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시예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시예트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에 위치한 도시로, 러시아 항해사 콘스탄틴 포시예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860년 노브고로드스키포시에트라는 이름으로 건설되었으며, 북한과 가장 가까운 러시아 도시 중 하나로 블라디보스토크, 나홋카와 인접해 항구 도시로 성장했다. 이 지역 최대 기업은 메첼 소유의 포시예트 상업항이다. 포시예트의 기후는 냉대 동계 소우 기후 또는 습윤 대륙성 기후로, 여름에는 강수량이 많고 겨울에는 건조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행정 구역 - 포그라니치니
포그라니치니는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중국과의 국경 도시로, 1898년 동청철도 역으로 세워진 후 1958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습윤 대륙성 기후를 띠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 연결의 요충지이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행정 구역 - 크라스키노
크라스키노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 하산스키군의 도시형 정착촌으로, 과거 발해의 염주성이 위치했으며, 1936년 미하일 크라스킨 중위의 이름을 따 명칭이 변경되었고, 중국 훈춘과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 통과한다. - 러시아의 항구 도시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는 "동방을 지배하다"라는 뜻을 가진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자 항구 도시로, 태평양 함대 기지가 주둔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종착역이자 주요 무역항으로 발전했고, 한때 폐쇄 도시였다가 현재는 극동 연방관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러시아의 항구 도시 - 세바스토폴
세바스토폴은 크림반도 남서쪽 흑해 연안의 도시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 흑해 함대의 주요 기지로 건설되어 크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 합병되었으나 우크라이나와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포시예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일반 정보 | |
한국어 이름 | 포시예트 |
러시아어 이름 | Посьет |
도시 유형 | 도시형 집락 |
속한 국가 | 러시아 |
속한 지방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
속한 군 | 하산스키 군 |
역사 | |
설립일 | 1860년 4월 11일 |
이전 이름 | 노브고로드스키-포시예트 |
도시 지위 획득 | 1943년 |
인구 | |
2010년 인구 조사 | 1671명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692705 |
시간대 | 블라디보스토크 시간대(UTC+10) |
이미지 | |
![]() |
2. 어원
포시예트의 지명은 러시아의 항해사이자 해군 대장이었던 콘스탄틴 포시예트(1819–1899)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Konstantin Posyet|콘스탄틴 포시예트영어는 그의 이름에서 기원하였다.[4] 청나라 시대에는 '''마커와이'''라고 불렸다.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이다. 1860년 4월 11일, '''노브고로드스키포시예트'''(Novgorodsky-Posyet)라는 이름으로 세워졌다.[2] 노브고로드스키라는 명칭은 니콜라이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 백작 탐험대가 명명한 만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가장 가까운 러시아 도시 중 하나이다. 블라디보스토크, 나홋카와 같이 북한 생활권과 인접해 있으며, 항구 도시로 크게 성장하였다. 동절기 건기에는 산불이 비교적 적게 일어나지만, 3~4월에는 산불이 집중되는 단점이 있다.
메첼 소유의 주식회사 '포시예트 상업항'은 이 지역 최대 기업이다. 이 회사는 450m 길이의 계류선 3개를 보유하고 있다.
포시예트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상 냉대 동계 소우 기후 또는 습윤 대륙성 기후(Dwb)에 속한다. 여름은 덥고 습하며 비가 많이 오는 반면, 겨울은 춥고 건조하며 눈이 적게 내린다. 포시예트의 겨울과 여름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가장 따뜻한 곳 중 하나이다.[5] [3]
3. 역사
포시예트만에 면한 부동항이며, 도시 이름은 제정 러시아 시대의 해군 대장이었던 콘스탄틴 포시예트|콘스탄틴 포시예트ru에서 유래했다.[4] 청나라 시대에는 '''마커와이'''라고 불렸다.
4. 지리
포시예트만에 면한 부동항이며, 도시 이름은 제정 러시아 시대의 해군 대장이었던 콘스탄틴 포시예트|콘스탄틴 포시예트ru에서 유래했다.[4] 청 시대에는 '''마커와이'''라고 불렸다.
5. 경제
6. 기후
6. 1. 기온 및 강수량
포시예트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 동계 소우 기후 또는 습윤 대륙성 기후(Dwb)를 주로 띤다. 계절적으로 보면 여름에는 한반도와 동해 등을 통해 유입되는 따뜻한 북태평양 기단을 타고 쓰시마 해류와 쿠로시오 해류에 영향을 받아 강수량이 많아진다. 반면, 겨울에는 춥고 건조한 아무르강에 영향을 받아 눈이 적게 오거나 거의 내리지 않는 동계 건조 기후를 띈다.[5] [3]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5.5 | -1.8 | 4.4 | 11.2 | 16.0 | 18.8 | 22.5 | 24.8 | 21.4 | 15.0 | 5.0 | -3.2 | 10.8 |
평균 기온 (℃) | -9.8 | -6.6 | -0.5 | 6.2 | 11.1 | 14.9 | 19.2 | 21.1 | 16.7 | 9.9 | 0.5 | -7.2 | 6.4 |
평균 최저 기온 (℃) | -14.1 | -11.3 | -5.1 | 2.0 | 7.2 | 11.9 | 16.7 | 18.1 | 12.3 | 5.0 | -3.8 | -11.1 | 2.4 |
강수량 (mm) | 15.8 | 11.7 | 20.7 | 46.7 | 76.5 | 151.2 | 148.2 | 201.9 | 96.5 | 36.8 | 24.0 | 13.6 | 795.4 |
참조
[1]
간행물
ru-pop-ref
2010Census
[2]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посёлка Посьет
http://khasan-distri[...]
Хасанский район.
[3]
웹사이트
Climatebase
http://climatebase.r[...]
2012-06-08
[4]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ПОСЕЛКА ПОСЬЕТ
http://khasan-distri[...]
[5]
웹인용
Climatebase
http://climatebase.r[...]
2012-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