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퐁살리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퐁살리주는 라오스 북부에 위치한 주로, 역사적으로 18세기부터 여러 민족의 이주와 프랑스 식민 통치, 공산주의 정권 수립 등 복잡한 역사를 겪었다. 1895년 중국-프랑스 조약으로 프랑스 라오스에 귀속되었고, 1954년 제네바 협정 이후 파텟 라오 군의 재집결 지역이 되었으며, 1957년 라오스 왕국에 통합되었다. 지리적으로는 산악 지형이며, 중국, 베트남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라오스와 중국 간의 무역 중심지 역할을 한다. 퐁살리주는 다양한 소수 민족이 거주하며,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20세기 말 아편 생산과 중독 문제가 심각했으나, 유엔의 지원을 받아 대체 개발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왓 우타이 사원, 왓 루앙 우누아 사원, 탓 프우사이 탑 등 랜드마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스의 주 - 세콩주
    세콩 주는 라오스 남동부에 위치한 주로, 1984년 사라완 주와 아타푸 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낮은 인구 밀도, 다양한 소수 민족, 높은 산림 피복률, 풍부한 수자원, 열악한 교통 인프라, 독특한 직물 공예, 그리고 국제적으로 중요한 조류 지역과 보호 구역을 특징으로 한다.
  • 라오스의 주 - 캄무안주
    캄무안주는 라오스 중부에 위치한 주로, 삼림이 우거진 산악 지형이며, 주도 타케크는 메콩 강에 위치하고, 탐콩롤 동굴 등 다양한 자연 명소와 라오스바위쥐와 같은 희귀 동물의 서식지를 포함하며, 2015년 인구는 39만 명 이상이고 9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요한 무역 중심지이자 담배 생산 지역이다.
퐁살리주
지도
퐁살리 주 지도
퐁살리 주 지도
라오스 내 퐁살리 주 위치
라오스 내 퐁살리 주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퐁살리 주
로마자 표기Phongsaly province
라오어 명칭ແຂວງ ຜົ້ງສາລີ
수도퐁살리
국가라오스
면적16,270 km²
인구193,145 명 (2020년 인구 조사)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ICT
UTC 시간대+7
ISO 코드LA-PH
HDI (2017년)0.497https://hdi.globaldatalab.org/areadata/shdi/
HDI 순위17위
행정 구역
퐁살리군

2. 역사

퐁살리 지역은 18세기 말 풍노이족과 19세기 말 흐몽족 등이 정착한 곳으로, 1895년 중국-프랑스 조약에 따라 시프송판나의 일부였던 퐁살리와 무앙싱(Muang Sing) 지역이 프랑스령 라오스에 편입되었다. 이에 타이 르족은 1908년부터 1910년까지 식민 당국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이후 프랑스 식민 군대가 완전한 통치권을 행사했다. 20세기에는 옹 콤만담과 그의 아들 시톤 콤마담 등이 프랑스에 맞서 저항 운동을 벌였으며, 시톤 콤마담은 투옥되었다가 석방 후 퐁살리에서 저항 활동을 이어갔다. 1954년 공산주의 세력인 파텟 라오가 이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같은 해 1954년 제네바 협정에 따라 파텟 라오 군의 재집결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퐁살리는 1957년 12월 18일 라오 왕국 정부에 통합되었다.

2. 1. 초기 역사

풍노이족(Phunoi)은 18세기 말 무앙싱(Muang Sing) 또는 버마(Burma)를 떠나 퐁살리(Phongsaly)에 도착했다. 흐몽족(Hmong)은 19세기 말 중국 남부에서 이주하여 퐁살리에 정착했다. 1895년, 중국-프랑스 조약에 따라 타이 르(Tai Lue)의 시프송판나(Xishuangbanna Dai Autonomous Prefecture)에 속했던 퐁살리와 무앙싱(Muang Sing) 공국이 프랑스 라오스에 귀속되었다. 1908년에서 1910년 사이에 타이 르족은 프랑스 식민 당국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이 진압된 후, 식민지 군대가 퐁살리에서 완전한 권력을 장악했다. 1936년, 시톤 콤마담(Sithon Kommadam)과 그의 형제 캄판(Kamphanh)은 아버지(옹 콤만담(Ong Kommandam))가 1934년부터 1936년까지 프랑스에 맞서 벌인 무장 반란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퐁살리에 투옥되었다. 1945년 시톤이 석방된 후, 그는 퐁살리에 저항 기지를 설립하고 곧 베트민(Viet Minh)과 접촉했다. 1954년 공산주의자들이 이 지역에서 권력을 잡았고, 이후 6년 안에 풍노이족은 불교 종교 숙청을 경험하기 시작했다. 1954년 제네바 협정 이후, 퐁살리 주의 공산주의 파텟 라오(Pathet Lao) 군은 재집결 지역을 제공받았다. 퐁살리는 1957년 12월 18일 라오 왕국 정부(Royal Lao Government)에 통합되었다.

2. 2. 프랑스 식민 통치와 저항

1895년, 중국-프랑스 조약에 따라 타이 르족의 시프송판나(Sip Song Phan Na)에 속했던 퐁살리와 무앙싱(Muang Sing) 공국이 프랑스령 라오스에 편입되었다. 이에 저항하여 1908년부터 1910년까지 타이 르족은 식민 당국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결국 진압되었고 이후 식민지 군대가 퐁살리를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다.

저항 운동은 계속되어, 1934년부터 1936년까지 옹 콤만담(Ong Kommandam)이 이끄는 무장 반란이 프랑스를 상대로 일어났다. 1936년, 시톤 콤마담과 그의 형제 캄판(Kamphanh)은 아버지 옹 콤만담의 반란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퐁살리에 투옥되었다. 1945년 시톤 콤마담이 석방된 후, 그는 퐁살리에 저항 기지를 세우고 곧 베트민과 연계하여 활동했다.

2. 3. 라오스 독립과 공산주의

1936년, 시톤 콤마담과 그의 형제 캄판은 아버지 옹 콤만담이 1934년부터 1936년까지 벌인 프랑스에 대한 무장 반란에 참여한 혐의로 퐁살리에 투옥되었다. 1945년 시톤 콤마담이 석방된 후, 그는 퐁살리에 저항 기지를 세우고 곧 베트민과 접촉하여 저항 활동을 시작했다.

1954년에는 공산주의자들이 이 지역에서 권력을 잡았으며, 이후 6년 안에 풍노이족은 불교 종교 숙청을 경험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1954년 제네바 협정이 체결되면서, 퐁살리 주는 공산주의 파텟 라오 군의 재집결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퐁살리는 1957년 12월 18일 라오 왕국 정부에 통합되었다.

3. 지리

퐁살리주의 면적은 16270km2이며, 이 중 77%가 산림으로 덮여 있다.[2] 이 주는 북쪽과 서쪽으로는 중국(특히 윈난성), 동쪽으로는 베트남(특히 디엔비엔성), 남쪽으로는 루앙프라방주, 남서쪽으로는 우돔싸이주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4]

주는 산악 지대에 위치하며, 해발 고도는 약 450m에서 1800m 사이이다. 주에서 가장 높은 산은 해발 1842m의 푸 도이치(Phou Doychy)이다.[3] 주도 근처에는 해발 1625m의 푸 파(Phou Fa) 언덕이 있는데, 정상까지 도로가 연결되어 있어 도시 전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431개의 계단도 있다.[2]

퐁살리주는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특징으로 한다. 날씨는 "하루에 사계절"이라고 묘사되기도 하는데, 아침과 저녁에는 춥고 낮에는 습하며 오후에는 비가 내리는 경향이 있어 무성한 녹색 숲이 잘 유지된다.[2] 그러나 중국과의 경제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목재 수출이 증가하여 주의 상당 부분이 벌채되기도 했다.[3]

4. 보호 지역

푸덴딘 국가생물다양성보호지역(Phou Den Din NBCA) 내에는 광대한 면적의 숲이 있으며 야생 동물이 풍부하지만, 인간의 거주지는 없다.[3]

126880ha 규모의 푸덴딘 중요조류보호구역(IBA)(Phou Dendin Important Bird Area)은 222000ha 규모의 푸덴딘 국가보호지역(Phou Den Din National Protected Area) 안에 위치해 있다. IBA의 고도는 해발 500m에서 1900m 사이이다. 지형적 요소로는 남오강(Nam Ou River)과 그 유역, 남항강(Nam Khang River)의 합류 지점, 산악 지형 및 사면이 포함된다. 서식지는 끊임없이 이어지는 건조 상록수림과 내륙 습지가 특징이다. 주목할 만한 조류로는 푸른날개물총새(Alcedo herculeslat), 갈색물까마귀(Cinclus pallasiilat), 갈색코뿔새(Anorrhinus tickellilat), 큰물총새(Megaceryle lugubrislat), 큰뿔새(Buceros bicornislat), 작은흰꼬리수리(Ichthyophaga humilislat), 붉은목뿔새(Aceros nipalensislat)가 있다.[5]

5. 행정 구역

퐁살리 주는 다음과 같은 7개의 (라오어: ເມືອງ 무앙)으로 구성된다.[2]

지도코드이름라오어인구 (2015)
퐁살리주 행정 구역 지도
02-01퐁살리군ຜົ້ງສາລີlo23,337
02-02마이군ໃໝ່lo26,361
02-03쿠아군ຂວາlo26,164
02-04삼판군ສຳພັນlo24,420
02-05분느아군ບຸນເໜືອlo22,285
02-06요트우군ຍອດອູlo31,145
02-07분타이군ບຸນໃຕ້lo24,277



이 주의 최북단 군은 요트우군이며, 11개 민족으로 구성된 98개 마을에 31,145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주민 대부분은 농민이다. 라오스-중국 국경 검문소는 란 투이(Lan Tui)에 위치하며, 7번 지표로 지정되어 있다.[2]

6. 인구

2015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퐁살리주의 인구는 177,989명이다.[6] 이곳에는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적 정체성을 가진 13개의 소수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주요 민족으로는 캄무족, 타이 담족, 타이 댕족, 야오족, 르족, 호족(하니족), 몽족, 아카족, 양족, 비드족, 롤로족 등이 있다.[3] 각 민족 집단은 고유한 결혼 풍습뿐만 아니라 특유의 수공예품, 은제품, 보석류에 관한 관습을 가지고 있다.[2]

퐁살리주에는 하니족과 타이 담족이 주로 거주하며, 이들은 공식적으로 고지 라오족(Lao Sung)으로 분류된다. 특히 주의 북부 지역에서는 라오어가 아닌 푸노이어(Phunoi language)가 사용된다. 푸노이어는 중국 운남성 홍하 하니족 이족 자치주에서 사용되는 彝語|이어ii(Yi language)와 가까운 관계에 있지만,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은 어려운 편이다.

7. 언어

라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퐁살리주에서는 여러 소수 민족 언어들이 사용되는데, 대부분은 타이어족(크라다이어족), 하노이어족(티베트버마어파), 크무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한다. 아래 표는 킹사다(1999), 신타니(2001), 그리고 카토(2008)의 조사에서 언급된 언어들을 자칭 명칭 및 정보 제공자의 출생지를 함께 나열한 것이다.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언어는 퐁살리주에서 사용된다.

퐁살리주의 언어들
언어자칭 명칭어족사용 지역출처
루어taj31 lɯ13타이어족우 네우아 마을Kingsada (1999)
양어jaŋ13타이어족롱 응아이 카오 마을, 분타이현Kingsada (1999)
타이느아어taj53 nə35타이어족란투이 마을, 뇨트우현Shintani (2001)
타이다암어kon55 taj55 lam22타이어족후아이혹 마을, 남박 현, 루앙프라방주Shintani (2001)
퐁살리 푸노이어phu21 noiʔ44비소이드어파퐁살리 시, 퐁살리현Kingsada (1999)
분타이 푸노이어phu21 noi44 (bɑ21)비소이드어파랑네 마을, 분타이현Kingsada (1999)
퐁쿠어phɔŋ33 ku55 bɔ11비소이드어파퐁쿠롱, 분타이현Kingsada (1999)
라오판어law33 pan11 ba11비소이드어파파오푸무앙 마을, 분타이현Kingsada (1999)
라오생어lao21 sɛŋ21비소이드어파차호 마을, 분타이현Kingsada (1999)
라오생어kha55비소이드어파남낫 마을, 뇨트우현Kato (2008)
피수어 (라오-파이)pi33 su44비소이드어파푸독참 마을, 퐁살리현Kingsada (1999)
푸-라와어phɔŋ33 ku55비소이드어파퐁쿠롱 마을, 분타이현Shintani (2001)
퐁셋어phoŋ33 set55비소이드어파퐁셋 마을, 분느아현Shintani (2001)
푸뇨트어phu21 ɲɔt11비소이드어파남캉 마을, 나모현, 우돔사이주Kato (2008)
코-팔라어pa33 la33 tshɔ55 ja11아카어센 캄 마을, 쿠아현Kingsada (1999)
코-오마kɔ33 ɔ55 ma11아카어나나 마을, 퐁살리현Kingsada (1999)
코-푸소kɔ33 phɯ55 sɔ33아카어파풍 카오 마을, 분느아현Kingsada (1999)
코-풀리a11 kha11 pu33 li11아카어쿨라오센 카오 마을, 분타이현Kingsada (1999)
코-치피아어a11 kha11 cɛ11 pja11아카어사노 카오 마을, 분타이현Kingsada (1999)
코-에우파ɯ21 pa21아카어카베 마을, 분타이현Shintani (2001)
코-냐우a11 kha11 ɲa11 ɯ55아카어후아이포트 마을, 쿠아현Shintani (2001)
코-루마어lu21 ma21아카어라사마이 마을, 삼판현Shintani (2001)
시다 (실라)go55 ɯ55 a11 ma11아카어차오호이 마을, 뇨트우현; 퐁사이 마을, 분느아현Kingsada (1999)
시다어si33 la33아카어롱탕 마을, 뇨트우현; 시다 마을, 루앙남타현, 루앙남타주Shintani (2001)
실라어ko55 ɯ21아카어남싱 마을, 뇨트우현Kato (2008)
와냐어 (무치)wa11 ɲə11아카어이포이칭 마을, 분타이현Shintani (2001)
하니어ha21ɲi21아카어시카오호 마을, 뇨트우현Kato (2008)
아카 누쿠이a21kha21, nu21ɣø21 a21kha21아카어쿵치 마을, 뇨트우현Kato (2008)
무툰어mɔ21 tɯ21기타 로로어족후나파 마을, 나모현, 우돔사이주Kato (2008)
콩삿어su55 ma33기타 로로어족숙코 마을, 나모현, 우돔사이주Kato (2008)
키르어la21 ja21기타 로로어족캉 마을, 뇨트우현Kato (2008)
푸상어pa33 za33기타 로로어족푸상카오 마을, 삼판현Kato (2008)
롤로어lo21 lo33 pho21기타 로로어족-Kato (2008)
카빗어khaa bet크무어족날레 마을, 분느아현Kingsada (1999)
크무어kh(ə)m̥muʔ크무어족탕콕 마을, 쿠아현Kingsada (1999)
말어pram thɛɛn크무어족텐 사 마을, 비엥캄 현, 루앙프라방주Shintani (2001)
호어 (한중어)xan13 tshu11중국어족왓 케오 마을, 퐁살리현Kingsada (1999)



퐁살리주에는 하니족과 타이담족이 거주하며, 이들은 공식적으로 고지 라오족(라오쑹족)이라고 불린다. 특히 주 북부에서는 라오어가 아닌 푸노이어가 사용된다. 이는 중국 윈난성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에서 후이족이 사용하는 이어와 가까운 관계이지만, 서로 다른 방언 화자 간의 의사소통은 어렵다.

8. 경제

퐁살리주는 라오스중국 간의 주요 무역 중심지 역할을 한다. 주로 목재를 수출하고 다양한 공업 제품을 수입한다.[2] 중국을 비롯한 해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러 중국 제조업체가 이곳에 위치하여 경제적으로 중국과의 연관성이 크다.[2] 하지만 도로 정비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퐁살리의 거리


농업은 이 지역 주민들의 주요 생계 수단이다.[2]

또한, 구릉 지대의 풍부한 강우량을 활용한 소수력 발전 프로젝트가 24개 마을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피코터빈을 이용한 소규모 수력 발전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하며, 오지 마을의 빈곤 감소를 목표로 한다. 건설에는 현지 자재가 사용되며, 마을 주민들이 계획부터 운영, 유지보수까지 전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받는다. 이 프로젝트는 메콩강 에너지 및 환경 파트너십(EEP)의 48% 자금 지원과 프론티어 전기 기술자(Electriciens Sand Frontieres)의 참여로 진행되며, 총 21만유로의 비용이 투입되어 20개월간 진행될 예정이다.[7]

8. 1. 아편 문제와 대응

20세기 말, 퐁살리주는 심각한 아편 문제를 겪었다. 당시 이 지역에서는 아편 양귀비가 3872ha에 달하는 면적에서 재배되었는데, 이는 라오스 전체 생산량의 약 20%에 해당했다. 전체 611개 마을 중 513개 마을에서 아편을 재배했으며, 주민 중독률은 5.6%에 달했다.[8]

정부의 양귀비 재배 금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퐁살리주는 여전히 라오스 내 주요 아편 생산 지역 중 하나로 남아 있으며 빈곤율 또한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8] 아편 중독 문제를 줄이기 위해, 유엔 마약범죄사무소(UNODC)는 퐁살리 아편 근절을 위한 대체 개발 기금 프로젝트와 [https://www.unodc.org/roseap/uploads/archive/documents/2012/12/alternative-development/PALAFS_Prodoc_Luxembourg.pdf LAOK46 퐁살리 대체 생계 및 식량 안보 프로젝트(PALAFS)]를 도입했다. 이 프로젝트들은 쿠아와 마이 지역의 30개 마을, 삼판 지역의 60개 마을을 대상으로 대체 개발 활동을 통해 아편 중독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8]

9. 랜드마크

이 지역의 중요한 랜드마크로는 왓 우타이 사원, 왓 루앙 우누아 사원, 그리고 탓 프우사이 탑이 있다.[2]

왓 우타이 사원은 반 우타이 마을에 위치해 있다. 프라야 짝카왓티라자가 건립했으며, 500년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원 안에 있는 호르 타네 케오(Hor Thane Keo)는 불상이 봉안되어 있는 특별한 성소이다. 이 성소는 진흙으로 지어졌으며, 원형이 잘 보존된 다양한 장식이 있다. 사당의 나무 기둥은 돌 블록 위에 세워져 있으며, 이 기둥들 또한 우아하게 디자인되었고 단검, 칼, 꽃, 깃발 등의 그림이 나무로 조각되어 있다. 사원 단지 내에는 벽돌로 지어진 사당이 있는데, 타이 르족은 이곳을 "우 보 솟"(Ou Bo Sot, 승려들이 모여 종교 의식을 거행하는 장소라는 뜻)이라고 부른다.[2]

왓 루앙 우누아 사원 또한 약 500년 전에 반 우누아 마을에 건립된 오래되고 숭배받는 사원이다. 이 사원은 르(Lue) 건축 양식의 이중 겹쳐진 지붕을 가지고 있으며 매우 인상적이다. 이 사원은 전통적인 미술 기법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큰 불상과 작은 불상들이 봉안되어 있다.[2]

탓 프우사이 탑은 언덕 꼭대기에 있으며, 400개의 계단을 올라가야 접근할 수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2] 웹사이트 Phongsaly Province https://web.archive.[...] Lao Tourism Organization 2012-12-01
[3] 웹사이트 Phongsaly Province https://web.archive.[...] GMS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Project in Lao PDR 2012-12-01
[4] 지도 Maps Google Maps
[5] 웹사이트 Important Bird Areas factsheet: Phou Dendin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2
[6] 웹사이트 Result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5 https://lao.unfpa.or[...] Lao Statistics Bureau 2020-05-01
[7] 웹사이트 Green Electricity for 24 villages of the Phonsalay District, Phonsalay Province, Laos https://docs.google.[...] Energy and Environment Partnership (EEP)of Mekong 2012-12-02
[8] 웹사이트 Phongsaly Alternative Development Fund Project http://www.unodc.org[...] United Nations Organization on Drugs and Crime (UNODC) 2012-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