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펜타비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펜타비전은 200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게임 개발사로, PC, PSP, 아케이드, 모바일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게임을 출시했다. 대표작으로는 리듬 게임 시리즈인 DJMAX가 있으며, DJMAX 온라인, DJMAX 포터블, S4 리그 등을 개발했다. 2006년 네오위즈에 인수되어 자회사로 편입되었으며, 2012년 네오위즈 모바일과 합병하여 회사 형태는 소멸했다. 이후 펜타비전 스튜디오로 운영되다 네오위즈 게임즈와의 합병으로 소멸되었다. 펜타비전 출신 개발자들은 이후 Nurijoy, PNIX GAME, PM Studios 등에서 활동하며 게임 개발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해체된 비디오 게임 기업 - 허드슨 소프트
    허드슨 소프트는 아마추어 무선 샵으로 시작하여 PC 소프트웨어 및 가정용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사로 성장, 닌텐도와 함께 패밀리 베이직을 공동 개발하고 '타카하시 명인의 모험섬', '봄버맨' 등의 히트작을 발매하며 패미컴 붐을 이끌었으나, NEC와 PC 엔진을 공동 개발한 후 2012년 코나미에 흡수 합병되었다.
  • 2012년 해체된 비디오 게임 기업 - 아켈라
    아켈라는 1993년 설립되어 해외 게임 현지화로 시작해 《씨 독스》, 《캐리비안의 해적》 등의 자체 게임 개발과 다양한 게임 배급으로 러시아 게임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2012년 운영이 중단된 러시아 게임 개발 및 배급사이다.
  • 2004년 설립된 비디오 게임 기업 -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는 워너 브라더스의 게임 제작 자회사로, 《모탈 컴뱃》, 《배트맨: 아캄》, 《레고》 시리즈 등 유명 비디오 게임 프랜차이즈를 제작 및 배급하며, 2021년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산하로 재편되었다.
  • 2004년 설립된 비디오 게임 기업 - 텔테일 게임즈
    텔테일 게임즈는 루카스아츠 출신 개발자들이 2004년 설립하여 에피소드 형식 어드벤처 게임으로 부흥을 이끌었으나 2018년 파산 후 LCG 엔터테인먼트가 인수하여 재출범, 게임 재출시와 신작 개발을 진행 중인 미국의 비디오 게임 개발사이다.
  • 대한민국의 비디오 게임 기업 - 크래프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시리즈의 성공을 기반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비디오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기업이자 지주회사로, 여러 자회사를 통해 다양한 게임을 개발 및 서비스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비디오 게임 기업 - 넷마블
    넷마블은 2000년 방준혁 의장이 설립하여 게임 서비스 사업으로 성장, CJ그룹 편입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거쳐 '리니지2 레볼루션' 성공과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이루었으나, 최근 메타버스 사업 실패 및 구조조정 등의 어려움 속에서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며 향후 행보가 주목되는 대한민국의 게임 기업이다.
펜타비전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이름펜타비전엔터테인먼트
원어PENTAVISION
네오위즈 뮤카의 로고
창립2004년 2월 4일
창립자차승희
해체2012년 10월 11일
산업비디오 게임
대표 제품디제이맥스

2. 개발 게임 목록


  • 디제이맥스 온라인 (2004~2008) - PC 온라인 (2008년 3월 21일부로 서비스 종료)
  • * 디제이맥스 이모셔널 센스 볼륨 1 (2004) - PC 온라인
  • * 디제이맥스 이모셔널 센스 볼륨 2 (2005) - PC 온라인
  • 코믹 솔져 (2005) - PC 온라인 (서비스 종료)
  • 디제이맥스 포터블 (2006)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 디제이맥스 포터블 2 (2007)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 S4 리그 (2007) - PC 온라인 (2018년 3월 14일부로 서비스 종료)
  • 듀얼게이트 (2007) - PC 온라인 (2009년 1월 20일부로 서비스 종료)
  • 디제이맥스 테크니카 (2008) - 아케이드
  • 디제이맥스 포터블: 클래지콰이 에디션 (2008)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 * DJMAX 시리즈에서는 처음으로 메이저 씬의 아티스트를 주축으로 한 작품.
  • 디제이맥스 포터블 블랙 스퀘어 (2008)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 디제이맥스 트릴로지 (2008) - PC 패키지/온라인
  • 디제이맥스 피버 (2009) - 북미/일본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 디제이맥스 모바일 (2009) - 모바일
  • 디제이맥스 테크니카 2 (2010) - 아케이드
  • 디제이맥스 포터블 핫튠즈 (2010)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 디제이맥스 포터블 3 (2010)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 디제이맥스 테크니카 3 (2011) - 아케이드
  • 디제이맥스 테크니카 튠 (2012) - 플레이스테이션 비타
  • 디제이맥스 레이 (2012) - iOS, Android (2018년 2월 26일 부로 서비스 종료)
  • 디제이맥스 테크니카 Q (2013) - iOS, Android (2019년 2월 28일 부로 서비스 종료)
  • DJMAX Online (윈도우 온라인 음악 게임, 2004년 6월 서비스 시작, 2008년 3월 21일 서비스 종료)
  • DJMAX Mobile (휴대 전화용 콘텐츠 음악 게임, 서비스 종료)
  • DJMAX Portable (PSP 음악 게임, 2006년 1월 14일 발매)
  • DJMAX Portable International (PSP 음악 게임, 2006년 10월 27일 발매)
  • DJMAX Portable 2 (PSP 음악 게임, 2007년 3월 30일 발매)
  • S4 League (윈도우 온라인 TPS 스포츠 게임, 2007년 7월 25일 테스트 시작)
  • DUELGATE (윈도우 온라인 액션 RTS, 2007년 10월 17일 테스트 시작)
  • DJMAX TECHNIKA (아케이드 게임, 음악 게임, 2008년 8월 15일 로케 테스트 개최)
  • DJMAX Fever (PSP 음악 게임, 북미향 타이틀, 2009년 1월 27일 발매)
  • DJMAX Portable : Clazziquai Edition (PSP 음악 게임, 2008년 10월 16일 발매 예정)
  • DJMAX Portable : Black Square (PSP 음악 게임, 2008년 12월 24일 발매)
  • DJMAX Portable 3
  • DJMAX TECHNIKA 시리즈
  • DJMAX TECHNIKA TUNE
  • DJMAX RAY (iOS 음악 게임, 2012년 9월 28일 배포)

2. 1. 펜타비전

펜타비전은 다양한 플랫폼으로 게임을 출시했다. 2004년 6월 13일 윈도우디제이맥스 온라인을 대한민국, 일본, 중국에 출시했으나 2008년 3월 21일부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2005년 6월 15일에는 모바일용 DJMAX 모바일 (2005)을 대한민국에 출시했다.

2006년에는 PSP용 디제이맥스 포터블을 1월 14일에, DJMax Portable 인터내셔널 버전을 10월 27일에 대한민국에 출시했다. 2007년 3월 30일에는 디제이맥스 포터블 2를 대한민국에 출시했다.

2008년에는 디제이맥스 포터블: 클래지콰이 에디션을 10월 20일에, 디제이맥스 포터블 블랙 스퀘어를 12월 24일에 대한민국과 일본에 출시했다. 같은 해 12월 31일에는 아케이드용 디제이맥스 테크니카를 국제적으로 출시했다. 또한, 디제이맥스 트릴로지를 12월 25일에 윈도우용으로 대한민국에 출시했다.

2009년 1월 27일에는 DJ Max Fever를 PSP용으로 북아메리카에 출시했다. 같은 해 12월 24일에는 DJMAX 모바일 (2009)을 모바일용으로 대한민국에 출시했다.

2010년에는 디제이맥스 테크니카 2를 6월 16일에 아케이드용으로 국제적으로 출시했고, DJMAX Portable Hot Tunes를 6월 12일에 PSP용으로 대한민국에 출시했다. 디제이맥스 포터블 3는 2010년 10월 14일에 PSP용으로 대한민국, 북아메리카, 일본에 출시되었다.

2011년 7월 1일에는 Tap Sonic을 iOS와 안드로이드용으로 대한민국과 일본에 출시했다. 9월 14일에는 TapSonic Classic을 iOS와 안드로이드용으로 국제(대한민국 제외)에 출시했다. 디제이맥스 테크니카 3는 2011년 10월 27일에 아케이드용으로 국제적으로 출시되었다.

2012년에는 DJMAX Technika Tune을 9월 20일에 PlayStation Vita용으로 국제적으로 출시했고, DJMAX Ray를 9월 28일에 iOS와 안드로이드용으로 국제적으로 출시했다.

2. 2. 네오위즈 MUCA



네오위즈 MUCA는 디제이맥스 테크니카 Q(2017년 6월 21일, iOS, 안드로이드, 국제), 디제이맥스 리스펙트(2017년 7월 28일, PlayStation 4, 국제), TapSonic TOP(2017년 9월, iOS, 안드로이드, 국제 (타이완 제외)), TapSonic World Champion(2017년 11월 6일, iOS, 안드로이드, 국제), TapSonic BOLD(2019년 3월 26일, Microsoft Windows, 국제),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2020년 3월 12일, Microsoft Windows, Xbox One, Xbox Series X/S, 국제)을 출시했다.

3. 팀 구성원

'''네오위즈 뮤카 팀'''


  • Mycin.T
  • Bexter
  • XeoN
  • ned
  • 7 Sequence
  • GOTH


'''외부 아티스트'''

3. 1. 네오위즈 뮤카 팀

Mycin.T, Bexter, XeoN, ned, 7 Sequence, GOTH 등이 네오위즈 뮤카 팀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NieN, ND Lee, Paul Bazooka, Nauts, Sampling Masters MEGA, bermei.inazawa, zts, Lee Zu, Makou, FUNTWO, Cuve는 외부 아티스트로 참여했다.

3. 2. 외부 아티스트

NieN, ND Lee, Paul Bazooka, Nauts, 호소에 신지(Sampling Masters MEGA), bermei.inazawa, zts, Lee Zu, Makou, FUNTWO, Cuve는 펜타비전의 외부 아티스트이다.

4. 역사

Amuse World와 그 계열 자회사인 Family Production(이후 Family Works)의 EZ2DJ 개발 스태프 일부가 독립[1]하여 윈도우온라인 게임인 DJMAX 온라인을 제작하기 위해 설립한 주식회사이다. PENTAVISION으로 독립한 후, 『EZ2DJ PLATINUM』의 개발에 참여한 것을 마지막으로 Amuse World와의 관계는 없어졌다.

2006년 4월, PENTAVISION의 주식 전부를 네오위즈가 취득하여 네오위즈의 자회사가 되었다.

2010년 8월 24일, 미국의 Pipeline Games와 합병하여 Pentavision Global을 설립했다.[2]

2012년 4월, TECHNIKA TUNE, 일본판 TECHNIKA2의 출시를 끝으로 네오위즈 모바일과 합병하여 회사로서의 형태는 소멸하고, 『PENTAVISION STUDIO』로서 네오위즈 모바일의 휴대용 소프트웨어 개발의 일부 부문이 되었다. 2013년 4월에 네오위즈 게임즈(현: 네오위즈)가 네오위즈 모바일과 합병하면서 PENTAVISION STUDIO도 소멸했다.

2013년 8월, 대표 이사였던 차승희 등이 독립하여 Nurijoy를 설립, BEATCRAFT CYCLON 등을 제작하고 있다. PENTAVISION의 창립 멤버였던 신봉근, 이정헌과 네오위즈의 전 대표이사가 PNIX GAME을 설립하여 HIGH5 등의 게임을 제작하고 있다. DJMAX 시리즈의 리드 프로그래머인 Feeels와 아트 디렉터인 PANAX가 미국에서 DJMAX Fever와 Portable 3, TECHNIKA의 판매를 하던 PM Studios에 입사하여, Nurijoy와 공동 개발로 Superbeat: Xonic과 Chef Curry의 개발을 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もっとも、主要メンバーはほとんど全員が参加した為、「一部」という表現はやや正確ではない。'
[2] 웹사이트 Pentavision Entertainment completes merger with Pipeline Games, Inc. http://pentavision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