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무어는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표준어는 없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이다. 방언은 자음 체계, 높낮이 유무, 주변 언어의 영향에 따라 다르며, 서부 크무어와 동부 크무어로 크게 나뉜다. 서부 크무어는 자음 음소가 적고, 높낮이 대조를 사용하며, 동부 크무어는 높낮이 구별 없이 파열음과 비음의 구별을 통해 음운적 대조를 이룬다. 라오스, 베트남, 중국, 태국 등지에서 사용되며, 각 지역별로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문법적으로는 SVO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어휘는 크메르어와 유사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스의 언어 - 베트남어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는 베트남의 공식 언어이자 킨족을 비롯한 다수 베트남인의 모국어로, 지역 방언이 존재하며 6성조를 사용하는 단음절 고립어이고, 로마자 기반의 꾸옥응으를 사용하며 한자어와 외래어가 풍부하게 사용된다. - 라오스의 언어 - 라오어
라오어는 크라-다이어족 타이어족에 속하는 라오스의 공식 언어이며, 푸타이어, 타이 요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갖고 태국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차별성이 강조되고, 크메르어, 산스크리트어, 팔리어의 영향을 받아 철자 개혁을 거쳐 다양한 방언과 함께 비엔티안 방언을 기준으로 한 표준 라오어가 사용된다. - 베트남의 언어 - 크메르어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서 약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남인도계 아부기다 계통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다. - 베트남의 언어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니코바르어파
니코바르어파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 니코바르 제도에서 사용되는 여러 언어를 포함한다.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카투어파
카투어파는 동남아시아 본토의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어파로, 여러 하위 어군으로 나뉘며, 원시 카투어파 재구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주변 어족과의 어휘 공유 현상을 보인다.
크무어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크무어 |
자기 이름 | Khmu ກຶມຫມຸ กำมุ |
로마자 표기 | Khmu |
사용 지역 | 라오스 베트남 태국 중국 |
사용 민족 | 크무족 |
전체 화자 수 | 798,400명 |
추정 시기 | 1990–2015년 |
언어 분류 | |
어족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어파 | 크무어파 |
언어 코드(ISO 639-3) | kjg khf |
글롯토로그 | khmu1255 |
글롯토로그 이름 | 크무어 |
문자 체계 | |
문자 | 라오 문자 라틴 문자 타이 문자 |
방언 | |
방언 | 불교 크무어 |
2. 방언
크무어는 표준어가 없으며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 방언 간의 차이는 주로 자음 체계, 높낮이 존재 여부, 주변 국어의 영향 정도에 따라 발생한다. 대부분의 방언은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만,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방언 간에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
크무어 방언은 크게 서부 크무어와 동부 크무어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2. 1. 서부 크무어
서부 크무어 방언은 자음 음소가 적고, 다른 오스트로아시아어에서 볼 수 있듯이 "느슨한" 성문 마찰음 높낮이와 "긴장된" 성대 조임 높낮이의 "느슨한" 높낮이 대조를 사용한다. '크무 룩'으로 알려진 서부 크무어의 적어도 하나의 방언에서는 높낮이 대조가 6개의 음운적 실현을 가진 두 가지 음운적 톤의 체계로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조음 변화가 분명하다.[6]2. 2. 동부 크무어
동부 크무어 방언은 높낮이나 톤 구별 없이, 음절 첫머리에서 파열음(유성음, 무성음, 유기 무성음)과 비음(유성음, 무성음, 전성문음)의 세 가지 구별을 통해 음운적 대조를 이룬다.[7]2. 3. 지역별 방언 (Suwilai Premsrirat, 2002)
Suwilai Premsrirat (2002)는 라오스, 베트남, 중국, 태국의 크무어 사용 지역과 방언을 보고했다.[8]국가 | 지역 및 방언 |
---|---|
라오스 | 루앙남타, 우돔사이, 보케오, 사야부리, 퐁살리, 루앙프라방, 씨앙쿠아(Xiaq kvaaq) 등 북부 8개 주, 비엔티안 근교 마을 (소수). 방언: 크므어 루크(Kmhmu Rook), 크므어 르(Khmu Lw), 크므어 츠아크(Kmhmu Cwaq) (또는 크므어 우(Kmhmu' Uu)) |
베트남 | 응에안성 (낌화, 솝팟, 솝카우, 펑카몽 마을, 낌다 지역, 티엉즈엉현, 빈시), 라이쩌우성, 썬라성, 탕호아성 |
중국 | 윈난성(시쌍반나) 펑소아(Pung Soa) 마을 (초성 자음의 유성/무성 대조), 옴카에(Om Kae) 마을 (성조 대조) |
태국 | 치앙라이주(위앙카엔현 라이응아오 지역, 후아이이안(Huai Ian) 마을 포함), 난주, 람빵주 (원래 라오스 팍방(Pak Bang) 지역 출신, 크므 크롱(Khmu Khrong)이라고 불림) |
2. 3. 1. 라오스
라오스에서는 루앙남타, 우돔사이, 보케오, 사야부리, 퐁살리, 루앙프라방, 씨앙쿠아(Xiaq kvaaq) 등 북부 8개 주에서 사용되며, 비엔티안 근교 마을에도 소수가 거주한다.[8] 주요 방언으로는 '''크므어 루크(Kmhmu' Rook)''', '''크므어 르(Khmu Lw)''', '''크므어 츠아크(Kmhmu' Cwaq)'''(또는 '''크므어 우(Kmhmu' Uu)''')가 있다.[8]2. 3. 2. 베트남
Khmu'viCơ Mưvi는 응에안성 (낌화, 솝팟, 솝카우, 펑카몽 마을, 낌다 지역, 티엉즈엉현, 빈시)에 분포한다.[8] 또한 라이쩌우성, 썬라성, 탕호아성에서도 사용된다.[8]2. 3. 3. 중국
克木人중국어은 윈난성(시쌍반나)의 펑소아(Pung Soa) 마을(초성 자음의 유성/무성 대조가 더 보수적인 형태)과 옴카에(Om Kae) 마을(성조 대조가 존재)에 분포한다.[8]2. 3. 4. 태국
태국에서는 치앙라이주(Chiang Rai province) 위앙카엔현(Wiang Kaen district) 라이응아오(Lai Ngao) 지역, 후아이이안(Huai Ian) 마을(대표적인 데이터 지점)을 포함한 많은 마을에서 사용된다.(원래는 라오스 팍방(Pak Bang) 지역 출신이며, 이 지역에서는 크므 크롱(Khmu Khrong), 즉 '메콩 크므어'라고 불림)[8] 또한 난주(Nan province)와 람빵주(Lampang province)에서도 사용된다.[8]3. 음운론
크무어는 음운론적으로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진다.
자음의 경우, 동부와 서부 크무어 방언 모두에 존재하는 음소 /f/는 주변 타이어족에서 차용된 결과이다.[9] (자세한 내용은 하위 자음 섹션 참조).
모음의 경우, 19개의 단모음과 3개의 이중모음(/iə/, /ɨə/, /uə/)을 가지고 있으며, 방언 간에 큰 차이가 없다.[6] (자세한 내용은 하위 모음 섹션 참조).
3. 1. 자음
크무어의 자음 목록은 아래 표와 같다. 동부와 서부 크무어 방언 모두에 존재하는 음소 /f/는 주변 타이어족에서 차용된 결과이다.[9]colspan="2" | | 순음 | 치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유기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무성음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
유성음 | colspan="2"| | colspan="2"| | 1 | 1 | |||||
비음 | 무성음1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유성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전성문화음1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마찰음 | 무성음 | ()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
유성음 | 무성음1 | 2 | | | | | colspan="2" | | colspan="2"| | |||
유성음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
전성문화음1 | colspan="2" | | colspan="2"| | colspan="2" | | colspan="2"| |
# 동부 크무어 방언에서만 발견됨.
# 는 무성 양순 연구개 근사음이다.
3. 2. 모음
크무어는 19개의 단모음과 3개의 이중모음(/iə/, /ɨə/, /uə/)을 가지고 있으며, 방언 간에 큰 차이가 없다.[6]
4. 문법
크무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문법은 인칭 대명사와 통사론으로 구성된다.
크무어 대명사는 인칭과 수(단수, 쌍수, 복수)에 따라 구분된다. 통사론적으로는 SVO(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주로 사용하지만, OVS(목적어-동사-주어) 어순도 가능하다.
4. 1. 대명사
크무어 대명사는 인칭, 수(단수, 이중, 복수)에 따라 구분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인칭 | 단수 | 이중 | 복수 |
---|---|---|---|
1인칭 | ໂອະ|òɂkjg | ອະ|àɂkjg | ອິ|ìɂkjg |
2인칭 | ແຢະ|jɛ̀ɂkjg (남성), ປາ|pàːkjg (여성) | ສວາ|swáːkjg | ປໍ|pɔ̀ːkjg |
3인칭 | ກັຽ|kəːkjg (남성), ນາ|nàːkjg (여성) | ສນາ|snáːkjg | ນໍ|nɔ̀ːkjg |
4. 2. 통사론
크무어는 주로 SVO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사용하지만, OVS (목적어-동사-주어) 어순도 가능하다.5. 어휘
크무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크메르어와 어휘에서 일부 유사성을 보인다.
영어 | 크무어 | 크메르어 |
---|---|---|
개 | ເສາະ|sɔ́ɂkjg | ឆ្កែ|chhkêkm |
아이 | ກອນ|kɔ́ːnkjg | កូន|konkm |
어머니 | ມະ|màɂkjg | ម៉ាក់|măkkm |
꽃 | ຣາງ|ràːŋkjg | ផ្កា|phkakm |
산 | ມົກ|mòkkjg | ភ្នំ|phnumkm |
보다 | ກເລະ|klèɂkjg | ឃើញ|kheunhkm |
적 | ສັຕູ|sa tùːkjg | សត្រូវ|sâtrovkm |
사라지다 | ງັຕ|ŋátkjg | បាត់|bătkm |
쏘다 | ປິຍ|píɲkjg | បាញ់|bănhkm |
일곱 | ເຈຕັ|cétkjg | ប្រាំពីរ|brămpirkm |
음경 | ລົກ|lòkkjg | លិង្គ|lĭngkkm |
5. 1. 수사
기수 | ນຶງ|는kjg | ສອງ|썽kjg | ສາມ|쌈kjg | ສີ|씨kjg | ຫາ|하kjg | ຣົກ|록kjg | ເຈັດ|쩻kjg | ແປດ|뺃kjg | ເກົ້າ|까우kjg | ສິບ|씹kjg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서수 | ໂມຢ|모이kjg | ປາຣ|빠kjg | ເປະ|쁘kjg | ປູລ|뿔kjg | ເປືອງ|뽱kjg | ຕອລ|떨kjg | ເຕລ|뗄kjg | ຕາມ|땀kjg | ກາຍ|까이kjg | ກັລ|깐kjg |
1번째 | 2번째 | 3번째 | 4번째 | 5번째 | 6번째 | 7번째 | 8번째 | 9번째 | 10번째 |
5. 2. 크메르어와의 비교
크무어와 크메르어는 같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며, 일부 어휘에서 유사성을 보인다.영어 | 크무어 | 크메르어 |
---|---|---|
개 | ເສາະ|sɔ́ɂkjg | ឆ្កែ|chhkêkm |
아이 | ກອນ|kɔ́ːnkjg | កូន|konkm |
어머니 | ມະ|màɂkjg | ម៉ាក់|măkkm |
꽃 | ຣາງ|ràːŋkjg | ផ្កា|phkakm |
산 | ມົກ|mòkkjg | ភ្នំ|phnumkm |
보다 | ກເລະ|klèɂkjg | ឃើញ|kheunhkm |
적 | ສັຕູ|sa tùːkjg | សត្រូវ|sâtrovkm |
사라지다 | ງັຕ|ŋátkjg | បាត់|bătkm |
쏘다 | ປິຍ|píɲkjg | បាញ់|bănhkm |
일곱 | ເຈຕັ|cétkjg | ប្រាំពីរ|brămpirkm |
음경 | ລົກ|lòkkjg | លិង្គ|lĭngkkm |
참조
[1]
뉴스
Kmhmu'
https://www.ethnolog[...]
2018-07-26
[2]
뉴스
Khuen
https://www.ethnolog[...]
2018-07-26
[3]
논문
Ethnologue 16/17/18th editions: a comprehensive review: online appendices
2015
[4]
웹사이트
Mon-Khmer Classification (Draft)
http://sealang.net/s[...]
[5]
논문
The contribution of linguistic palaeontology and Austroasiatic
Routledge Curzon
2005
[6]
간행물
Tonogenesis in Khmu dialects of SEA
2001
[7]
서적
Dictionary of Khmu in Laos
https://archive.org/[...]
Mahidol University
[8]
간행물
Dictionary of Khmu in Laos
Mahidol University
2002
[9]
서적
The Thesaurus and Dictionary Series of Khmu Dialects in Southeast Asia
Institute of Language and Culture for Rural Development, Mahidol University at Salaya, Thailand
2002
[10]
뉴스
Kmhmu'
https://www.ethnolog[...]
2018-07-26
[11]
뉴스
Khuen
https://www.ethnolog[...]
2018-07-26
[12]
논문
Ethnologue 16/17/18th editions: a comprehensive review: online appendices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