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가수스자리 5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가수스자리 51은 플램스티드 명명법에 따른 명칭으로, 지구에서 약 50광년 떨어진 페가수스자리에 있는 태양과 비슷한 별이다. 이 별은 외계 행성 페가수스자리 51 b를 가지고 있으며, 2015년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항성은 '헬베티우스', 행성은 '디미디움'으로 명명되었다. 페가수스자리 51은 겉보기 등급 5.49로 맨눈으로 관측 가능하며, 태양보다 약간 크고 나이가 많은 G형 주계열성이다. 1995년에는 이 별을 공전하는 최초의 외계 행성인 페가수스자리 51 b가 발견되었으며, 이 행성은 뜨거운 목성형 행성으로, 별에 매우 가까이 위치하여 4.23일 주기로 공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가수스자리 51 - 페가수스자리 51 b
    페가수스자리 51 b는 미셸 마요르와 디디에 켈로에 의해 1995년에 발견되어 외계 행성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친, 태양과 유사한 별 주위를 도는 최초의 외계 행성으로, 어머니 항성에서 매우 가까운 거리를 공전하는 뜨거운 목성인 '디미디움'이다.
  • G형 준거성 - 목동자리 에타
    목동자리 에타는 목동자리에 있는 별로, 아랍어에서 유래된 무프리드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황색 준거성이자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는 단계에 있는 금속 과잉 별이다.
  • G형 준거성 - 글리제 777
    글리제 777은 백조자리에 있는 태양과 비슷한 황색 준거성 글리제 777 A와 적색 왜성 글리제 777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글리제 777 A는 두 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외계 행성 탐사 및 외계 지적 생명체 탐색의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 페가수스자리 - 아인슈타인 십자가
    아인슈타인 십자가는 페가수스자리에 위치한 퀘이사가 렌즈 은하의 중력 렌즈 효과로 인해 4개의 상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 페가수스자리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페가수스자리 51
기본 정보
페가수스자리 51의 위치(붉은 원)
페가수스자리 51의 위치(붉은 원)
화명페가수스자리 51
영명51 Pegasi
관측 정보
별자리페가수스자리
겉보기 등급5.49
B 통과대역6.16
R 통과대역5.0
I 통과대역4.7
J 통과대역4.66
H 통과대역4.23
K 통과대역3.91
시선 속도-33.7 km/s
적경 고유 운동207.363 ± 0.207 밀리초각/년
적위 고유 운동62.094 ± 0.166 밀리초각/년
연주 시차64.6488 ± 0.1232 밀리초각
거리50.45 ± 0.10 광년(15.47 ± 0.03 파섹)
절대 등급4.48
특징
분광형G2 IV
RI 색지수0.32
VR 색지수0.37
BV 색지수+0.67
UB 색지수+0.20
질량1.11 태양 질량
반지름1.237 ± 0.047 태양 반지름
표면 중력4.33 cgs
광도1.36 ± 0.02 태양 광도
표면 온도5,768 ± 8 켈빈
중원소 함량+0.20 dex
자전 주기21.9 ± 0.4 일
나이6.1 ± 0.6 십억 년
기타 명칭
기타 명칭헬베티우스, 페가수스자리 51, 글리제 882, HR 8729, BD +19°5036, HD 217014, LTT 16750, GCTP 5568.00, SAO 90896, HIP 113357
식별 정보
심바드51+Peg
NSTED51+Peg
ARICNS01878
EPE51+Peg

2. 명명법

플램스티드 명명법에 따라 페가수스자리 51로 명명되었다. 이 별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을 때, 과학자들은 행성에 '페가수스자리 51 b'라는 명칭을 부여했으며, 비공식적으로는 그리스-로마 신화 속 인물 이름을 따르는 전통에 따라 '벨레로폰'이라고 불렀다. 벨레로폰은 신화에서 날개 달린 말 페가수스를 모는 영웅이다.

2014년 국제천문연맹(IAU)은 NameExoWorlds 프로젝트를 통해 페가수스자리 51과 그 행성에 고유 명칭을 부여하는 절차를 시작했다. 2015년 12월, IAU는 스위스 루체른 천문학회의 제안을 받아들여 항성에는 '헬베티우스'(Helvetios), 행성 b에는 '디미디움'(Dimidium)이라는 이름을 선정했다.

'헬베티우스'는 헬베티족라틴어 표기로, 오래 전 스위스 지역에 살았던 켈트족을 가리킨다. '디미디움'은 라틴어로 '절반'을 뜻하며, 이는 행성 b의 질량이 목성 질량의 최소 절반이라는 사실에서 유래했다.

2016년 IAU는 항성들의 고유 명칭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조직했다. 2016년 7월 첫 공고에서 WGSN은 NameExoWorlds 캠페인에서 채택된 항성 명칭들을 공식 인정했다. 페가수스자리 51은 현재 IAU 항성명칭목록에 수록되어 있다.

3. 특성

페가수스자리 51


페가수스자리 51의 겉보기등급은 5.49로, 관측 조건이 좋으면 맨눈으로 볼 수 있다.

1989년 "차가운 항성들의 개정 MK 분광형 퍼킨스 항성목록"에는 분광형 G2IV 표준별로 수록되었으나, 역사적으로 G5V로 분류되기도 했으며, 최근 자료에는 주계열성으로 수록되어 있다. 중심핵에서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고 있지만, 태양보다 더 진화된 상태로 보인다. 채층유효온도는 약 5571 K으로, G형 별의 특징인 노란색 빛을 낸다. 나이는 약 61~81억 년으로 추정되며, 태양보다 나이가 많을 가능성이 높다. 반지름은 태양보다 약 24% 크고, 질량은 약 11% 더 크다. 금속함량([Fe/H])이 태양보다 높아, 행성을 거느릴 확률이 더 높다고 알려져 있다. 1996년 연구에 따르면 자전 주기는 약 37일이다.

1981년 변광성으로 의심되기도 했으나, 이후 관측 결과 채층 활동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운더 극소기와 유사한 상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지구에서 바라본 궤도경사각은 약 79도이다.

4. 행성계

51 페가시 행성계 (축척에 맞춰 표시)


1995년 10월 6일, 스위스 천문학자 미셸 마요르와 디디에 켈로는 페가수스자리 51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 페가수스자리 51 b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발견은 프랑스 오트프로방스 천문대에서 이루어졌으며, 페가수스자리 51 b는 주계열성 주위를 도는 행성 중 최초로 발견된 사례이다. 2019년 10월 8일, 마요르와 켈로는 이 발견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4. 1. 페가수스자리 51 b (디미디움)

페가수스자리 51 b(왼쪽)의 개념도.


1995년 10월 6일 스위스 천문학자 미셸 마요르와 디디에 켈로는 외계 행성 하나가 페가수스자리 51을 돌고 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발견은 프랑스의 오트프로방스 천문대에서 이루어졌다. 페가수스자리 51 b는 주계열성 주위를 도는 행성급 질량 천체로서는 최초의 사례였다.

b는 항성으로부터 매우 가까이 있어 표면 온도는 대략 1200°C이며 질량은 최소 목성의 절반 정도이다. 발견 당시 행성이 항성에 이렇게 가까이 붙어 있는 것은 기존의 행성 생성 이론과 맞지 않는 결과였기에 행성 이동 이론에 관한 논쟁이 일어났다.

페가수스자리 51 행성계
동반천체질량긴반지름 (AU)공전 주기 ()궤도이심률궤도 경사각반지름
b (디미디움)≥ 0.472 ± 0.039 MJ0.0527 ± 0.00304.230785 ± 0.0000360.013 ± 0.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