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데리코 살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데리코 살몬은 스페인 제2공화국 시기에 활동한 법학자이자 정치인이다. 세구라 수로연맹 고문과 무르시아 대학교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1931년에는 신문사 라 베르다드 데 무르시아를 인수하여 경영했다. 스페인 자치우익연합(CEDA) 창당에 기여하여 초대 사무총장을 지냈으며, 1933년 총선에서 하원의원에 당선되었다. 알레한드로 레룩스 내각에서 보건사회복지부 장관, 호아킨 차파프리에타 토레그로사 내각에서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반실업 조항법 제정, 농촌 학교 건설, 보건조정법 확립 등 사회 복지 정책을 추진했다. 스페인 내전 중 체포되어 석방되었으나, 파라쿠엘로스 학살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프란시스코 라르고 카바예로
    프란시스코 라르고 카바예로는 스페인 사회노동당과 스페인노동총동맹의 지도자로서 스페인 제2공화국 시기에 노동부 장관과 총리를 역임했으며, 급진 좌파로 전환 후 스페인 내전 중에는 총리 겸 국방장관을 지냈으나 나치에 체포되어 강제 수용소에 수감 후 파리에서 사망한 스페인의 정치인이자 노동 운동가이다.
  • 스페인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파블로 피카소
    파블로 피카소는 스페인 태생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입체파 화가이자 조각가로서 조르주 브라크와 함께 입체주의 미술 양식을 창시했으며 《아비뇽의 처녀들》, 《게르니카》 등의 대표작과 함께 회화, 조각, 판화, 도자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작품을 남긴 20세기 최고의 예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1936년 사망 - 로베르트 미헬스
    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이론을 제시했으며,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
  • 1936년 사망 - 김형권
    김형권은 북한의 공산주의 혁명투사로 미화되었으며, 풍산군이 김형권군으로 개칭되었지만, 그의 초기 생애와 활동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며,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 1900년 출생 - 살로테 투포우 3세
    살로테 투포우 3세는 1900년 통가에서 태어나 1918년 즉위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통가를 이끌었고, 문화 보존과 학술 연구를 지원하다 1965년 사망한 통가의 여왕이다.
  • 1900년 출생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페데리코 살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페데리코 살몬
페데리코 살몬
이름페데리코 살몬 아모린
원어명Federico Salmón Amorín
국적스페인 제2공화국
출생일1900년 8월 27일
출생지스페인 왕국 알리칸테
사망일1936년 11월 7일 (36세)
사망지스페인 제2공화국 마드리드
종교가톨릭
배우자콘셉시온 호버 라베르다
자녀돌로레스 살몬 호버
부모돌로레스 아모린 페세드, 후안 살몬 칸탈로바
정치 경력
직책보건사회복지부 장관
임기1935년 5월 6일 ~ 12월 14일
대통령알레한드로 레룩스
전임엘로이 바케로 칸티요
후임알프레도 마르티네스 가르시아 아르겔레스
직책2법무부 장관
임기21935년 9월 25일 ~ 12월 14일
대통령2호아킨 차파프리에타 토레그로사
전임2칸디도 카사누에바 이 고르욘
후임2알프레도 마르티네스 가르시아 아르겔레스
직책3공화국의회 무르시아 하원의원
임기31933년 12월 12일 ~ 1936년 1월 7일
정당스페인 자치우익연합
학력 및 기타 정보
학력발렌시아 대학교 졸업

2. 초기 생애 및 경력

1926년 살몬은 Segura Hydrographic Confederation|세구라 수로연맹es의 고문으로 임명되어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2] 스페인 왕국 시기, 스페인 제2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수로연맹에서 근무했으며, 동시에 무르시아 대학교 정치학과 조교수직을 맡았다.[3]

2. 1. 무르시아 대학교 교수 및 언론 활동

1931년 9월, 그는 라 베르다드 데 무르시아 신문의 경영권을 인수하여 신문사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끌었다. 살몬이 운영하는 라 베르다드 데 무르시아는 무르시아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고, 인수 1년이 채 되기 전에 발행 부수가 기존보다 60% 가까이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4] 그러나 이러한 성공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신문에 대한 비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1932년 테루엘주 법정으로 이송되어 무르시아를 떠나라는 압박을 받았다. 이는 무르시아의 좌익 세력이 살몬을 지역에서 제거하려는 선동 때문이었다.[5] 하지만 이송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살몬은 주변호사로서 휴가를 요청하며 마드리드로 떠났다.

2. 2. 스페인 자치우익연합(CEDA) 참여

CEDA의 로고.


1933년 1월, 마드리드로 이주한 살몬은 마드리드 대학연구센터의 초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6] 같은 시기에 그는 대중행동에서 호세 마리아 힐로블레스와 함께 활동했다. 살몬은 1933년 2월 28일부터 3월 1일까지 열린 CEDA 창당 회의를 조직했으며, 이 회의에서 CEDA의 초대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1933년 스페인 총선에서는 무르시아 지역구에서 공화국 의회 하원의원으로 당선되었다.[7]

3. 장관 재임 시절

중도 우파 성향의 정치인인 페데리코 살몬은 1933년 5월 6일부터 9월 25일까지 알레한드로 레룩스 내각에서 보건사회복지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후 호아킨 차파프리에타 토레그로사 내각에서는 법무부 장관을 맡았다. 그는 장관 재임 시절 노동, 교육, 보건 및 사회복지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정책 입안과 개혁을 추진했다.[8]

3. 1. 주요 정책 및 업적

중도 우파 성향을 가졌던 살몬은 알레한드로 레룩스 내각 시기인 1933년 5월 6일부터 9월 25일까지 보건사회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이후 호아킨 차파프리에타 토레그로사 내각에서는 법무주 장관직을 맡았다.

장관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여러 중요한 정책을 추진했다. 특히 노동자들의 실업 문제를 해결하고 기업가들에게 세금 혜택을 보장하기 위한 반실업 조항법, 일명 살몬법을 제정하여 1935년 6월 26일에 승인을 받았다.[8] 또한 당시 사회 문제로 부각되었던 농민 자녀들의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농촌 학교 건설을 명령하기도 했다.[8]

의료 및 사회복지 분야에서도 개혁을 이끌었다. 현대 사회보장제도의 기초가 되는 보건조정법의 개념을 확립했으며, 스페인 내 결핵 및 기타 질병 퇴치를 목표로 국가의료개편법을 제정하여 환자들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 외에도 매춘에 대한 규제를 폐지하는 법안을 제정하기도 했다.[8]

정신 보건 분야에서는 일부 정신 질환을 일반 질환으로 재분류하고, 스페인 전역에 정신병원 또는 정신과 설치를 추진했다. 살몬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의료 서비스 제공과 이들이 방치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노력했다. 가톨릭교 신자로서 낙태 합법화에는 반대했지만, 당시 비전문적인 의료 행위로 인한 피해가 있었기에 임산부의 생명 보호와 관련된 법안을 마련하기도 했다.[8] 그는 장관 재임 7개월 만에 18개 법안의 초안을 작성하는 등 활발한 입법 활동을 보였다.[8]

4. 스페인 내전과 죽음

7월 쿠데타가 실패로 돌아가고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살몬은 마드리드에서 좌익 세력의 표적이 되었다. 그는 제자이자 친구인 라파엘 비나더 솔레르의 집으로 피신했으나, 1936년 9월 14일 솔레르와 함께 체포되었다. 체포된 후 체카 데 포멘토에 수감되었고, 일주일 뒤에는 모델로 교도소로 이송되었다.

살몬은 쿠데타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쿠데타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기 어려워 재판은 연기되었다. 결국 재판은 열리지 않았고, 그는 1936년 11월 7일에 석방되었다. 그러나 석방 직후 파라쿠엘로스 데 하라마에서 벌어진 파라쿠엘로스 학살 과정에서 희생되었다.

참조

[1] 뉴스 Las placas Salmón: republicanas y franquistas a la vez https://www.lavangua[...] La Vanguardia 2016-10-08
[2] 법령 Real Decreto Ley, 23 agosto de 1926, Art. 5º
[3] 기타 Archivo de la Universidad de Murcia
[4] 간행물 "Junta General de Accionistas de Editorial La Verdad, S. A., La Verdad. 31/01/1933, p. 1.“La situación de LA VERDAD en el primer aniversario de sus reformas”, Suplemento extraordinario, La Verdad, 30/05/1933."
[5] 뉴스 MARTÍN, Isidoro: “Un director nonnato[sic]”, YA, 07/11/1960. 1960-11-07
[6] 뉴스 El Centro de Estudios Universitarios", El Debate, 31/12/1932 1932-12-31
[7] 논문 Dolores Pérez Salmón "Primer director de YA: una oferta incompatible" en Dolores Pérez Salmón: Federico Salmón Amorín, una biografía política (1900-1936). Tesis doctoral. Universidad San Pablo CEU, julio 2017, pp. 383-390 2017-07-01
[8] 기타 Ibídem, pp. 516-5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