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러형 증기 기관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러형 증기 기관차는 2개의 전륜, 6개의 동륜, 2개의 후륜을 가진 탱크식 증기 기관차로,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시기까지 한반도 환경에 맞게 개량되어 사용되었다. 푸러1형부터 푸러8형까지 다양한 형식이 존재하며, 각 형식별로 제작사, 도입 시기, 주요 특징 등이 다르다. 특히 푸러8형은 한국철도에서 자체 설계하여 제작되었으며, 1,520mm 동륜을 채용하여 최고 속도를 향상시켰다. 푸러형 기관차는 경부선, 경인선, 경춘선 등 다양한 구간에서 운행되었으며, 한국 철도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증기 기관차 - 혀기형 증기 기관차
    혀기형 증기 기관차는 대한민국에서 보존되었거나 과거에 존재했던 협궤 증기 기관차이며, 혀기11-13호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영화에도 등장한다.
  • 대한민국의 증기 기관차 - 미카형 증기 기관차
    미카형 증기 기관차는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화물 수송 능력 증대를 위해 1910년대 말부터 도입한 증기 기관차로, 여러 모델이 생산되어 해방 후에도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대한민국의 철도 역사를 상징하는 유산으로 남아있다.
푸러형 증기 기관차
개요
한국 전쟁 중 북한에 있는 푸레형 기관차 - 앞쪽은 푸레하, 뒤쪽은 푸레나
한국 전쟁 중 북한에 있는 푸레형 기관차 - 앞쪽은 푸레하, 뒤쪽은 푸레나
축 배열2-6-2T
상세 정보

2. 각 형식별 역사와 특징

푸러형 증기 기관차는 경부선 철도의 급경사 및 급커브 구간에 사용하기 위해 미국 볼드윈(Baldwin)사에서 18량을 수입하면서 한국 철도에 도입되었다. '푸러'라는 이름은 미국에서 2-6-2형 증기 기관차를 부르는 '프레리(Prairie)'에서 유래했다. 초기 한국 철도에서 가장 대표적인 차량으로, 거의 모든 노선에서 운용되었으며, 8가지 형식으로 구분될 정도로 다양했다.

푸러형 증기 기관차는 공통적으로 2개의 전륜(1축), 6개의 동륜(3축), 2개의 후륜을 갖추고 있다. 한국에서 사용된 푸러형은 모두 탱크식이었으며, 텐더식은 없었다. 푸러8형을 제외한 나머지 형식은 동륜 직경이 1370mm로, 최고 속도는 75km/h였다. 푸러형은 한반도 환경에 맞게 개량 및 조정되어 일제강점기 말부터 한국전쟁 시기까지 사용되었다.[1]

푸러형 증기 기관차 각 형식별 특징
형식제작사제작 연도도입량특징비고
푸러1볼드윈1901년70량
푸러 1형 증기 기관차
푸러2브룩스1905년9량포화증기식 보일러
푸러3보르지히1912년14량왈샤트식 증기 밸브, 폭 증가--
푸러4볼드윈, 경성공장 개조1925년-푸러1형 개조, 화상 면적 확대 등--
푸러5볼드윈1911년2량
푸러6코펠1911년2량
푸러7가와사키 중공업, 경성공장1930년~1931년43량국내 독자 설계
푸러 8형(앞)과 연결된 푸러 7형(뒤)
푸러8경성공장, 기샤가이샤, 히다치가사도1932년15량+동륜 직경 1520mm, 최고 속도 90km/h--


2. 1. 푸러1 및 푸러2

푸러1형은 경부선 철도의 급구배 및 급곡선 구간에 대응하기 위하여 경부철도주식회사가 최초로 도입한 차량이다. 미국 볼드윈(Baldwin)사에서 제작하였으며, 1901년 한강철교 개통 등에 맞추어 18량, 군용철도용으로 52량 등 총 70량이 도입되었다. 부산 초량 공장 및 인천 공장에서 조립되어 반입되었으며, 초기에는 철도 건설 작업에 사용되었다. 1906년에는 러일전쟁의 영향으로 추가 도입되어 겸이포(현재의 황해도 송림) 공장에서 조립 투입되었다. 이 기관차는 여객 및 화물 양용으로 사용되었으며, 1925년에는 다수의 차량이 국내산 석탄 이용에 적합하도록 푸러4형으로 개조되었다.[1]

푸러2형은 1905년에 도입된 차량으로, 미국 브룩스(Brooks) 사에서 제작하였다. 푸러1형과 달리 포화증기식 보일러를 채택하고 있으며, 총 9량이 도입되어 황해도 겸이포와 인천에서 조립되었다. 1935년에는 일본의 니혼샤료(日本車輛|니혼샤료일본어)로부터 1량이 추가 도입되기도 하였다.[1]

푸러1형 및 푸러2형 증기 기관차 제원
항목푸러1형푸러2형
제작사볼드윈(Baldwin)브룩스(Brooks)
제작 연도1901년1905년
전장10205mm10446mm
전폭2800mm2730mm
전고3860mm3695mm
동륜 직경1370mm1370mm


2. 2. 푸러3

1912년 독일 보르지히(Borsig) 사에서 제작되어 한국에 도입된 푸러 3형은, 푸러 1형 및 2형에 비해 폭이 넓어져 석탄과 물 적재량이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전의 푸러형 증기 기관차들이 스티븐슨식 증기 밸브를 채택한 것과 달리, 한국 철도 최초로 왈샤트식 증기 밸브 구조를 채택하였다. 왈샤트식 증기 밸브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당시 조선철도국에서 도입하는 신형 증기 기관차에 대거 채택되었다.

푸러 3형은 독일에서 제작되어 부산 초량 공장에서 조립되었으며, 총 14량이 도입되었다.

2. 3. 푸러4

푸러4형 증기 기관차는 푸러1형을 국내 사정에 맞도록 개조한 차량이다. 1925년 경성공장(현재의 용산 철도기지창)에서 개조 공사를 수행하였는데, 주요 개조 사항은 다음과 같으며 이로 인해 외관과 성능이 변경되었다.

  • 열량이 부족한 국내산 갈탄을 사용하기 위해 화상(火床) 면적을 넓혔다.
  • 보일러의 효율 향상을 위해서 보일러 외장을 타원형으로 개조하여, 보일러의 연관 용적을 늘렸다.
  • 이상의 조처를 통해 전열 면적의 증가를 꾀하였다.
  • 선로 연변 화재 방지를 위한 불똥비산방지장치를 설치하였다.
  • 화격자(Stoker)의 간격을 확대하였다.

2. 4. 푸러5 및 푸러6

푸러 5형은 1911년에 사설철도에 도입된 차량이었으나, 1930년에 매수되었다. 미국 볼드윈 사 제작 차량으로, 경성공장에서 개조되었다. 총 2량이 도입되었다.

푸러 6형 역시 1911년에 사설철도에 도입된 차량이나, 1930년에 매수되었다. 푸러 5형과 달리 독일 코펠(Koppel) 사 제작 차량으로, 도입 당시 부산 공장에서 조립하였다. 역시 2량만 도입되었다. 한 량은 해방 후 북한에서 운행된 것으로 보인다.

2. 5. 푸러7

1930년부터 도입된 차량이다. 이 차량은 당시 조선철도국에서 국내의 운용 조건과 환경을 기초로 푸러형 기관차를 바탕으로 하여 독자 설계하였으며, 그 생산 역시 산하 경성공장에서 직접 수행하였다. 가와사키샤료(川崎車輛)에서 사유 철도로 도입되었다가 재매수된 4량과 1931년부터 경성공장에서 생산되어 경인선에 투입된 12량이 있었다.

푸러7형 증기 기관차는 도입된 차량과 국내 생산 차량의 제원이 상이하여 실질적으로 구분되는 차종이라 할 수 있으나, 당시에는 푸러7형으로 통칭하였다. 그래서 "도입 푸러7", "국(局) 푸러7"로 구분하여 표기하기도 한다.

1938년에는 니혼샤료와 경성공장에서 18량을 추가 제작하였으며, 1939년1941년에는 사설 철도인 경춘철도주식회사의 경춘선 용도로 가와사키샤료, 히다치가사도(日立笠戶) 공장 등으로부터 9량이 도입되었다.

2. 6. 푸러8

푸러 8형은 한국철도에서 조달한 최후의 푸러형으로, 1932년에 최초로 제작되었다.

푸러 8형은 가장 독창적인 형식이자, 푸러형 기관차 중에서는 가장 발전된 형식으로 한국철도에서 자체 설계하여 경성 공장에서 처음 제작되었으며, 그 외에 추가적으로 니혼샤료 및 기샤가이샤(汽車會社)에 1939년에 발주하여 15량이 도입되었다. 이 차량이 이전의 푸러형과 가장 구분되는 부분은 동륜 직경이다. 당시 널리 사용되던 미카형이나 파시형 등 각 신형 기관차 형식과 동일하게 1520mm 동륜을 채용하였으며, 이로 인해서 그 최고속도가 과거 형식의 75km/h에서 90km/h로 향상되었다.

이 형식의 기관차는 특히 비교적 고속성능이 양호하고, 운용이 간편하여 경인선 쾌속열차를 견인하는 데 사용되었다.

3. 운행 구간

푸러형 증기 기관차는 초기에는 경부선경인선에 주로 투입되었으나, 이후 경인선 등 비교적 단거리 구간에 널리 투입되었다.

사설철도 노선으로 투입이 확실히 확인되는 구간은 경춘철도주식회사의 경춘선 구간이다. 이 외에 일제강점기 당시 각지의 사설철도 노선에도 투입되었으나, 그 구체적인 보유 상황이나 운전 상황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1]

4. 한국 철도사에서의 의의

푸러형 증기 기관차는 경부선 철도의 급경사 및 급곡선 구간에 대응하기 위해 경부철도주식회사가 미국 볼드윈(Baldwin)사로부터 18량을 수입하면서 한국에 처음 도입되었다. '푸러'라는 명칭은 미국에서 2-6-2형 증기 기관차를 부르는 프레리(Prairie)에서 유래했다. 초기 한국 철도에서 푸러형 증기 기관차는 가장 대표적인 차량으로, 거의 모든 노선에서 운용되었으며, 형식 구분도 8종이나 될 정도로 많았다.

참조

[1] 서적 The railroad pocket-book: a quick reference cyclopedia of railroad information https://archive.org/[...] New York, Derry-Collard; London, Locomotive Publishing Company (US-UK co-edition)
[2]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Korea Rolling Stock Technical Corp. 1999
[3] 웹사이트 Korean National RR - Joseon Chongdokbu Cheoldoguk - PUREE-8 2-6-2T http://donsdepot.don[...] 2023-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