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가수스자리 51 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가수스자리 51 b는 1995년 미셸 마요르와 디디에 켈로에 의해 발견된 최초의 태양계 외부 행성 중 하나이다. 이 행성은 페가수스자리 51을 공전하며, 2015년 국제 천문 연맹(IAU)의 NameExoWorlds 프로젝트를 통해 디미디움이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부여받았다. 디미디움은 라틴어로 '절반'을 의미하며, 행성의 질량이 목성 질량의 약 절반임을 나타낸다. 페가수스자리 51 b는 약 4일 만에 항성을 공전하며, 표면 온도가 섭씨 1000도 이상으로 추정되는 뜨거운 가스 행성으로, 행성 형성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페가수스자리 51 b | |
---|---|
기본 정보 | |
![]() | |
발견자 | 미셸 마요르와 디디에 켈로 |
발견 장소 | 오트 프로방스 천문대, 프랑스 |
발견일 | 1995년 10월 6일 |
발견 방법 | 도플러 분광법 (ELODIE 분광기) |
다른 이름 | Dimidium (디미디움) |
궤도 특성 | |
궤도 장반축 | 0.0527 ± 0.0030 au (7.89 Gm) |
근일점 거리 | 0.0520 au (7.79 Gm) |
원일점 거리 | 0.0534 au (7.99 Gm) |
궤도 이심률 | 0.013 ± 0.012 |
공전 주기 | 4.230785 ± 0.000036 일 (101.5388 시간) |
평균 궤도 속도 | 136 km/s |
준진폭 | 55.94 ± 0.69 (m/s) |
물리적 특성 | |
평균 반지름 | 1.9 ± 0.3 목성 반지름 |
최소 질량 | ≥0.472 ± 0.039 목성 질량 (150 M) |
표면 온도 | 1284 ± 19 K |
항성 | |
항성 이름 | 페가수스자리 51 |
시등급 | 5.49 |
분광형 | G2.5IVa 또는 G4-5Va |
질량 | 1.06 태양 질량 |
반지름 | 1.237 ± 0.047 태양 반지름 |
표면 온도 | 5571 ± 102 K |
금속 함량 | 0.20 ± 0.07 |
나이 | 6.1 - 8.1 Gyr |
위치 정보 | |
거리 | 50.9 ± 0.3 광년 (15.61 ± 0.09 pc) |
2. 명칭
이 행성의 정식 명칭은 페가수스자리 51 b이다. 여기서 로마자 b는 동반 천체 중 첫 번째라는 의미이다. 이후 추가로 행성이 발견될 때마다 c, d, e, f... 순으로 붙는다. 다만 a는 어머니 항성(A)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별칭으로 '벨레로폰'이 있다.[5]
2. 1. 51 Pegasi b
플램스티드 명칭에 따라 페가수스자리 51 b로 불리며, 이는 동반 천체 중 첫 번째라는 의미이다. 이후 추가로 행성이 발견될 때마다 c, d, e, f... 순으로 이름이 붙는다. 다만, a는 항성의 명칭(A)과 혼동될 수 있어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스 신화에서 페가수스를 기른 주인인 벨레로폰을 따서 '벨레로폰'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다.[5]1995년 미셸 마요르와 디디에 켈로는 이 행성을 페가수스자리 51 b로 처음 명명하였다. 이듬해 제프리 마시는 그리스 신화와 로마 신화 속 인물들의 이름을 따서 행성의 이름을 짓는 관례에 따라 이 행성을 비공식적으로 "벨레로폰"이라 불렀다.[5]
2014년 7월, 국제 천문 연맹(IAU)은 외계 행성과 그 모항성에 고유한 이름을 부여하는 절차인 NameExoWorlds를 시작했다.[6] 이 과정에는 새로운 이름에 대한 대중의 지명 및 투표가 포함되었다.[7] 2015년 12월, 국제 천문 연맹은 이 행성의 최종 이름을 디미디움으로 발표했다.[8] '디미디움'은 스위스 루체른 천문학회(Astronomische Gesellschaft Luzern)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라틴어로 '절반'을 의미하며, 행성의 질량이 목성 질량의 약 절반이라는 사실을 나타낸다.[9]
2. 2. 디미디움 (Dimidium)
2015년 국제천문연맹(IAU)의 NameExoWorlds 프로젝트를 통해 페가수스자리 51 b에 공식적으로 디미디움이라는 이름이 부여되었다.[8] '디미디움'은 라틴어로 '절반'을 의미하며, 이 행성의 질량이 목성 질량의 약 절반이라는 사실을 나타낸다.[9] 이 이름은 스위스 루체른 천문학회(Astronomische Gesellschaft Luzern|루체른 천문학회de)에서 제출했다.[9]2. 3. 벨레로폰 (Bellerophon) (비공식)
제프리 마시는 그리스 신화 속 페가수스를 탄 영웅 벨레로폰의 이름을 따 이 행성을 비공식적으로 '벨레로폰'이라 명명했다.[5] 페가수스자리에 위치한 이 행성에 어울리는 이름으로 여겨졌다.그러나 이 명칭은 1960년에 발견된 1808번 소행성 벨레로폰에 이미 사용되고 있었다. 국제천문연맹은 외계 행성 고유 명칭 승인에 앞서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는데, 그 안에 "기존 천체명과 너무 유사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 승인 가능성은 낮았다.
3. 발견
1995년 10월 6일, 스위스 제네바 대학교의 미셸 마요르와 디디에 켈로는 프랑스 오트프로방스 천문대 망원경에 장착된 ELODIE 분광기를 사용하여 페가수스자리 51 b를 발견했다. 이들은 도플러 분광법(시선 속도법)을 이용하여 별의 스펙트럼선에서 나타나는 미세하고 규칙적인 속도 변화를 감지했다. 이 발견은 네이처지에 발표되었으며,[10] 이 공로로 미셸 마요르와 디디에 켈로는 201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1] 발견 직후, 미국 캘리포니아 리크 천문대 연구팀이 이 행성의 존재를 확인했다.[12]
이들이 사용한 분광사진기는 초당 70미터 속도의 스펙트럼 변화량까지 감지할 수 있었다. 이는 행성의 질량이 크고 항성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워 자전 주기가 빨랐기 때문이다.
페가수스자리 51 b가 발견되기 전에는 지구에서 관측 가능한 거대 행성은 별에서 멀리 떨어진 궤도를 수 년에서 수십 년에 걸쳐 공전할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이 발견으로 짧은 공전 주기를 가진 행성도 관측을 통해 쉽게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이후 수많은 외계 행성이 보고되었다.
4. 물리적 특징
이 행성은 어머니 항성에 매우 가까이 붙어 있어 4일에 한 번 공전하며, 공전 속도는 초당 136km이다.[2] 수성보다 훨씬 항성에 가까이 위치하며, 표면 온도는 섭씨 1000도 이상으로 추정된다.[2] 최소 질량은 목성의 절반 정도(지구의 약 150배)다.
처음 발견되었을 때는 지구형 행성으로 추측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가스 행성으로 보고 있다. 항성의 기조력 때문에 항상 같은 면이 항성을 향하는 조석 고정 상태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행성의 발견은 기존의 행성탄생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웠다. 기존 이론에서는 지구형 행성은 항성 가까이에서, 가스 행성은 멀리서 생성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페가수스자리 51 b와 같은 '뜨거운 목성'들이 잇따라 발견되면서 행성 이동 이론이 새롭게 정립되었다.
4. 1. 행성 대기
페가수스자리 51 b는 질량이 더 적음에도 불구하고 목성보다 더 큰 반지름을 가질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과열된 대기가 행성 주위를 둘러싼 두껍지만 희박한 층으로 부풀어 오르기 때문이다.[14] 이 아래에서, 행성을 구성하는 가스는 매우 뜨거워서 행성이 붉게 빛날 것이다. 규산염 구름이 대기 중에 존재할 수 있다.[14]5. 가시광선 직접 관측 시도
유럽 남방 천문대(ESO)가 운용하는 칠레 라 실라 천문대의 고정밀 시선 속도 행성 탐색기(HARPS)를 사용하여 페가수스자리 51 b에서 반사된 가시광선을 탐지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15] 이 관측을 통해 행성의 질량이 0.46 목성 질량이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었다.[16]
2020년 연구에서는 광학 감지를 재현할 수 없어, 행성의 알베도가 0.15 미만임을 확인했다.[17] 2021년 연구에서는 편광된 반사광 신호가 미약하게 감지되었는데, 이는 높은 알베도를 시사할 수 있다.[18]
6. 행성 형성 이론에 대한 영향
페가수스자리 51 b의 발견은 당시 행성 형성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웠다. 기존 이론에서는 지구형 행성이 항성 가까이에서, 가스 행성은 멀리서 형성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3] 그런데 51b 이후로 발견된 많은 외계 행성들은 '뜨거운 가스 행성'이었고, 이러한 "뜨거운 목성"의 발견은 궤도 이동과 같은 새로운 이론의 등장을 촉진했다.[2] 천문학자들은 행성 이동을 연구하여 이러한 행성을 설명하기 위해 행성 형성 이론을 수정하고 있다.[3]
참조
[1]
간행물
Evidence for a spectroscopic direct detection of reflected light from 51 Pegasi b
https://ui.adsabs.ha[...]
2015-04-01
[2]
AV media
How the Universe Works 3
Discovery Channel
2014
[3]
간행물
Lessons from scorching hot weirdo-planets
https://knowablemaga[...]
Annual Reviews
2022-04-04
[4]
웹사이트
Water detected in the atmosphere of hot Jupiter exoplanet 51 Pegasi b
https://phys.org/new[...]
2017-02-01
[5]
웹사이트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News Release 1996-17-01
http://www.berkeley.[...]
[6]
웹사이트
NameExoWorlds: An IAU Worldwide Contest to Name Exoplanets and their Host Stars
http://www.iau.org/n[...]
IAU.org
2014-07-09
[7]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Process
http://nameexoworlds[...]
2015-09-05
[8]
웹사이트
Final Results of NameExoWorlds Public Vote Released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5-12-15
[9]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Approved Names
http://nameexoworlds[...]
2015-12-21
[10]
간행물
A Jupiter-mass companion to a solar-type star
1995
[1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9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9-10-08
[12]
간행물
51 Pegasi
http://www.cbat.eps.[...]
[13]
서적
Optical and Infrared Interferometry
2008
[14]
간행물
Planetpol polarimetry of the exoplanet systems 55 Cnc and tau Boo
2007
[15]
뉴스
First visible light detected directly from an exoplanet
http://physicsworld.[...]
physicsworld.com
2015-04-22
[16]
간행물
Evidence for a spectroscopic direct detection of reflected light from 51 Pegasi b
2015
[17]
간행물
The GAPS Programme at TNG. XXIX. No detection of reflected light from 51 Peg b using optical high-resolution spectroscopy
2020
[18]
간행물
Polarization of hot Jupiter systems: A likely detection of stellar activity and a possible detection of planetary polariz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