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카티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는 나마얀 왕국 시대부터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미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1975년 메트로 마닐라에 편입되었으며, 1995년 도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필리핀의 금융 및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하며, 다양한 쇼핑몰과 고급 주거 지역이 발달했다. 202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29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23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마카티는 기후 변화에 취약하며, 기후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관련 프로그램들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외교 공관이 위치해 있고, 여러 자매 도시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트로 마닐라 - 파사이
파사이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에 위치한 도시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 농업 지역에서 시작하여 도시로 성장했으며,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상원, 대규모 상업 시설 등이 위치해 있다. - 메트로 마닐라 - 케손시티
케손시티는 마닐라 과밀화 해결을 위해 계획적으로 건설되었으나 주택 가격과 교통 문제로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한때 필리핀 수도이자 주요 기관과 대학이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며, 현재는 290만 이상의 인구를 가진 도시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마카티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마카티 시 |
다른 이름 | 마카티 |
모토 | 마카티, 사랑하자, 우리의 것이다. |
별칭 | 필리핀의 금융 수도 |
로마자 표기 | Makati |
현지어 명칭 | 루그소드 응 마카티 (필리핀어) City of Makati (영어) |
위치 | 필리핀 마닐라 수도권 |
설립 | 1670년 6월 1일 |
개명 | 1914년 2월 28일 (마카티로) |
시 승격 | 1995년 2월 4일 |
최근 영토 변경 | 2023년 11월 9일 |
관할 구역 | 바랑가이 23개 (2023년 이후) |
면적 | 18.17 km² |
최고 고도 | 465m |
최저 고도 | 0m |
우편 번호 | 1200–1213, 1219–1235 |
지역 번호 | 2 |
웹사이트 | 마카티 공식 웹사이트 |
인구 통계 | 마카티 시민; 마카티 사람 |
정부 | |
시장 | 아비가일 비나이 (MKTZNU/NPC) |
부시장 | 모니크 라그다메오 (MKTZNU) |
하원 의원 | 로물로 "키드" 페냐 주니어 (제1구) (NPC) 루이스 호세 앙헬 캄포스 주니어 (제2구) (NPC) |
시의회 | 제1구 마틴 존 피오 아레나스 비르길리오 힐라리오 주니어 루이스 하비에르 주니어 카르미나 오르테가 아르만도 파딜라 레네 안드레이 사기사그 호세 빌레나 4세 안나 알시나 야부트 제2구 데니스 알마리오 마리아 돌로레스 아라욘 조엘 아리오네스 셜리 아스필라가 베네딕트 바니케드 에드랄린 마르케스 크리스티나 사로사 공석 (아놀드 크루즈가 2023년 타기그의 리살 바랑가이 캡틴으로 선출됨에 따라 사임) 바랑가이 연맹 회장 롤란도 알바레스 주니어 상구니앙 카바탄 회장 제롬 트리스탄 팡일리난 |
선거권자 | 504,525 명 (2022년) |
정치 체제 | 지방 정부 |
지리 | |
기후 | 열대 기후 |
면적 | 21.57 km² |
인구 | |
총인구 | 292,743 명 (2020년) |
가구수 | 89,638 |
인구 밀도 | 16111 명/km² |
경제 | |
소득 등급 | 제1급 도시 |
빈곤율 | 1.1% (2018년) |
인간 개발 지수 | 0.903 (매우 높음) |
총수입 | 19,331,188,000 ₱ (2021년) |
자산 | 256,553,422,000 ₱ (2021년) |
지출 | 17,046,104,000 ₱ (2021년) |
부채 | 5,654,040,000 ₱ (2021년) |
종교 | |
주요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축제일 | 12월 12일 |
가톨릭 교구 | 마닐라 대교구 |
수호성인 | 베드로와 바울로, 비르헨 데 라 로사 |
기타 | |
언어 | 필리핀어 |
시간대 | PST |
UTC 오프셋 | +8 |
전기 | 메랄코 |
2. 역사
=== 초기 역사 ===
마카티의 일부 지역은 한때 수도가 현재 마닐라의 산타 아나 지역에 있는 전이베리아 시대의 나마얀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 스페인 식민 시대 ===
마카티의 일부는 1578년 스페인 식민지 시대 동안 산타 아나 데 사파 마을의 비시타(visita)였다.[10] 1589년, 스페인군(Spanish Army) 참모총장 보좌관이었던 페드로 드 브리토(Pedro de Brito) 대위는 현재 포블라시온(Poblacion)을 포함하는 토지를 1,400페소에 매입하고 "아시엔다 페드로"(Hacienda Pedro)라는 엔콤미엔다(encomienda)를 설립했다.[10] 1608년, 그와 그의 아내 아나 데 에레라(Ana de Herrera)는 사도 성 베드로(Saint Peter the Apostle)를 기리는 교회 건립을 조건으로 토지의 절반을 예수회(Jesuit)에 기증하고 건축비로 14,000페소를 기부했다.[10] 1620년에 완공된 이 교회는 나중에 산 페드로 마카티 교회(San Pedro Macati Church)로 알려지게 되었다.[10]
17세기 프란체스코회(Franciscans) 수도사들의 관할 아래 있던 마카티는 1670년 6월 1일 산타 아나 데 사파(Santa Ana de Sapa)에서 '산 페드로 마카티(San Pedro Macati)'라는 이름으로 마을로 설립되었다.[11][12][13] 인근의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그라시아 교회(Nuestra Señora de Gracia Church)는 '과달루페 성모' 교회로 바뀌었고, 멕시코(Mexico)에서 온 성모 마리아(Virgin Mary)의 성상을 맞이했다. 마카티의 몬테스 데 오카(Montes De Oca) 가문[14] 출신의 이시도로 몬테스 데 오카(Isidoro Montes de Oca)는 멕시코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본당은 톤도(Tondo) 주(현재 마닐라(Manila))에서 문틴루파(Muntinlupa)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영적 관할권을 가지고 있었다.
1851년, 아얄라-소벨 가문(Zóbel de Ayala family)의 조상인 호세 보니파시오 록사스(Don José Bonifacio Roxas)는 예수회로부터 이 토지를 52,800페소에 매입하여 "산 페드로 데 마카티(Hacienda San Pedro de Macati)"라고 명명했다.[15] 그 이후로 마카티의 발전은 아얄라-소벨 가문(Zóbel de Ayala family)과 그들의 회사인 아얄라 코퍼레이션(Ayala Corporation)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왔다.[16] 1890년, 산 페드로 데 마카티(San Pedro de Macati)는 마닐라(Manila) 주의 공공 마을로 선포되었다.
=== 미국 식민 시대 ===
1901년, 산 페드로 마카티는 새로 설립된 리살 주에 편입되었다.[18][19] 1914년 2월 28일, 필리핀 입법부 법률 제2390호에 따라 마을 이름이 현재의 "마카티"로 단축되었다.[20][11][21]
1934년 기준으로, 리살 주 지방 목록에 따르면 마카티에는 포블라시온, 코만단테 카르모나, 쿨리쿨리(현재 피오 델 필라르), 과달루페, 맥킨리 요새, 말라파드나바토(현재 서 렘보), 마실랑(현재 남 셈보), 카실라완, 올림피아(올림피아), 팔라난, 피나가카이사얀(피나가카이사한), 룰랄, 삼팔루칸, 테헤로스 등 14개 바리오가 있었다.[22] 맥킨리 요새, 말라파드나바토, 마실랑은 이전에 파테로스의 일부였다.
=== 일본 점령기 ===
1942년 1월 1일, 마카티는 리살 주의 여러 시정촌 중 하나였으며, 마누엘 L. 케손 대통령에 의해 비상 조치로 마닐라와 케손 시와 함께 그레이터 마닐라를 형성하기 위해 합병되었다.[23]
=== 전후 시대 ===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마닐라가 파괴되고 이후 닐슨 필드(Nielson Field)가 폐쇄되면서 마카티는 급속도로 성장했고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다. 1950년대에는 당시 토지 소유주였던 아얄라 이 코파니아(Ayala y Compañía, Ayala Corporation)의 노력으로 계획된 주거 지역(현재 포브스 파크, 우르다네타, 산 로렌조, 벨에어 지역)들이 처음으로 조성되었다. 동시에, 포트 맥킨리(Fort McKinley)로 불리던, 이후 포트 보니파시오(Fort Bonifacio)로 개명된 곳과 당시 필리핀 육군(Philippine Army) 본부는 기지 지역에서 근무하는 군인 가족들에 의해 7개의 주거 지역이 더 건설되는 출발점이 되었다. 현재 마카티 중앙상업지구(Makati Central Business District, CBD)가 된 곳에는 새로운 사무실 건물들이 세워졌다. 1960년대 후반부터 마카티는 필리핀의 금융 및 상업 중심지로 변모했다.[25] 1972년 12월에는 포트 보니파시오 내부 지역에 마카티의 두 바리오(후에 브란가이가 됨)인 포스트 프로퍼 노스사이드(Post Proper Northside)와 포스트 프로퍼 사우스사이드(Post Proper Southside)가 설립되었다.[26][27]
1975년 11월 7일, 마카티는 리살 주(Rizal province)에서 분리되어 메트로 마닐라(Metro Manila, National Capital Region)의 구성 자치단체가 되었다.[28]
=== 계엄령 및 코라손 아키노 시대 ===
1970년대 초, 필리핀은 1969년 국제수지 위기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을 겪었다.[32][33][34][35]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1972년 9월 계엄령을 선포하여 14년간 권력을 유지했으며,[36] 이 시기 마르코스 정권은 정치적 반대파, 학생 운동가, 언론인 등을 대상으로 인권 침해를 자행했다.[37][38][39]
마카티는 계엄령 기간 중 최대 규모의 강제 실종 사건 중 하나인 남부 타갈로그 10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40][41][42] 1977년 7월 말, 남부 타갈로그 지역 활동가 10명이 마카티 의료센터에서 납치되었다.[44]
1983년 8월 21일, 베니그노 아키노 주니어 암살 사건 이후,[45] 마카티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독재에 항의하는 '컨페티 혁명'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시위는 대기업 직원들이 주도했으며,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이어져 마르코스의 20년간의 권위주의 정권을 종식시켰다. 코라손 아키노는 필리핀의 11대 대통령이자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되었다.
1986년 1월, 대통령 선포 제2475호(1986)에 따라 보니파시오 요새와 엠보 바랑가이가 마카티의 관할로 이관되었으나,[45] 이는 타구이그의 이의 제기로 30년간 영토 분쟁으로 이어졌다.
1986년 2월 25일, 피플 파워 혁명 마지막 날에 시장 네메시오 야붓이 사망하자,[46] 코라손 아키노는 헤호마르 비나이를 마카티 시장 대행으로 임명했다. 그는 1988년 시장으로 선출되었다.[47]
1989년 필리핀 쿠데타 시도 당시, 개혁 군대 운동 세력이 마카티 중심 상업 지구를 점령하여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을 전복하려 했다. 이 대치는 12월 2일부터 9일까지 지속되었고, 경제 중심지 마비로 막대한 재정적 손실을 초래했다.[48]
=== 현대 ===
1995년 1월 2일, 피델 V. 라모스 대통령은 공화법 7854호[49]에 서명하여 마카티를 메트로 마닐라의 일곱 번째 도시로 만들었다. 이 법은 한 달 후인 1995년 2월 2일, 주민투표에서 과반수의 찬성으로 승인되었다.
2000년 5월 17일 오후 5시 2분 PHT에 아얄라 센터 내에 위치한 글로리에타 쇼핑몰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13명이 부상을 입었다. 현지 당국에 따르면, 레스토랑 화장실에서 제작된 폭탄이 인근 오락실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이 폭탄 테러는 2000년 5월 21일 SM 메가몰 폭탄 테러와 리살의 날 폭탄 테러의 전조로 여겨진다.[50]
2007년 10월 19일, 글로리에타 2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11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당국은 처음에 레스토랑의 액화석유가스 폭발로 인한 사고라고 발표했지만, 나중에 폭발물이 C-4 폭탄일 가능성을 조사하기 시작했다.[51][52]
2022년 4월, 마카티는 수십 년 동안 지속된 타기그와의 영토 분쟁에서 패소했고, 1년 후인 2023년 4월 최종 판결이 내려졌다. 마카티는 엠보 바랑가이 10곳에 대한 영토 및 행정 관할권을 타기그에 양도하여 인구 약 30만 명을 잃었다.[54][55][56] 타기그의 영토 획득으로 인해 13개 바랑가이 중 10개가 마카티 제2 선거구에서 제외되어, 헌법상 요구되는 25만 명의 인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어 단일 선거구로 축소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7] 하지만 계류 중인 법안으로 인해 현황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2. 1. 초기 역사
마카티의 일부 지역은 한때 수도가 현재 마닐라의 산타 아나 지역에 있는 전이베리아 시대의 나마얀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2. 2. 스페인 식민 시대
마카티의 일부는 1578년 스페인 식민지 시대 동안 산타 아나 데 사파 마을의 비시타(visita)였다.[10] 1589년, 스페인군(Spanish Army) 참모총장 보좌관이었던 페드로 드 브리토(Pedro de Brito) 대위는 현재 포블라시온(Poblacion)을 포함하는 토지를 1,400페소에 매입하고 "아시엔다 페드로"(Hacienda Pedro)라는 엔콤미엔다(encomienda)를 설립했다.[10] 1608년, 그와 그의 아내 아나 데 에레라(Ana de Herrera)는 사도 성 베드로(Saint Peter the Apostle)를 기리는 교회 건립을 조건으로 토지의 절반을 예수회(Jesuit)에 기증하고 건축비로 14,000페소를 기부했다.[10] 1620년에 완공된 이 교회는 나중에 산 페드로 마카티 교회(San Pedro Macati Church)로 알려지게 되었다.[10]17세기 프란체스코회(Franciscans) 수도사들의 관할 아래 있던 마카티는 1670년 6월 1일 산타 아나 데 사파(Santa Ana de Sapa)에서 '산 페드로 마카티(San Pedro Macati)'라는 이름으로 마을로 설립되었다.[11][12][13] 인근의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그라시아 교회(Nuestra Señora de Gracia Church)는 '과달루페 성모' 교회로 바뀌었고, 멕시코(Mexico)에서 온 성모 마리아(Virgin Mary)의 성상을 맞이했다. 마카티의 몬테스 데 오카(Montes De Oca) 가문[14] 출신의 이시도로 몬테스 데 오카(Isidoro Montes de Oca)는 멕시코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본당은 톤도(Tondo) 주(현재 마닐라(Manila))에서 문틴루파(Muntinlupa)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영적 관할권을 가지고 있었다.
1851년, 아얄라-소벨 가문(Zóbel de Ayala family)의 조상인 호세 보니파시오 록사스(Don José Bonifacio Roxas)는 예수회로부터 이 토지를 52,800페소에 매입하여 "산 페드로 데 마카티(Hacienda San Pedro de Macati)"라고 명명했다.[15] 그 이후로 마카티의 발전은 아얄라-소벨 가문(Zóbel de Ayala family)과 그들의 회사인 아얄라 코퍼레이션(Ayala Corporation)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왔다.[16] 1890년, 산 페드로 데 마카티(San Pedro de Macati)는 마닐라(Manila) 주의 공공 마을로 선포되었다.
2. 3. 미국 식민 시대
1901년, 산 페드로 마카티는 새로 설립된 리살 주에 편입되었다.[18][19] 1914년 2월 28일, 필리핀 입법부 법률 제2390호에 따라 마을 이름이 현재의 "마카티"로 단축되었다.[20][11][21]1934년 기준으로, 리살 주 지방 목록에 따르면 마카티에는 포블라시온, 코만단테 카르모나, 쿨리쿨리(현재 피오 델 필라르), 과달루페, 맥킨리 요새, 말라파드나바토(현재 서 렘보), 마실랑(현재 남 셈보), 카실라완, 올림피아(올림피아), 팔라난, 피나가카이사얀(피나가카이사한), 룰랄, 삼팔루칸, 테헤로스 등 14개 바리오가 있었다.[22] 맥킨리 요새, 말라파드나바토, 마실랑은 이전에 파테로스의 일부였다.
2. 4. 일본 점령기
1942년 1월 1일, 마카티는 리살 주의 여러 시정촌 중 하나였으며, 마누엘 L. 케손 대통령에 의해 비상 조치로 마닐라와 케손 시와 함께 그레이터 마닐라를 형성하기 위해 합병되었다.[23] 1945년 8월 1일, 세르히오 오스메냐 대통령에 의해 그레이터 마닐라가 해체되면서 전쟁 전 지위인 리살 주의 시정촌으로 회복되었다.[24]2. 5. 전후 시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마닐라가 파괴되고 이후 닐슨 필드(Nielson Field)가 폐쇄되면서 마카티는 급속도로 성장했고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다. 1950년대에는 당시 토지 소유주였던 아얄라 이 코파니아(Ayala y Compañía, Ayala Corporation)의 노력으로 계획된 주거 지역(현재 포브스 파크, 우르다네타, 산 로렌조, 벨에어 지역)들이 처음으로 조성되었다. 동시에, 포트 맥킨리(Fort McKinley)로 불리던, 이후 포트 보니파시오(Fort Bonifacio)로 개명된 곳과 당시 필리핀 육군(Philippine Army) 본부는 기지 지역에서 근무하는 군인 가족들에 의해 7개의 주거 지역이 더 건설되는 출발점이 되었다. 현재 마카티 중앙상업지구(Makati Central Business District, CBD)가 된 곳에는 새로운 사무실 건물들이 세워졌다. 1960년대 후반부터 마카티는 필리핀의 금융 및 상업 중심지로 변모했다.[25] 1972년 12월에는 포트 보니파시오 내부 지역에 마카티의 두 바리오(후에 브란가이가 됨)인 포스트 프로퍼 노스사이드(Post Proper Northside)와 포스트 프로퍼 사우스사이드(Post Proper Southside)가 설립되었다.[26][27]1975년 11월 7일, 마카티는 리살 주(Rizal province)에서 분리되어 메트로 마닐라(Metro Manila, National Capital Region)의 구성 자치단체가 되었다.[28]
2. 6. 계엄령 및 코라손 아키노 시대
1970년대 초, 필리핀은 1969년 국제수지 위기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을 겪었다.[32][33][34][35]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1972년 9월 계엄령을 선포하여 14년간 권력을 유지했으며,[36] 이 시기 마르코스 정권은 정치적 반대파, 학생 운동가, 언론인 등을 대상으로 인권 침해를 자행했다.[37][38][39]마카티는 계엄령 기간 중 최대 규모의 강제 실종 사건 중 하나인 남부 타갈로그 10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40][41][42] 1977년 7월 말, 남부 타갈로그 지역 활동가 10명이 마카티 의료센터에서 납치되었다.[44]
1983년 8월 21일, 베니그노 아키노 주니어 암살 사건 이후,[45] 마카티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독재에 항의하는 '컨페티 혁명'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시위는 대기업 직원들이 주도했으며,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이어져 마르코스의 20년간의 권위주의 정권을 종식시켰다. 코라손 아키노는 필리핀의 11대 대통령이자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되었다.
1986년 1월, 대통령 선포 제2475호(1986)에 따라 보니파시오 요새와 엠보 바랑가이가 마카티의 관할로 이관되었으나,[45] 이는 타구이그의 이의 제기로 30년간 영토 분쟁으로 이어졌다.
1986년 2월 25일, 피플 파워 혁명 마지막 날에 시장 네메시오 야붓이 사망하자,[46] 코라손 아키노는 헤호마르 비나이를 마카티 시장 대행으로 임명했다. 그는 1988년 시장으로 선출되었다.[47]
1989년 필리핀 쿠데타 시도 당시, 개혁 군대 운동 세력이 마카티 중심 상업 지구를 점령하여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을 전복하려 했다. 이 대치는 12월 2일부터 9일까지 지속되었고, 경제 중심지 마비로 막대한 재정적 손실을 초래했다.[48]
2. 7. 현대
1995년 1월 2일, 피델 V. 라모스 대통령은 공화법 7854호[49]에 서명하여 마카티를 메트로 마닐라의 일곱 번째 도시로 만들었다. 이 법은 한 달 후인 1995년 2월 2일, 주민투표에서 과반수의 찬성으로 승인되었다.2000년 5월 17일 오후 5시 2분 PHT에 아얄라 센터 내에 위치한 글로리에타 쇼핑몰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13명이 부상을 입었다. 현지 당국에 따르면, 레스토랑 화장실에서 제작된 폭탄이 인근 오락실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이 폭탄 테러는 2000년 5월 21일 SM 메가몰 폭탄 테러와 리살의 날 폭탄 테러의 전조로 여겨진다.[50]
2007년 10월 19일, 글로리에타 2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11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당국은 처음에 레스토랑의 액화석유가스 폭발로 인한 사고라고 발표했지만, 나중에 폭발물이 C-4 폭탄일 가능성을 조사하기 시작했다.[51][52]
2022년 4월, 마카티는 수십 년 동안 지속된 타기그와의 영토 분쟁에서 패소했고, 1년 후인 2023년 4월 최종 판결이 내려졌다. 마카티는 엠보 바랑가이 10곳에 대한 영토 및 행정 관할권을 타기그에 양도하여 인구 약 30만 명을 잃었다.[54][55][56] 타기그의 영토 획득으로 인해 13개 바랑가이 중 10개가 마카티 제2 선거구에서 제외되어, 헌법상 요구되는 25만 명의 인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어 단일 선거구로 축소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7] 하지만 계류 중인 법안으로 인해 현황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3. 지리
마카티는 메트로 마닐라 중심부에 위치하며, 북위 14°40′ 동경 121°3′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북쪽으로는 파시그 강을 사이에 두고 만달루용과 접하며, 동쪽으로는 타구이그, 남서쪽으로는 파사이, 북서쪽으로는 마닐라시와 경계를 이룬다. 주로 서쪽에 위치한 에스테로 데 트리파 데 갈리나(Estero de Tripa de Gallina) 개울, 남쪽의 마리카반(Maricaban) 개울, 동쪽의 산호세(San Jose) 개울 등이 마카티 시 경계의 일부를 형성한다. 마카티의 총 면적은 21.57 km2이다. 마카티 지역에는 마닐라 남쪽 공동묘지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마닐라의 산 안드레스 지역의 엑스크레이브이다.[53]
3. 1.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 시스템에 따르면, 마카티는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한다. 필리핀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마카티는 열대 지방에 완전히 위치한다. 적도와 가까운 위치 때문에 기온 범위가 매우 작아 20°C 이하로 내려가거나 38°C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습도 수준이 일반적으로 매우 높아 체감 온도는 훨씬 더 높게 느껴진다. 1월부터 5월까지는 비교적 짧은 건기가, 6월부터 12월까지는 비교적 긴 우기가 있다.[101]2021년 세계 기후 위험 지수(Global Climate Risk Index)는 필리핀을 극심한 기상 이변으로 인한 재난 피해를 가장 많이 입은 국가 중 하나로 꼽았다.[59] 마카티는 저지대 해안 도시로, 태풍, 홍수, 산사태와 같이 기후 변화로 인해 더욱 심해진 자연 재해에 취약하다.[59][60] 마카티시 재난 위험 감소 및 관리 사무소는 특히 우기 동안 시가 경험하는 강우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지적했다.[61]
2022년 8월, 마카티 시 정부는 해수면 상승과 지구 온도 변화 속에서 기후 비상사태를 선언했다.[59] 마카티는 기후변화 적응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주민들을 위한 보건 서비스, 재난 대응 및 환경 관리 및 보호가 포함된다.[60] 마카티는 전기 자동차 추가 구매 계획, 공립학교 및 정부 기관에 태양광 패널 설치, 대중교통 개선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소 등 기후 변화 대응 프로젝트를 확대할 계획이다.[59]
3. 2. 행정 구역
마카티는 23개의 브랑가이(가장 작은 지방자치단위)로 나뉘어 있다.[54][55][56][57] 이 브랑가이들은 두 개의 선거구로 그룹화되어 있으며, 각 구역은 하원에서 한 명의 국회의원이 대표한다. 제1선거구는 EDSA를 가로지르는 브랑가이들과 그 북쪽과 서쪽에 있는 브랑가이들로 구성되며, 과달루페 비에호는 제외된다. 제2선거구는 제1선거구의 남쪽과 동쪽에 있으며, 과달루페 비에호를 포함한다. 각 선거구는 시의회 의원 8명씩, 총 16명을 선출하며 이 선거구는 의회 선거구와 일치한다.셈보, 사우스 셈보, 웨스트 렘보, 이스트 렘보, 코멤보, 펨보, 피토고, 포스트 프로퍼 노스사이드, 포스트 프로퍼 사우스사이드, 그리고 리살은, 통칭 엠보 브랑가이로 알려져 있었으나, 1986년부터 2023년까지 마카티에 속해 있다가 2023년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타구이로 이관되었다.[54][55][56][57]
브랑가이 | 면적 (km2) | 인구 (2010) | 인구 (2015) | 인구 (2020) |
---|---|---|---|---|
방칼 | 0.74 | 23,378 | 21,650 | 17,576 |
벨에어 | 1.71 | 18,280 | 23,685 | 36,007 |
카르모나 | 0.34 | 3,096 | 3,109 | 2,745 |
다스마리냐스 | 1.90 | 5,654 | 5,589 | 4,160 |
포브스 파크 | 2.53 | 2,533 | 2,335 | 3,715 |
과달루페 누에보 | 0.57 | 18,271 | 18,341 | 20,533 |
과달루페 비에호 | 0.62 | 16,411 | 13,415 | 12,900 |
카실라완 | 0.09 | 5,291 | 5,881 | 4,827 |
라 파스 | 0.32 | 7,931 | 7,356 | 6,346 |
마갈라네스 | 1.20 | 5,576 | 5,672 | 5,267 |
올림피아 | 1.20 | 21,270 | 20,251 | 18,654 |
팔라난 | 0.65 | 17,283 | 14,110 | 11,623 |
피나가이사한 | 0.16 | 5,804 | 5,468 | 4,710 |
피오 델 필라르 | 1.20 | 27,035 | 30,732 | 50,722 |
포블라시온 | 0.46 | 17,120 | 25,393 | 16,706 |
산 안토니오 | 0.89 | 11,443 | 16,840 | 17,494 |
산 이시드로 | 0.50 | 7,589 | 8,045 | 6,098 |
산 로렌조 | 2.09 | 10,006 | 12,995 | 14,054 |
싱카마스 | 0.13 | 7,426 | 7,370 | 7,218 |
산타 크루즈 | 0.47 | 7,440 | 7,207 | 6,333 |
테헤로스 | 0.29 | 13,868 | 13,696 | 15,122 |
우르다네타 | 0.74 | 3,717 | 4,429 | 4,563 |
발렌수엘라 | 0.24 | 7,261 | 6,310 | 5,370 |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카티의 인구는 629,616명이었다. 엠보 바랑가이가 마카티-타구이그 경계 분쟁 판결에 따라 타구이그로 이전되면서 2023년에는 같은 인구 조사를 기반으로 인구 수가 292,743명으로 감소되었다. 현재 마카티는 메트로 마닐라 내에서 인구 규모로 14위를 차지하고 있다. 마카티 주민 대다수는 종교적 소속을 로마 가톨릭으로 밝혔다.[62] 그 외에도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하나님의 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복음주의 기독교인, 국제 그리스도의 교회, 개신교,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유대교 등 많은 신도를 가진 집단들이 있다.[62]
2004년부터 2014년까지의 도시 교통 개선 계획에 따르면, 출퇴근 인구와 상업 활동으로 인해 평일에는 도시의 낮 인구가 370만 명으로 추산된다.[63] 도시로 유입되는 많은 인구는 국내외 거래의 서비스 요구를 처리할 수 있는 숙련된 노동력을 제공하며, 도시의 소매 및 서비스 무역을 촉진하는 대규모 소비 시장의 기반 역할도 한다.[63] 그러나 동시에 많은 유동 인구는 마카티의 환경, 서비스 및 공공 시설에 압박을 가하고 있으며, 특히 도시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와 중심 업무 지구 내부 및 주변의 심각한 교통량을 유발하고 있다.[63]
5. 경제
마카티 중앙상업지구는 아얄라 삼각지를 중심으로 많은 다국적 기업, 은행 및 주요 기업들의 본거지이다. 고급 부티크, 레스토랑, 아얄라 삼각지 공원도 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64] 마카티 비즈니스 클럽에는 800명이 넘는 최고경영자와 고위 임원들이 있으며, 이는 전국 최대 기업 450개사를 대표한다.[65] 필리핀 증권거래소의 가장 큰 거래소는 증권거래소가 본사를 타구이그의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로 이전하기 전까지 도시의 아얄라 애비뉴에 있었다.[66][67][68] 2021년 말 기준으로 도시의 사무 공간 공급량은 280만 제곱미터이며, 타구이그와 파시그와 함께 메트로 마닐라의 주요 사무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69] 2023년 기준으로 타구이그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기존 사무 공간 공급량의 26%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그 뒤를 이어 마카티가 20%를 차지했다.[70]
마카티는 수도권에서 퀘손 시티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세수입을 올리는 도시이다.[71] 마카티는 2006년 새로운 세입법이 시행된 이후 세율을 인상하지 않았으며, 약 30년 동안 재정 적자 없이 운영되어 왔다.[72]
메트로 마닐라와 필리핀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 대부분이 마카티에 위치해 있다. 그중에는 센추리 시티에 있는 PBCom 타워, 트럼프 타워 마닐라, 그레이머시 레지던스, 디스커버리 프라임아, 샹 살세도 플레이스, 그리고 G.T. 인터내셔널 타워가 있다. 아얄라 애비뉴에 있는 PBCom 타워는 총 지상에서 건축학적 최상층까지의 높이가 259m로 2001년부터 2017년까지 필리핀에서 가장 높은 사무실 건물이었다. 2017년에는 총 건축 높이가 318m인 타구이그의 메트로뱅크 센터에 그 자리를 내주었다.
방갈 지역의 에반헬리스타 거리는 자동차 수리점, 자동차 부품 판매점, 타이어 및 휠 판매점, 자동차 에어컨 수리점, 자동차 틴팅 매장이 밀집해 있어 퀘손 시티의 바나웨 거리와 거의 유사하다.[73]
아야라 애비뉴(Ayala Avenue) 주변과 아얄라 센터가 있는 아얄라 역(Ayala Station) 앞이 도시 중심지이다. 마카티시는 타기그의 포트 보니파시오(Fort Bonifacio)를 지리적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이 지역은 통합적으로 재개발되고 있다.
2007년 당시, 미국 통치 시대에 개발되어 고층 빌딩과 쇼핑몰이 집중된 이 지역 토지는 필리핀을 대표하는 부유층인 아야라 가문(Zobel de Ayala family)의 소유였다.
서쪽에는 리틀 도쿄가 있고, 파시그 강(Pasig River)변에는 최근에 건설된 록웰 센터(일본의 로포쿠기힐스(六本木ヒルズ)와 같은 고급 주택과 고급 쇼핑몰 복합 시설)가 있으며, 길 푸야트 애비뉴(Gil Puyat Avenue) 주변의 벨 에어(Bel-Air)와 EDSA 주변의 포브스 파크(Forbes Park)와 함께 고급 주택가를 형성한다. 주택가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집에 수영장이 있으며, 일반적인 필리핀의 이미지와는 전혀 다르다. 이 도시에 산다는 것은 "부자"를 의미한다.
5. 1. 쇼핑 센터
마카티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잘 알려진 쇼핑 중심지 중 하나로, 국제 및 지역 소매점, 고급 부티크, 식당 및 오락 시설을 제공하는 다양한 쇼핑센터가 도시 곳곳에 있다.[74]아얄라 센터는 마카티 중심업무지구(CBD)에 위치한 아얄라 랜드가 운영하는 주요 상업 단지이다. 이 센터는 다양한 쇼핑, 엔터테인먼트 및 문화 시설로 유명하며, 메트로폴리스에서 최고의 쇼핑 및 문화 지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75] 넓은 보행자 전용 복합 단지로, 영화관, 국내외 상점, 현지 레스토랑과 국제적인 음식 체인점을 포함한 고급 쇼핑몰이 있으며, 그린벨트, 글로리에타, 파크 스퀘어, 더 링크, 그리고 아얄라 몰 원 아얄라가 있다. 아얄라 센터에는 SM 마카티, 러스탄, 더 랜드마크 등 세 곳의 백화점도 있다.

록웰 센터의 파워 플랜트 몰, 센추리 시티의 센추리 시티 몰, 서킷 마카티의 아얄라 몰 서킷, 캐시 앤 캐리 몰, 월터 마트 마카티, 마카티 센트럴 스퀘어(구 마카티 시네마 스퀘어), 과달루페 상업 센터, 파세오 데 마갈라네스, 그리고 도시의 여러 고층 주거용 콘도미니엄이나 사무실 건물에 있는 작은 쇼핑몰 등이 마카티의 다른 쇼핑센터들이다.[76]
6. 교육
마카티 대학교는 시의 주력 대학교로, 공립 비영리 대학교이며 과거 마을이었던 웨스트 렘보에 위치해 있었으나 현재는 타구이그의 일부가 되었다.[77] 이 도시에 위치한 다른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아시아 경영 대학원(AIM), 아이아카데미, 아시아 기독교 사역 신학교(ASCM), 마카티 돈 보스코 기술학교, 어섬션 칼리지 산 로렌조, 세인트 폴 칼리지 마카티, 과달루페 성모 소신학교, 그리고 아시아 태평양 대학교가 있다.
도시 외부에 본사를 둔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마카티에 분교 또는 위성 캠퍼스를 설립했다. 여기에는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아테네오 전문 학교), 데 라 살레 대학교, 극동 대학교, 마푸아 대학교, 필리핀 리세움 대학교, 센트로 에스콜라르 대학교, 그리고 AMA 컴퓨터 칼리지 등이 포함된다.
외국 기관인 오스트레일리아 가톨릭 대학교는 마카티에 연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24년 현재 마카티 시의 학교 구역 사무소(SDO)는 23개의 공립학교(초등학교 16개, 고등학교 7개)를 감독하고 있다.[77] 2023년 마카티-타구이그 경계 분쟁 판결 결과, 마카티 과학 고등학교를 포함한 14개의 공립 초등학교와 고등학교가 마카티 시 SDO에서 타구이그 시와 파테로스 SDO로 이관되었다.[78][79][80] 마카티는 나중에 마카티 과학 고등학교, 포트 보니파시오 초등학교, 포트 보니파시오 고등학교의 관리권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 교육부에 항소했지만, 시의 항소는 기각되어 마카티는 과학 고등학교가 없게 되었다.[81][82][83][84]
인근 도시인 마닐라의 학교 구역 사무소 관할인 라파엘 팔마 초등학교는 마카티-마닐라 경계 근처 라파즈 마을에 위치해 있다.
7. 문화 및 스포츠
마카티에는 여러 미술관, 식민지 시대 교회, 그리고 휴양 시설이 있다. 포브스 파크를 넘어 마카티의 남동쪽 경계를 따라 마닐라 골프 클럽(Manila Golf Club)과 마닐라 폴로 클럽(Manila Polo Club)이 있다. 마닐라 골프 클럽에는 18홀 골프 코스가 있으며, 마닐라 폴로 클럽은 필리핀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 중 일부가 폴로를 즐기는 곳으로 유명하다.[85] 살세도 빌리지에 있는 마카티 스포츠 클럽 또한 인기 있는 스포츠 시설이며, 마카티 콜리세움(Makati Coliseum)은 대규모 스포츠 행사가 개최되는 곳이다.[86]
마카티의 유일한 프로 스포츠 팀은 마카티 OKBet 킹스(Makati OKBet Kings)로, 마하르리카 필리핀 농구 리그(Maharlika Pilipinas Basketball League)의 두 번째 시즌에 참가했다. 북서쪽에는 서킷 마카티(Circuit Makati)에 있는 블루 피치라는 다목적 경기장이 있는데, 이 경기장은 축구 경기뿐만 아니라 2017년부터 필리핀-미국 축구 리그(Philippine-American Football League)의 주요 중심지로 사용되고 있다. 서킷 마카티 부지는 이전에 산타 아나 파크라는 경마장이었으나, 2009년 나익(Naic)],
8. 교통
마닐라 수도권의 주요 도로들이 마카티를 둘러싸고 있다. 도시 남서부에 위치한 에피파니오 데 로스 산토스 애비뉴(EDSA), 오스메냐 고속도로와 남부 루손 고속도로(SLEX)는 남부 고속도로(SSH)로 알려져 있으며, 이 도로 위에는 스카이웨이가 건설되었다.
마닐라 메트로 지역의 주요 간선도로 두 곳이 마카티를 통과한다. 에피파니오 데 로스 산토스 애비뉴(EDSA)는 도시 남동쪽을 지나 만달루용과 파사이와 연결한다. 남부 루손 고속도로(SLEX)는 마카티 남서쪽에서 시작하여 메트로 마닐라 남부와 루손 남부와 연결된다. 스카이웨이는 북부 루손 고속도로(NLEX)와 SLEX를 연결하는 고가 고속도로로, 루손 북부, 메트로 마닐라 북부, 루손 남부 및 메트로 마닐라 남부의 다른 도시에서 마카티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SLEX와 EDSA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복잡한 고가 도로 시스템인 마갈라네스 인터체인지(Magallanes Interchange)에서 교차한다.
구아달루페와 아얄라 센터(Ayala Center) 지역은 주요 교통 중심지로 여겨진다. 아얄라 센터는 복합 교통 허브와 다양한 대중교통 정류장을 갖춘 원 아얄라(One Ayala) 단지를 포함하고 있다.[89] BGC 버스는 아얄라 센터 근처 맥킨리 익스체인지 코퍼레이트 센터(McKinley Exchange Corporate Center) 터미널을 통해 도시를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Bonifacio Global City)와 연결한다. 시외 및 시내 버스(프리미엄 포인트-투-포인트 버스 서비스 포함)는 EDSA, 오스메냐 고속도로, 칼라야안 애비뉴(Kalayaan Avenue) 또는 중심 업무/금융 지구를 통해 메트로 마닐라의 다른 지역과 루손 남부로 운행한다. 지프니는 마카티의 내부 도로를 운행하며 주변 마을과 도시와 연결한다. 대부분의 중심 업무 지구, 고급 주택가 및 일부 주요 도로를 제외하고는 짧은 거리에 삼륜차가 사용된다.
국내 최초의 전기 지프니와 하이브리드 버스 서비스는 마카티에서 시범 운행되었다. 이 버스는 전기 모터와 유로 3 디젤 모터로 구동되는 병렬 전기 하이브리드 방식이다. 하이브리드 버스는 길 푸야트 애비뉴(Gil Puyat Avenue)(트라모 거리(Tramo Street) 지역)에서 칼라야안 애비뉴(C-5 근처)까지의 노선을 운행하는데, 이 노선은 도시 중심 업무 지구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 중 하나로 오스메냐 고속도로, 치노 로체스 애비뉴(Chino Roces Avenue), 아얄라 애비뉴(Ayala Avenue)와 마카티 애비뉴(Makati Avenue), 파세오 드 록사스(Paseo de Roxas), EDSA와 같은 다른 주요 도로를 통과한다.[90]
도시의 다른 주요 도로로는 북쪽의 EDSA와 SLEX를 연결하는 길 푸야트 애비뉴(Gil Puyat Avenue), 마카티 중심 업무 지구(Makati CBD)를 통과하는 중요한 도로인 아얄라 애비뉴(Ayala Avenue), 도시를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와 연결하는 맥킨리 로드(McKinley Road), 도시를 파사이와 연결하는 아르나이스 애비뉴(Arnaiz Avenue), SLEX를 마닐라와 연결하는 오스메냐 고속도로(Osmeña Highway), 마카티 CBD를 포블라시온과 연결하고 북쪽으로 마카티-만달루용 다리(Makati–Mandaluyong Bridge)까지 연장되는 마카티 애비뉴(Makati Avenue), 그리고 마닐라와 타구이그와 연결하는 마카티에서 가장 오래된 주요 도로인 J. P. 리살 애비뉴(J. P. Rizal Avenue)가 있다. 마카티 중심부에는 이전 닐슨 필드(Nielson Field) 자리에 건설된 아얄라 삼각지(Ayala Triangle) 공원이 있다.
'''철도'''
마닐라 메트로 레일 트랜짓 시스템 3호선(MRT Line 3)은 EDSA를 따라 마카티에 구아달루페, 부엔디아, 아얄라, 마갈라네스 등 4개의 역을 두고 있다.
필리핀국립철도(Philippine National Railways, PNR)는 마카티에 델라 로사, 파사이 로드, EDSA 등 3개의 역을 운영한다. 파사이 로드 역은 과거 쿨리쿨리(Culi-culi)와 피오 델 필라르(Pio del Pilar)로 알려졌으며, 1908년에 개통되어 마카티 최초의 철도역이다. 델라 로사 역은 2017년 기존의 부엔디아 역을 대체하였다. 위에 언급된 모든 역들은 PNR 남부 본선에 속한다. 남부 본선을 운행하는 PNR 메트로 통근선은 현재 북남 통근 철도 건설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북남 통근 철도는 부엔디아와 EDSA에 역을 갖추게 될 예정이다.
2013년, 필리핀 경제개발청(National Economic and Development Authority, NEDA)은 17억 5천만 달러 규모의 모노레일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다. 제안된 고가 모노레일은 MRT 3호선을 통해 마카티,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 파사이 그리고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을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현재 고려되고 있는 노선은 구아달루페 MRT 역에서 시작하여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 북쪽 관문을 통과하여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3터미널에서 끝난다.[92]
2015년, NEDA는 마카티-파사이-타구이 대중교통 시스템 순환선(Makati-Pasay-Taguig Mass Transit System Loop)에 대한 민관합작 프로젝트를 승인했는데, 이는 마카티의 주요 지점, 즉 부엔디아 MRT 역, 아얄라-EDSA, 아얄라 삼각지, 마카티 우체국, PNR-부엔디아에 역을 갖추게 될 예정이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후 보류되었고, 2018년 마카티 대부분의 역을 계승하는 마카티 시내 지하철(Makati Intra-City Subway)로 부분적으로 부활되었다.[93] 시내 지하철 프로젝트는 2023년 마카티와의 영토 분쟁에서 승리한 타구이그에 엠보(Embo) 바랑가이가 이전됨에 따라 중단되었다.[94]
'''수상 교통'''
파식강은 마카티의 북쪽에 위치해 있다. 파식강 페리 서비스는 발렌수엘라에 위치한 마카티에 한 개의 정거장을 두고 있다.
8. 1. 철도
마닐라 메트로 레일 트랜짓 시스템 3호선(MRT Line 3)은 에드사(EDSA)를 따라 마카티에 구아달루페, 부엔디아, 아얄라, 마갈라네스 등 4개의 역을 두고 있다.
필리핀국립철도(Philippine National Railways, PNR)는 마카티에 델라 로사, 파사이 로드, EDSA 등 3개의 역을 운영한다. 파사이 로드 역은 과거 쿨리쿨리(Culi-culi)와 피오 델 필라르(Pio del Pilar)로 알려졌으며, 1908년에 개통되어 마카티 최초의 철도역이다. 델라 로사 역은 2017년 기존의 부엔디아 역을 대체하였다. 위에 언급된 모든 역들은 PNR 남부 본선에 속한다. 남부 본선을 운행하는 PNR 메트로 통근선은 현재 북남 통근 철도 건설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북남 통근 철도는 부엔디아와 EDSA에 역을 갖추게 될 예정이다.
2013년, 필리핀 경제개발청(National Economic and Development Authority, NEDA)은 17억 5천만 달러 규모의 모노레일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다. 제안된 고가 모노레일은 MRT 3호선을 통해 마카티,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 파사이 그리고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을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현재 고려되고 있는 노선은 구아달루페 MRT 역에서 시작하여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 북쪽 관문을 통과하여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3터미널에서 끝난다.[92]
2015년, NEDA는 마카티-파사이-타구이 대중교통 시스템 순환선(Makati-Pasay-Taguig Mass Transit System Loop)에 대한 민관합작 프로젝트를 승인했는데, 이는 마카티의 주요 지점, 즉 부엔디아 MRT 역, 아얄라-EDSA, 아얄라 삼각지, 마카티 우체국, PNR-부엔디아에 역을 갖추게 될 예정이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후 보류되었고, 2018년 마카티 대부분의 역을 계승하는 마카티 시내 지하철(Makati Intra-City Subway)로 부분적으로 부활되었다.[93] 시내 지하철 프로젝트는 2023년 마카티와의 영토 분쟁에서 승리한 타구이에 엠보(Embo) 바랑가이가 이전됨에 따라 중단되었다.[94]
8. 2. 수상 교통
파식강은 마카티의 북쪽에 위치해 있다. 파식강 페리 서비스는 발렌수엘라에 위치한 마카티에 한 개의 정거장을 두고 있다.9. 정치
9. 1. 지방 정부

마카티는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HUC)로 분류된다.[95] 시 정부는 포블라시온에 있는 마카티 시청 청사에 있으며, 신청사가 주청사 역할을 한다.[95] 시장은 최고 행정 책임자이며 메트로 마닐라 의회의 일원이다. 시장은 부시장의 보조를 받는데, 부시장은 18명으로 구성된 입법 의회를 주재한다. 의회는 1지구 8명, 2지구 8명의 의원과 청소년 부문을 대표하는 청소년 의회 연합 회장, 그리고 마을 부문 대표로서 마을장 협회(ABC) 회장으로 구성된다. 의회는 조례와 결의안 형태로 도시 정책을 만드는 책임이 있다.
현직 시장은 전 시장이자 전 부통령 제호마르 비나이의 딸인 애비 비나이이며, 국민주의 인민 연합과 지역 정당 마카티젠스 유나이티드당 소속이다. 모니크 라그다메오 또한 마카티젠스 유나이티드당 소속으로 현직 부시장이다. 하원의 마카티 지역구 대표는 제1선거구의 로물로 "키드" 페냐 주니어[96]와 제2선거구의 애비 비나이의 남편인 루이스 호세 안헬 캄포스 주니어이다.
9. 2. 마카티 시장
마카티 시장에 대한 별도의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제공된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9. 3. 마카티 문장
1995년 8월에 채택된 마카티의 현재 문장[97]은 33개의 광선, 녹색 건물, 교회, 강이 포함된 마카티의 옛 윤곽 지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1990년부터 1995년까지 마카티의 최종 시 문장에 처음 사용되었다.
마카티의 지도는 황금색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부와 번영을 나타낸다. 광선은 2023년 타구이그로 할양된 10개의 엠보 바랑가이(엠보(Embo), 타구이그)를 포함하여 마카티의 33개 바랑가이를 나타내며, "더 밝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을 상징한다. 건물의 색상은 삶을 상징하며, "새로운 진보적인" 마카티를 반영한다. 교회는 마카티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그라시아(Nuestra Señora de Gracia) 교회를 나타내는데, 이 교회는 1896년 스페인인들과 1898년 미국인들에 맞서 싸운 필리핀 혁명가들이 사용했다. 파도는 타갈로그어로 썰물을 의미하는 "''Makati na, Kumakati na''"라는 구절에서 유래했다.[98]
10. 국제 관계
10. 1. 외교 공관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대부분의 외국 공관들은 마카티에 위치하고 있다.[99]
- 아르헨티나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리아
- 벨기에
- 브라질
- 브루나이
- 캐나다
- 칠레
- 중국
- 체코
- 이집트
- 핀란드
- 프랑스
- 그리스
- 인도
- 인도네시아
- 이라크
- 아일랜드
- 이탈리아
- 리비아
- 라오스
- 몰타
- 말레이시아
- 멕시코
- 모로코
- 뉴질랜드
- 파키스탄
- 페루
- 파나마
- 파푸아뉴기니
- 카타르
- 러시아
- 사우디아라비아
- 스페인
- 타이완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100]
- 우크라이나 (영사관)
- 타이
- 터키
- 베네수엘라
10. 2. 자매 도시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California), 라마포, 뉴욕주(Ramapo, New York),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는 마카티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국제 자매 도시 |
---|
국내 자매 도시 |
---|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웹사이트
About Makati, Philippines
http://www.makaticit[...]
Makaticity.com
2013-06-05
[3]
웹사이트
Tourist information and services on Makati City Philippines
http://www.touristce[...]
Touristcenter.com.ph
2013-03-26
[4]
웹사이트
Philippines: Metro Manila (Cities and Municipali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2024-12-01
[5]
웹사이트
NATIONAL CAPITAL REGION (NCR) > Makati City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Tourism
2013-05-23
[6]
웹사이트
This Church Is a Marker of Poblacion's Centuries-Old Heritage
https://www.spot.ph/[...]
2024-02-17
[7]
뉴스
Makati holds 'Sampiro' festival
https://news.abs-cbn[...]
2015-06-11
[8]
서적
Vergleichende Kolonialtoponomastik Strukturen und Funktionen kolonialer Ortsbenennung
De Gruyter
2018
[9]
웹사이트
Barangay Poblacion
https://www.makati.g[...]
[10]
웹사이트
This Church Is a Marker of Poblacion's Centuries-Old Heritage
https://www.spot.ph/[...]
2024-02-17
[11]
웹사이트
February 28, 1914
https://archive.toda[...]
[12]
뉴스
Did you know: Makati Foundation Day
https://newsinfo.inq[...]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5-06-01
[13]
간행물
Declaring Thursday, June 1, 1967, as Makati Day and a special public holiday in Makati, Rizal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67-05-27
[14]
블로그
Guadalupe Church: Macati City’s undying watcher (El Filipinismo)
https://pepealas.wor[...]
[15]
웹사이트
This week in Ayala history
https://web.archive.[...]
www.filipinaslibrary.org.ph
2013-09-06
[16]
웹사이트
History – Pioneers
https://web.archive.[...]
Ayala Group Official Website
2013-09-06
[17]
뉴스
Makati Museum receives historical marker
https://malaya.com.p[...]
2022-08-03
[18]
간행물
An Act Extending the Provisions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Act to the Province of Rizal
https://lawyerly.ph/[...]
Lawyerly
1901-06-11
[19]
간행물
An Act to Incorporate the City of Manila
https://lawyerly.ph/[...]
Lawyerly
1901-07-31
[20]
간행물
An Act Changing the names of the municipalities of Santo Niño and Mawanan, Province of Cagayan; San Isidro Labrador and San Isidro de Potot, Province of Pangasinan; San Francisco de Malabon and Santa Cruz de Malabon, Province of Cavite; Nagpartian and San Miguel, Province of Ilocos Norte; Langaran, Province of Misamis; San Pedro Tunasan, Province of Laguna; Cabagan Nuevo, Province of Isabela; Nueva Caceres, Province of Ambos Camarines; San Pedro Macati, Province of Rizal; San Juan de Bocboc, Province of Batangas; San Juan, Province of Nueva Ecija; township of Barrit - Luluno, Province of Ilocos Sur, and of the Barrios of Tublijon and Gibigaan, Municipality of Sorsogon, Province of Sorsogon
https://lawyerly.ph/[...]
Lawyerly
1914-02-28
[21]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makati.g[...]
[22]
서적
Rizal Province directory
https://quod.lib.umi[...]
University of Michigan Digital Collections
[23]
간행물
Creating the City of Greater Manila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42-01-01
[24]
간행물
Reducing the Territory of the City of Greater Manila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45-07-26
[25]
웹사이트
History of Makati City
http://www.manilainf[...]
Manila Info Blogspot
2013-10-01
[26]
웹사이트
Barangay Post Proper Northside
https://www.makati.g[...]
Makati Web Portal
2024-01-08
[27]
웹사이트
Barangay Post Proper Southside
https://www.makati.g[...]
Makati Web Portal
2024-01-08
[28]
간행물
Creating the Metropolitan Manila and the Metropolitan Manila Commission and for Other Purposes
http://www.lawphil.n[...]
1975-11-07
[29]
서적
Marcos Martial Law: Never Again
Filipinos for a Better Philippines, Inc.
[30]
논문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1992
[31]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2]
논문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33]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34]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35]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7
[36]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37]
웹사이트
Alfred McCoy, Dark Legacy: Human rights under the Marcos regime
http://www.hartford-[...]
Ateneo de Manila University
1999-09-20
[38]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
[39]
뉴스
Gone too soon: 7 youth leaders killed under Martial Law
https://www.rappler.[...]
2018-06-15
[40]
뉴스
Resonance: The Southern Tagalog 10
http://www.manilatod[...]
2018-03-31
[41]
뉴스
Martial law victims find no justice in 'moving on'
http://newsinfo.inqu[...]
2018-03-31
[42]
웹사이트
Ground zero: Remembering truths of a past forgone
http://www.tinigngpl[...]
2018-03-31
[43]
뉴스
The President's Day: December 10, 2002
http://www.officialg[...]
2018-03-31
[44]
뉴스
The Cruelty of Enforced Disappearances: An Abhorrent Crime Against Humanity – Bulatlat
http://bulatlat.com/[...]
2018-04-02
[45]
법률
Excluding from the operation of Proclamation No. 423, series of 1957 which established the Fort William Mckinley (now Fort Bonifacio) Military Reservation situated in the municipalities of Pasig, Taguig, Parañaque, Makati and Pasay City, Metro Manila, a certain portion of the land embraced therein situated in the municipality of Makati and declaring the same open to disposition under the provisions of Act No. 3038 and Republic Act No. 274 in relation the provisions of the Public Land Act, as amended.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86-01-07
[46]
뉴스
Strongarm Philippine Mayor Dies
https://apnews.com/6[...]
2020-07-06
[47]
뉴스
Candidates on Edsa 30 years ago: Binay
https://newsinfo.inq[...]
2021-01-26
[48]
뉴스
The Final Report of the Fact-Finding Commission: V: The Failed December 1989 Coup: Pre-Coup Events and Battle Zone Narratives
https://www.official[...]
2024-05-25
[49]
법률
An Act Converting the Municipality of Makati into a Highly Urbanized City to be Known as the City of Makati
https://thecorpusjur[...]
The Corpus Juris
1994-07-19
[50]
뉴스
A record of mall explosions in RP
http://www.gmanews.t[...]
2014-05-23
[51]
뉴스
Military explosives may have been used in bomb blast
http://newsinfo.inqu[...]
Agence France-Presse
2014-05-23
[52]
뉴스
C-4 bomb component used in Glorietta blast – PNP chemist
http://www.gmanews.t[...]
2014-05-23
[53]
법률
Jacobo Zobel, et al. vs. the City of Manila
http://www.lawphil.n[...]
The Lawphil Project - Arellano Law Foundation, Inc.
1925-01-12
[54]
뉴스
Taguig LGU lauds SC decision over Fort Bonifacio ownership
https://mb.com.ph/20[...]
2023-04-03
[55]
뉴스
Makati raises 'constitutional' issues in BGC land dispute
https://www.philstar[...]
2023-04-05
[56]
뉴스
DILG-Taguig to handle programs, projects in 10 former Makati barangays
https://newsinfo.inq[...]
2023-11-08
[57]
뉴스
SC ruling opens issue on Taguig House seats
https://newsinfo.inq[...]
2023-07-22
[58]
웹사이트
Makati City Climate
http://www.makaticit[...]
[59]
뉴스
Makati City declares 'climate emergency'
https://newsinfo.inq[...]
2022-08-06
[60]
웹사이트
Climate Resilient Cities: A Primer on Reducing Vulnerabilities to Disasters: Makati City, Philippines
https://documents.wo[...]
2009-01-01
[61]
뉴스
'Need to act fast': Makati City declares 'climate emergency'
https://news.abs-cbn[...]
2022-08-07
[62]
웹사이트
Household Population by Religious Affiliation
http://www.makati.go[...]
City Government of Makati
[63]
웹사이트
Daytime Population
http://www.makati.go[...]
City Government of Makati
[64]
웹사이트
Ayala Triangle Gardens
http://www.makeitmak[...]
Make it Makati
[65]
서적
Governance Reform Under Real-World Conditions: Citizens, Stakeholders, and Voice
https://books.google[...]
World Bank Publications
2008-06-13
[6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hereinman[...]
[67]
웹사이트
Makati Business Club
http://www.mbc.com.p[...]
[68]
웹사이트
At new BGC office, PSE to finally open unified trading floor
https://www.bworldon[...]
2018-02-19
[69]
뉴스
Occupancy rate in MM's office spaces remain strong at 81%
https://business.inq[...]
2022-07-07
[70]
웹사이트
Share of existing office space supply in Metro Manila in the Philippines as of 4th quarter 2023, by city
https://www.statista[...]
[71]
웹사이트
QC, Makati, Taguig are top NCR revenue earners in 2023
https://business.inq[...]
2024-08-30
[72]
뉴스
Makati reports growth in January-August tax collection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5-09-07
[73]
뉴스
Have you gone car-parts shopping on Evangelista St. already?
https://www.topgear.[...]
2019-06-04
[74]
웹사이트
Makati Shopping
http://www.makeitmak[...]
Make it Makati
2013-06-01
[75]
웹사이트
Ayala Center
http://www.makeitmak[...]
Make it Makati
2013-10-29
[76]
뉴스
Rise of the 'pocket' malls
https://www.century-[...]
2014-03-25
[77]
웹사이트
SDO-Makati - Public Schools and Division Office Directory
https://depedmakati.[...]
DepEd Makati
2021-10-01
[78]
뉴스
Taguig LGU all systems go in opening of classes in schools formerly under Makati
https://newsinfo.inq[...]
2023-08-11
[79]
뉴스
DepEd takes supervision of EMBO schools in Makati-Taguig row
https://www.gmanetwo[...]
GMA Integrated News
2023-08-17
[80]
뉴스
DepEd: Taguig, Makati conclude 'orderly' transition of EMBO schools
https://www.cnnphili[...]
CNN Philippines
2024-01-15
[81]
뉴스
Abby Binay asks Sara Duterte to resolve issues in 3 public schools
https://newsinfo.inq[...]
2024-02-15
[82]
뉴스
DepEd fast-tracks review of Makati's request to keep 3 EMBO schools
https://www.pna.gov.[...]
2024-02-16
[83]
뉴스
DepEd nixes Makati’s request to manage 3 ‘embo’ schools
https://newsinfo.inq[...]
2024-07-29
[84]
뉴스
DepEd denies Makati’s request to manage 3 Embo schools
https://newsinfo.inq[...]
2024-07-28
[85]
웹사이트
About the Museum
http://www.ayalamuse[...]
The Ayala Museum
[86]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jewishphi[...]
The Jewish Association of the Philippines
[87]
웹사이트
Starter Guide To Manila Red Light District
https://afarangabroa[...]
[88]
웹사이트
Makati shows off entertainment and events side
http://www.ttgmice.c[...]
TTGmice
[89]
웹사이트
One Ayala
https://www.visionar[...]
[90]
뉴스
Hybrid buses to roll out in Ph
http://newsinfo.inqu[...]
[91]
웹사이트
MAKATI CITY BASIC FACTS and FIGURES 2021
https://www.makati.g[...]
[92]
뉴스
Makati BGC NAIA monorail project
http://business.inqu[...]
[93]
뉴스
Philippines' first subway gets OK from NEDA-ICC
http://www.abs-cbnne[...]
ABS-CBN Corporation
2015-01-15
[94]
뉴스
$3.5-billion Makati subway project needs rework after Supreme Court ruling on land dispute
https://www.rappler.[...]
2023-09-06
[95]
웹사이트
City Government Directory
https://www.makati.g[...]
[96]
뉴스
Kid Peña stuns ex-VP Binay in Makati 1st district congressional race
https://news.abs-cbn[...]
[97]
뉴스
Makati City council okays new seal
https://news.google.[...]
Kamahalan Publishing Corp.
1995-08-16
[98]
웹사이트
Seals and Logos
https://www.makati.g[...]
City Government of Makati
[99]
웹사이트
Foreign Consulates
https://dfa.gov.ph/o[...]
[100]
웹사이트
Contact Us
https://www.roc-taiw[...]
[101]
웹인용
Makati City Climate
http://www.makaticit[...]
2011-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