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레로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레로폰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으로, '벨레로스를 죽인 자'라는 뜻을 가진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포세이돈의 아들이자 글라우코스에게 길러졌으며, 코린토스 시민을 살해한 후 리키아로 추방되었다. 리키아의 왕 이오바테스의 딸 필로노에와 결혼하여 자녀를 낳았으며, 키마이라를 물리치는 등 여러 시련을 겪었다. 벨레로폰은 페가수스를 타고 하늘을 날았으나 제우스의 분노를 사 땅으로 떨어져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그는 헤라클레스 이전 시대의 영웅으로 숭배받기도 했으며, 그의 이야기는 에우리피데스의 비극과 다양한 해석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골리스 신화 - 오레스테이아
    오레스테이아는 아이스킬로스의 3부작 비극으로, 아가멤논의 귀향과 죽음, 아들의 복수, 그리고 재판을 통한 죄의 사면을 다루며 복수, 정의, 모권과 부권의 갈등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고 여러 예술 분야에 영감을 준 작품이다.
  • 아르골리스 신화 - 엘렉트라 (에우리피데스)
    엘렉트라 (에우리피데스)는 에우리피데스가 기원전 412년경에 쓴 비극으로, 아가멤논의 딸 엘렉트라가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동생 오레스테스와 함께 어머니와 그녀의 정부를 살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페가수스 - 페가수스자리
    페가수스자리는 북반구에서 관측하기 쉬운 큰 별자리로, 뚜렷한 사각형 성군을 포함하며, 외계 행성을 가진 51 페가수스자리를 비롯한 다양한 천체와 그리스 신화 속 날개 달린 말 페가수스에서 유래한 독특한 의미를 지닌다.
  • 페가수스 - 페르세우스
    페르세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다나에와 제우스 사이에서 태어나 메두사 퇴치 임무를 수행하고 안드로메다를 구출하여 결혼, 페르세우스 왕가의 시조가 되었으며 예술 작품의 소재와 별자리로도 기려진다.
  • 코린토스 신화 - 시시포스
    시시포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로, 신들을 속인 죄로 타르타로스에서 영원히 바위를 굴리는 형벌을 받으며, 무의미한 노력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코린토스 신화 - 메데이아 (에우리피데스)
    메데이아는 에우리피데스가 기원전 431년에 발표한 그리스 비극으로, 남편 이아손의 배신에 복수하기 위해 메데이아가 크레온 왕과 그의 딸 글라우케를 독살하고 자신의 아이들까지 살해하는 이야기를 다루며, 초연 당시에는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지만 후대에 재평가되어 서양 고전으로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벨레로폰
기본 정보
아프로디시아스에서 발견된 벨레로폰이 페가수스를 쓰다듬는 모습 (기원후 1세기)
아프로디시아스 (게이레 근처), 튀르키예에서 발견된 벨레로폰이 페가수스를 쓰다듬는 모습 (기원후 1세기)
다른 이름히포노우스
소속코린토스 왕가
칭호키메라 살해자, 페가수스 길들인 자
상징망토, 창
신화적 정보
유형그리스
거주지포트니아이, 후에는 아르고스와 리키아
부모포세이돈과 에우리노메
글라우코스와 에우리메데
형제자매델리아데스와 여러 이복 형제자매
배우자필로노에
아스테리아
자녀이사ндар, 히폴로코스, 라오다미아
히딧소스
계승자이오바테스
후임자히폴로코스

2. 어원

벨레로폰이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βέλεμνον'(bélemnon, "투사체, 다트")와 '-φόντης'(-phóntēs, "살해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6][7] 이는 '벨레로스를 죽인 자'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제프리 커크 역시 "Βελλεροφόντης는 '벨레로스 살해자'를 의미"한다고 주장한다.[8]

원래 벨레로폰의 이름은 히포노오스였으나, 코린토스의 유력자 벨레로스를 실수로 죽인 후 벨레로폰테스(Βελλεροφόντης)라고 불리게 되었다.[9] 이는 헤르메스아르고스를 살해한 후 '아르기폰테스'(Ἀργειφόντης, 아르고스를 죽인 자)라는 별칭을 얻은 것과 유사하다.[10]

3. 가족 관계

벨레로폰은 포세이돈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필멸자인 에우뤼노메[13](또는 에우뤼메데[14])이고, 글라우코스에게 양육되었다. 그는 델리아데스(또는 페이렌 혹은 알키메네스)의 형제였다.[15]

벨레로폰은 리키아의 왕 이오바테스의 딸 필로노에[22](다른 이름으로는 알키메두사, 카산드라[23], 안티클레이아[24], 파산드라[25])와의 사이에서 이산데르[16](페이산드로스)[17], 히폴로코스[18], 라오다미아[19](데이다미아[20] 또는 히포다미아[21])를 낳았다. 일부 전승에 따르면, 벨레로폰은 히데우스의 딸 아스테리아와의 사이에서 히디소스를 낳았다고도 한다.[26]

4. 신화

일리아스 6권 155~203행에는 벨레로폰의 손자 글라우코스가 들려주는 삽화가 실려 있는데, 여기서 벨레로폰의 신화가 묘사되고 있다. 벨레로폰의 아버지는 포트니아에의 왕이자 시시포스의 아들인 글라우코스였다.[27] 벨레로폰의 손자 사르페돈과 어린 글라우코스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다.

스테파누스 비잔티누스의 『에트니카』에는 크리사오르("황금 검을 가진 자")라는 인물의 계보가 나와 있는데, 이는 그를 벨레로폰의 또 다른 모습으로 만든다. 그는 시시포스의 아들인 글라우코스의 아들로 불렸다. 크리사오르는 그의 탄생 외에는 신화가 없다. 그는 포세이돈의 아이를 임신한 메두사의 잘린 목에서 태어났으며, 그녀가 죽는 순간 페가수스와 함께 태어났다.

벨레로폰과 페가수스. 아프로디시아스(튀르키예)에서 발굴된 부조


리키아이오바테스는 스테네보이아의 아버지이며, 벨레로폰이 가져온 편지를 읽은 왕은 그에게 키마이라 퇴치를 명령했다.[34] 키마이라는 머리는 사자, 몸은 염소, 꼬리는 뱀의 모습을 하고 입에서 불꽃을 뿜는 괴물이었다.[34] 벨레로폰은 페가수스를 타고 높이 날아올라 키마이라를 쏘아 죽였다.[34]

페가수스는 코린토스의 피레네 샘에서 물을 마시고 있을 때 벨레로폰이 붙잡았다. 또는 포세이돈의 선물로 여신 아테나가 페가수스를 그에게 데려왔다고도 한다.[36]

이오바테스는 벨레로폰을 솔리미족과 싸우게 하고, 아마존과도 싸움을 벌이게 했다. 벨레로폰은 모두 승리하고 돌아왔으나, 이오바테스는 뤼키아의 용사들을 시켜 매복 공격을 가했다. 하지만 벨레로폰은 이들마저 모두 쳐부쉈다. 이오바테스는 벨레로폰이 영웅임을 깨닫고, 딸 필로노에를 주고 후계자로 삼아 왕권의 절반을 넘겨주었다.[41]

4. 1. 코린토스에서의 추방

벨레로폰은 원래 히포노우스라는 이름을 가졌으나, 코린토스의 유력자 벨레로스를 실수로 죽이면서 '벨레로스를 죽인 자'라는 뜻의 벨레로폰테스, 줄여서 벨레로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30] 다른 이야기에서는 그의 형제인 델리아데스, 페이렌, 알키메네스를 죽였다고도 한다.[29]

이 죄를 씻기 위해 벨레로폰은 티린스의 왕 프로이토스에게 의탁했다.[29] 프로이토스는 벨레로폰의 죄를 씻어주었다.

4. 2. 티린스에서의 모함

벨레로폰은 살인을 저지른 죄로 티린스의 왕 프로이토스에게 가서 정화를 받았다.[29] 프로이토스의 아내 스테네보이아(Σθενέβοια|스테네보이아grc)는 벨레로폰에게 연정을 품고 유혹했지만, 벨레로폰은 이를 거절했다.[32] 이에 스테네보이아는 앙심을 품고 벨레로폰이 자신을 겁탈하려 했다고 프로이토스에게 거짓으로 모함했다.[33] 프로이토스는 손님을 직접 죽일 수 없어(크세니아) 벨레로폰을 죽여달라는 내용의 편지를 써서 리키아의 왕 이오바테스에게 보냈다.[34]

4. 3. 리키아에서의 시련

리키아(오늘날의 터키)에 있는 키마이라 산의 영원한 불꽃으로, 키마이라 신화가 일어난 곳이다.


벨레로폰은 이오바테스 왕의 명령으로 키마이라를 퇴치하기 위해 리키아로 향했다. 키마이라의 뜨거운 숨결을 느낀 벨레로폰은 묘안을 떠올렸다. 그는 커다란 납 덩어리를 창에 부착하고 키마이라를 향해 정면으로 날아갔다. 공격을 멈추기 전에 납 덩어리를 키마이라의 목구멍 안에 집어넣었고, 괴물의 불꽃 숨결에 납이 녹아 기도를 막아 질식시켰다.[37]

벨레로폰이 승리하고 돌아오자 이오바테스 왕은 그의 이야기를 믿지 않았다. 벨레로폰은 남자처럼 싸우는 호전적인 아마존족과 싸우도록 보내졌는데, 페가수스를 타고 바위를 떨어뜨려 그들을 물리쳤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솔리미족과의 대결도 묘사된다.

이후 카리아 해적 케르마르루스와의 전투에서 벨레로폰은 매복 공격을 받았으나, 암살자들을 모두 죽이고 승리했다. 궁궐 경비병이 그를 공격하려 하자, 벨레로폰은 아버지 포세이돈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포세이돈은 크산토스 강 뒤의 평원을 물에 잠기게 했다. 궁궐 여인들은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옷을 걷어 올리고 문 밖으로 달려 나왔고, 벨레로폰은 옷을 벗은 그들과 대면하기를 꺼려 물러났다.[40]

결국 이오바테스는 마음을 바꾸고 벨레로폰에게 자신의 딸 필로노에(안테이아의 여동생)와 결혼을 허락하고 왕국의 절반을 주었다.[41] 그곳에는 훌륭한 포도원과 곡창이 있었다. 필로노에는 벨레로폰에게 이산데르(페이산데르),[17][42] 히폴로코스, 라오다미아를 낳았는데, 라오다미아는 제우스와 동침하여 사르페돈을 낳았지만 아르테미스에게 살해당했다.[43][44][45]

4. 4. 페가수스 포획

자크 립시츠의 작품 ''벨레로폰이 페가수스를 길들이는 모습''(1977년), 컬럼비아 대학교, 뉴욕


키마이라를 퇴치하기 위해 날개 달린 말 페가수스가 필요했던 벨레로폰은 예언자 폴리이도스의 조언에 따라 아테나 신전에서 잠을 잤다. 꿈속에서 아테나는 벨레로폰에게 황금 고삐를 주며 "아이올로스의 집안 왕자여, 잠들었느냐? 이 말의 부적을 가져가 포세이돈에게 흰 황소를 희생으로 바치며 바치도록 해라."[35]라고 말했다. 벨레로폰은 꿈에서 깨어나 황금 고삐를 발견했고, 폴리이도스가 알려준 코린토스의 피레네 샘에서 페가수스를 발견하고 사로잡았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아테나가 이미 길들여지고 고삐가 채워진 페가수스를 데려왔다고도 하고, 말 조련사 포세이돈이 비밀리에 벨레로폰의 아버지로서 페가수스를 데려왔다고도 한다.[36]

4. 5. 몰락

벨레로폰은 키마이라를 물리친 후 명성이 높아졌지만, 그의 오만함도 함께 커졌다. 그는 자신이 신들의 영역인 올림포스 산으로 날아갈 자격이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오만한 행동은 제우스를 분노하게 만들었다. 제우스는 말벌을 보내 페가수스를 쏘게 했고, 벨레로폰은 땅으로 떨어져 죽었다.[46]

다른 전승에 따르면, 벨레로폰은 킬리키아의 알레이온 평원("방황")에서 가시 덤불에 떨어져 눈이 멀었고, "자신의 영혼을 갉아먹으며" 비참하게 살다가 죽었다고 한다.[47][48] 벨레로폰이 하늘에 오르려 할 때 제우스의 벼락을 맞았다는 설도 있고, 페가수스가 그를 떨어뜨렸다는 설도 있다. 그는 다리를 절며 사람들을 피해 외롭게 살다가 죽었다고 전해진다.

5. 기타 전승

벨레로폰은 트로이젠 왕 피테우스의 딸 아이트라에게 구혼했지만, 아이트라는 아이게우스와 결혼하여 테세우스를 낳았다.[1][2] 벨레로폰과 테세우스는 진짜 아버지가 포세이돈이라고 전해진다는 공통점이 있다.

히기누스에 따르면, 펠리아스의 장례 경기에서 벨레로폰은 경마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같은 장례 경기에서 벨레로폰의 아버지 글라우코스는 전차 경주에서 말들에게 물려 죽는 사건이 일어났다.[3]

6.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에우리피데스는 벨레로폰을 주제로 한 두 편의 비극, 《스테네보이아》와 《벨레로폰테스》를 썼으나, 현재는 단편들만 전해진다. 《스테네보이아》에서는 벨레로폰이 스테네보이아에게 복수하기 위해 페가수스를 타고 티린스로 돌아와 그녀를 속여 바다에 빠뜨려 죽이는 내용이 담겨 있다.

《벨레로폰테스》에서는 벨레로폰이 신의 존재를 의심하고 페가수스를 타고 하늘에 오르려다 추락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벨레로폰이 신의 존재에 대해 의문을 품는 듯한, 사악하고 불경스러운 자들이 편안한 삶을 사는 반면 선한 자들이 고통받는 것을 대비하여 언급하는 대담한 구절은 아리스토파네스가 에우리피데스에게 "무신론" 혐의를 씌운 근거가 된 것으로 보인다.[49]

7. 해석

벨레로폰 신화는 영웅의 성공과 몰락, 오만, 신의 섭리 등 전형적인 그리스 비극의 요소를 담고 있다. 벨레로폰이 프로이토스의 편지를 받았다는 일화는 미케네 문명 시대에 문자가 존재했음을 시사한다.[6] 솔리모이족은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따르면 리키아 지방의 원주민으로, 크레타 섬에서 온 리키아인들과 적대 관계였다.[7]

영국시인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벨레로폰과 파에톤의 유사성을 들어, 두 사람이 새로운 태양신 제우스에게 신앙을 빼앗긴 태양 영웅이라고 해석한다.[8] 또한 투창의 명수이며, 하늘을 가로질러 날아가는 벨레로폰은 그의 할아버지 시시포스 또는 테스프(Tešup|테슈프hit)와 동일 인물이 아닌가 추측한다.[8]

참조

[1] 문서 Chiliades https://topostext.or[...]
[2] 논문 Le mythe iliadique de Bellérophon www.persee.fr/doc/ga[...] 1997
[3] 서적 1959
[4] 서적 Iliad
[5] 서적 Encyclopedia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
[6] 간행물 ΚΡΑΤΟΣ et sa famille chez Homère: étude sémantique www.persee.fr/doc/mo[...] Maison de l'Orient et de la Méditerranée Jean Pouilloux 1989
[7] 논문 Remarques sur quelques aspects linguistiques de l'épopée homérique et sur leurs conséquences pour l'époque de fixation du texte (Seconde Partie) www.persee.fr/doc/ga[...] 2005
[8] 서적 1990
[9] 문서 Scholion zu Homer
[10] 서적 https://archive.org/[...] 1959
[11] 서적 Le mirage grec. L'Orient du mythe et de l'épopée www.persee.fr/doc/is[...] Institut des Sciences et Techniques de l'Antiquité 2000
[12] 문서 ad Lycophron, on Homer https://topostext.or[...]
[13] 문서 Fabulae https://topostext.or[...]
[14] 문서 Bibliotheca https://www.perseus.[...]
[15] 문서
[16] 문서 Iliad
[17] 문서 Geographica
[18] 문서 Iliad
[19] 문서 Iliad http://data.perseus.[...]
[20] 문서
[21] 문서 Clementine Recognitions
[22] 문서 Bibliotheca https://topostext.or[...]
[23] 문서 Iliad https://archive.org/[...]
[24] 문서 Olympian Ode https://archive.org/[...]
[25] 문서 Iliad
[26] 문서 Hydissos
[27] 서적 1959
[28] 서적 1959
[29] 서적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30] 학술 Argeiphontes: A Suggestion, How to be a Dragon in Indo-European: Hittite illuyankas and its Linguistic and Cultural Congeners in Latin, Greek, and Germanic 1950, 1998
[31] 문서 Iliad
[32] 문서 Stheneboia, Bellerophontes
[33] 서적 The Greek Myths 1960
[34] 문서 Hamlet
[35] 서적 Apollodorus Mythographus 1959
[36]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37] 서적 On Gregory of Nazianzus https://books.google[...]
[38] 문서 Kerenyi 1959
[39] 서적 Theogony
[40] 문서 On the Virtues of Women
[41] 논문 Royal succession in heroic Greece
[42] 문서 Iliad
[43] 서적 Iliad
[44] 웹사이트 Chapter 25: Myths of Local Heroes and Heroines http://www.us.oup.co[...]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0-04-26
[45]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46] 문서 Icarus (mythology)
[47] 서적 The Iliad with an English Translation by A.T. Murray, Ph.D. in two volumes https://www.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06-11
[48] 서적 Olympian Odes
[49] 논문 The 'atheistic' fragment from Euripides' ''Bellerophontes'' (286 N²)
[50] 논문 Jonson's 'Perseus upon Pegas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