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디카스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디카스 2세는 알렉산드로스 1세의 아들이자 아르켈라오스 1세의 아버지로, 형 아르케타스 2세를 몰아내고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이 되었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동생 필리포스와 아테네의 반란을 겪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에 아테네와 스파르타 사이에서 동맹을 바꾸는 외교 정책을 펼쳤다. 목재 무역을 통해 얻는 경제적 이익과 마케도니아의 독립을 위해 실리적인 외교를 펼쳤다는 평가와 함께, 끊임없이 동맹을 바꾸는 그의 외교 정책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13년 사망 - 니키아스
니키아스는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부유한 집안 출신으로 자선 활동을 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스파르타와 평화를 협상했으나 시칠리아 원정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 기원전 413년 사망 - 데모스테네스 (장군)
데모스테네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 아테나이의 장군으로, 필로스 전투와 스팍테리아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메가라 탈취 실패와 시켈리아 원정 패배를 겪었으며, 군사적 능력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지만 용기와 애국심은 높이 평가받고 당대 인물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 아르게아스 왕조 - 필리포스 2세
필리포스 2세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으로, 군사적 재능과 외교적 수완으로 마케도니아를 그리스 최강의 국가로 만들고 그리스 대부분을 정복하여 패권을 장악했으며, 군사 개혁과 정복 활동, 코린토스 동맹 결성으로 그리스 패권을 확립하고 페르시아 원정을 계획했으나 암살당했다. - 아르게아스 왕조 - 아에로포스 2세
아에로포스 2세는 알렉산드로스 2세와 페르디카스 3세의 형제이자 마케도니아 왕족으로, 왕이 되기 전 군사적, 외교적 활동으로 입지를 다졌으며, 마케도니아 왕국의 정치적 안정과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독재적인 통치로 정치적 갈등을 야기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펠로폰네소스 전쟁 관련자 - 알키비아데스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활약한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뛰어난 능력과 파란만장한 생애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펠로폰네소스 전쟁 관련자 -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역사가이자 장군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집필을 위해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그의 책은 객관적인 서술과 정치적 통찰력으로 후대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페르디카스 2세 | |
---|---|
기본 정보 | |
![]() | |
왕국 | 마케도니아 왕국 |
통치 기간 | 기원전 454년 – 기원전 413년 |
이전 통치자 | 알렉산드로스 1세 |
다음 통치자 | 아르켈라오스 1세 |
왕조 | 아르게아스 왕조 |
종교 | 고대 그리스 종교 |
개인 정보 | |
아버지 | 알렉산드로스 1세 |
어머니 | 미상 |
배우자 | 시마케 클레오파트라 |
자녀 | 아르켈라오스 1세 아에로포스 2세 미상의 아들 |
사망 | 기원전 413년 |
2. 생애
기원전 452년 알렉산드로스 1세의 사후 마케도니아 왕국은 분열되기 시작했다. 마케도니아 부족들은 거의 완전한 자치를 누렸고 왕과의 동맹은 매우 약했다. 기원전 434년, 페르디카스 2세의 형제 필리포스는 아테네와 엘리메아의 왕 데르다스의 지지를 받아 왕위에 도전했다. 페르디카스 2세는 포티다이아를 포함한 아테네 조공 도시들의 반란을 배후에서 조종하며 맞섰다.
아테네는 군사력으로 대응하여 1000명의 중장보병과 30척의 배를 마케도니아로 보냈다. 그들은 테르마를 점령하고 피드나를 포위했으며, 그곳에서 2000명의 중장보병과 40척의 배로 구성된 지원군을 만났다. 그러나 아테네가 피드나를 포위하는 동안, 코린토스가 포티다이아를 지원하기 위해 1600명의 중장보병과 400명의 경보병을 보냈다는 소식을 접했다.
새로운 위협에 맞서기 위해 아테네는 페르디카스 2세와 동맹을 맺고 포티다이아로 진군했다. 그러나 페르디카스 2세는 즉시 조약을 깨고 포티다이아로 진군했다. 포티다이아 전투에서 포티다이아·마케도니아·코린토스 등의 연합군은 아테네군에게 패배했고,[29] 이 전투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으로 이어졌다.
기원전 431년, 아테네는 트라키아의 왕 시탈케스와 동맹을 맺었는데, 이는 아테네인 님포도루스가 시탈케스의 누이와 결혼한 후였다.[15] 님포도루스는 아테네와 페르디카스 2세 간의 합의를 중재하여 페르디카스 2세는 테르마를 회복했다.[16] 결과적으로 아테네는 필리포스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트라키아인들이 그를 체포하는 데 페르디카스 2세를 돕기로 약속했다. 그 대가로 페르디카스 2세는 그가 이전에 반란을 선동했던 칼키디케인들에게로 진군했다.
그러나 페르디카스 2세는 다시 한번 아테네를 배신하고 기원전 429년 1000명의 군대를 스파르타를 지원하기 위해 아카르나니아에 보냈으나 너무 늦게 도착했다. 이에 시탈케스는 아테네의 지원 약속을 받고 마케도니아를 침공했다. 이 지원은 실현되지 않았고, 페르디카스 2세는 외교를 통해 마케도니아의 생존을 도모했다. 그는 시탈케스의 조카 세우테스 1세에게 자신의 누이 스트라토니케를 시집보내기로 약속했고, 세우테스는 시탈케스가 떠나도록 설득했다.[5][18][23]
이후 페르디카스 2세는 스파르타와 동맹을 맺었고, 기원전 424년에는 스파르타 장군 브라시다스를 도와 아테네의 중요한 식민지 암피폴리스를 점령했는데, 이는 함대 건조용 목재 확보에 중요한 곳이었다.[38] 이는 아테네에 큰 타격이었고, 이후 아테네는 마케도니아 목재에 의존하게 되어 마케도니아의 협상력이 강화되었다.[39]
이에 대한 보상으로 스파르타는 페르디카스 2세를 도와 린쿠스의 왕 아라바이오스를 공격했으나, 일리리아인들이 편을 바꿔 페르디카스 2세와 스파르타 동맹군을 공격했다. 훈련이 부족했던 마케도니아군은 도망쳤고, 스파르타군도 후퇴하면서 분노하여 마케도니아군의 수송대를 공격했다. 이 사건으로 마케도니아와 펠로폰네소스 동맹 간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페르디카스 2세는 기원전 423년에 아테네와 동맹을 맺게 되었다.[38]
기원전 417년, 페르디카스 2세는 아테네를 떠나 스파르타-아르고스 동맹에 합류했다. 그러나 4년 후 아테네의 압력으로 펠로폰네소스 동맹을 탈퇴하고 아테네와 연합하여 암피폴리스를 공격했다.[41] 기원전 413년 페르디카스 2세는 사망했고, 그의 아들 아르켈라오스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2. 1. 가족
페르디카스 2세는 알렉산드로스 1세의 아들이었다. 그는 알케타스, 아민타스, 메넬라오스, 필리포스 등 4명의 형제를 두었다.[3] 메넬라오스는 훗날 국왕이 되는 아민타스 2세의 아버지였으며, 아민타스의 손자는 아민타스 3세였다.[4] 기원전 429/428년경, 페르디카스는 자신의 누이 스트라토니케를 세우테스 1세와 결혼시켜 트라키아의 마케도니아 침공을 종식시켰다. 세우테스는 트라키아 왕 시탈케스의 조카였다.[5]페르디카스는 재위 기간 동안 시마케와 클레오파트라 등 적어도 두 명의 여성과 결혼했다.[6]
2. 2. 즉위
페르디카스 2세는 알렉산드로스 1세의 아들이자 아르케라오스 2세의 동생이며, 아르켈라오스 1세의 아버지이다. 아르켈라오스 1세는 페르디카스 2세와 아르케타스의 노예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서자였다. 페르디카스 2세는 형 아르케타스에게서 왕위를 빼앗았고, 이후 아르케타스는 아들 알렉산드로스와 함께 아르켈라오스 1세에게 살해되었다.[24]2. 3. 통치 초기: 아테네와의 갈등
기원전 434년, 페르디카스 2세의 형제 필리포스는 아테네와 엘리미아의 왕 데르다스의 지지를 받아 왕위에 도전했다. 페르디카스 2세는 포티다이아를 포함한 여러 아테네 조공 도시들에 반란을 일으키도록 배후 조종하여 대응했다.이에 아테네는 군사력으로 대응하여 1000명의 중장보병과 30척의 배를 마케도니아로 보내 테르마를 점령하고, 피드나를 포위했다. 피드나에서는 추가로 2000명의 중장보병과 40척의 배가 증원되었다. 그러나 아테네군이 피드나를 포위하는 동안, 코린토스가 1600명의 중장보병과 400명의 경보병 부대를 포티다이아 지원을 위해 보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 새로운 위협에 맞서기 위해 아테네는 페르디카스 2세와 동맹을 맺고 포티다이아로 진격했다. 그러나 페르디카스 2세는 즉시 조약을 깨고 포티다이아로 진격했다. 포티다이아 전투에서 포티다이아·마케도니아·코린토스 등의 연합군은 아테네군에게 패배했고[29], 이 전투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불씨 중 하나가 되었다.
기원전 432년, 페르디카스 2세는 코린토스와 함께 포티다이아 등 트라키아 도시들에게 델로스 동맹에서 이탈할 것을 요청하고, 칼키디케인, 보티아이아인도 대아테네전에 참전시키려 협상했다. 아테네는 아르케스트라토스 외 4명의 장군이 이끄는 군대를 보냈다[25]. 포티다이아인, 칼키디케인, 보티아이아인이 봉기하자 페르디카스 2세는 흩어져 있는 마을을 포기하고 올린토스 시로 모이게 했다[26][27]. 코린토스는 아리스테우스가 이끄는 원군을 보냈다. 아테네는 페르디카스 2세와 일단 화해했지만, 그는 다시 포티다이아와 결합하여 이올라오스가 이끄는 기병 부대 200명을 포티다이아로 보냈다[28].
2. 4. 시탈케스와의 관계
기원전 431년, 아테네는 트라키아의 왕 시탈케스와 동맹을 맺었는데, 이는 아테네인 님포도루스가 시탈케스의 누이와 결혼한 후였다.[15] 님포도루스는 아테네와 페르디카스 간의 합의를 중재하여 페르디카스는 테르마를 되찾았다.[16] 그 결과, 아테네는 필리포스에 대한 지원을 철회하고 트라키아인들이 그를 체포하는 데 페르디카스를 돕기로 약속했다. 그 대가로 페르디카스는 칼키디케인들에게 진군했는데, 이는 그가 이전에 반란을 선동했던 자들이었다.그러나 페르디카스는 다시 한번 아테네를 배신하고 기원전 429년에 1,000명의 군대를 스파르타를 지원하기 위해 아카르나니아로 보냈지만, 너무 늦게 도착했다. 이에 시탈케스는 아테네의 지원 약속을 받고 마케도니아를 침공했다. 이 지원은 실현되지 않았고, 페르디카스는 외교를 통해 마케도니아의 생존을 도모했다. 그는 시탈케스의 조카 세우테스 1세에게 자신의 누이 스트라토니케를 시집보내기로 약속했고, 세우테스는 시탈케스가 떠나도록 설득했다.[5][18][23]
2. 5. 스파르타와의 관계
이후 페르디카스는 스파르타와 동맹을 맺었다. 기원전 424년, 스파르타 장군 브라시다스를 도와 아테네의 중요한 식민지 암피폴리스를 점령했는데, 이곳은 함대 건조용 목재 확보에 중요한 곳이었다.[38] 이는 아테네에 큰 타격이었고, 이후 아테네는 마케도니아 목재에 의존하게 되어 마케도니아의 협상력이 강화되었다.[39]스파르타는 페르디카스를 도와 그의 국경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일리리아인들의 지원을 약속받고 린쿠스의 왕 아라바이오스를 공격했다. 그러나 일리리아인들은 편을 바꿔 페르디카스와 스파르타 동맹군을 공격했다. 훈련이 부족했던 마케도니아군은 도망쳤고, 스파르타군도 후퇴하면서 분노하여 마케도니아군의 수송대를 공격했다. 이 사건으로 마케도니아와 펠로폰네소스 동맹 간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페르디카스는 기원전 423년에 아테네와 동맹을 맺게 되었다.[38]
기원전 417년, 페르디카스는 아테네를 떠나 스파르타-아르고스 동맹에 합류했다. 그러나 4년 후 아테네의 압력으로 펠로폰네소스 동맹을 탈퇴하고 아테네와 연합하여 암피폴리스를 공격했다.[41]
3. 평가
페르디카스 2세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이라는 격동의 시기에 마케도니아 왕국의 독립과 경제적 이익을 위해 아테네와 스파르타 사이에서 끊임없이 동맹을 바꾸는 실리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그는 목재 무역을 통해 얻는 수익과 마케도니아의 독립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면서, 목재라는 카드를 활용하여 강대국들 사이에서 교묘하게 처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9][44]
마케도니아는 군선의 재료가 되는 목재의 주요 수출국이었고, 해군 국가인 아테네는 마케도니아의 최대 고객이었다. 그러나 아테네의 에게 해 세력 확장은 마케도니아에게 위협이 되었기 때문에 페르디카스 2세는 아테네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려 했다.[39] 이를 위해 페르디카스 2세는 때로는 "허언"으로 비난받기도 하는 외교 정책을 펼쳤다.[43]
하지만,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마케도니아의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긍정적인 시각도 있다. 페르디카스 2세는 그리스 세계로 진출을 시도한 아버지 알렉산드로스 1세와 마케도니아를 발전시킨 아들 아르켈라우스 사이에서, 어려운 시기에 목재 무역을 통한 수익과 마케도니아의 독립을 지켜낸 왕으로 평가받는다.[44]
참조
[1]
서적
Handbook of Coins of Macedon and Its Neighbors. Part I: Macedon, Illyria, and Epeiros, Sixth to First Centuries BC
Classical Numismatic Group
2016
[2]
논문
The Kings of Makedon: 399-369 B.C
1995
[3]
간행물
Classical Macedonia to Perdiccas III
https://onlinelibrar[...]
Wiley-Blackwell
2023-05-08
[4]
간행물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Blackwell Publishing
2010
[5]
서적
Women and Monarchy in Macedoni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p.20
2000
[6]
문서
Gorgias
http://www.perseus.t[...]
Harvard University Press
[7]
문서
Carney 2000, p. 17
[8]
문서
Gorgias
http://www.perseus.t[...]
[9]
문서
Carney 2000, p. 21-22
[10]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Volume II: 550-336 B.C
Clarendon Press
1979
[11]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12]
문서
Roisman 2010, p. 146
[13]
서적
A History of Macedonia Volume II: 550-336 B.C
Clarendon Press
1979
[14]
문서
The Peloponnesian War
http://www.perseus.t[...]
London, J. M. Dent; New York, E. P. Dutton
1910
[15]
서적
In the Shadow of Olympus: The Emergence of Maced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문서
Thucyides 2.29.6
http://www.perseus.t[...]
[17]
문서
Thucydides 2.95
http://www.perseus.t[...]
[18]
문서
Hammond 1979, p. 128-129
[19]
문서
Thucydides 2.100
http://www.perseus.t[...]
[20]
문서
Roisman 2010, p. 149-150
[21]
문서
Borza 1990, p. 146-147
[22]
문서
Thucydides 2.101.5
http://www.perseus.t[...]
[23]
문서
Thucydides 2.101.6
http://www.perseus.t[...]
[24]
문서
ゴルギアス
[25]
문서
I. 56-57
[26]
문서
I. 58
[27]
문서
XII. 34
[28]
문서
I. 61-62
[29]
문서
I. 62
[30]
문서
澤田, p. 117, 153
[31]
문서
II. 29
[32]
문서
II. 80
[33]
문서
II. 95
[34]
문서
XII. 50
[35]
문서
II. 95-101
[36]
문서
ディオドロス, XII. 51
[37]
문서
トゥキュディデス, IV. 79-83
[38]
문서
トゥキュディデス, IV. 124, 125, 128, 132
[39]
서적
澤田, p. 154
[40]
문서
トゥキュディデス, IV. 108
[41]
문서
トゥキュディデス, V. 80, 83
[42]
문서
トゥキュディデス, VII. 9
[43]
문서
アテナイオス, I. 27e
[44]
서적
澤田, p. 1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