된 알은 햇볕에 보관되거나 모래에 묻혀 바구니에 보관하여 따뜻함을 유지한다. 배아가 정상적으로 발달하려면 적절한 시간 동안 열에 노출되어야 하며, 온도가 너무 뜨거워 알에 해를 끼치거나 너무 차가워 성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8] 배아는 고온에 매우 민감하며 햇볕에 조리하면 쉽게 죽는다.[8] 발룻은 성숙 초기 단계에서 흰색일 때 "balut sa puti"(흰색으로 덮인)라고 알려져 있으며, 내부의 배아는 부리, 깃털 또는 발톱을 보이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고 뼈는 발달하지 않았다. 이는 5일 미만의 매우 특정한 유형의 알로 만들어지며 눈에 보이는 표면 균열이 없다.[9]

알의 부화 기간은 지역 선호도에 따라 다르다. 필리핀에서는 발룻을 일반적으로 섭취하기 전에 14~18일 동안 부화시킨다. 부화 약 14~16일째에 배아가 알 흰자와 노른자 위에 떠 있고, 발룻은 "mamatong"이라고 불린다.[6] 대부분의 발룻 제작자에게 이상적인 부화는 17일로 알려져 있다.

발룻에는 다른 버전도 있다. 캄보디아 버전인 '퐁 티 콘'(pong tea khon)은 알을 18~20일 동안 부화시킨다. 베트남 버전인 '쯩 빗 론'(trứng vịt lộn)은 알을 19~21일 동안 부화시키는데, 이때 배아가 아기 오리로 인식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오래되었고 요리하면 단단하지만 부드러운 를 갖게 된다. 어떤 남성들은 훨씬 더 발달된 배아를 먹는 것을 선호한다. "... 역겹게 보이기 때문에 남성임을 증명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10]

조리 과정에서 발룻의 음식 화학에 변화가 발생하며, 이는 배아액 내 물 분자의 졸 분산과 같은 현상을 포함한다.[11] 이 액체는 계란 내 오리 부위의 고형물을 위한 국물이 된다. 발룻은 주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지만, 지방도 존재하며 수정된 배아 내에서 유화된다. 조리 후, 이는 단백질 겔로 간주될 수 있다(조리 시간에 따라 다름). 발룻과 같이 단백질 함량이 높은 음식을 가열하면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단백질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변성되어 표면이 두꺼워지고 비가역적인 겔 단백질이 형성될 수 있다.[11]

온도는 조리된 발룻의 최종 맛과 질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29°C에서 30°C의 따뜻한 온도는 난황을 더욱 거칠게 만들어 맛과 질감을 변화시킨다. 이는 가열 및 배양 과정에서 단백질의 변화와 부분적인 변성에 기인할 수 있다. 계란을 삶거나 요리할 때, 난백은 단백질이 비가역 반응으로 변성되어 투명에서 불투명한 흰색으로 변하면서 굳어지는 경향이 있다.[12] 최종 발룻 제품의 물리적 및 화학적 변화는 미생물 감염과 다양한 단계에서 미생물이 발룻을 감염시키는 속도에도 기인할 수 있다.

오리알이 가공되는 동안 내부에서 많은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며, 이는 조리 방법이나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삶는 동안 소금을 첨가하면 여러 가지 화학적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는 껍질 내 난백의 비례적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배아와 난백 자체의 무게 차이 때문일 수 있다.[13] 소금을 첨가하면 난황의 경도가 증가하고 최종 발룻 제품의 전반적인 질감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8] 오리알이 가공됨에 따라 관찰되는 다른 화학적 변화는, 가공이 완료된 후 이용 가능한 아미노산, 수용성 비타민 및 미네랄의 양이 약간 감소하는 것이다.[13]

필리핀의 생산지, 마닐라 남동부에 위치한 파테로스에서는 병아리의 형태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유정란을 '아브노이'라고 부르고, 형태가 만들어진 것을 '발롯', 껍질을 깨고 나오기 직전의 것을 '우코보'라고 부른다. 아브노이는 깨면 냄새가 난다. 발룻은 삶아서 먹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우코보는 삶아서 먹기보다는 내용물을 꺼내 꼬치구이나 철판구이로 해 먹는 경우가 많다.

중국에서는 오리가 아닌 의 알을 이와 유사하게 이용하는 예도 있으며, 광저우시에서는 '계자단'(광둥어: gai1zai2daan2, 가이자이단)이라고 불린다.

베트남에서는 이와 유사하게 메추라기의 알을 사용한 홋 깟 론(베트남어: Hột cút lộn, 핵굴부)도 먹는다.

4. 먹는 방법

발룻은 껍질째 삶아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껍데기를 일부 깨뜨려 국물을 먼저 마신 후, 소금, 식초, 칠리소스, 마늘, 라임즙, 후추 등 다양한 양념을 곁들여 먹는다.[40][20][21] 필리핀에서는 주로 소금이나 고추, 마늘, 식초(흰색 또는 코코넛 수액) 혼합물을 곁들인다.

수정된 알의 상태에 따라 흰색 알부민은 먹지 않을 수도 있지만, 알의 모든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다. 이 흰색 알부민은 맛이 좋지 않은 연골 같은 맛이 나고 질기며 고무 같은 식감을 가지고 있다.

필리핀에서는 발룻이 최근 레스토랑의 애피타이저로 제공되면서 ''최고급 요리''에 진입했다. 아도보 스타일로 조리되거나, 오믈렛에 튀겨지거나, 심지어 구운 페이스트리의 속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베트남에서는 라임/금귤 또는 생강과 라우 람(락사 잎이라고도 함)을 곁들인 소금 후추와 함께 먹는다.[17]



삶아 먹는 경우에는 18일 된 알이 가장 맛있다고 여겨지며 충분히 삶아진 것을 먹는다. 껍질째 제공되는 경우에는 먼저 달걀의 둥근 쪽(기실이 있는 쪽)을 숟가락 등으로 두드려 구멍을 낸다. 구멍에서 국물을 마신 후 (국물은 사람에 따라 버리는 경우도 있다), 소금과 허브류나 감귤류 과즙(또는 식초)을 넣고 작은 숟가락으로 저어 먹거나, 그릇 등에 내용물을 꺼내 먹는다. 태반이나 깃털 등은 식감이 좋지 않다고 하여 먹지 않는 사람도 있다.

5. 영양

발룻은 필리핀 등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길거리 음식이며, 비교적 저렴한 단백질과 칼슘 공급원이다.[4] 닭과 오리의 발룻 영양 성분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두 알 모두 대략 14g의 조단백질, 188칼로리, 약 100mg의 칼슘을 함유하고 있다.[14] 오리알이 닭알보다 더 높은 영양가를 가질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닭과 오리 발룻은 대략 같은 영양 성분을 가진다.[15]

베트남에서는 민간 요법으로, 임산부나 출산 여성에게 영양가 있고 회복력을 주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16]

6. 위생 및 안전

발룻은 부화 과정에서 여러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므로, 위생적인 환경에서 생산 및 조리된 것을 섭취해야 한다. 특히, 살모넬라균, 대장균식중독을 유발하는 세균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35] 정상적으로 성장하여 부화하기 전에 삶아 당일에 먹는 경우에는 위생상 문제가 없지만, 껍질에 구멍이 났거나 부화 도중 중단된 것, 삶은 지 며칠이 지난 것은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다.[35]

따라서 신선하고 믿을 수 있는 판매처에서 발룻을 구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식품 규정에 따르면, 조리된 발룻은 이상에서 처리하거나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23] 캐나다에서는 발룻이 일반적인 닭의 알에 적용되는 규정을 따르지 않아 "위험한 식품"으로 분류되기도 하므로, 안전하고 잘 알려진 생산자에게서만 구입할 것을 권고한다.[35]

7. 윤리적 문제

발룻은 수정된 오리 알을 부화 직전까지 키워 삶아 먹는 음식으로, 이 과정에서 윤리적 문제가 제기된다.[6] 알 속의 배아가 이미 상당 부분 성장하여 고통을 느낄 수 있음에도 불구, 부화할 기회를 얻지 못하고 삶아진다는 점이 주된 논란거리다.[7][29]

일부 종교에서는 발룻 섭취를 금지한다. 유대교이슬람교는 종교적 율법에 따라 도축되지 않은 동물의 고기나 그 생산물의 섭취를 금지하는데,[24][22][26] 발룻은 부분적으로 발달한 배아를 포함하고 있어 이슬람교에서는 "하람"(금지된 것)으로 간주된다.[25][26][27][28]

동물 복지 측면에서도 문제가 제기된다. 연구 동물의 안락사 및 취급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신경관이 발달하여 통증을 느낄 수 있는 배아는 인도적인 방법으로 안락사시켜야 한다.[29] 영국에서는 배아 조류가 배양 기간의 마지막 3분의 1에 도달하면 "보호 동물"로 지정되지만,[30] 삶는 것은 허용된 안락사 방법이 아니다. RSPCA 오스트레일리아는 배양 18일 이후의 오리 배아를 삶는 것에 대해 고통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로 반대하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한다.[31]

이러한 윤리적 문제로 인해 발룻 금지를 요구하는 단체도 있다.[32] 뉴욕에서는 발룻을 메뉴에서 삭제하라는 청원이 제기되기도 했으나,[33] 필리핀계 주민들은 이에 반대하는 청원을 냈다.[28]

8. 문화적 의의

발룻은 필리핀의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으로, 필리핀 문화를 상징하는 음식 중 하나이다.[3] 비교적 저렴한 단백질과 칼슘 공급원이며,[4] 1565년[5] 또는 1885년경에 중국인이 필리핀에 소개한 이후 문화의 전통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6] 필리핀인들이 일자리를 찾아 이주하는 곳마다 발룻 시장이 형성되었고, 동남아시아 국가 및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란도 발생했다.[6]

발룻은 다양한 식감과 맛의 조화로 사랑받으며, 최근에는 필리핀 레스토랑에서 애피타이저로 제공되면서 고급 요리의 반열에 올랐다. 아도보 스타일로 조리되거나, 오믈렛에 튀겨지거나, 구운 페이스트리의 속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동남아시아, 특히 필리핀베트남에서는 자양강장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포장마차나 서민적인 식당에서 주로 판매된다. 필리핀에서는 자전거 등을 타고 다니며 파는 모습도 볼 수 있으며, 술집에서 술안주로 나오기도 한다.

9. 기타

동남아시아 외 지역에서는 발룻이 여러 리얼리티 TV 프로그램에 등장하면서 대중에게 알려졌다. 예를 들어 ''앤드루 지머른의 기묘한 음식들'' 시즌 1, 2002년 ''공포의 도전'', 2013년 ''헬스키친'', ''어메이징 레이스 아시아 2'', ''어메이징 레이스 오스트레일리아 2'', ''어메이징 레이스 우크라이나'', ''생존자: 팔라우'', ''생존자: 차이나'', ''생존자: 카라모안'', ''생존자: 캄보디아'' 등에서 발룻 먹기 대결이 벌어졌다.[36][37]

기록 인증서


2015년 4월 10일, 전 파테로스 시장 하이메 C. 메디나는 마닐라 요리 예술 센터(CCA, Manila) 및 히스토리 채널과 협력하여 메트로 마닐라 파테로스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발룻 요리 기록을 세우려고 시도했다. 트리스탄 엔카르나시온이 이끄는 CCA 셰프들은 1,000개의 발룻으로 117.5kg의 아도보 요리를 만들었다. 이 요리는 B. 모르실라 거리에 바나나 잎으로 덮인 테이블 위에 펼쳐졌고, 마을 사람들은 부들 파이트 방식으로 함께 즐겼다.[38][39]

참조

[1] 웹사이트 balut https://www.merriam-[...] 2018-04-30
[2] 간행물 Fertility and hatchability of eggs on mallard ducks (Anas platyrhynchos L.) of different plumage pattern under different feeding regimes
[3] 간행물 The authentic balut: history, culture, and economy of a Philippine food icon 2019-11-25
[4] 서적 Eggs in Cookery: Proceedings of the Oxford Symposium of Food and Cookery 2006 Prospect Books
[5] 서적 History of the Filipino People Modern Book Co.
[6] 간행물 Balut: "Fertilized Duck Eggs and Their Role in Filipino Culture" 2002-03
[7] 웹사이트 Introducing Balut Eggs – The World's Weirdest Duck Dish https://allthatsinte[...] 2023-10-19
[8] 문서 Incubation: Heating Egg 2016-02-29
[9] 간행물 The Incredible, Edible ''Balut'': Ethnographic Perspectives on the Philippines' Favorite Liminal Food https://www.tandfonl[...]
[10] 간행물 Balut: The fertilized duck egg street snack https://modernfarmer[...] 2023-12-12
[11] 웹사이트 Course:FNH200/Lesson 02 - UBC Wiki http://wiki.ubc.ca/C[...] 2016-03-21
[12] 뉴스 Cooking and Chemical Changes BBC News 2016-02-29
[13] 간행물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duck egg as influenced by salting 2009
[14] 웹사이트 Discover the Incredible Health Benefits of Balut: A Nutrient-Packed Delicacy https://anculife.com[...]
[15] 서적 Poultry Production in the Tropics The University of Philippines Press 2010
[16] 웹사이트 Những điều cần lưu ý khi ăn trứng vịt lộn http://soyte.namdinh[...]
[17] 웹사이트 Grilled Balut of Vietnam: A Delicious and Nutritious Delicacy https://anculife.com[...] 2023-04-01
[18] 웹사이트 In Some Countries People Eat Balut(egg) fertilized duck embryo http://www.unbelieva[...] 2016-08-16
[19] 웹사이트 Best balut in Vancouver. (n.d.) http://www.yelp.ca/s[...] 2016-08-16
[20] 웹사이트 Balut: The Fertilized Duck Egg Street Snack - Modern Farmer http://modernfarmer.[...] 2016-08-16
[21] 뉴스 What Is a Balut Egg? http://healthyeating[...] 2013-08-28
[22] 웹사이트 Enhancing the value of eggs: How to make balut and century eggs http://www.fftc.agne[...] 2016-08-15
[23] 간행물 Balut http://www.myhealthu[...] 2016-08-15
[24] 뉴스 Kosher and Non-Kosher Eggs http://www.jewishpre[...] Jewish Press 2018-12-04
[25] 간행물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sensory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duck balut eggs https://www.research[...] 2019-02-01
[26] 웹사이트 Is eating egg haram / makruh - Multaqa Ahl al-Hadeeth http://www.ahlalhdee[...] 2016-08-16
[27] 웹사이트 Food Code - FDA Food Code 2009: Annex 3 - Public Health Reasons / Administrative Guidelines - Chapter 1, Purpose and Definitions https://www.fda.gov/[...]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2016-03-20
[28] 웹사이트 Eating Balut: Going Too Far? https://www.foxnews.[...] Fox News 2016-08-15
[29] 웹사이트 AVMA Guidelines for the Euthanasia of Animals: 2020 Edition https://www.avma.org[...]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024-07-15
[30] 웹사이트 Consolidated version of ASPA 1986 https://www.gov.uk/g[...] Home Office (UK) 2016-03-24
[31] 웹사이트 Is the practice of boiling pre-hatched duck embryos in their shell humane? http://kb.rspca.org.[...] 2016-10-10
[32] 문서 The Incredible, Edible Balut 2013
[33] 웹사이트 Animal rights activist: Stop serving 'balut' in New York http://kickerdaily.c[...] 2015-04-13
[34] 웹사이트 Balut: The Filipino delicacy that makes the world squirm http://edition.cnn.c[...] CNN 2016-03-24
[35] 웹사이트 Balut http://www.myhealthu[...] University of Guelph 2016-03-24
[36] 웹사이트 'Survivor: Caramoan': It''s Corinne vs. Phillip when the tribes merge http://blog.zap2it.c[...]
[37] 웹사이트 Balut gets spotlight in New York http://www.abs-cbnne[...] 2013-08-05
[38] 웹사이트 Philippines in world record attempt for largest serving of balut http://cnnphilippine[...] CNN Philippines 2018-04-26
[39] 웹사이트 Pateros eyes world record attempt for balut http://news.abs-cbn.[...] ABS-CBN News 2018-04-27
[40] 뉴스 What Is a Balut Egg? http://healthyeating[...] 2016-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