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이구아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른이구아나는 그랜드 케이먼 섬에 서식하는 희귀종으로, 몸길이 최대 1.5m에 달하는 대형 도마뱀이다.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서식지 파괴, 외래종 유입, 인간의 활동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했다. 1990년부터 복원 계획이 시작되어 사육 및 방생을 통해 개체수 증가를 꾀하고 있으며, 현재 5,600마리 이상이 야생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메리카의 파충류 - 도마뱀
도마뱀은 한국과 일본 쓰시마섬에 분포하는 파충류로, 짧은 다리와 긴 꼬리, 얼룩무늬와 흑갈색 줄무늬를 가진 난생 육식 동물이며, 이름은 꼬리가 끊어지는 모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 북아메리카의 파충류 - 붉은귀거북
붉은귀거북은 귀 주변 붉은 줄무늬에서 이름이 유래한 ''Trachemys scripta'' 아종으로, 애완동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야생화되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외래종이며, 수컷은 발톱과 꼬리에서 암컷과 형태적 차이를 보이고 미국 남동부가 원산지이다. - 이구아나과 - 바다이구아나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는 바다이구아나는 육지 이구아나와 가까운 종으로 해조류를 섭취하며 염분샘을 통해 염분을 배출하고 국립공원에서 보호받는 다양한 아종으로 나뉜다. - 이구아나과 - 바위이구아나
카리브해 섬에 사는 바위이구아나는 리처드 할런에 의해 분류된 대형 초식성 도마뱀 속으로, 서식지 파괴와 포식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푸른이구아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멸종 위기(EN) |
상태 기준 | IUCN3.1 |
사이테스 | 부록 I |
분류학적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뱀목 |
과 | 이구아나과 |
속 | 바위이구아나속 |
종 | 푸른이구아나 (C. lewisi) |
학명 | Cyclura lewisi |
명명자 | (C. Grant, 1940) |
이명 | Cyclura macleayi lewisi C. Grant, 1940 Cyclura nubila lewisi (C. Grant, 1940) Schwartz & R. Thomas, 1975 Cyclura lewisi (C. Grant, 1940) F.J. Burton, 2004 |
2. 분류
푸른이구아나는 쿠바이구아나(''Cyclura nubila'')와 북부바하마바위이구아나(''Cyclura cychlura'')와 가장 가까운 종이며, 이들은 3백만 년 전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갈라졌다.[70][44] 유전자 다양성은 부족하지만, 다른 바위이구아나처럼 생존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66][62] 한 가지 이론에 따르면, 한 암컷 쿠바이구아나가 산란 전 폭풍에 휩쓸려 표류하다가 그랜드캐이먼 섬에 정착했다고 한다.[44] 리틀캐이먼 섬과 캐이먼브락 섬에 발견되는 아종과는 다르지만, 서로 짝짓기해 번식하는 것은 가능하다.[45][75]
1938년, 자메이카 연구소의 르위스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케이맨 제도 생물학 원정대에 합류했다. 루이스는 수컷과 암컷, 두 마리의 푸른 이구아나를 얻었고, 이들은 나중에 런던 자연사 박물관에 보관되었다.[26] 채프먼 그랜트(Chapman Grant)는 1940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푸른 이구아나를 처음으로 별개의 분류군으로 공식적으로 기술하며, 삼명법 ''C. macleayi lewisi''로 분류했다.[6][7] 앨버트 슈워츠 (동물학자)(Albert Schwartz)와 리처드 토마스는 1975년에 이를 ''C. nubila lewisi''로 재분류하여 쿠바 이구아나의 아종으로 만들었다.[2] 2004년, 프레데릭 버튼(Frederick Burton)은 비늘 수집과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통해 푸른이구아나를 별개의 종으로 재분류하였다.[45]
2. 1. 명칭
속명(''Cyclura'')은 고대 그리스어의 ''cyclos''(κύκλος)와 ''ourá''(οὐρά)에서 유래하며, 전자는 "둥근"을, 후자는 공통적인 특징인 굵고 둥그런 "꼬리"를 뜻한다.[43] 종명은 처음으로 이들을 연구한 학자인 베르나드 르위스가 사용한 이름을 라틴화한 것이다.[61]1938년 베르나드 르위스는 옥스퍼드 대학의 캐이먼 섬 생물 탐사에 참여하여 암컷과 수컷 각각 한 마리를 채집하였고, 이들은 나중에 영국박물관 자연사관에 옮겨졌다.[61] 1940년에 출간된 논문에서[46] 르위스는 처음으로 푸른이구아나에 ''Cyclura macleayi lewisi''라는 삼명을 붙여주었다.[69][61][45][47] 1977년 슈왈츠와 캐리는 ''Cyclura nubila lewisi''라는 삼명을 붙였다.[45][47] 2004년 프레드릭 버튼은 푸른이구아나를 구분된 종으로 재분류하였다.[45]
이 동물은 원래 '''그랜드케이맨 록 이구아나''',[9] 또는 '''그랜드케이맨 블루 록 이구아나'''라고 불렸다.[10] 2004년, 버튼은 이 개체군을 다른 케이맨 제도 록 이구아나와 분류학적으로 분리한 후, '''그랜드케이맨 블루 이구아나''', '''케이맨 블루 이구아나''' 또는 현지 구어체 사용을 위해 간단하게 '''블루 이구아나'''라는 새로운 통속명을 제안했다.[8]
3. 형태
푸른이구아나는 그랜드캐이먼 섬에서 가장 큰 육상 동물로, 몸무게는 14kg이고 몸길이는 1.5m에 달한다.[81][48] 몸길이는 51cm에서 76cm이며, 꼬리 길이도 비슷하다. 발톱은 땅을 파거나 나무를 타는 데에 적합하게 바뀌었다.[50] 수컷은 암컷보다 1/3 정도 크며,[58] 다 자란 수컷은 암회색에서 터키석빛을 띠는 반면, 암컷은 올리브빛에서 연한 푸른색을 띤다.[58] 어린 개체는 대체로 암갈색이나 암청색이며, 연한 띠가 있기도 하다.[58]
알에서 갓 태어난 새끼는 목에서 골반부까지 복잡한 V자 모양의 문양이 있지만,[49] 1년 내에 사라지고 탈피를 통해 회색에서 푸른색으로 변한다.[49] 다 자란 푸른이구아나는 서식지의 석회암 대지와 비슷한 암회색 피부를 가지며, 영역 표시를 위해 다른 이구아나가 접근하면 색깔을 바꾼다. 푸른색은 수컷에게 더 두드러지며,[49] 발은 까맣다.[58] 수컷은 페로몬 분비를 위한 작은 분비구가 다리에 있지만,[50] 암컷은 분비구가 없고 등 무늬가 덜 뚜렷하다.[81][50]
홍채는 금색이고 공막은 붉다.[58] 시각은 좋아서 원거리 물체의 모양과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지만,[51] 간상 세포가 적어 어두운 곳에서는 시력이 좋지 않다. 원추세포가 발달해 색 대비를 선명하게 볼 수 있으며, 자외선도 감지하여 비타민 D 생성에 유리한 장소를 찾는다.[51][81] 머리 윗부분에는 흰 두정안이 있는데,[51] 망막과 수정체만 있어 상을 맺지는 못하지만 빛과 어둠, 움직임을 감지한다.[51]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13][15] 수컷은 더 크고 등 볏이 두드러지며, 허벅지에 대퇴공이 커서 페로몬을 분비한다.[13]
4. 생태
푸른이구아나는 그랜드캐이먼 섬에서만 발견된다. 이 지역의 다른 ''사이클루라'' 종과 비교했을 때, 과거 푸른이구아나의 해안 개체군이 있었지만 인간 정착과 도로 건설로 인해 점차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69] 푸른이구아나는 현재 자연적인 건생 식물 관목지와 농장 개간지, 도로, 정원 사이 경계면, 숲 등에서만 발견된다. 내륙 개체군은 열 조절, 초본 식생, 떨어진 과일, 둥지 토양을 제공하는 농지와 과수원에 끌리지만, 이로 인해 인간 및 야생 동물과 접촉하게 된다.[69] 암컷은 둥지를 틀기 위해 해안 지역으로 이동하기도 한다.[52]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식물원에서 푸른이구아나를 연구한 결과, 암컷의 활동 범위는 2400m2, 수컷은 5700m2이며, 개체 밀도는 헥타르당 4-5마리였다.[53]
푸른이구아나는 바위 구멍이나 나무 구멍에 서식하며, 다 자란 개체는 주로 땅에서 생활한다.[48] 어린 개체는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경향이 있다.[48] 다른 ''사이클루라'' 종과 마찬가지로 푸른이구아나는 주로 초식성이며, 45종 이상의 식물에서 잎, 줄기, 꽃, 견과류, 열매를 섭취한다.[69][60] 매우 드물게 곤충, 게, 민달팽이, 곰팡이로 식단을 보충하며, 작은 돌, 흙, 배설물, 허물을 섭취하는 것도 관찰되었다.[58][60][20] 이구아나는 삼투압조절에 어려움을 겪어 칼륨이 많은 먹이를 많이 섭취해야 한다.[54] 체액보다 더 농축된 오줌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새들처럼 소금샘을 통해 질소계 폐기물을 배출하며, 신장 기능을 보충하기 위해 후비선으로 칼륨과 염화나트륨을 추가 방출한다.[54]
갓 태어난 새끼는 고유뱀인 ''알소피스 켄터리거스''에게 잡아먹힌다.[60] 다 자란 푸른이구아나는 천적이 없지만, 외지에서 들여온 개에게는 당할 수 있다.[69][60]
4. 1. 번식
짝짓기는 5월에서 6월 사이에 일어난다.[69][58] 수컷은 교미 이전에 머리를 끄덕이며 암컷 주위를 맴돌다가 목덜미를 잡는다.[58][24] 그리고 나서 수컷은 암컷을 억누르면서 자신의 꼬리를 암컷의 꼬리 밑으로 넣어 삽입한다.[58] 교미는 보통 30-90초 동안 지속되며, 하루에 두 번 이상 교미하는 것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58][24] 산란기는 6월에서 7월이며, 암컷의 나이나 크기에 따라 1-21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태양에 노출된 땅을 파서 그곳에 낳는다.[69][60][59][18][25] 한 번에 산란 장소를 정하지 않고 여러 곳을 시험 삼아 파 본다.[58][24] 굴의 길이는 0.41m에서 1.5m 정도이며, 암컷이 다시 나갈 수 있도록 끝부분은 크다.[58][24] 알집의 온도는 65일에서 90일 동안의 부화 기간 동안 32°C로 일정하게 유지된다.[58][24] 푸른이구아나의 알은 파충류 알 중에서 가장 큰 편이다.[58][24]태어난 후 3개월이 지나면 푸른이구아나는 자기 영역을 분명히 하며, 공격적이 되기도 한다.[60][18] 일반적으로 사육 상태에서 4년 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18]
4. 2. 수명
야생에서 푸른이구아나가 얼마나 오래 사는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수십 년으로 추정된다. 1950년에 자연학자 아이라 톰슨이 포획한 "고질라"라는 이름의 푸른이구아나는 1985년에 미국으로 수입되었고, 1990년에 톰 크러치필드에게 팔렸다.[21] 크러치필드는 1997년에 고질라를 텍사스주 브라운스빌에 있는 글래디스포터 동물원에 기증했고, 고질라는 2004년 죽을 때까지 그곳에 있었다.[21][22] 톰슨은 고질라가 포획될 당시 15살 정도였다고 추정했다.[22] 고질라는 69세(그 중 54년을 사육)로, 이는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을 가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산 도마뱀일 수 있다.[22] 이와 가까운 종인 작은캐이먼이구아나( ''Cyclura nubila caymanensis'')는 사육 상태에서 33년을 산 것으로 기록되었다.[23]5. 분포
푸른이구아나는 오직 그랜드캐이먼 섬에서만 발견된다. 다른 바위이구아나 종과 비교해보면 푸른이구아나가 인간의 정착과 개발에 의해 서서히 이주하거나 절멸했음을 보여준다.[69] 푸른이구아나는 건생식물이 자라나는 수풀과 경작지, 도로, 정원 사이에 살거나 높은 숲에 거주하기도 한다.[69][60] 야생 개체가 먹이가 풍부한 경작지나 과수원에 찾아들기도 하지만, 이때는 인간과 개나 고양이 같은 동물과의 충돌을 피할 수 없다.[69] 암컷은 알을 낳기 위해 해안가로 이동한다.[52]
퀸엘리자베스II 식물공원에 방사된 푸른이구아나는 활동범위 측정을 위해 추정장치가 부착되었다.[53] 암컷의 활동범위는 2400km2였으며, 수컷의 활동범위는 이것보다 넓은 5700km2였다.[53] 이들의 활동범위는 겹치기도 하였으며, 개체 밀도는 헥타르당 4-5마리였다.[53]
푸른이구아나는 바위 구멍이나 나무 구멍에 살며, 주로 다 자란 개체는 땅에서 산다.[48] 어린 개체는 나무를 더 선호한다.[48] 갓 태어난 새끼는 고유 뱀인 ''Alsophis cantherigerus''에게 잡아먹힌다.[60] 다 자란 개체는 원래 천적이 없지만, 외지인들이 들여온 개에는 당할 수 있다.[69][60] 성적으로 성숙하기까지는 3-4년이 걸린다.[58]
푸른이구아나는 그랜드 케이맨 섬 고유종이다. 2012년 기준으로, 보덴 타운, 건 베이, 세븐 마일 비치, 웨스트 베이 등 도시 지역을 제외한 그랜드 케이맨 섬 전역에서 이 개체를 발견할 수 있다.[1] 이 분류군이 섬에 정착하게 된 한 가지 이론은 알을 품은 암컷 쿠바 이구아나(''C. nubila nubila'')가 폭풍우 동안 바다를 건너 대양 확산을 통해 표류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16] 때때로 작은 케이맨 이구아나(''C. nubila caymanensis'')가 그랜드 케이맨에서 발견되기도 한다.[8]
6. 보전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은 푸른이구아나를 "심각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했다.[69] 2003년 조사 결과 야생에는 5~15마리만 남아 있었고,[60] 2005년에는 사실상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었다.[68][71] 이는 푸른이구아나가 지구상에서 가장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 중 하나임을 의미한다.[62] 2008년 5월에는 보호구역 내에서 6마리가 살해되어 야생 개체군의 존속이 더욱 불투명해졌다.[63]
푸른이구아나는 과일과 꽃을 먹고 씨앗을 퍼뜨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69][60][65] 2000년 연구에 따르면 푸른이구아나의 소화기관을 거친 씨앗은 발아율이 높아 생존에 유리하다.[65][64] 이는 푸른이구아나가 그랜드캐이먼 섬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65]
퀸 엘리자베스 II 식물공원에서 사육된 푸른이구아나 125마리는 2005년 12월에 방사되었다.[80] 이들은 2001년부터 번식되었으며, 2006년부터는 살리나 보호구에서도 번식하고 있다.[66][67] 2007년 4월 추가 방사 후 야생에는 약 299마리가 서식했고, 그랜드캐이먼 섬에서 수백 마리가 사육되었다.[27] 2012년 말, 야생 개체수가 약 750마리로 증가하여 IUCN은 푸른이구아나의 등급을 심각한 위기종에서 위기종으로 낮추었다.[29]
푸른이구아나의 국제 거래는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규제된다.[1]
6. 1. 위협 요인
푸른이구아나의 개체 수 급락의 주된 원인은 서식지 상실이다. 농경, 도로 건설, 부동산 개발 등으로 인해 숲이 사라지면서 푸른이구아나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다.[68] 농경지가 목초지로 바뀌는 것 또한 푸른이구아나의 2차 서식지를 제거하는 요인이다.[69]들쥐나 들고양이가 어린 푸른이구아나에게 상처를 입히거나, 버려진 개가 성체를 공격하는 것도 야생 개체군에 지속적인 위협이 된다.[69][66] 자동차나 오토바이와의 충돌 사고 역시 중요한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69][70][71] 덫이나 총에 의한 피해는 비교적 덜하지만,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69][70][71]
녹색이구아나는 온두라스에서 도입된 외래종으로, 푸른이구아나보다 개체 수가 많아져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72][73] 푸른이구아나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 대중이 두 종을 혼동하여 푸른이구아나의 보존에 대한 인식을 저해할 수 있다.[69][74]
푸른이구아나는 CITES에 의해 거래가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관광객들에게 애완동물로 팔리기도 했다.[76] 1999년 세계 자연보호 기금의 스튜어트 채프만은 영국 정부가 희귀종 보호에 소홀하다고 비판했다.[76]
2008년 5월에는 퀸 엘리자베스 II 식물공원의 보호구역에서 푸른이구아나 6마리가 죽은 채 발견되기도 했다. 이들은 인간에 의해 칼에 찔려 죽은 것으로 보이며, 그중 두 마리는 임신한 암컷이었다.[77]
2001년에는 야생에서 번식 가능한 푸른이구아나가 5마리밖에 남지 않아 기능적으로 멸종된 상태였다.[68]
6. 2. 보전 노력
1990년 미국 동물원및 수족관 협회(AZA)는 푸른이구아나를 포함한 바위이구아나의 모든 종을 보전의 최우선 대상으로 삼았다.[78] AZA의 첫 번째 계획은 가장 심각한 멸종위기에 놓여있는 푸른이구아나를 인위번식하는 것이었다.[78] 그러나 1990년대 초에 시작된 이 계획은 사육되던 개체들이 순종이 아니라는 문제에 직면했다.[58][78] DNA조사에 의하면 사육 개체는 쿠바이구아나와의 잡종이었다.[58][78] 잡종은 번식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회복 계획은 오로지 순종만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었다.[48][60][78]그랜드캐이먼 섬의 야생 개체가 줄어들자 미국에서 25곳의 번식장이 만들어졌다.[60][78] 최소 225마리의 사육 개체는 20마리의 조상으로부터 내려온 것이며, 관리를 위해 혈통부에 등록되었다.[60][53][78] 2000년 이래로 인디애나폴리스 동물원은 푸른이구아나를 사육 상태에서 두 번 번식하는 데에 성공하였다.[79]
2006년 10월, 푸른이구아나를 멸종에서 구하기 위해 새끼들이 처음으로 방사되었다.[80] 방사된 개체는 구별을 위해 각각 독특한 구슬 목걸이를 달고 칩을 달고 있으며, 각각 비늘의 고해상도 사진 또한 기록되었다.[50] 비늘은 인간으로 치면 지문과 같은 것으로 각각 개체를 구분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50]
푸른이구아나는 공공 및 개인이 사육하고 있다.[81] 하지만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개체의 경우 순종인 경우는 많지 않으며, 애완동물로 인한 유출을 막는 데는 역할을 하고 있다.[81]

푸른 이구아나 복원 프로그램은 1990년 케이맨 제도의 국민신탁운동으로 시작되었다. 현재는 케이맨 제도 환경부, 케이먼 제도 내셔널트러스트, 엘리자베스 2세 식물 공원, 더렐 야생 보호 단체, 국제 파충류 보호 단체, IRCF, 유럽 연합과 자매결연을 맺은 상태이다. 이 프로그램은 케이먼 섬의 동물에 관한 법률에 따라 누구든지 이구아나를 죽이거나 포획하면 불법이라는 특별한 예외 조항 아래 진행되고 있다.[18][40]
복원된 하위 개체군은 두 개의 비인접 지역, 즉 살리나 보호구역과 퀸 엘리자베스 2세 식물 공원에 존재한다.[12] 서식지 보호는 여전히 필수적이며,[12][18][27] 살리나 보호구역은 88acre의 건조한 관목지 밖에 없으며, 이는 야생으로 복원될 예정인 1,000마리의 푸른 이구아나를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다.[13][18]
2019년 4월, 한 이구아나가 부화 가능한 18개의 알을 낳았다. 생존하는 개체가 있다면 2015년 이후 첫 번째 성공적인 번식이 될 것이다.[41]
참조
[1]
IUCN
Cyclura lewisi
2021-11-12
[2]
서적
Carnegie Museum of Natural History Special Publication No. 1 — A Check-list of West Indian Amphibians and Reptiles
https://biodiversity[...]
Carnegie Museum of Natural History
1975-00-00
[3]
웹사이트
[4]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00-00
[5]
학술지
Phylogeography of the Caribbean Rock Iguana (Cyclura):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and Insights on the Biogeographic History of the West Indies
https://www.research[...]
2020-02-19
[6]
학술지
The Herpetology of the Cayman Islands
[7]
서적
The Evolution of Iguanas an Overview and a Checklist of Spec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학술지
Revision to Species of Cyclura nubila lewisi, the Grand Cayman Blue Iguana
http://blueiguana.ky[...]
2007-09-16
[9]
웹사이트
ADW: Cyclura nubila lewisi: INFORMATION
http://animaldiversi[...]
2012-12-19
[10]
학술지
In Search of the Grand Cayman Blue Rock Iguana
[11]
웹사이트
Axanthic Blue
https://www.floridai[...]
Florida Iguana & Tortoise Breeders
2020-02-19
[12]
학술지
A Tour of the Grand Cayman Blue Iguana Captive-Breeding Facility
[13]
뉴스
Iguanas get royal attention
http://www.botanic-p[...]
Caymanian Compass
2008-03-15
[14]
학술지
Color and Pattern in Grand Cayman Blue Iguanas
[15]
서적
The Green Iguana Manual
https://archive.org/[...]
Advanced Vivarium Systems
[16]
학술지
Pulling the blue iguana from the brink
https://www.newscien[...]
Simone Coless
2005-09-17
[17]
학술지
Salina Blues Update
http://www.blueiguan[...]
Quarterly Update on Blue Iguana Recovery Project
2008-03-15
[18]
서적
The Grand Cayman Blue Iguana – Species Recovery Plan 2001–2006
http://www.blueiguan[...]
Blue Iguana Recovery Program
2007-09-08
[19]
웹사이트
Cyclura nubila lewisi
https://animaldivers[...]
[20]
웹사이트
Cyclura nubila lewisi
https://animaldivers[...]
[21]
학술지
Requiem for Godzilla
2004-09-01
[22]
학술지
Obituary
http://www.iucn-isg.[...]
2008-03-15
[23]
서적
Factors Affecting Long-Term Growth of the Allen Cays Rock Iguana in the Bahama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보고서
West Indian Iguanas of the Genus Cyclura: Their Current Status in the Wild, Conservation Priorities and Efforts to Breed Them in Captivity
http://images.cyclur[...]
Northern California Herpetological Society
2008-03-15
[25]
학술지
Dragons of the Cayman: Rock Iguanas Cling to their Islands
[26]
뉴스
Blue Iguanas get helping hand to recovery
http://www.caymannet[...]
Cayman Net News
2008-03-15
[27]
잡지
Big Lizards, Big Problems
BowTie Inc.
2007-04-01
[28]
뉴스
Breeding Success for Rare Lizards
http://news.bbc.co.u[...]
BBCNews/Science Nature
2008-03-15
[29]
웹사이트
Grand Cayman Blue Iguana takes step back from extinction
https://web.archive.[...]
2012-12-19
[30]
웹사이트
Wild Blue Iguanas plummeting towards extinction
http://www.blueiguan[...]
Blue Iguana Recovery Program
2007-07-09
[31]
서적
The Cayman Islands: natural history and biogeography
Kluwer Academic Publishers
[32]
뉴스
Green and Blue a world of difference to Iguanas
http://www.blueiguan[...]
2015-04-29
[33]
뉴스
Probe into giant iguana slaughter
http://news.bbc.co.u[...]
BBC
2008-05-11
[34]
뉴스
Rare Blue Iguanas Found Butchered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08-05-08
[35]
서적
The Role of Zoos in the Conservation of West Indian Iguana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6]
저널
Blue Iguana Recovery Program: Iguana Specialist Group Meeting
[37]
뉴스
Iguanas Hatch in Indianapolis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ums
[38]
뉴스
Hatchlings revive rarest lizard on earth
2006-10-26
[39]
뉴스
SOS call for ancient blue iguana
http://news.bbc.co.u[...]
2008-03-16
[40]
뉴스
Campaign on to Save Blue Iguanas
http://www.caymannet[...]
Cayman Net News
2008-03-29
[41]
뉴스
Large blue iguana nest brings promise of healthy hatchlings
https://www.caymanco[...]
2019-04-15
[42]
IUCN
Cyclura lewisi
2021-11-12
[43]
웹인용
http://www.kingsnake[...]
2007-11-26
[44]
저널
http://www.newscient[...]
2005-09-17
[45]
저널
http://www.caribjsci[...]
2007-09-16
[46]
저널
[47]
서적
[48]
저널
[49]
저널
[50]
뉴스
http://www.caycompas[...]
2008-03-15
[51]
저널
[52]
저널
http://www.blueiguan[...]
2008-03-15
[53]
저널
2006
[54]
서적
[55]
저널
2004-09-01
[56]
저널
http://www.iucn-isg.[...]
2008-03-15
[57]
서적
[58]
저널
http://images.cyclur[...]
2008-03-15
[59]
저널
[60]
인용
http://www.blueiguan[...]
2008-10-24
[61]
뉴스
http://www.caymannet[...]
2008-03-15
[62]
서적
[63]
뉴스
http://news.national[...]
2008-05-08
[64]
뉴스
https://www.nytimes.[...]
2008-03-15
[65]
서적
[66]
저널
2007-04-01
[67]
뉴스
http://news.bbc.co.u[...]
2008-03-15
[68]
저널
2007-04-01
[69]
IUCN
[70]
뉴스
http://news.bbc.co.u[...]
2008-03-16
[71]
저널
그랜드캐이먼 섬 푸른이구아나를 찾아서
[72]
웹인용
멸종에 다가서는 푸른이구아나
http://www.blueiguan[...]
푸른이구아나 회복 계획
2007-07-09
[73]
서적
캐이먼 제도의 양서류와 파충류 (바다거북을 제외)
Kluwer Academic Publishers
[74]
웹사이트
Campaign on to Save Blue Iguanas
http://www.caymannet[...]
Cayman Net News
2008-03-29
[75]
뉴스
푸른이구아나와 녹색이구아나의 차이
http://www.caymannet[...]
Cayman Net News
2008-01-15
[76]
뉴스
멸종위기종의 거래를 암묵적으로 허가한 영국
The (London) Independent
1999-10-14
[77]
뉴스
거대이구아나 학살을 살펴보기
http://news.bbc.co.u[...]
BBC
2008-05-11
[78]
서적
서인도 제도 이구아나의 보전에서의 동물원의 역할
캘리포니아 대학 출판
[79]
웹인용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이구아나들이 태어나다
http://www.aza.org/P[...]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ums
2007-10-04
[80]
뉴스
새끼들이 지구에서 가장 희귀한 도마뱀을 부활시키다
http://findarticles.[...]
London Independent
2008-03-15
[81]
서적
녹색이구아나 매뉴얼
Advanced Vivarium Systems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